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산지역 성황당의 제의전승 고찰

        노성미(Rho, Seong-mi) 한국문화융합학회 2008 문화와 융합 Vol.30 No.-

        The location of Seonghwangdang in Masan district underwent changes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administative districts or ruins, constructions and moves of a fortress. The earliest Seonghwangdang was located at the place called Sanjedang or Gongsindangsan in Hwaiwonhyunseong. Later this fortress was ruined by pillages and incendiary fires of Japanese pirate raiders and barracks moved to Happoseong. For this reason the Seonghwangdang was enshrined together in beacon of Mt. Bonghwa and changed into Seonghwangdang-bongsoo. A shrine at the summit of Hwaiwonhyunseong of Mt. Hwanju where Seonghwangdang has been located in Korea dynasty gradually lost its function due to falling into decay by war. But popular believes on Moksingak, Sansingak and Yongwangjeong in Sanjedang reproduced an axis symbol as the holy place and maintain the function up to now. Mt. Bonghwa where a beacon and Geunju station were located had a seonghwangdang Happoseong era. The beacon and Seonghwangdang were united into one named Seonghwangdangbongsu and current altar of god remains below. Although this place was dualized into beacon rites by Geunju hometown friends meeting and an ancestral tablet hall of popular believes enshrining Sanwangdaesin, it is considered to be a different sacrificial rites derived from the same divinity and rite place. That the place of Seonghwangdang enshrining Sanwangdaesin and becoming Sanjedang means identification of Seonghwang-god and mountain-god. Seonghwangdang played a role of rite place of Seongsin belief which is the old popular belief in Masan city. Masan made the sea to be the ground of life from ancient times and installation of port, Seokduchang and Jochang combined lives of residents in Masan city and Seongsin established a firm position as smoothies of Masan city. The evidence of Byeolsingut can be found from the written document of Youngjo 36 years of Chosun dynasty and <Songjosunga> for the first sail. This suggests that Seongsin be worshiped as smoothies of sea and god of waterway safety from the previous. Byeol in Seongsin belief is symbol for both star and warehouse of tribute and the trace remains in fact that Mt. Hwanju having shrine for Jochang sacrificial rites be called as Gongsindangsan. Therefore this god can be regarded as the original and Seonghwang-god and primitive divinity in Masan district Masan was damaged by a rainstorm in 1904 during a faint consciousness for divinity of Seongsin and taking this opportunity a fish market shrine was erected. The rites carrying trees from the hill at the back for renovation of fish market rite place can be interpreted as a symbol linking rite for mountain-god of upper house and rite for star-god of lower house. And Seongsinje means that two sacrificial rites, upper ancestral tablet hall of Sanjedang and lower one of port, were the original form. Although it is impossible that memories of many people draw embodied recollection of historic events, they constantly reproduce the past sacrificial rites through memory preservation for holy place and an axis symbol and original form of sacrificial rites is projected at present in some appearance. The main group of sacrificial rites does not remember embodied historic events or connections related. Regardless sacrificial rites are today carried out by reason that it is the holy place or that ancestors keep it from long time ago. This fact reveals that sacrificial rites constantly seek mythic original form. And main group of sacrificial rites can keep sacredness in the fact that the original form of today s sacrificial rites is the repeat of past ones.

      • KCI등재

        해방 공간 강성갑의 기독교 사회운동 연구

        홍성표(Hong Seong-Py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6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5

