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철학 : 조선말 성리학자의 성리학적 개념에 대한 인식 -송래희의 『성리논변』1,2권을 중심으로-
정성희 ( Jeong Seong Hui ) 동양철학연구회 2003 동양철학연구 Vol.35 No.-
Confucianism of the last period of Chosun was progressed towards two trends. One is disputes about the concepts of confucianism according to factional view point. The other is the tendency of practical science(實學) to search realistic solusion overcoming social conflict and political confusion. But despite of long-year dispute the concepts of confucianism were not defined. Despite of establishing theory of Bon-Che(本體論) based on the theory of Li-Ki(理氣論) problems still exist about how we could explain Bul-Sang-Ri(不相離) Bul-Sang-Jab(不相雜), and which the first is between Li(理) and Ki(氣). Theory of In-Seong(人性論) is based on the theory of Seong-Jeong(性情論), but the concept of Seong(性) is divided into Bon-Yeon-Chi-Seong(本然之性) and Ki-Jil-Chi-Seong(氣質之性), according to this a question arises whether the concept of Seong(性) is limited to humanbeing or reached to object.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authority of concepts and adjust them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y are what Seong(性) is in the theory of In-Mul-Seong Dong-I(人物性同異論), and whether Seong(性) and Li(理)have mutuality in the theory of Seong-Chuk-Li(性卽理). Seong-Li-Non-Byun(性理論辨) is a very useful work published by Lai-Hui Song(宋來熙) in the last period of Chosun. Lai-Hui Song intended to present the foundation of concepts, and to adjust concepts of confucianism of Chosun by compiling diverse articles and studies. Therefore the study on Seong-Li-Non-Byun(性理論辨) is useful to reform confusion between concepts on the theory of Sa-Dan Chil-Jeong(四端七情論) and the theory of In-Mul-Seong Dong-I(人物性同異論).
홍성표(Hong Seong-Py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6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5
1920~30년대 한국교회는 어려운 농촌의 현실에 주목하고, 덴마크의 그룬트비의 영향을 받아 농촌운동을 전개했다. 이러한 한국교회의 농촌운동은 일제의 탄압과 교회내부의 보수적 신앙인의 반대로 1930년대 말에 막을 내렸다. 일제로부터 해방된 후에도 농촌문제는 새로운 나라를 세우기 위해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였으나, 해방 공간에서 한국교회의 농촌운동 사례를 찾기는 쉽지 않다. 강성갑은 해방 공간에서 이러한 농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상남도 진영에서 한얼중학교를 설립하는 등 기독교 사회운동에 앞장섰다. 강성갑은 1912년 경남 의령에서 출생하였고, 연희전문 문과와 도시샤대학 신학과를 졸업하였다. 1943년 경남노회에서 목사안수를 받았으며, 1946년 4월 진영교회 담임목사로 부임하여 목회활동과 함께 기독교 사회운동을 전개하다가 한국전쟁 중에 ‘공산주의자’로 몰려 총살당했다. 이 사건은 소위 진영사건으로 알려져 있는데, 재판을 통해 한국전쟁 당시 민간인 학살 가해자를 처음으로 처벌한 사건이었다. 강성갑의 경우에는 가해자를 처벌한 재판과 추모동상 제막식이라는 공적 행사를 통해 그의 억울한 죽음이 밝혀지고 명예가 회복되었으나 여전히 ‘공산주의자’로 몰려 가족들은 커다란 고통을 겪어야 했다. 강성갑은 덴마크 그룬트비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으며 이를 실천했다. 복음중등공민학교를 설립하여 기독교 사회운동을 시작하였으며, 진영교회 및 지역사회와 함께 1948년, ‘하나님을 사랑하자, 이웃을 사랑하자, 흙을 사랑하자’라는 ‘삼애정신’을 교훈으로 하는 한얼중학교를 설립하고 농촌의 인재를 양성하였다. 강성갑의 한얼중학교 설립은, 해방 후 모든 것이 부족했으나 새로운 나라를 세우고자 하는 열의로 농촌의 교육을 위해 강성갑과 진영교회와 진영의 지역사회가 합심하여 열악한 조건을 극복하고 대안을 만들어간 기독교 사회운동의 모범적인 사례였다. The Korean churches, paying attention to harsh realities in 1920s and 1930s, carried on the rural movement influenced by Nikolaj Frederik Severin Grundtvig. This movement of Korean churches had to come to an end in the end of 1930s however, because of Japanese oppression and the opposition forces of conservative believers inside the church.