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교 교육과정상의 농생명산업계열 기준학과에 따른 동일계 학과 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김진구,이건남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0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agreement level of professors in agricultural universities with the range of agricultural departments established in agricultural schools, and based on this, to provide the fundamental resource to develop a systematic agricultural workforce development program in regular professional institutions for agricultural education and to set up the same range of department between agriculture high school and universities. For this, the current state of the agricultural department was researched through home pages of the agricultural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and the surveys on classification of agricultural department to the professors in the selected 9 agricultural universities by purposive sampling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compared with Kim (2003), the number of departments in agricultural high schools in 2009 has decreased by 27 departments from 251 to 224, but increased by 39 departments from 279 to 318 in agricultural universities. Except the departments which were duplicated in more than 2 high schools or universities, the number of departments in agricultural highschool has increased by 38 departments from 73 to 111 and the number of departments in agricultural university has increased by 27 departments from 173 to 200. Second, among the 9 standard departments affiliated agriculture and life industry stated in high school curriculum, the standard departments in agricultural high school 100% agreed by the professors in agricultural universities based on the academic relations were only 3 include landscaping(1 department), agricultural product distribution information(2 departments), and environmental and tourist agriculture(1 department), and there was no 100% agreement by the professors in agricultural universities for other 6 standard departments. the standard departments in agricultural university 100% agreed by the professors in agricultural universities were 7 include animal resource(3 departments), food processing(6 departments), agricultural machine(2 departments), agricultural engineering(1 department), landscaping(4 departments), agricultural product distribution information(3 departments), and biological engineering(4 departments). But, there was no 100% agreement for plant resource and environmental and tourist agriculture. Third, the examples which had a big gap of the level of agreement by where the same or similar department which were established in the standard departments were found, although they might be easily separated because the name of the department was clear enough for them to be sorted in the related standard depart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s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First, the periodic research on the current state of agriculture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is needed to be conducted. Second, a Delphi-analytic approach on classification of the agricultural departments to the subject expert group. Third, to foster preliminary agricultural workforce, the study on analyzing and comparing between the students who entered the departments of agriculture highschool closely related to the standard department affiliated agriculture and life industry in curriculum and those who did not is also necessary. Fourth,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e which has been developed as a multi-academic and integrated industry, the recognition of professors in agricultural universities on the range of departments is needed to be enhanced. 이 연구는 고등학교 교육과정상의 농생명산업계열 기준학과를 기준으로 농업계 학교에 설치된 농업계 학과의 동일계 범위에 관한 농업계 대학 교수들의 합의 수준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농업계 고등학교 및 대학 간의 동일계 학과 범위 설정과 정규 전문농업교육기관에서의 체계적인 농업인력 양성 프로그램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농업계 고등학교 및 대학의 각급학교 홈페이지를 조사하여 농업계 학과 현황을 파악하였고, 유의표집을 통하여 선정된 9개의 농업계 대학 교수들을 대상으로 농업계 학과 분류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3년의 선행연구(김진구, 2003)와 비교하여 2009년 농업계 고등학교에 설치된 총 학과 수는 27개(251개→224개) 감소하였던 반면 농업계 대학에 설치된 총 학과 수는 39개(279개→318개)증가하였다. 2개교 이상 중복 설치된 학과를 제외하면 농업계 고등학교는 38개(73개→111개), 농업계 대학은 27개(173개→200개)의 학과가 증가되었다. 둘째, 고등학교 교육과정상의 농생명산업계열 9개 기준학과 중, 학문적 관련성을 근거로 농업계 대학 교수들에 의해 100%합의된 농업계 고등학교 학과가 있었던 기준학과는 조경(1개 학과), 농산물유통정보(2개 학과), 환경․관광농업(1개 학과) 등 3개뿐이었고, 나머지 6개 기준학과에는 없었다. 100%합의된 농업계 대학 학과가 있었던 기준학과는 동물자원(3개 학과), 식품가공(6개 학과), 농업기계(2개 학과), 농업토목(1개 학과), 조경(4개 학과), 농산물유통정보(3개 학과), 생물공학(4개 학과) 등 7개이었고, 식물자원 및 환경․관광농업 기준학과에는 없었다. 셋째, 학과명만으로도 동일․유사학과 판단이 가능하여 관련 기준학과로 쉽게 분류할 수 있음에도 동일한 기준학과 내에서 이들 동일․유사학과 간, 그리고 이들 동일․유사학과가 농업계 고등학교와 대학 중 어디에 설치되었느냐에 따라 합의 수준에 큰 차이가 있는 사례들도 많이 발견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하여 이 연구에서는 첫째, 농업계 학교의 학과 변화 동향에 대한 주기적인 현황 조사와, 둘째, 교과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농업계 학과 분류에 관한 좀 더 타당한 합의 수준을 도출할 수 있는 델파이조사, 셋째, 예비 농업인력 양성 차원에서 동일계와 비(非)동일계 진학자에 대한 비교 분석 등의 연구가 수행될 필요성이 있음을, 마지막으로 다(多)학문적이면서 종합산업의 성격을 갖는 방향으로 변화 발전된 현대 농업의 특성에 기초하여 농업계 대학 교수들의 동일계 학과 범위에 대한 인식 제고가 요구된다는 내용들을 중심으로 제언하였다.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 농업 기초 기술 과목의 고난도 문항과 매력적인 오답지 평가내용 및 특성 분석

