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장애인 그룹홈에 대한 주민 의식과 반응에 관한 연구

        최종혁,이선영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5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21 No.-

        In Korea, the general prejudice toward the mental disability is still exist. So, we have to research and describe of the reality. And We are trying to develop the social welfare policy, social work program and field research. This study is the qualitative research of local resident's prejudice toward mentally disordered. Specially, this research has been enforced by qualitative method for about 10 months aiming at the all group homes in Korea. This study reports the types and the one's characters according to the motive of setting up the group homes. In this study, the behavior patterns like objective-negative action, resultant-negative action and existent-negative action are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 features of members and public cognition. It's also discussed the relation of the types to prejudice of local residents and interventions of group home workers. Finally it's embodied the public indifference, negative reaction and affirmative reactions in the category of group home and response of inhabitants. The negative and positive reactions are treated separately to beginning, middle and final(sustaining) stages by time axis in detail. The result above represents that the public understanding of group home is changed as time passes and the character of member's behavior and the manner of intervention of group home is the major variables in the relation with local resident.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 중에 있는 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복귀시설 중 주거시설에 해당하는 정신장애인그룹홈에 대한 주민의식과 반응에 관한 연구로서 전국의 시설을 대상으로 약10개월간 제3차에 걸쳐서 질적연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정신장애인그룹홈의 설치, 회원들의 생활과 관리방식, 정신장애인그룹홈과 주민반응, 주거회원의 사회통합접근법의 내용을 중심으로 구체화하였다. 이 중에서 특히 주민반응에서 부정적 반응은 시간 축을 통하여 초기, 중기, 그리고 말기(안정화단계)로 구분하였다. 긍정적 반응에 대해서는 그룹홈의 안정화와 관련한 세 가지 구성요소 등을 논의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서 정신장애인그룹홈과 주민인식과의 관계는 시간경과에 따라 반응이 달라지며, 특히 회원의 행동특징과 관리자의 대응방식이 지역주민과의 관계에서 주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 경골극 골절의 관절경적 치료 후 슬관절의 전방 불안정성

        최종혁,김성환,주종환,김형식,Choi, Chong-Hyuk,Kim, Sung-Hwan,Joo, Jong-Hwan,Kim, Hyung-Sik 대한관절경학회 2006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0 No.1

        목적: 경골극 골절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골편의 정복 및 고정 후 골절편의 정복 정도와 전방 불안정성에 대한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경골극 골절로 관절경적 치료를 받은 32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18개월(12개월-48개월)이었다. 수술 후 평가는 Lachman 검사 및 회전 불안정성 검사와 KT-2000 관절측정기를 이용한 건측과의 전방전위차이(SSD)를 측정하였다. 방사선 사진 상 골편의 완전 정복, 전방 거상 및 정복 실패로 나누었고, 골편의 정복 정도에 따른 전방 불안정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골편의 완전 정복, 전방 거상, 정복 실패는 각각 23예(71%), 8예(25%), 1예(4%)였고 pull-out 방법 28예 중 8예(29%)에서 전방 거상이 있었다. 완전 정복군과 전방 거상군의 SSD는 각각 2.0 mm와 2.8mm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Lachman 0등급 비율(P=0.021)과 3 mm 미만의 SSD의 비율(P=0.048)은 의미 있게 정복군이 높았다. 결론: 심하게 전위된 골절일수록 골편의 정확한 정복이 술 후 전방 동요를 줄이는데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봉합사를 이용한 pull-out 방법에 의한 고정은 수술 후 골편 전방부의 거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evaluated the result of the degree of reduction and anterior instability after arthroscopic treatment of tibial spine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cases of tibial spine fractures treated with arthroscopic procedure could be evaluated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8\;(12{\sim}48)$ months. Evaluations included Lachman test, rotatory instability examination and side to side difference (SSD) using KT-2000 arthrometer. The degree of radiologic reduction was classified as accurate reduction, anterior elevation and reduction failure, according to which the degree of anterior instability was measured. Results: There were twenty three cases (71%) of accurate duction, eight cases (25%) of anterior elevation and one case (4%) of education failure. Eight (29%) of twenty eight cases with pull-out method showed anterior elevation. The SSDs of the accurate reduction and the anterior elevation group were 2.0 mm and 2.8 mm, respectively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percent age of grade 0 Lachman test and SSD less than 3 mm of the accurate reduc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Conclusion: Accurate reduction is important in reducing anterior instability especially in unstable fractures. Therefore, arthroscopic pull-out method should be performed with great caution to avoid anterior elevation of the fracture fragment.

      • 족 관절 구 증후군에 시행한 관절경적 치료

        최종혁,박진오,Choi Chong Hyuk,Park Jin-Oh,Ogilvie-Harris D. J. 대한관절경학회 2000 대한관절경학회지 Vol.4 No.1

        목적 : 족 관절의 내외측 구에 병변을 갖는 환자를 대상으로 병변의 양상 및 관절경 치료 후 그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총 366례의 족 관절경을 시행한 환자 중 족 관절 구에 병변을 갖고 있었던 76례(77 족관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족 관절 구의 병변은 비후성 반흔 조직, 유리체 및 골극으로 분류되었다. 병변은 관절경적 제거술이 가능하였으며, 이중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52명을 대상으로 치료의 결과를 판정하였으며, 추시 기간은 평균 44개월(2.9년-8.5년)이었다. 결과의 판정은 저자 등에 의한 방법으로 주관적 및 기능적인 평가를 하였으며, 각각의 지표에 대한 결과는 Wilcoxon rank sum method로 통계 처리하였다 결과 : 전체 족 관절경 중 족 관절 구에서 병변이 발견된 빈도는 $21\%$였다. 비후성 반흔 조직의 병변이 가장 많이 발견되었다 31례$(40\%)$에서 족 관절의 병변은 구에만 국한되어 있었으나, 46례$(60\%)$에서는 구 이외의 다른 부위에서도 병변이 동반되었다. 관절경적 치료후 통증, 부종, 강직, 파행 및 활동도에서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호전을 보였다(p<0.001). 17례$(33\%)$는 고강도의 운동이 가능하였으며, 기능적으로도 이상이 없었다. 결론 : 족 관절 구는 만성 족 관절 통증에서 병변이 위치하는 중요한 부위로서, 족 관절경시 족 관절 구의 검사가 필수적이다 족 관절 구 증후군에 대한 관절경적 치료는 병변의 제거에 매우 유용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gutter pathologies and the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treatment for ankle gutter syndrome. Materials and Methods : Seventy six patients(77 ankles) who had lesions in the ankle gutter were treated by arthroscopy. The gutter pathology could be divided into 3 categories; hypertrophic scar tissue, loose bodies and bone spurs. Fifty two patients were evaluated subjectively and functionally with authors' criteria. The follow-up period averaged 44 months(range, 2.9 year-8.5 year). Results : The incidence of the gutter lesion was $21\%$(77 ankles) among 366 ankles undergoing arthroscopy. The most common pathology was hypertrophic scar tissue. In 31 ankles$(40\%)$, the lesions were found only in gutter, and 46 ankles$(60\%)$ were associated with pathologies in other areas. All of parameters for subjective and functional evaluation were improv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p<0.001). Seventeen patients$(33\%)$ could returned to competitive or contact sports activity with same level of premorbid period. Conclusion : Ankle gutter is an important site of pathologies which cause chronic ankle pain, and should be explored in ankle arthroscopy. The ankle arthroscopy is a very effective treatment method fur the removal of pathologies in ankle gutter syndr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