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the rural movement was still the first priority task to solve to build a new nation, though it is not easy to find the cases of rural movement by Korean churches in the Post-Liberation Period. Kang Seong-Gab pioneered in Christian social movements to resolve these rural problems, as an example, he established Haneul Middle School in JinYoung Gyeongsangnam-do. Kang Seong-Gab was born in 1912 in Uiryeong Gyeongsangnam-do and completed liberal arts course in Yonhi College and studied theology and graduated from Doshisha University. In 1943 he was ordained as a minister by Gyeongnam presbytery, then started his ministry as the pastor in charge at JinYoung Church in April 1946. He developed Christian social movements while he was in ministry, then he was wrongfully charged as a communist he was shot to death during Korean War. This incident is known as JinYoung slaughter, which was the first time to punish the perpetrators of civilian massacre at the trial during the Korean War. The trial to punish the perpetrators and the official dedication of memorial statue revealed his wrongful death and recovered his reputation, but his family had to suffer a great pain since Kang Seong-Gab was still regarded as a ‘communist.’ The philosophy of Danish Grundtvig influenced Kang Seong-Gab and made him to put the philosophy into practice. He started Christian socialist movements by establishing Bogeum(Gospel) Civic School, and together with JinYoung Church and the regional community he established Haneul Middle School in 1948 to start educating people in rural area. The school motto was ‘Love God, love neighbor, and love land.’ The establishment of Haneul Middle School by Kang Seong-Gab was the model case of Christian social movement, even though everything was short in supply after the Liberation, together with JinYoung Church and the regional community having enthusiasm to rebuild new nation, that they made up of an alternative plan to overcome the appalling conditions to educate the rural area.
손애성(Son, Ae-seong)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7 亞細亞硏究 Vol.60 No.1
이 논문은 성남시 청년배당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시행됐는지를 이재명 시장의 당파성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청년배당은 유례없는 청년실업난 속에 나온 청년 정책이자 기본소득을 목표로 하는 보편적 복지정책이다. 성남시에 거주하는 청년이라면 누구나 청년배당을 받을 수 있다. 그동안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정부정책이 일자리대책에 머물렀다면, 청년배당은 청년을 복지의 대상으로 바라본다. 이 같은 정책이 중앙정부가 아닌 지방정부, 그것도 기초지자체에서 가능했던 것은 이재명 시장의 선명한 당파성 때문이다. 이재명 시장은 진보 성향의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특히 복지에 대한 철학과 의지가 확고하다. 이는 진보・좌파 정당이 보수 정당에 비해 복지・재분배에 관심이 많다는 당파성 이론(Dye 1984; Bradley 외 2003)에 잘 부합한다. 이러한 접근은 지금까지 지방정부의 복지 정책을 사회경제적・재정적 요인의 산물로 봐온 기존 연구들과 시각을 달리한다. 청년 실업은 전국적 현상으로 청년 정책에 대한 수요는 성남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그럼에도 성남시에서 이 같은 정책이 등장한 것은 이재명 시장이 청년 실업을 개인이 해결할 수 없는, 정부의 역할이 필요한 문제로 파악했기 때문이다. 증세 없이 정책 재원을 마련할 수 있었던 것도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예산을 우선적으로 배분했기에 가능했다. 단체장의 의지와 철학은 중앙정부와의 갈등을 극복하는 데도 큰 역할을 했다. 중앙집권적 구조 및 제도에서 중앙정부는 지방정부 단체장의 당파성을 제약할 수 있는 주요 거부세력이다. 특히 복지 분야는 사회보장기본법을 통해 지자체가 새로운 복지정책을 추진할 경우 복지부와 협의할 것을 요구한다. 이재명 시장은 헌법이 보장한 지방정부의 자치권을 주장하며 중앙정부의 제약에 맞섰다. 