        김진구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3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st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highly difficult test items and their attractive distractors within the Techniques in Basic Agricultural Subject of the CSA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50 highly difficult test items with a correct answer rate of less than 40 percent and their 81 attractive distractors were selected from 180 test items in the CSATs from 2005 to 2013. They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with test content, question form, content level, truth (or falsehood) judgement, and content difficulty as the criteria. The results showed: first,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 organization and question tendency, most of the highly difficult test items involved content from the plant resource technique area. The integrated unit-items also evaluated the integrative thinking ability from the same area. Second,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st content and the differing item types, the ratio of single content distractors was almost the same as that of the integrated content distractors. Particularly, the reason the ratio of integrated content distractors was higher was that test items had a high percentage of combined response variety item types. Third, most of the attractive distractors addressed the well-defined concepts in the textbooks; others addressed advanced concepts of the plant resource course such as growth of plants, physiological disorders, and methods of cultivation and caring. Fourth, except for the classification of plants, certain food crops, acidity and salinity of soils, and the kinds of fertilizers, most of the attractive distractors addressed content in which the truth (or falsehood) could be judged through the information within the item material. They usually required stepwise thinking and inquiry, but often relied on a critical clue within the test item. Fifth, the content difficulty of the attractive distractors was influenced by the absolute difficulty level of the subject concepts. Based on the results, information and suggestions for instructional improvement at agricultural high schools and the adjustment of test item difficulty is provided. 이 연구는 출제 과정에서 고난도 문항 난이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고, 학교 현장에서 교수․학습 개선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정보와 시사점 제공을 위하여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농업 기초 기술 과목의 고난도 문항과 이들 문항의 매력적인 오답지 평가내용 및 문항풀이 과정상의 주요 특성을 구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2005~2013학년도 수능에서 출제된 180문항 중 정답률 40%미만을 기준으로 고난도 문항 50개, 이들 문항의 오답지 매력도를 기준으로 매력적인 오답지 81개를 선정하였고, 구안된 평가내용, 출제방식, 내용수준, 진위판단 및 내용난도 분석 준거에 따라 양적‧질적 분석하였다. 이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론은 같다. 첫째, 내용체계 특성 및 출제 경향으로 고난도 문항의 대부분이 식물 자원 기술 영역과 관련 있는 평가내용이고, 단원 간 통합형 문항도 대부분 이 영역에 대한 통합적 사고력을 측정하는 유형이었다. 둘째, 평가내용상의 특성 및 이에 따른 문항 유형의 차이로 단일 내용요소로만 구성된 오답지와 내용요소가 통합된 오답지의 비율이 비슷하였다. 특히 내용요소가 통합된 오답지 비율이 높았던 것은 합답형 문항의 출제 비중이 높았기 때문이었다. 셋째, 매력적인 오답지 대부분이 교과서에 상술된 교과개념이고, 교과서 밖의 교과개념들은 주로 특정 작물의 생육 특성이나 생리장해 현상, 재배․관리 방법 등 식물자원전공의 심화 학습내용들이었다. 넷째, 작물의 분류, 특정 식량작물, 토양의 산도와 염류, 비료의 종류 등을 제외하면 매력적인 오답지 대부분이 소재 내 정보를 통해 진위판단을 할 수 있는 내용이었다. 이들 오답지 대부분은 단계적 사고와 탐구 과정이 요구되지만 제시문의 결정적 단서를 통해 진위판단을 할 수 있는 내용도 있었다. 다섯째, 매력적인 오답지의 내용난도는 교과개념이 갖는 절대 난도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통합적․단계적 탐구 사고력 함양과 이에 적합한 각종 교수․학습자료 발굴․활용, 교과서상의 내용요소 재구조화 및 교수․학습 과정상의 오개념 형성 원인 분석 등 교수․학습 개선과 평가내용 폭과 깊이 조절을 통한 문항 난이도 조정과 관련된 시사점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 농업 기초 기술 과목의 문제해결능력 측정 평가목표에 기초한 출제 경향 및 문항 유형 분석