        1920~30년대 한국교회는 어려운 농촌의 현실에 주목하고, 덴마크의 그룬트비의 영향을 받아 농촌운동을 전개했다. 이러한 한국교회의 농촌운동은 일제의 탄압과 교회내부의 보수적 신앙인의 반대로 1930년대 말에 막을 내렸다. 일제로부터 해방된 후에도 농촌문제는 새로운 나라를 세우기 위해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였으나, 해방 공간에서 한국교회의 농촌운동 사례를 찾기는 쉽지 않다. 강성갑은 해방 공간에서 이러한 농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상남도 진영에서 한얼중학교를 설립하는 등 기독교 사회운동에 앞장섰다. 강성갑은 1912년 경남 의령에서 출생하였고, 연희전문 문과와 도시샤대학 신학과를 졸업하였다. 1943년 경남노회에서 목사안수를 받았으며, 1946년 4월 진영교회 담임목사로 부임하여 목회활동과 함께 기독교 사회운동을 전개하다가 한국전쟁 중에 ‘공산주의자’로 몰려 총살당했다. 이 사건은 소위 진영사건으로 알려져 있는데, 재판을 통해 한국전쟁 당시 민간인 학살 가해자를 처음으로 처벌한 사건이었다. 강성갑의 경우에는 가해자를 처벌한 재판과 추모동상 제막식이라는 공적 행사를 통해 그의 억울한 죽음이 밝혀지고 명예가 회복되었으나 여전히 ‘공산주의자’로 몰려 가족들은 커다란 고통을 겪어야 했다. 강성갑은 덴마크 그룬트비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으며 이를 실천했다. 복음중등공민학교를 설립하여 기독교 사회운동을 시작하였으며, 진영교회 및 지역사회와 함께 1948년, ‘하나님을 사랑하자, 이웃을 사랑하자, 흙을 사랑하자’라는 ‘삼애정신’을 교훈으로 하는 한얼중학교를 설립하고 농촌의 인재를 양성하였다. 강성갑의 한얼중학교 설립은, 해방 후 모든 것이 부족했으나 새로운 나라를 세우고자 하는 열의로 농촌의 교육을 위해 강성갑과 진영교회와 진영의 지역사회가 합심하여 열악한 조건을 극복하고 대안을 만들어간 기독교 사회운동의 모범적인 사례였다. The Korean churches, paying attention to harsh realities in 1920s and 1930s, carried on the rural movement influenced by Nikolaj Frederik Severin Grundtvig. This movement of Korean churches had to come to an end in the end of 1930s however, because of Japanese oppression and the opposition forces of conservative believers inside the church.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the rural movement was still the first priority task to solve to build a new nation, though it is not easy to find the cases of rural movement by Korean churches in the Post-Liberation Period. Kang Seong-Gab pioneered in Christian social movements to resolve these rural problems, as an example, he established Haneul Middle School in JinYoung Gyeongsangnam-do. Kang Seong-Gab was born in 1912 in Uiryeong Gyeongsangnam-do and completed liberal arts course in Yonhi College and studied theology and graduated from Doshisha University. In 1943 he was ordained as a minister by Gyeongnam presbytery, then started his ministry as the pastor in charge at JinYoung Church in April 1946. He developed Christian social movements while he was in ministry, then he was wrongfully charged as a communist he was shot to death during Korean War. This incident is known as JinYoung slaughter, which was the first time to punish the perpetrators of civilian massacre at the trial during the Korean War. The trial to punish the perpetrators and the official dedication of memorial statue revealed his wrongful death and recovered his reputation, but his family had to suffer a great pain since Kang Seong-Gab was still regarded as a ‘communist.’ The philosophy of Danish Grundtvig influenced Kang Seong-Gab and made him to put the philosophy into practice. He started Christian socialist movements by establishing Bogeum(Gospel) Civic School, and together with JinYoung Church and the regional community he established Haneul Middle School in 1948 to start educating people in rural area. The school motto was ‘Love God, love neighbor, and love land.’ The establishment of Haneul Middle School by Kang Seong-Gab was the model case of Christian social movement, even though everything was short in supply after the Liberation, together with JinYoung Church and the regional community having enthusiasm to rebuild new nation, that they made up of an alternative plan to overcome the appalling conditions to educate the rural area.

      • KCI등재

        일반논문 : 의안대군이화(義安大君李和)의 공신력(功臣歷)에 대한 고찰

        천성래 ( Seong Rai Cheon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4 동방학 Vol.30 No.-