중앙정부와 법적 분쟁은 해결해야 할 문제지만, 청년배당은 그간 지방정부 복지에서 소홀히 다뤄진 당파성에 주목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This research analyzes how the youth dividend policy of Seongnam is made and executed. Lee Jae-myeong, a mayor of Seongnam City who belongs to Democratic Party (the Minju) has strong partisanship. Specially he stands firm in his philosophy of welfare, which corresponds to partisan theory. In partisan theory, a progress/left party has more interest in welfare and redistribution than a conservative party. This paper assumes that mayor Lee’s partisanship is a determinant in the youth dividend. The youth dividend comes amid an unprecedented youth unemployment crisis. It is the first youth income security program and also a universal welfare policy aimed at basic income. While the youth policy has been within the scope of the employment policy so far, the youth dividend of Seongnam City regards youth as the object of welfare. It’s because Mayor Lee judged the young generation as a structural weakness. This paper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on local government welfare policies which emphasized socioeconomic factors and financial factors. Youth unemployment was a national phenomenon. The demand for youth policies is not limited to the city of Seongnam. Nevertheless, the reason why the policy like this appears in Seongnam City is because mayor Lee judged that the Government’s role was absolutely necessary to solve the youth unemployment. His thoughts have given priority to the youth dividend among government’s policies. Therefore Seongnam City has been able to finance the new policy without raising taxes. The will and philosophies of mayor Lee have also played a major role in overcoming conflict with the central government. In central governance, the central government is a major veto point that restricts the autonomy of local governments. In particular, the welfare sector requires the local government to consult with the Ministry of Health when it comes to providing new welfare policies. Despite of this backdrop the Mayor Lee is sticking to his policy, arguing that the Constitution guarantees autonomy of the local government.
성지은(Seong, Ji Eun),한규영(Han, Kyu Young),정서화(Jeong, Seo Hwa) 한국과학기술학회 2016 과학기술학연구 Vol.16 No.2
Living Lab is being introduced and applied as an innovation model driven by social entities (residents, users, etc.) and as an innovation place based on local and field. This study analyzed three living lab cases of Bukchon IoT living lab, Seong-Daegol energy transition living lab, and Daejeon Geonneoyu project, which were designated as Living Lab to solve local problems. We analyzed the local problem, the problem solving goal, the role of each participant and the subject, the living lab promotion system, the significance in each case. In additi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living labs were elucidated and future development plans were discussed. The result is as follow. First, each case has a tendency to link science technology and ICT with local problem solving though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echnologies used. Second, local residents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whole living lab process from problem identification to technical experimentation, diffusion and application. Third, the role of the intermediaries commonl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operation of the living lab. Last but not least, each case has different types of living lab. Bukchon IoT living lab being operated as a project by the government / municipality to create a living lab activity-base or to support actors’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 Seong-Daegol energy transition living lab and Daejeon Geonneoyu project were conducted by the civil society itself to define problems and explore technologies in order to solve local problems.