        김진구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5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7 No.3

        This study analyzed tendency of questions and item types in ‘Techniques in Basic Agriculture’ subject of 2014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system based on 2007 revised curriculum and evaluation objectives of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nd suggestions on making questions and teaching-learning to prepare students for tes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analyzed 140 items taken 7 tests (2 in the CSAT, 5 in the preliminary CSAT) in 2014 CSAT system and conducted Subject Matter Experts group surveys and experts committee to ensure validity of the standards classifying content area and behavioral area of each item drafted by researcher.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new contents in 2007 revised curriculum wasn’t evaluated in the tests, so it is necessary to try to include all contents in the subject. Second, it was founded that the questions of the tests placed to much emphasis on content area of the units of the subject though the tests had to evaluate thinking ability to understand concepts and principles of the subject and solve the problems. Third, it was founded that certain subject matters were too often used because of limited subject matters in learning contents and behavioral area. Fourth, in the process of classification of item types on the basis of behavioral area evaluation, the researcher could see overlapping partially among the evaluation factors and a lot of question types are not clear or limited not to be classified on the present concept of the evaluation factors. Fifth, those stereotyped item types which was written using the repetitive sentences and subject matter used frequently were found a lot. 이 연구는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적용된 교과 중심 문제해결능력 측정 평가목표에 기초하여 농업 기초 기술 과목 출제 경향과 문항 유형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출제 과정과 수험 대비를 위한 교수‧학습 과정에 유용한 기초 정보와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체제에서 출제된 7회분, 140문항에 대한 문항 분석 및 연구자의 내용‧행동영역 분류 안에 대한 타당성 확보 차원에서 교과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전문가 협의회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추가되고 강조된 일부 중단원에서 한 문항도 출제되지 않아 중단원 수준 내용영역 안배 차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둘째, 교과 개념 및 원리에 대한 이해력과 문제해결과정에 요구되는 사고력이 균형 있게 측정되고 있었지만 문제해결능력 측정 행동영역 간에, 특히 단원별 행동영역에서 두드러진 출제 비중 편중 현상이 발견되었다. 셋째, 단원별 학습내용과 행동영역에 따라 제한될 수밖에 없는 문항 소재 특성으로 인해 내용‧행동영역별 소재 활용 편중 현상이 발견되었다. 넷째, 행동영역별 평가요소를 기준으로 한 문항 유형 분류 과정에서 평가요소 간에 부분적 중복 현상이 발생하거나 현행 평가요소 개념만으로 구분이 모호하거나 한계가 있는 유형들이 많이 발견되었다. 다섯째, 특정 단원 동일 학습내용을 질문을 유도하는 문두 표현과 함께 활용된 소재 내용이나 구성 및 문항풀이에 요구되는 접근 방식을 유사하게 구성하여 측정하는 출제 빈도가 높은 정형화된 문항 유형들이 많이 발견되었다.