        본 논문은 "여말 선초 의안대군 이화의 공신력"에 대한 고찰로서, 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는 왕조의 폐망과 개국으로의 변화가 극심했던 시기로서 공신 의안대군 이화의 활동을 중심으로 공신력을 살펴 본 것이다. 여말선초 위화도 회군과 조선의 개국, 제1차, 제2차 왕자의 난으로 국내외적으로 위기 상황에서 이화는 결정적인 공을 세웠고 그것은 그가 여말선초 4대공신이라는 기록적인 의미로 남게 되었다. 고려의 멸망과 조선의 건국이라는 미명아래 많은 공신들이 탄생할 수밖에 없었고 공신도감을 설치하여 공신에 대한 업무를 관장하게 하였을 정도이다. 여말 선초의 최대 공신인 이화는 태조 이성계의 이복동생으로서 회군공신, 개국공신, 정사공신, 좌명공신 등 4대 공신에 책봉되며, 당대 최대의 특혜를 누린 인물이다. 그는 이성계의 최측근에서 여러 환난을 슬기롭게 극복하고 행동하는 왕족으로서 고려 말 조선 초기의 실제적 힘이 되었다. 그는 영삼사사를 지내고 마침내 영의정이 되었으나 그에 대한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안대군 이화의 행적을 통해 여말선초의 공신에 대해 살펴보고, 공신에 대한 특혜와 공신의 위차 등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는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이를 통해 우리 역사 속에 숨어 드러나지 않았던 태조 이성계의 이복동생 의안대군 이화에 대한 생애를 더듬어보고, 왕족으로서 위기의 순간에 역동적인 행동을 통해 성리학으로 무장한 신흥사대부와 더불어 조선의 정통성 확립을 이룩한 이면의 무인정신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As a part of examination into vassals of merit from the late era of Goryeo Dynasty to the early era of Joseon Dynasty,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history about vassals of merit primarily in terms of Euian Daegun Yi Hwa`s meritorious activities during such period of transition where extreme changes occurred with collapse of former dynasty as well as foundation of new dynasty. Yi Hwa rendered his distinguished services even under critical situations-whether national or international-accompanied with troop withdrawal at Wihwado, foundation of Joseon dynasty and two prince revolts(1st and 2nd). And his services gave a historical implication that he was one of 4 great vassals of merit during such a period of transition in Korean history. Under the guise of Goryeo Dynasty`s collapse and Joseon Dynasty`s foundation, it was inevitable that there were many vassals of merit produced during this critical period, and royal family granted proper favors to those vassals with stipend for vassals of merit. In particular, Joseon Dynasty installed even a governmental office for vassals of merit to supervise general affairs about vassals of merit. It may be definitely to say that Euian Daegun Yi Hwa was the greatest vassal of merit during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Goryeo to Joseon. He was a half-brother of Taejo Yi Seong-gye, the founder of Joseon Dynasty. Yi Hwa was invested as the vassal of 4 great merits in contribution to troop withdrawal, new dynasty foundation, affairs of state and assistance in making Yi Seong-gye the first king of Joseon dynasty, so he could enjoy the greatest favor granted by the governmental authority of his contemporary dynasty. Yi Hwa was a royal family member who stood nearest by Yi Seong-gye and got over a series of hardships wisely with bold actions, so he could play a role as real contributor to founding Joseon Dynasty after collapse of Goryeo Dynasty. According to historical documents, he took up Yeongsamsasa and was finally appointed as Yeong-euijeong, the prime minister of Joseon Dynasty, but there was very few studies focusing on his presence in the history. Therefore, this study has its implications in that it addresses the historical activities of Euian Daegun Yi Hwa to examine vassals of merit from the late era of Goryeo Dynasty to the early era of Joseon Dynasty, and determine any differences in special favors and order of ranks for the vassal of merit. Thus, it is expected that we will be able to explore the lifetime of Yi Hwa, a covered half-brother of Taejo Yi Seong-gye in Korean history, and will be able to examine Yi Hwa``s dynamic actions as royal family at critical moments of historical transition, so that we may find out the military spirit of a vassal behind his meritorious contribution to establishing the legitimacy of Joseon Dynasty in collaboration with emerging gentry armed with the philosophy of Neo-confucianism.

      • KCI등재

        <도산서당>과 <도산십이곡>·<성학십도>의 ‘志·學’ 구조가 갖는 인지적 상관성 試論

        최재목(Choi, Jae-mok),조용미(Jo, Yong-mi),김동성(Kim, Dong-seong) 영남퇴계학연구원 2021 퇴계학논집 Vol.- No.28