박성환(Park Seong-hwa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35 No.-
동편제, 서편제와 함께 판소리 세 가지 유파 중 하나인 중고제 판소리는 충남 논산 강경의 김성옥을 위시로 한 금강유역권과 서산 해미의 고수관, 방만춘, 방진관 등을 위시로 한 내포문화권에서 크게 발달하였는데, 주로 양반상류층의 애호 속에 담담하고 고아古雅한 가곡풍으로 발전해온 것으로 보인다. 극도의 노력으로 성가를 이뤄 심청가를 완성한 방만춘은 조선 전기8명창 중 한사람으로 판소리사에 큰 업적을 세운 인물이며 가계를 이은 손자 방진관은 방응교와 동일인으로 일제강점기 신제판소리가 유행할 때에도 끝까지 중고제 전통을 지켰고, 그 정통성이 음반과 방송을 통해 확인되고 있다. 음반에 전하는 방진관의 소리 〈군사설움〉 대목의 악조 분석을 통해 현행 민속악이나 동, 서편제 소리와 다른 계면조의 평조적 표출, 구성음의 차이, 붙임새와 선율의 단조로움과 반복, 가곡풍의 창법 등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실들은 방진관의 판소리가 다른 중고제 명창들의 소리와 유사성이 많으며 이는 동, 서편제에 비해 보다 앞선 시기 고제판소리의 특성으로 볼 수 있다. 허흥식 소장본 심청가 소리책은 내포제의 고장 서산지역에서 전해진 것으로 방진관의 SP음반에 남겨진 판소리 사설 부분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이 소리책이 조선창극사에 기록된 방만춘의 심청가 사설로 방진관을 거쳐 가계에 전해지던 필사본이 아닌가 면밀히 연구해볼 가치가 있다. 판소리의 古調를 고수해온 방진관의 중고제 판소리는 이제 전승이 끊긴 매우 희귀한 소리가 되었다. 통속성의 결과로 갈수록 설움조로 계면화되고, 유파나 바디를 떠나 하나같이 소리의 깊이와 다양성이 사라지고 있는 현실에서 방진관의 소리는 판소리 미학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이제 방진관, 이동백, 김창룡, 심상건, 조학진등 중고제 명창들의 이채로운 소리제에 대한 학술적 연구와 함께 실기인들의 활발한 복원 작업을 체계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단순한 복원을 넘어, 대동소이하기만한 현대 판소리의 음악관을 더 폭넓게 하고 장차 새로운 현재적 전통을 창조하고 수립하는데 확고한 내적 근거와 자산으로 삼아야 할 것이기에 중고제 판소리의 부활은 매우 긴요하다. Junggoje as one of three pansori schools, along with Dongpyeonje and Seopyeonje has been much developed in the Qeum River Basin with Kim seong-ok in Ganggyeong-eup, Nonsan-si, Chungcheongnam-do and in the aepo cultural area with Go su-gwan, Bang man-chun, and Bang jin-gwan, Haemi-eup, Seosan-si, Chungcheongnam-do. It seems that it has been loved by the upper class of yangban, aristocrat and developed into calm and graceful aria style. Bang man-chun, one of 8 great singers in the Joseon Dynasty who had collected hymns ? and completed Simcheongga with great efforts, performing a feat in the history of pansori. His grandson Bang jin-gwan, an identical person to Bang eung-gyo took over the family business and protected the tradition of Junggoje to the end even under the popularity of new pansori. Its legitimacy has been verified via albums and broadcasting. Through the tone analysis on Bang jin-gwan's pansori, 'A Soldier's Lamentation' from an album, we can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such as an expression like Pyungjo of Gyemeonjo different from the present folk music, Dongpyeonje, and Seopyeonje, differences of composing notes, monotonous and repetitive Buchimsea (attachment for effectiveness in drumming method) and melodies, and a singing method with an aria style. These kinds of facts have made us justify that Bang jin-gwan's pansori has lots of similarities to other master singers' songs of Junggoje and that it shows properties of old pansori earlier than Seopyeonje. Heo heung-sik's collection of a sori book Simcheongga has been handed down in the region of Seosan, the hometown of aepoje and checked as it is identical to the story part of the pansori left in Bang jin-gwan's SP album. Based on this information, it is worthwhile to research in detail if the sori book as Bang man-chun's story of Simcheongga recorded in the history of changgeuk of the Joseon Dynasty is the manuscript succeeded in his family by Bang jin-gwan or not. Bang jin-gwan's Junggoje pansori which has adhered to the old tone? of pansori has become a precious sori, without handed down more. His sori is a very valuable material showing the diversity of aesthetics of pansori under the present situation when it has become Gyemyeonjo as the tone of sadness as a result of the popularity, and when the depth and diversity of sori are disappearing regardless of schools or Bodi. Now, it is time to research on the diverse Junggoje master singers including Bang jin-gwan, Lee dong-baek, Kim chang-ryong, Sim sang-geon, and Jo hak-jin and also systematize performers' activities for the enthusiastic restoration. By doing that, we will be able to widen the viewpoint of the pansori music which is not at present, leading to consider it as the solid internal basis and property in creating and establishing the new present tradition. Therefore, it is very essential to resurrect Junggoje pansori.
