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濟州北方,成德沿岸海域에 있어서 植物플랑크톤 群集의 季節變動 特性

        尹良湖,金暎起,盧洪吉 濟州大學校海洋硏究所 1992 해양과환경연구소 연구논문집 Vol.16 No.-

        Fieldsurvey for oceanographic conditions and the seasonal succession of phytoplankton were carried out in the Hamdok port from April 1989 to February 1990. Water temperature ranged between 11.4℃ in January and 27.3℃ in August, and salinity fluctuated greatly, with a maximum of 35.6 in August and minimun of 21.8‰ in April. A total of 120 species of phytoplankton belonging to 69 genera were observed in which, at least, 8 genera, Oxyphysis, Amphidinium, Cochlodinium, Torodinium, Nematodinium, Katodinium, Ebria and Streptotheca are first records in the Cheju coastal waters. The predominant species are centric diatoms, Skeletonema costatum, Chaetoceros opp. through the year, while they are unarmoured phytoflagellates, Heterosigma akashiwo, Gymnodinium sp., Gyrodinium sp. in warmer seasons. And phytoplankton cell number fluctuated between 4.1×10³cells/1 in winter and 2.4×10 cells/1 in spring blooms, and it was under the control of centric diatoms for a year. On the other hand, it is occupied by phytoflagellates including some unarmoured dinoflagellates in summer season.

      • 부가 탄소원이 Bacillus sp. 79-23의 변이주에서 셀룰라제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윤기홍,신인경 우송대학교 부설 산업연구원 1999 산업연구 Vol.1 No.2

        Bacillus sp. 79-23의 포자를 감마선으로 조사하여 얻은 7개 변이주의 CMCase 생산성에 미치는 탄소원의 영향을 모균주와 비교 분석하였다. LB 배지에 부가탄소원으로 glucose, xylose, maltose, lactose, CMC, starch, 볏짚, 밀기울을 첨가하여 배양한 후 배양상등액에 존재하는 CMCase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변이주의 효소생산성은 탄소원에 의해 모균주와 유사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변이주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존재하였다. 특히 xylose와 볏짚에 의한 변이주들의 효소생산량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대부분 변이주의 성장정도도 모 균주와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효서는 성장과 연계되어 생산되었다. 그러나 변이주 48에 잇어서 탄소원에 의한 효소 생산성의 영향은 유사하지만 모균주나 다른 변이주에 비해 성장정도가 매우 낮으며 효소 생산량도 다른 균주에 비해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로보아 변이주에서의 유전자 변이는 서로 다른 지역에서 일어난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CMCase를 코드하는 유전자를 포함한 부위가 모든 변이주와 모균주의 총 유전체 DNA로부터 동일한 primers로 증폭되었으며 그 크기가 전기영동상에서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감마선 조사에 의해 얻어진 변이주는 CMCase 유전자 부위에 삽입이나 결손등의 변이가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In seven mutant strains which were derived from Bacillus sp. 79-23 by gamma-irradiation of the parental spores, effects of carbon sources were investigated on carboxymethylcellulase (CMCase) production. By measuring the CMCase activity in the supernatants of bacterial cultures which were grown in LB medium containing glucose, xylose, maltose, lactose, carboxymethylcellulose, strach, rice straw, and wheat bran as additional carbon sources, it was identified that seven mutants were comparable to the parent strain. Among the additional carbon sources, xylose and reice straw affected differently the CMCase production according to the mutant stains. It was found that the enzyme production was in association with the growth of parent and mutant strains. Growth of mutant strains reached the level of parent strains. Growth of mutant strains reached the level of parent strain except mutant 47. Mutant strain 48 was poorly grown and produced CMCase less than other mutant strains. As the results of them, it was suggested that mutagenesis of the mutant strains occurred in different positions of their chromosomal DNAs, respectively. DNA fragments with an identical molecular size of 1.6 kb corresponding to the gene encording a Bacillus sp. 79-23 CMCase were amplified from genomic DNAs of all mutants and parent strain using same primer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roposing that mutations did not be cuased by the insertion and deletion in the structural CMcase genes of the seven mutants.