        퇴계가 구상한 건축물 <도산서당>의 현실공간과 퇴계의 언설로 구축된 <도산십이곡>과 <성학십도>라는 공간의 구조는 흥미롭게도 합치하고 있다. 즉 도산서당은 건축공간으로써 전학·후묘 구조를 갖추고 있다. 도산십이곡은 전6곡 ‘언지(言志)’와 후6곡 ‘언학(言學)’의 구조, 성학십도는 전5도 ‘지(志)’와 후5도 ‘학(學)’의 구조로 되어 있다. 도산십이곡과 성학십도도 퇴계라고 하는 사상가의 지성 내에 존재했던 공간적인 배치라고 본다. 이 논문에서 논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퇴계가 구상한 건축물 <도산서당>의 현실공간과 퇴계의 언설로 구축된 <도산십이곡>과 <성학십도>라는 공간의 구조는 흥미롭게도 합치하고 있다. 즉 도산서당은 건축공간으로써 전학·후묘 구조를 갖추고 있다. 도산십이곡은 전6곡 ‘언지(言志)’와 후6곡 ‘언학(言學)’의 구조, 성학십도는 전5도 ‘지(志)’와 후5도 ‘학(學)’의 구조로 되어 있다. 도산십이곡과 성학십도도 퇴계라고 하는 사상가의 지성 내에 존재했던 공간적인 배치라고 본다. 위에서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산서당, 도산십이곡, 성학십도는 어떤 지향점을 정하고 부지런히 공부하는 일관된 형식으로 되어있다. 즉 이 구조는 지(志. agenda)를 정하고 구체적 학(學. action plan)을 제시하는 구조로 일관한다. 퇴계는 부지런히 공부하는 인간상을 제시하였으며, 그 공부론의 근저에는 경건함[敬]이 자리해 있다. 둘째, <도산서당>, <도산십이곡>, <성학십도>의 셋은 퇴계가 중년이후 그의 사상이 완숙해지면서 그려낸 공간론이다. 다시 말해서 현실공간에서는 <도산서당>이었고, 언어-언설공간에서는 <도산십이곡>과 <성학십도>였다. 그것은 분리된 것이 아니고 퇴계의 인지적인 심층 의식 속에 자리해 있던 인지적 공간 설계도였다. 셋째, 성현이란 초월적인 존재가 아니고 퇴계의 일상 속에 명확히 내재되어 학인(學人)이 닮아가야 할 대상이었다. 학인들이 성현을 닮아가기 위해 공부하는 형식 안에 <도산서당>이 들어와 있었고, <도산십이곡>에서는 고인의 예던 길이 일상적 삶의 실천 속에서 드러나 있으므로 그것을 각자 내면화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성학십도>도 마찬가지로 성현이란 존재는 초월적이 아니고 내재적인 것이었다. 비유하자면 바깥의 하나님이 아니라 내 안에 있는 하나님이었다. 그래서 일상 속에서 내가 늘 성현을 바라보고 닮아가는 공부가 가능했다. 넷째, 유학의 기본은 수기치인(修己治人)이다. 이 관점에서 <도산서당>, <도산십이곡>, <성학십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셋(<도산서당>, <도산십이곡>, <성학십도>)은 퇴계라는 한 인간의 생각 안에서 구상・기획・설계되고, 제작・생산・산출된 유학의 이상적 구현이었다. 물론 퇴계의 사유형식 안에는 현재만이 있는 것이 아니다. 과거도 미래도 서로 연결되어 공존한다. 퇴계는 현재적 시점에서 과거의 성현으로, 내가 성현을 닮아가는 미래로 넘나드는 공부를 지향한다.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와 격물치지성의정심(格物致知誠意正心)이라는 유학적 공부론은 성현의 말씀을 배우고 실현하는 시간적인 노력(修·齊·治·平)과 그 구체적 공간(身·家·國·天下)을 기반으로 한다. <도산서당>, <도산십이곡>, <성학십도>는, 아래 [그림 ](퇴계 이황의 현실·언설 공간의 인지심리 구조)처럼, 수기치인의 일관된 유학적 논리구조 속에서 구축되었다고 추론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gnitive correlation of the academic structure and the orientation of Dosanseodang, Dosansibigok and Seonghaksipdo. Toegye s direction and academic structure of Dosanseodang, Dosansibigok, and Seonghaksipdo, which Toegye had calculated from middle age to the end of the year, are cognitively correlated with Toegye s own spatial theory. First, Dosan Seodang, Dosansibigok, and Seonghak Sipdo have a consistent format in which you set a certain direction and study diligently. In other words, this structure is a consistent structure that sets the agenda and presents a specific action plan. Toegye presented the human image of diligently studying. There is godliness at the root of this theory of study. Second, Dosanseodang, Dosansibigok, and Seonghaksipdo are spatial theories drawn by Toegyeung as his thoughts became mature after middle age. In other words, Dosan Seodang was shown in the real space, and Dosansibigok and Seonghaksipdo were shown in the Unseol space. These were not separate, but space plans that were located in Toegye s cognitive deep consciousness. Third, Seonghyun was not a transcendental entity, but clearly embedded in Toegye s daily life, and was an object that students should resemble. Dosanseodang was built into the format where students study to resemble Sunghyun. In Dosansibigok, since the path that people used to practice in the past is revealed in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it is suggested to internalize it individually. Likewise in Seonghaksipdo, great humans are not transcendental, but implicit. In an analogy, it is not God outside, but God within me. So, in my daily life, I was able to study to see and resemble great humans all the time. Fourth, the basics of studying abroad are maintaining my body properly and managing others ideally.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look at Dosanseodang, Dosansibigok, and Seonghaksipdo. These three were conceived, planned, designed, produced, produced, and produced within the idea of Toegye, an ideal realization of studying abroad. Of course, there is not only the present in Toegye s death type. The past and the future are connected and coexist. Toegye aims to study from the present point of view to the ideal human of the past and to the future where I resemble the ideal human.