김성윤 ( Seong Yun Kim ) 한국실학학회 2012 한국실학연구 Vol.0 No.23
이 논문은 정조 경세론의 주요 측면들을 통하여 조선후기 실학의 전개 과정에서 정조가 차지하는 위치를 가늠해 본 것이다. 이 글에서 필자가 제기한 주요 논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정조는 이기론에서 주희나 이황과는 달리 理를 氣의 내재법칙으로 축소시킴으로써 리가 갖는 先在性·초월성·규범성을 외면했다. 정조의 이러한 주기적 이기관은 그의 근본적 시각이 경험적 현실에 있음을 보여준다. 그가 실학자들이 주장해 온 ``道器一體論``을 계승한 것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둘째, 정조는 인성론에서 ``性卽理``라는 주자학의 기본 명제를 부정하고, ``性卽氣``를 주장했다. 아울러 맹자의 성선설에 대해서 性=四端이라는 도식을 부정하고, 사단을 元亨利貞의 四德으로 고쳐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性四德說을 제기했다. 이러한 주장들은 그가 선험적인 원리나 윤리보다는 경험적 현실과 욕구 속에서 인간을 이해하고, 현실의 변화에 맞추어 새로운 사회원리와 윤리를 모색하려 했다는 점을 대변한다. 정조의 이기론과 인성론은 주자학의 정설에서 크게 이탈해 있었다. 셋째, 그는 도교, 불교, 양명학, 서학 등 제반 이단적 학문에 대해서 개방적인 자세를 취했다. 이러한 그의 학문적 개방성은 학문적 권위가 권력적 목적에 이용되는 것을 차단하고, 진정한 학문적·정치적 실익을 추구한 데에 자연히 뒤따르는 현상이었다. 넷째, 정조는 군주가 수신을 바탕으로 명분질서의 모범을 보이고 실제 정치에 관여하는 것은 자제해야 한다는 수신군주론이나 군주성학론의 도그마에서 탈피했다. 이에 따라 그의 통치 방식도 풍속을 돈독히 하는 禮敎的 방식에 치중하지 않고 제도 개혁과 효율성을 중시하는 접근방식을 보였다. 다섯째, 정조는 영조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정치적 준거를 三代之治 혹은 堯舜之治에 두었다. 그러나 그가 이해한 요순은 은둔적이고 수련적인 철학자의 모습이 아니라 세속적이고 권력적인 정치가였다. 이처럼 그는 ``무위에서 유위로`` 정치 개념과 군주의 역할을 새롭게 이해했으며, 君師로 자처하면서 의리 판별의 권한이 임금에게 있음을 주장한 영조의 정책을 계승했다. 그의 지지자에 의해 국왕이 사문의 도통을 계승했다는 ``君主道統論``이 제기되는 속에서 마침내 자신을 太極에 비유함으로써 자신이 天 혹은 上帝라는 절대군주론을 피력하기에 이르렀다. 여섯째, 정조의 군주론은 중개세력의 매개 없이 군과 민이 직접 소통하는 2단계 정치구조를 지향했다. 그는 이러한 절대왕정을 지탱할 통일된 사회윤리로서 孝悌를 제시하고, 太學序齒를 통해서 이를 시험적으로 실행했다. 태학서치는 군주 이외에 모든 臣民을 하나로 보고, 신민 사이에서는 신분이나 직업이 아닌 나이를 우선시하는 새로운 계서윤리를 선도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실학이 추구하는 새로운 왕정이 결코 이론적 수준에 머무르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일곱째, 정조가 추구한 절대왕정은 국가를 家의 類比 내지 확장으로 보는 유교의 家族國家와 외연상 별 차이가 없어 보이나, 국가권력의 정당성을 도덕보다는 백성의 행복 증진에 두고 국가사회의 결속원리를 인간에 내재한 도덕심이 아니라 개인의 주체적 개별적 연계 속에서 모색했다는 점에서 종래의 유교적 왕정론과는 질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여기에는 차후 근대국가론의 형성으로 나아갈 수 있는 소지가 다분했다. 여덟째, 실학사상의 한말 민중운동으로의 전유와 관련하여 정조의 역할이 있었을 가능성을 지적하였다. 그의 주역 연구와 文王에 대한 특별한 관심은 한말 민중운동에 크게 영향을 끼쳤던 후천개벽설과 연관이 있어 보인다. The main points of this thesis can be centered on several points as follows. First, Jeongjo emphasized that I(理) is the inherence rule of Gi(氣). These Jugijeok Igi-gwan(Gi-centred Philosophy of I and Gi) shows that his fundamental viewpoints focus on an empirical actuality. Second, In theory of human nature, Jeongjo contradicted seong-jeung-ni(性卽理. nature is based on i which is innate in all creatures) and advocated seong-jeung-gi(性卽氣. nature is based on gi). And he advocated that human nature is saduk(四德. the four virtues), not sadan(四端. the four beginnings). Third, Jeongjo had opened up towards the unorthodox. His academic openness was the phenomenon following his utilitarianism. Fourth, Jeongjo`s ruling methods had attached importance to effectiveness of system, not convert. Fifth, He had made the way of the sage King Yao and Shun(堯舜之治) as his political authority. He emphasized that he himself is taegeuk(太極. Great Ultimate). This meens he had announced the absolute monarchy. Sixth, He presented Hyoje(孝悌. filial piety and friendship) as the moral foundation for his absolute monarchy, and practiced it with Taehakseochi(太學序齒). Seventh, There is a possibility that Jeongjo had a influence on the theory of hucheongaebyeok(後天開闢. Great Transformation for the world after the creation of heaven). This related with the Silhak(實學)`s transformation to the popular movement at the close of Joseon dynasty.