      • Trigonopsis variabilis의 D-amino acid oxidase 정제

        윤기홍 우송대학교 1999 우송대학교 논문집 Vol.4 No.-

        배지에 methionine을 0.2% 이상 첨가하였을 때 Trigonopsis variabilis 배양균체내 D-amino acid oxidase (D-AAO)의 비활성도는 증가하였으나 균의 성장도는 매우 갑소되었다. 배양 후 배지의 pH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이에 따라 균의 성장이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 되었는데 배양액의 pH를 유지할 경우 D-AAO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 variabilis 균체파쇄액으로 부터 DEAE-Sepharose와 Mone Q column을 사용항여 D-AAO의 비활성이 7.23 U/mg protein이 되도록 정제하였는데 정제과정 중 균체파쇄액에 미약하게 존재하는 catalase가 제거되었다. 정제된 D-AAO를 이용하여 cephalosporin C (CPC)의 탈아미노 반응을 수행한 결과 반응액 중에 catalase를 첨가하였을 때는 CPC가 ketoadipyl 7-aminocephalosporanic acid (7-ACA)로 전환되었으나 catalase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는 반응산물의 대부분이 glutaryl 7-ACA로 전환되고 미량의 ketoadipyl 7-ACA와 미지의 물질이 생겨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pecific activity of D-amino acid oxidase (D-AAO) was estimated to be increased in Trigonopsis variabilis cells grown on the broth supplemented with methionine over the concentration of 0.2%, but the cell growth was severely inhibited by the methionine, Final pH of the medium was found to decrease dramatically after the cell growth, suggesting that the dectrased pH caused to inhibit the growth of T. variabilis cell. In order to imprpve the D-AAO productivity of T. variabilis it is required to maintain the medium pH during cell growth. D-AAO was purified from cell-free extract of T. variabilis by DEAE-Sepharose and Mono Q culumn chromatography with specitic acitivity of 7.23 U/mg protein. Catalase activity was not detected in the purified enzyme. When the T. variabilis D-AAO reacted cephalosporin C (CPC) as a substrate with catalase or not, CPC was mainly converted to ketoadipyl 7-aminocephalosporanic acid (7-ACA) in the presence of catalse. In the absence of catalase, the reactants were, however, identified to be glutaryl 7-ACA with trace amount of ketoadipyl 7-ACA and unkwon compounds.

      • 내열성 α-Amylase 생산균의 탐색과 분리균 α-Amylases의 특성

        윤기홍 우송대학교 1998 우송대학교 논문집 Vol.3 No.-

        토양으로 부터 고온성 미생물을 1,286 주 분리하고 이들의 수용성 전분 분해능을 조사하여 α-amylase를 생산하는 균주를 402 주 확보하였다. 이들 중 불용성 전분이 가수분해능이 우수한 α-amylase 생산균 65 주를 각각 액체배양하여 배양상등액을 이용하여 전분분해능을 검토하여 전분분해능이 우수한 14주를 선발하였다. Denaturing-polyacrylamidegel에서 α-amylase 활성염색을 수행하여 4 주가 α-amylase 생산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 고온에서 효소활성과 열안정성이 높은 것이 4 주로 확인되었다. 특히 열안정성이 가장 뛰어난 α-amylase를 생산하는 분리균 16-7을 동정한 결과 Bacillus licheniformis로 판명되었다. 분리균 No. 16-7이 생산하는 α-amylase를 정제하여 효소 특성을 분석한 결과 N-말단의 아미노산 잔기배열과 분자량이 B. licheniformis의 효소와 동일하였으나 열안정성과 최적반응온도는 더 높았다. Among the thermophilic bacteria of 1,286 isolated from the natural soil. 402 a-amylase-producing strains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liquefying activity of the soluble starch. The 65 isolates were further screened to produce the a-amylase hydrolyzing efficiently the insoluble starch from 402 isolates. They were grown in the complex broth, and then the culture supernatants were inverstigated for degradastion of the starch, resulting that the 14 isolates showed high activities for starch hydrolysis. Activity staining of the crude enzymes from the 14 isolates was done on the denaturing-polyacrylamide gel. From the result. the 4 isolates were found to produce the thermostable a-amylases with high activities. Especially, isolate 16-7 produced the a-amylase showing the highest thermostability. It was identified as Bacillus Iicheniformis. The a-amylase was purified and analyzed to have the N-terrminal amino acid sequences identical to that of B. Iicheniformis a-amylase. But, the 16-7 a-amylase was more thermostable than B. Iichniformis a-amylase.