      • KCI등재

        「농업 이해」과목 교과서 학습 내용의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경향 및 주요 특성 분석

        김진구 한국농업교육학회 200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 이해」 과목 교과서 학습 내용의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경향 및 주요 특성을 분석하여,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방향의 시사점 모색과 평가적 관점에서 교과서 학습 내용의 문제점을 진단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농업 이해」 과목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 분석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관으로 시행되었던 2005~2008학년도 모의평가 및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개별 문항들에 대한 문항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출제 빈도에 따른 교과서 학습 내용의 주요 특성 및 이유 등에 관한 내용들을 심도 있게 파악하고자, 유의 표집 방법을 통해 문항 개발 전문가 18명을 선정한 후,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부터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 이해」 과목의 교과서 내용 체계 및 학습 내용에 있어 단원 간 학습 내용의 중복 및 교육과정상의 학습 내용 범위 축소, 최근의 학문적 동향이나 관련 내용 등에 대한 시의 적절한 반영 미홉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둘째, 「농업 이해」 과목의 총 133개 교과서 학습 내용 중 19개의 학습 내용은 10번 이상 언급될 정도로 출제 빈도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반면에 30개의 학습 내용은 한 번도 출제되지 않았고, 38개의 학습 내용 또한 불과 1~3번 밖에 출제되지 않을 정도로 출제 빈도가 매우 낮았다. 셋째, 출제 빈도가 높았던 교과서 학습 내용들은 교육과정 상의 중요성, 과목 성격상의 타당성, 학문·이론적인 객관성과 같은 내용 자체의 특성과 더불어 문항 소재 발굴의 수월성, 평가 내용 통합의 용이성과 같은 문항 개발 자체의 수월성 요건을 동시에 갖추고 있었다. 넷째, 전혀 출제되지 않았거나 출제 빈도가 매우 낮았던 교과서 학습 내용들은 핵심 개념 및 내용의 부재, 교육과정상 중요성이 낮음, 타 과목과의 학습 내용 중복 등과 같은 평가 내용으로서의 타당성 문제와 더불어 학문·이론적 객관성 결여, 주관·편향적 시각의 개입, 다의적 해석의 기능 등과 같은 학습 내용의 정확성 및 공정성 문제들을 내포하고 있었다. 한편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이 연구에서는 향후 「농업 이해」 과목 교과서 학습 내용 개선과 관련하여 고려해야 할 사항과 더불어, 출제 방향 및 평가 내용 선정이나 문항 개발 시 유의해야 할 사항, 학교 현장의 교수·학습 방법 등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제언하였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s for the directions of developing question items and to diagnose the issues learning contents through analysis the tendency an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CSAT on the learning contents of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subject textbook. To achieve these purposes, I analyzed the 7th curriculum and the textbook contents of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subject, 240 items of the preliminary CSAT and the main CSAT in the year 2004 to 2007. Also in an attempt to understand main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contents of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subject textbook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test items, I selected and surveyed 18 test item developers through purposive sampling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here were too many overlapping learning contents among the chapters. Also, the range of learning contents mentioned in the 7th curriculum was partially diminished. And, the recent academic trends and related contents that correspond to the evaluation objectives were not reflected in the textbook appropriately. Second, among the total 133 learning contents of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subject textbook, 19 learning contents mentioned more than ten times were considered to be relatively important. However, other 30 learning contents were not mentioned at all and another 38 learning contents were presented not more than one to three times. Third, the learning contents presented frequently were mostly equipped with excellence in developing test items such as discovering test materials, integrating test content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s concerning the importance in curriculum, the content validity, the academic and theoretical objectivity. Fourth, the learning contents not mentioned at all or mentioned a few were low validity of test contents in terms of the issues without core concepts and contents, somewhat relatively less important learning contents in terms of the 7th curriculum, overlapping learning contents among the other subjects. Also, there were great deal of contents that could be ambiguous, subjective, academically biased when mentioned as test cont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designing future upgraded textbook needs to be considered. Furthermore, the directions of developing question items and selecting the test contents as well a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ies in the school field should be considered systematically.