이성혜(Lee, Seong-Hea) 포은학회 2016 포은학연구 Vol.18 No.-
이 논문은 이수광의 「유구사신증답록(琉球使臣贈答錄)」을 텍스트로하여, 북경에서 만난 조선과 유구 사신(使臣)간의 민간외교 활동에 관한 내용을 고찰한 것이다. 조선과 유구는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태조1년(1392)에 외교 관계를 수립했으나 1524년을 마지막으로 유구 사신의 조선 내빙이 끝나고 1530년부터는 북경을 통한 우회 외교가 시작되 었으며, 이 우회 외교도 1596년까지 만난 횟수가 겨우 3회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이수광이 북경에 갔던 1611년에 두 나라는 서로에 대한 정보도 부족했을 뿐만 아니라 외교적으로도 친밀하지 못했다. 이때 양국의 사신이 북경에서 만나 문답하고 시를 주고받는다는 것은 상대국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우호를 증진할 좋은 기회였다. 물론 공식적인 접촉은 아니지만 양국의 사신으로 민간 외교의 역할을 하기에는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북경에서 만난 조선 사신 이수광과 유구 사신 채견과 마성기는 서로에 대한 궁금증을 문답을 통해 일부 해결하고, 시를 주고받으면서 우호를 증진하는 민간 외교의 역할을 하였다. 시의 내용은 창화자가 양국의 사신이라는점에서 상대 나라와 사신에 대한 의례적 묘사와 칭송이 많다. 그러나 사신간의 만남과 창화는 두 나라의 우호를 증진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므로 내용 보다는 창화했다는 점에 무게를 두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ivate diplomatic exchanges between the envoys of Joseon and Yugu who met in Beijing, with reference to 「Yugu Sasin Jeungdaprok」 written by Lee Su-gwang. According to The Tru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Joseon and Yugu made diplomatic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in the first year(1392) of king Taejo’s reign. But it was just until 1524 when Yugu directly sent its envoys to Joseon. Since 1530, the two nations made diplomatic exchanges in 1530. Even their contacts in this way were made only three times until 1596. Thus, the two countries had little information about and not diplomatic closeness to each other in 1611 when Lee Su-gwang visited Beijing. In that year, the envoys of the two countries met in Beijing and exchanged questions and answers and poems. This provided the opportunity for Joseon and Yugu to better understand and improve friendship with each other. Though informal, their meeting was presumedly enough to be regarded diplomatic exchanges between the private sectors of the two nations. At that time, Joseon’s envoy Lee Su-gwang and Yugu’s ones Chae Gyeon and Ma Seong-ki could partly solved what they wanted to know about each other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They also exchanged poems with each other to promote mutual friendship. Through these moves, the envoys of the two nations showed a good example of nongovernmental diplomacy. Meanwhile, those poems were mostly about the courteous depictions and admirations of each other and their respective country. However, more importance should be put on the fact that the envoys of two different countries read poems to each other and responded to it than on what the poems were about since their meeting and exchanges using poems were to improve frienship between the two nations.