      • 황정(黃精) 추출물의 화학구조결정에 관한 연구 (Ⅰ)

        윤중호,박주희,김정주,권기락,안철진,주우홍,강진호,신동수 Institute of Genetic Engineering Changwon National 1998 Gene and Protein Vol.2 No.1

        본 연구에서는 황정 속에 포함되어 있는 생리활성 물질을 hexane, CHCl₃과 n-butanol층에서 각각의 성분들을 추출하였고, hexane층에서 분리된 화합물 I과 H 중에서, 화합물 I의 봐학구조를 ¹H-nmr, ??, DEPT135, COSY, HMQC, HMBC 스펙트럼 및 MS 스펙트럼 등의 분광학적인 방법에 의해 결정하였다. 화합물 I의 구조는 9,12-(9E, 12E)-octadecadienoic acid 임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were extracted using organic solvents as hexane. CHC1₃, n-butanol to give each component. Chemical structure of compound I was characterized using ¹H-nmr, ??, DEPT135, COSY, HMQC, HMBC spectrum and MS-spectrum, in separated compound I and Ⅱ from hexane layer. Finally, chemical structure of compound I was determined as 9,12-(9E,12E)-octadecadienoic acid.

      • 고온성 Bacillus sp.의 Xylanases 특성 비교

        윤기홍 우송대학교 1997 우송대학교 논문집 Vol.2 No.-

        토양에서 분리된 cellulase-free xylanase 생산균인 고온성 Bacillus sp. KK-1의 배양상등액으로 부터 내열성 xylanase S를 정제하였다. Bacillus sp. KK-1의 xylanase 유전자를 확보하기 위해 총 염색체 DNA를 이용하여 xylanase 유전자를 대장균에 크로닝한 결과 xylanase 활성을 보이는 30개 대장균 형질전환주를 얻어 이들이 생산하는 xylanases의 열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모두 xylanase S보다 낮았다. 또한 형질전환주에서 분리된 plasmids를 여러가지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분석한 결과 동일한 부분의 DNA조각을 공유하고 있었다. 이로써 이들 형질전환주는 동일한 xylanase를 생산하고 있다고 판단되며 이를 xylanase Y라 명명하고 대장균 형질전환주 균체로 부터 xylanase Y를 정제하였다. 정제된 xylanase S와 xylanase Y의 성질을 비교 분석하였는데 이들은 전혀 다른 성질을 보였으므로 Bacillus sp. KK-1이 최소한 두 종류의 xylanases를 생산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xylanase S는 열안정성이 매우 높아 65C에서도 약 10시간 방치하여도 효소 활성이 75% 이상 유지 되었으나 xylanase Y는 50C에서 30분간 방치하여도 활성을 약 25% 정도 상실하였다. Xylanase Y가 열안정성이 xylanase S에 비해 매우 낮으므로 Bacillus sp. KK-1를 50C에서 약 16시간 동안 배양하여 얻은 배양상등액에서는 xylanase S와는 달리 xylanase Y의 활성이 거의 상실되어 정제될 수 없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A thermostable xylanase, designated xylanase S, was purified from the culture supernatant of Bacillus sp. KK-1 which was isolated from natural soil. In order to obtain Bacillus sp. KK-1 xylanase gene. xylanase gene was cloned in Escherichia coli from Bacillus sp. KK-1. From approximately 20,000 transformants. 30 E, coli colonies showing xylanase activity was obtained. It was found that almost all xylanases from the E, coil clones was less stable than xylanase S at 60℃. Issert DNAs of recombinant plasmids, isolated from E. coil clones, shared the common DNA fragment of Bacillus sp. KK-1, suggesting that E coli clones produced an identical xylanase. Xylanase, named xylanse Y, was therefore purified from cell free extract of Em coli,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fo purified xylanase Y were identified to be different from those of xylanase S, resulting that Bacillus sp. KK-1 produced at least two xylanses. Especcially ,xylanase S retained over 75% io its maximum activity at 65℃ for 10 h. But , xylanase Y lost 25% of its activity at 50℃ within 30 min. From this result. it was supposed that xylanase Y could not purified from the culture supernatant of Banillus sp. KK-1 growing for 16 h at 50℃ because of inactivation of the xylanase Y unlike xylanase S.