      • KCI등재

        성남시 청년배당정책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손애성(Son, Ae-seong)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7 亞細亞硏究 Vol.60 No.1

        이 논문은 성남시 청년배당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시행됐는지를 이재명 시장의 당파성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청년배당은 유례없는 청년실업난 속에 나온 청년 정책이자 기본소득을 목표로 하는 보편적 복지정책이다. 성남시에 거주하는 청년이라면 누구나 청년배당을 받을 수 있다. 그동안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정부정책이 일자리대책에 머물렀다면, 청년배당은 청년을 복지의 대상으로 바라본다. 이 같은 정책이 중앙정부가 아닌 지방정부, 그것도 기초지자체에서 가능했던 것은 이재명 시장의 선명한 당파성 때문이다. 이재명 시장은 진보 성향의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특히 복지에 대한 철학과 의지가 확고하다. 이는 진보・좌파 정당이 보수 정당에 비해 복지・재분배에 관심이 많다는 당파성 이론(Dye 1984; Bradley 외 2003)에 잘 부합한다. 이러한 접근은 지금까지 지방정부의 복지 정책을 사회경제적・재정적 요인의 산물로 봐온 기존 연구들과 시각을 달리한다. 청년 실업은 전국적 현상으로 청년 정책에 대한 수요는 성남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그럼에도 성남시에서 이 같은 정책이 등장한 것은 이재명 시장이 청년 실업을 개인이 해결할 수 없는, 정부의 역할이 필요한 문제로 파악했기 때문이다. 증세 없이 정책 재원을 마련할 수 있었던 것도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예산을 우선적으로 배분했기에 가능했다. 단체장의 의지와 철학은 중앙정부와의 갈등을 극복하는 데도 큰 역할을 했다. 중앙집권적 구조 및 제도에서 중앙정부는 지방정부 단체장의 당파성을 제약할 수 있는 주요 거부세력이다. 특히 복지 분야는 사회보장기본법을 통해 지자체가 새로운 복지정책을 추진할 경우 복지부와 협의할 것을 요구한다. 이재명 시장은 헌법이 보장한 지방정부의 자치권을 주장하며 중앙정부의 제약에 맞섰다. 중앙정부와 법적 분쟁은 해결해야 할 문제지만, 청년배당은 그간 지방정부 복지에서 소홀히 다뤄진 당파성에 주목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This research analyzes how the youth dividend policy of Seongnam is made and executed. Lee Jae-myeong, a mayor of Seongnam City who belongs to Democratic Party (the Minju) has strong partisanship. Specially he stands firm in his philosophy of welfare, which corresponds to partisan theory. In partisan theory, a progress/left party has more interest in welfare and redistribution than a conservative party. This paper assumes that mayor Lee’s partisanship is a determinant in the youth dividend. The youth dividend comes amid an unprecedented youth unemployment crisis. It is the first youth income security program and also a universal welfare policy aimed at basic income. While the youth policy has been within the scope of the employment policy so far, the youth dividend of Seongnam City regards youth as the object of welfare. It’s because Mayor Lee judged the young generation as a structural weakness. This paper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on local government welfare policies which emphasized socioeconomic factors and financial factors. Youth unemployment was a national phenomenon. The demand for youth policies is not limited to the city of Seongnam. Nevertheless, the reason why the policy like this appears in Seongnam City is because mayor Lee judged that the Government’s role was absolutely necessary to solve the youth unemployment. His thoughts have given priority to the youth dividend among government’s policies. Therefore Seongnam City has been able to finance the new policy without raising taxes. The will and philosophies of mayor Lee have also played a major role in overcoming conflict with the central government. In central governance, the central government is a major veto point that restricts the autonomy of local governments. In particular, the welfare sector requires the local government to consult with the Ministry of Health when it comes to providing new welfare policies. Despite of this backdrop the Mayor Lee is sticking to his policy, arguing that the Constitution guarantees autonomy of the local government.