      • KCI등재

        First Record of a Snailfish, Careproctus notosaikaiensis (Scorpaeniformes: Liparidae) from Korea

        김진구,지환성,박정호,반태우 한국동물분류학회 2012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Vol.28 No.4

        A single specimen (134.3 mm standard length) of a snailfish, Careproctus notosaikaiensis was collected from a fish trap in Goseong-gun, Gangwon-do, East Sea, Korea.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the teeth strongly trilobed; dorsal fin rays 52; anal fin rays 47; pectoral fin rays 35; caudal fin rays 10; vertebrae 58; ribs 2 pairs;cephalic pores, 2-6-7-2; gill slit extending to the fifth pectoral fin ray; chin pores paired and equal in size;dorsal and anal fins with distinct reddish margins. We describe this species as the first record to Korea, and proposed the new Korean name, “Dong-hae-bun-hong-ggom-chi” for this species.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 영역 성과와 과제에 대한 농생명산업 특성화고 농업교사들의 인식

        김진구,이건남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4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and phase provision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through inquiry of perception on the achievements and challenges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by agricultural teach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of agriculture and life industry in Korea. Therefore, it is highly desirable that researchers to survey what are main achievements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and positive spread effects of the achievements, what are the main challenges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and importance of challenges undertaken 10 years. The survey included 130 teachers of agricultural teach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of agriculture and life industry in Korea. The analysis of survey results was by regions, teacher's career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xtension of opportunity on continuing education and supply a demand for entrance university o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as the biggest achievement. Second, improvement of negative and biased social recognition and the educational level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of agriculture and life industry does not help new excellent students recruitment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of agriculture and life industry. Third, agricultural teachers recognized main challenges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and importance of challenges was not to use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score for the entrance on the universities in capital region. Fourth, the identity confus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was urgent problem to inhibit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Fifth, agricultural teachers recognized persistiveness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notwithstanding needlessness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이 연구는 2005학년도 수능에 직업탐구 영역이 신설된 이후, 지난 10년간 시행되면서 거둔 성과 및 당면 과제에 대해 농생명산업 특성화고 농업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수능 직업탐구 영역의 지속적 발전 및 위상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13개(경기 3, 강원 1, 충청 2, 경상 3, 전라 4)의 농생명 산업 특성화고를 선정하고 학교 당 10명씩 총 130명의 농업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생들의 계속교육 기회 확대 및 현실적인 대학진학 욕구 충족”이 가장 큰 성과로 나타났다. 이는 곧 직업탐구 영역이 신설된 정책적 취지가 가시적 성과로 표출되었음을 시사한다. 둘째, 직업탐구 영역이 “농생명 산업 특성화고에 대한 부정적이고 편향된 사회적 인식 개선 및 학력수준으로 우수학생자원 유치”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곧 선입관에 의해 고착화될 수도 있는 농생명 산업 특성화고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제고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수도권 소재 대학들이 대학입학전형자료로 직업탐구 영역을 반영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당면 과제로 나타났다. 이는 곧 직업탐구 영역 실효성 문제를 제고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들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넷째, “특성화고 정체성 혼란 문제” 역시 직업탐구 영역의 발전을 저해하는 중요도가 높은 당면 과제로 나타났다. 이는 곧 선(先)취업 후(後)진학 특성화고 정책 기조가 유지되는 현 상황 하에서 직업탐구 영역이 갖는 기능 및 역할에 대한 재정립과 함께 새로운 패러다임에 입각해 정체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다섯째, 직업탐구 영역 불필요론에 대한 끊임없는 문제 제기에도 “직업탐구 영역이 수능에 존속”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곧 직업탐구 영역이 농생명 산업 특성화고에서 추구하는 본연의 교육목표 달성을 저해하거나 교수‧학습 방향을 결정지을 정도로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고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농업계 고등학교 출신 대학생의 대학수학능력과 고교 내신성적 및 대학수학능력시험성적의 관계