珠潭 金聖運을 통해 본 18세기 초 경상우도 유림 동향
구진성(Gu, Jin-seong) 대동한문학회 2020 大東漢文學 Vol.63 No.-
이 글은 주담 김성운의 가계와 생애를 통해, 그의 학문적・당파적 정체성과 아울러 18세기 초 경상우도 유림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김성운은 ‘남명학파 남인’으로 부를 수 있을 정도로 남명학파적인 성향을 진하게 지니고 있었던 동시에, 숙종조 집권 서인에 대응하여 뚜렷한 남인의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그는 고조부 김대명으로부터 이어진 학파의 전통을 계승하여 당대 덕천서원을 이끄는 인물 중 하나였는데, 이는 정인홍 계열의 남명학파가 배제된 학파 내 지형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그는 침체된 남명학파를 부흥시키기 위해 이만부와 같이 저명한 외부 인사를 초빙하는 등 지역 내외의 인물들과 적극적으로 교유하였다. 남인으로서 그의 뚜렷한 행적은 『주담집』 속 그의 여행 기록에서 드러나는데, 이를 통해 당시 경상우도 유림의 동향도 살펴 볼 수 있다. 특히 과거시험장에서 벌어진 사건 기록이나 관련한 자신의 논평을 통해, 숙종 조에 발생한 첨예한 사안을 받아들이는 유림의 태도와 김성운의 인물 성격을 엿볼 수 있다. 또한 경종 즉위 이후의 정국 동향도 여정 중에 관심을 기울여 기록하였다. This article was written to examine the trends of Confucian scholars in Gyeongsangwu-do in the early 18th century as well as his academic and partisan identity through the family and life of Judam[珠潭] Kim, Seong- woon[金聖運]. He had a strong tendency to Nammyeong School[南冥學派] and he had a strong characteristic of Namin[南人] in response to King Sukjong era s ruling party. Therefore he could define as “Nammyeong School Namin”. He was one of the leaders of the DeokcheonSeowon[德川書院] Confucian Academy, succeeding the tradition of the school from the great-great-grandfather Kim, Dae-myeong[金大鳴]. This was done within the internal dynamics relation of the Nammyeong School in which a group of Jeong, In-hong[鄭仁弘] s disciples was excluded. In order to revive the depressed Nammyeong School, he actively interacted with local and outer region figures by inviting prominent external figures like Lee, Man-bu. His distinct track record as Namin is revealed in his travel records. Through this, we can also see the trends of the Confucian scholars in Gyeongsangwu- do at that time. Especially through the record of the incident in place of state examination and his own comments, we can see the attitude of Gyeongsang-do Confucians accepting partisan events and the character of Kim, Sung-woon. In addition, the political situation after the enthronement of King Gyeongjong was recorded with interest during the journey.
SeongtaePark,YonghwaChung,KiwanJang,EunjinCho,Yong-IllLee,ChangdaeKim 한국물리학회 2002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41 No.5
Sm2+-doped Mg0:5Sr0:5FCl0:5Br0:5 mixed crystals have been prepared under three different reduction conditions: the first one is by firing at 1,100 C for 1 hour in a reducing stream of hydrogen gas, the second one is by firing at 1,100 C for 1 hour in air and then heating at 800 C in a reducing stream of hydrogen gas, and the third one is the same as the second one, but with X-ray irradiation. Persistent spectral hole-burning (PSHB)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photongated (two-color) and self-gated (one-color) spectral hole-burning processes at 300 K and 79 K. The results showed that PSHB is observed when using either the photon-gated or the self-gated spectral hole-burning process at 300 K and that PSHB is not observed when using the self-gated spectral hole-burning process under either the second or the third conditions, but is observed under the first condition at 79 K. That the characteristics for PSHB are highly dependent on the reduction process of Sm3+ into Sm2+ is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