      • KCI등재

        수요자 참여와 공공기관 간의 협업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 성남디자인혁신워크숍 사례를 중심으로 -

        윤성원 ( Yoon Seong Wo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2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4 No.-

        정부가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점차 난제(Wicked problem)가 되어감에 따라 많은 정부부처나 공공기관의 부서가 협력하고 정책 대상인 수요자들이 참여해 함께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공공 서비스디자인 워크숍이 실행된 지 10년이 된 지금 서비스디자인은 이제 공공부문 수요자 참여 방법의 하나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그다음 단계에서 서비스디자인이 직면하게 될 과제는 무엇일까? 현재 공공부문에 ‘정책 과정에의 수요자 참여’와 ‘공공부문에서의 공공기관간 협업’이라는 두 가지의 과제가 주목받는 배경을 알아보고 그 해결책으로 서비스디자인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현황을 살펴본다. 이 연구는 ‘성남디자인혁신워크숍’의 추진 배경과 그 경과에 대한 기록이다. ‘성남디자인혁신워크숍’은 서비스디자인을 통해 '수요자의 참여'와 '공공기관의 협업'을 동시에 실현한 최초의 사례이다. 성남에 위치한 10개의 공공기관들이 ‘포스트 코로나 성남’이라는 지역이 가진 공동의 과제에 대해 서비스디자인 방법으로 사업을 계획하였다. ‘성남디자인혁신 워크숍’을 통해 서비스디자인이 수요자의 참여 뿐 아니라 공공기관의 협업에 있어서도 활용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공공기관 간의 협업이 성공적으로 일어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워크숍의 성과와 시사점을 통해 향후 비슷한 목적의 워크숍을 진행할 때 참조 자료로 활용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To overcome the challenges that the government is facing, it is important to involve citizens and to facilitate collaboration between government depart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It has been 10 years since the public service design workshop was implemented. Until now, service design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citizens' participation in the public sector. In this regard, this study focuses on ongoing and forthcoming tasks in the public sector; citizens’ participation in policymaking and collaboration between public institutions. In response to the two tasks, the practice of service design has been suggested as a solution. This study addresses the background and progress of the Seongnam Design Innovation Workshop. The workshop is the first case that has achieved citizens’ participation and public institutions’ collaboration through service design. The workshop involved 10 Seongnam-based public institutions to deal with their common tasks in post-COVID 19 Seongnam through service design practices. The Seongnam Design Innovation Workshop confirmed that service design is worth using not only for the participation of citizens but also for collaboration of public institutions. Through this study, I present that there are several conditions for successful collaboration between public institutions.