        김진구,김강호,이건남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9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1 No.4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high school academic records and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was 303 undergraduate students from 7 agricultural government-established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College scholastic ability is related to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rather than high school academic records. 2) Controling the universities' characteristic, the result shows the difficulties of completing liberal arts and majors are mainly from CSAT's mathematics score. 3) In comparison with academic high school graduates, the recognition of liberal arts and majors grade is influenced by CSAT's mathematics score. In particular, students recognize highly their liberal arts grades if CSAT's mathematics score is high, but majors grade is recognized as lower point if CSAT's mathematics score is high.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proposed: 1) college scholastic ability of agricultural high school graduates should be analysed continually, 2) longitudinal analysis should be performed for the effect of high school academic records and CSAT's score on achieving process, type of job selecting, and wages. 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계 고교 출신 대학생들의 대학교과 이수의 어려움 및 성취수준에 대해 고교 성적과 대학수학능력시험 결과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7개 대학에 재학중인 303명의 응답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계 고교 출신 대학생의 대학교과 이수의 어려움은 고교 성적보다는 대학수학능력시험 결과와 많은 관련이 있었다. 둘째, 재학중인 대학의 속성을 통제한 후의 분석결과 교양 및 전공과목 이수상의 어려움은 주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수리영역 점수에 기인하고 있었다. 셋째, 일반계 고교 출신자와 비교할 때 자신의 교양 및 전공과목 성적 수준에 대한 인식 역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수리영역 성적에 기인하고 있었으나, 교양과목의 경우 수리영역 성적이 낮을수록 자신의 성적이 일반계 고교 출신자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는 반면 전공교과의 경우는 수리영역 성적이 높을수록 자신의 성적이 일반계 고교 출신 학생에 비해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농고를 졸업하고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의 대학에서의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고교성적, 수학능력시험 등이 학생들의 대학성취과정 그리고 취업형태, 임금 등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종단적 분석이 시도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 「농업 이해」 과목의 문항 난이도 영향 요인 및 주요 특성 분석