      • 室內디자인의 新構成主義的 傾向에 關한 硏究

        尹道根,金洪基 弘益大學校 1990 弘大論叢 Vol.22 No.2

        Recently, the interior design, closely related to architectural trends, has been identified its speciality as a prefession, and increasingly extended into scopes. Therefore, those circumstances make us redefine it's essential points and theories of interior design. It accordance with those contexts, for redefining principles of spatial composition in contemporary interior design, and proposing the direction of it's development, this paper examined how the designs of neo-constructivism, the most prevailing since post-modernism in terms of formation of architectural spaces, apply to the interior space. Probably, after these examinations, we would make through a part of new techniques of spatial configurations and try new directions of the scope in interior design and architectural design. Therefore, the main points of the examinations in this paper, based on the essence of interior design and the trend of contemporary architectural design, underlined in the scopes of development, design elements, compositional techniques, and the case study and analysis of neo-constructivism.

      • 국내 토착 담수어류의 장내미생물 분리와 특성

        윤기홍 우송대학교 2003 우송대학교 논문집 Vol.8 No.-

        자연에서 포획된 담수어 5종과 해삼 1종 및 양식어 4종으로부터 장내 미생물을 분리한 결과 양식어 보다는 자연에서 포획된 수계 생물에서 분리균의 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균 총 52종의 형태적·생리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담수어에서 분리된 균은 그람 양성균과 음성균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나, 해수 생물에서 분리된 균은 모두 그람 양성균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분리균의 가수분해 효소 생산을 조사한 결과 담수어에서 유래된 미생물은 amylase, cellulase, xylanase, protease, esterase, gelatinase의 활성을 보이는 것이 다수 존재한 반면에 해수 생물에서 분리된 미생물은 대부분 이들 가수분해 효소를 생성하지 못하였다. 분리균 중 다양한 가수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8-6번 균주를 배양한 결과 매우 빠른 성장을 보였으며, 말기 대수기부터 효소 생산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ntestinal microorganims were isolated from ten kinds of aquatics. It was found that diversity of the bacterial isolates was higher in aquatics catched from nature than aquaculture. As a result of gram staining, gram-negative and gram-positive bacteria were distributed in the bacterial isolates from freshwater fishes, while almost all of bacterial isolates from marine aquatics was gram-positive. Many bacterial isolates from freshwater fishes showed hydrolytic activities on macromolecules such as starch, carboxymethyl cellulose, skim milk, tributyrin, gelatin and oat spelt xylan, indicating that they produced α-amylase, cellulase, protease, esterase, gelatinase and xylanase. However, few bacterial isolates from marine aquatics showed hydrolytic activity on the macromolecules except tributyrin. It was identified that a bacterial isolate 8-6 producing various hydrolytic enzymes grew fast and produced the amylase, cellulase, and xylanase at the late-logarithmic growth s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