      • KCI등재

        정조의 경세론과 효제(孝悌)윤리

        김성윤 ( Seong Yun Kim ) 한국실학학회 2012 한국실학연구 Vol.0 No.23

        이 논문은 정조 경세론의 주요 측면들을 통하여 조선후기 실학의 전개 과정에서 정조가 차지하는 위치를 가늠해 본 것이다. 이 글에서 필자가 제기한 주요 논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정조는 이기론에서 주희나 이황과는 달리 理를 氣의 내재법칙으로 축소시킴으로써 리가 갖는 先在性·초월성·규범성을 외면했다. 정조의 이러한 주기적 이기관은 그의 근본적 시각이 경험적 현실에 있음을 보여준다. 그가 실학자들이 주장해 온 ``道器一體論``을 계승한 것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둘째, 정조는 인성론에서 ``性卽理``라는 주자학의 기본 명제를 부정하고, ``性卽氣``를 주장했다. 아울러 맹자의 성선설에 대해서 性=四端이라는 도식을 부정하고, 사단을 元亨利貞의 四德으로 고쳐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性四德說을 제기했다. 이러한 주장들은 그가 선험적인 원리나 윤리보다는 경험적 현실과 욕구 속에서 인간을 이해하고, 현실의 변화에 맞추어 새로운 사회원리와 윤리를 모색하려 했다는 점을 대변한다. 정조의 이기론과 인성론은 주자학의 정설에서 크게 이탈해 있었다. 셋째, 그는 도교, 불교, 양명학, 서학 등 제반 이단적 학문에 대해서 개방적인 자세를 취했다. 이러한 그의 학문적 개방성은 학문적 권위가 권력적 목적에 이용되는 것을 차단하고, 진정한 학문적·정치적 실익을 추구한 데에 자연히 뒤따르는 현상이었다. 넷째, 정조는 군주가 수신을 바탕으로 명분질서의 모범을 보이고 실제 정치에 관여하는 것은 자제해야 한다는 수신군주론이나 군주성학론의 도그마에서 탈피했다. 이에 따라 그의 통치 방식도 풍속을 돈독히 하는 禮敎的 방식에 치중하지 않고 제도 개혁과 효율성을 중시하는 접근방식을 보였다. 다섯째, 정조는 영조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정치적 준거를 三代之治 혹은 堯舜之治에 두었다. 그러나 그가 이해한 요순은 은둔적이고 수련적인 철학자의 모습이 아니라 세속적이고 권력적인 정치가였다. 이처럼 그는 ``무위에서 유위로`` 정치 개념과 군주의 역할을 새롭게 이해했으며, 君師로 자처하면서 의리 판별의 권한이 임금에게 있음을 주장한 영조의 정책을 계승했다. 그의 지지자에 의해 국왕이 사문의 도통을 계승했다는 ``君主道統論``이 제기되는 속에서 마침내 자신을 太極에 비유함으로써 자신이 天 혹은 上帝라는 절대군주론을 피력하기에 이르렀다. 여섯째, 정조의 군주론은 중개세력의 매개 없이 군과 민이 직접 소통하는 2단계 정치구조를 지향했다. 그는 이러한 절대왕정을 지탱할 통일된 사회윤리로서 孝悌를 제시하고, 太學序齒를 통해서 이를 시험적으로 실행했다. 태학서치는 군주 이외에 모든 臣民을 하나로 보고, 신민 사이에서는 신분이나 직업이 아닌 나이를 우선시하는 새로운 계서윤리를 선도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실학이 추구하는 새로운 왕정이 결코 이론적 수준에 머무르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일곱째, 정조가 추구한 절대왕정은 국가를 家의 類比 내지 확장으로 보는 유교의 家族國家와 외연상 별 차이가 없어 보이나, 국가권력의 정당성을 도덕보다는 백성의 행복 증진에 두고 국가사회의 결속원리를 인간에 내재한 도덕심이 아니라 개인의 주체적 개별적 연계 속에서 모색했다는 점에서 종래의 유교적 왕정론과는 질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여기에는 차후 근대국가론의 형성으로 나아갈 수 있는 소지가 다분했다. 여덟째, 실학사상의 한말 민중운동으로의 전유와 관련하여 정조의 역할이 있었을 가능성을 지적하였다. 그의 주역 연구와 文王에 대한 특별한 관심은 한말 민중운동에 크게 영향을 끼쳤던 후천개벽설과 연관이 있어 보인다. The main points of this thesis can be centered on several points as follows. First, Jeongjo emphasized that I(理) is the inherence rule of Gi(氣). These Jugijeok Igi-gwan(Gi-centred Philosophy of I and Gi) shows that his fundamental viewpoints focus on an empirical actuality. Second, In theory of human nature, Jeongjo contradicted seong-jeung-ni(性卽理. nature is based on i which is innate in all creatures) and advocated seong-jeung-gi(性卽氣. nature is based on gi). And he advocated that human nature is saduk(四德. the four virtues), not sadan(四端. the four beginnings). Third, Jeongjo had opened up towards the unorthodox. His academic openness was the phenomenon following his utilitarianism. Fourth, Jeongjo`s ruling methods had attached importance to effectiveness of system, not convert. Fifth, He had made the way of the sage King Yao and Shun(堯舜之治) as his political authority. He emphasized that he himself is taegeuk(太極. Great Ultimate). This meens he had announced the absolute monarchy. Sixth, He presented Hyoje(孝悌. filial piety and friendship) as the moral foundation for his absolute monarchy, and practiced it with Taehakseochi(太學序齒). Seventh, There is a possibility that Jeongjo had a influence on the theory of hucheongaebyeok(後天開闢. Great Transformation for the world after the creation of heaven). This related with the Silhak(實學)`s transformation to the popular movement at the close of Joseon dynasty.