        김진구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9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which are helpful to adjust the item difficulty in developing question items and to teach the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in a agricultural high school through analyzing the influential facto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tem difficulty on the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in the CSAT. To achieve the purpose, the researcher used the marking results of CSAT from the year 2005 to 2009 and analyzed the changed tendency of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on the level of difficulty and the numbers of examinee in the vocational education test. Also, the researcher selected influential factors on the item difficulty by literature reviews and developed the analysis criteria to analyze each item in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By doing that, the researcher could see the item distribution, the average of right answer ratio, the distribution and cases of high item and low item of right answer rati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nly a thousand of examinee (3% of all the examinee taking vocational education test) took a test of the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every year. Standard score and grade distribution of the test score seemed to be calculated reliably and the tests had a appropriate level of difficulty. But, it is necessary to predict the distribution of item difficulty more correctly and to adjust it as for the distribution of item difficulty. Second, there were content area, behavioral area, subject conception and item type which were greatly influencing item difficulty of the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test. it is also assumed their close relationship with those factors to one another. Third, high item of right answer ratio was to ask examinee to grasp, translate and infer the meaning of units in the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such as Human beings and Agriculture or Agriculture and Career. The examinee answered the questions correctly if they understood meaning of the stems and items, even though they didn't know the concept of the units in their textbooks. Fourth, low item of right answer ratio was to ask examinee to remember the contents in some units, for example, Foreign Farming, the Root of Living, Future Farmers of Korea in the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Another type of question was about generalizing the results through inquiring every fact for themselves and examinee also had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each unit in the subject well enough to solve the low item of right answer ratio. Fifth, the researcher assumed more than one factor might influence on the items in combin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직업탐구 영역 「농업 이해」의 문항 난이도 영향 요인 및 주요 특성을 분석하여, 출제 과정상의 난이도 조정과 학교 현장의 교수․학습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2005~2009학년도 수능 채점 결과 보도 자료를 활용하여 「농업 이해」의 응시자 수 및 난이도 변화 경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문헌 고찰을 통하여 문항 난이도 영향 추정 요인들을 추출․선정하였고, 이들 요인별 분석 준거를 개발하여 「농업 이해」의 2005~2009학년도 수능 개별 문항들을 대상으로 문항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문항 분포, 정답률 평균, 정답률이 높은 문항 및 낮은 문항의 분포와 사례 등이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로부터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 이해」에는 매년 직업탐구 영역 전체 응시자의 3%정도에 해당되는 천여 명만이 응시하였고, 표준점수 및 등급 분포 등은 매년 안정적으로 산출되었으나 문항 난이도 분포 측면에서는 문항 난이도에 대한 좀 더 정확한 예측과 조정이 요구되었다. 둘째, 「농업 이해」의 문항 난이도에는 내용 영역, 행동 영역, 교과 개념, 문항 형식 등의 요인들이 많은 영향을 주었고, 이들 요인들 간에는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셋째, 「농업 이해」의 정답률이 높은 문항들은 실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교과서 밖 소재를 활용하여 인간과 농업 및 농업과 진로 대단원의 의미를 파악․해석․추론하는 문항, 교과 개념을 몰라도 언어적 능력만으로 자료의 의미를 파악하거나 답지 내용만으로도 해결 가능한 문항 등이었다. 넷째, 「농업 이해」의 정답률이 낮은 문항들은 교과서 내의 학문·이론적 내용을 소재로 활용하여 외국의 농업 대단원과 삶의 뿌리, 영농학생회 중단원 등의 내용을 기억해내는 문항, 탐구 과정을 통해 발견된 결과를 종합하여 결론을 도출․일반화하는 문항, 문제 해결 과정에 교과 개념이 요구되는 문항 등이었다. 다섯째, 「농업 이해」의 정답률이 높은 문항 및 낮은 문항들에는 하나의 특정 요인보다 여러 요인들이 상호 복합적으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은 출제 과정상의 난이도 조정, 학교 현장의 교수․학습, 후속 연구 등의 측면에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 연구에서는 이에 관한 내용들을 중심으로 제언하였다.

      • KCI등재

        동적효과를 고려한 연쇄붕괴해석 프로그램의 개발

        김진구,안다운,김현수 대한건축학회 2007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23 No.6

        Widespread propagation of failure can be triggered by localized damage to a structure due to fires, impact and explosion etc. Progressive collapse analysis is usually carried out using a commercial structural analysis software. In this case, it is required to investigate the failed members and re-run the structural analysis with modifying the analytical model at each step. However, the process is too complicated and may induce modeling errors. In this paper, the progressive collapse analysis program is developed to automatically check the failed members and construct the modified structural model at each step. In the development of a progressive collapse analysis program, significant time and efforts may be required to develop and verify the analytical engine that can perform geometrical and material nonlinear analysis program and represent the failure of structural members. Therefore, OpenSees, that is widely used in many research groups, was used for the developed progressive collapse analysis control program. The control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automatically computes the damage indices of all the structural members and performs a progressive collapse analysis after the first failed member is selected. Using the developed program, we compared the progressive collapse behaviors of the example structures considering dynamic effects or not, and the difference of progressive collapse mechanism according to the modeling method of the failed memb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