      • 1920年代 韓國近代喜劇의 樣相

        朴升圭 湖南大學校 1987 호남대학교 학술논문집 Vol.8 No.1

        Modern Comedy in Korea informed in 1920'2. Representative writers are Kim, Chung Jin, Kim, Wo Jin, and Park, Seong Hee. Fifteen minute by Kim, Chung Jin is social problem comedy, and disilusion of a fake poet by Kim, Wo Jin is domestic problem comedy, and Bad high officer by park, Seong Hee is high farce. This inclination was due to insistent idea that Kim, Chung Jin was reporter, and Kim Wo Jin loved Yun, Sim Deok, actress, as a married man. But though Park, Seong Hee mondernized, Romance Bebijangjon, the reason that he prodeced with farce is due to popularity, public performance of Towolhwe.

      • KCI등재

        國內飼育 犬에 있어서 心臟絲狀蟲의 感染率에 관한 調査 硏究

        Ji Hee Seong(成知禧),Hwa Joong Yoon(尹和重),Won Chang Lee(李元暢),Kwang Ho Kim(金光浩),Seung Won Kang(姜承遠) 한국예방수의학회 1996 예방수의학회지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an epidemiological survey on the prevalence rate of the canine heartworms in Seoul City and the districts of Pa-Ju, Seong-Nam and Po-Chon in Kyonggi province of Korea from September 1994 to the end of September 1995. The blood samples from 292 male and 193 female dogs (pet, 363 ; fighting dogs, 60 ; working dogs, 62) were examined for the adult heartworms cuticle antibodies using th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SA) kits. The test was designed to detect the antibodies of the host against the specific cuticle antigens produced with the adult heartworms.

      • KCI등재

        북경에서 만난 조선과 유구(琉球) 사신의 민간외교

        이성혜(Lee, Seong-Hea) 포은학회 2016 포은학연구 Vol.18 No.-

        이 논문은 이수광의 「유구사신증답록(琉球使臣贈答錄)」을 텍스트로하여, 북경에서 만난 조선과 유구 사신(使臣)간의 민간외교 활동에 관한 내용을 고찰한 것이다. 조선과 유구는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태조1년(1392)에 외교 관계를 수립했으나 1524년을 마지막으로 유구 사신의 조선 내빙이 끝나고 1530년부터는 북경을 통한 우회 외교가 시작되 었으며, 이 우회 외교도 1596년까지 만난 횟수가 겨우 3회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이수광이 북경에 갔던 1611년에 두 나라는 서로에 대한 정보도 부족했을 뿐만 아니라 외교적으로도 친밀하지 못했다. 이때 양국의 사신이 북경에서 만나 문답하고 시를 주고받는다는 것은 상대국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우호를 증진할 좋은 기회였다. 물론 공식적인 접촉은 아니지만 양국의 사신으로 민간 외교의 역할을 하기에는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북경에서 만난 조선 사신 이수광과 유구 사신 채견과 마성기는 서로에 대한 궁금증을 문답을 통해 일부 해결하고, 시를 주고받으면서 우호를 증진하는 민간 외교의 역할을 하였다. 시의 내용은 창화자가 양국의 사신이라는점에서 상대 나라와 사신에 대한 의례적 묘사와 칭송이 많다. 그러나 사신간의 만남과 창화는 두 나라의 우호를 증진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므로 내용 보다는 창화했다는 점에 무게를 두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ivate diplomatic exchanges between the envoys of Joseon and Yugu who met in Beijing, with reference to 「Yugu Sasin Jeungdaprok」 written by Lee Su-gwang. According to The Tru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Joseon and Yugu made diplomatic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in the first year(1392) of king Taejo’s reign. But it was just until 1524 when Yugu directly sent its envoys to Joseon. Since 1530, the two nations made diplomatic exchanges in 1530. Even their contacts in this way were made only three times until 1596. Thus, the two countries had little information about and not diplomatic closeness to each other in 1611 when Lee Su-gwang visited Beijing. In that year, the envoys of the two countries met in Beijing and exchanged questions and answers and poems. This provided the opportunity for Joseon and Yugu to better understand and improve friendship with each other. Though informal, their meeting was presumedly enough to be regarded diplomatic exchanges between the private sectors of the two nations. At that time, Joseon’s envoy Lee Su-gwang and Yugu’s ones Chae Gyeon and Ma Seong-ki could partly solved what they wanted to know about each other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They also exchanged poems with each other to promote mutual friendship. Through these moves, the envoys of the two nations showed a good example of nongovernmental diplomacy. Meanwhile, those poems were mostly about the courteous depictions and admirations of each other and their respective country. However, more importance should be put on the fact that the envoys of two different countries read poems to each other and responded to it than on what the poems were about since their meeting and exchanges using poems were to improve frienship between the two n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