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병원급식 체계에 관한 조사 연구

        이정윤,서정숙,방병호,정은자,강남이,이진영 서울보건대학 1995 서울보건대학 부설 병원경영연구소 논문집 Vol.1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hospital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in Seoul and to suggest the guideline for the effective foodservice management. Questionnaire survey method were used in this study.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dietitians in twenty hospitals.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percentage, χ^(2)-test, and one-way ANOVA using SAS PC Package program.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 The number of dietition were less than the required number for efficient foodservice. Centralized foodservice method was adopted in most hospitals and conventional foodservice system was taken in all the hospitals. The space of a kitchen and a dining room were confined and sanitary facilities and working condition revealed problems. Equipped facilities in surveyed foodservice operations were assessed as the insufficient condition, especially, efficient facilities such as a cutting machine were scarecely make up.

      • 부산시내 일부 저소득층 주민의 영양실태에 관한 연구 : Ⅱ. 식생활태도가 미치는 영향 Ⅱ. A Study on the Effect of Nutrition Attitude of the Subjects

        이정숙,정은정,정희영 高神大學校 保健科學硏究所 1995 보건과학연구소보 Vol.5 No.-

        부산시 사하구에 거주하는 저소득층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1995년 9월 1일 부터 9월 30일까지 식생활태도가 영양실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식생활태도는 남자보다 여자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나이가 많을 수록 나빠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식생활태도는 교육수준, 활동정도, 식비 및 식사 다양도와 정의 상관을 보였고, 식비와 식사다양도와는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다. 2) 활동정도가 높을 수록 식비 지출이 많고 식생활태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식생활태도가 좋을 수록 열량, 단백질, 칼슘, 철 비타민 B₁, 비타민 B₂ 섭취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수입은 칼슘, 비타민 C 섭취량과 상관이 높았고, 식사다양도는 모든 영양소의 섭취량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A dietary survey of 100 person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utrition attitude of low-income persons in Saha-Gu of Pusan was conducted between September 1 and September 30, 1995. The Results are summmarized as follows. The scores of nutrition attitude were higher in the male group than in the female group. nutrition attitude of the subjects was tend to be lower score with increasing age. Education level, activity, eating expenses and food diversity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nutrition attitude of the subjects. There was a signifr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ood diversity and eating expenses. The better the nutrition attitude, the higher nutrient intakes of the subjects.

      • KCI등재후보

        경락마사지가 안면신경마비환자의 안면마비회복도, 통증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

        이정순 ( Jeong Soon Lee ),서남숙 ( Nam Sook Seo ),한미숙 ( Mi Sook Han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9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5 No.2

        안면신경마비는 안면부위에 주된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빈번한 사회적 교류가 요구되고 외모가 중요시되는 현대사회 에서는 신체적, 심리적인 영향으로 대상자의 사회생활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면마비는 자연치유율이 75-85%로 높은 편이나 임상적으로 볼 때 마비정도에 따라서는 완전회복이 어렵거나 장기간의 중재와 평가가 요구된다(Park et al.,2004).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안면신경마비환자에게 의학적인 치료와 더불어 증상완화 및 심리적 불안에 대한 간호 중재로 안면경락마사지를 제공하고 안면마비회복도, 통증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안면신경마비가 있는 환자에게 2주일간의 안면경락마사지를 적용한 결과 안면마비상태의 회복도가 증가되고 통증과 불안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안면마비상태의 회복도에 대한 효과 에 있어서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안면마비회복도의 총점수가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안면마비 회복도의 하부영역별 점수에 있어서는 ‘정지하기’, ‘이마에 주름잡기’ 눈 깜박이기, ‘눈을 가볍게 감기’, ‘아랫입술 오므리기’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발병일이 5일 이내인 구안와사 환자를 대상으로 7일간 의 안면경락마사지를 실시하여 안면마비상태에서 유의한 차이 가 나지 않았다고 보고한 Kim과 Jung (2006)의 연구결과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이틀은 안면신경마비상태를 측정하는데 사 용한 House와 Brackmann (1985)의 안면신경마비상태 측정 도구가 전체적인 안면마비 상태를 간단하고 짧은 시간 내에 측 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다양한 정도의 마비상태를 평가하지 못하고 정량화된 수치로 나타내기 어려운단점이 있어 안면 마비상태 정도를 구분하는데 영향이 있었고, 마사지 기간을 2 주 정도로 연장하여 효과를 평가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반면 뇌졸중으로 인한 중추성 안면마비환자를 대상으로 안면경락마사지를 시행한 Lee와 Kim (2001)의 연구에서는 마사지 방법과 측정도구는 다르지만 2주 동안 안면경락마사지를 시행한 후 좌 우 안면길이의 차이와 7점 척도의 관찰 및 자가보고 척도에 의 해 측정한 안면마비상태 회복도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음을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안면신경마비 회복도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는 안면신경마비환자의 질병 특성상 발병 후 5일 이내는 증상의 악화가 심한 기간으로 근력악화와 통증이 가장 심해질 수 있음을 감안하여 경락마사지를 안면마비 발생 7일 이전부터 시작하여 2주 동안 제공함으로써 적절한 시기에 중재가 이루어진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안면신경마비의 치료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안면신경마비의 정도를 먼저 정확히 평 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안면신경마비의 회복도를 평가하는 도 구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Yanagihara’s unweighted grading system를 사용하였다(Park et al. 2004). 이 도구는 안면부의 다양한 부위의 마비정도를 점수화시켜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변화정도를 평가하는데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보인다. 안면신경마비환자의 통증 완화에 대한 안면경락마사지의 성과는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안면경락마사지를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통증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고 보고한 Kim 과 Jung (2006)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반면 뇌졸중으로 인한 안면마비환자를 대상으로 안면경락마사지를 시행한 Lee와 Kim (2001)의 연구에서는 안면부위 불편감 정도에 있어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이는 대조군의 경우에는 특별한 처치를 하지 않아도 현 상태에 적응하여 얼굴 부위 불편감을 크게 느끼지 않지만 실험군은 감각을 느끼는 정 도가 좋아짐으로서 오히려 불편감이 느껴질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면신경마비환자의 통증 수준을 안면마비가 일어난 쪽의 이통, 경부통 및 두통 정도를 시각적 상사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는데, 특히 안면신경마비의 초기 수반증상 은 이후통, 경부통, 누액과다분비, 미각장애, 안구건조, 두통, 안면통, 현훈, 청각과민 등으로 특히 이후통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Park et al. 2004), 경락마사지 의 통증 완화에 대한 아서 소섬유에 의해 전달되는 통증정보를 억제한다는 관문통제이론에 의해 설명할 수 있으며(Simpson, 1991), 해당부위의 지압과 마사지플 흥해 경혈에 침술을 시행 하는 것과 같이 근육 속에 있는 신경을 자극하여 뇌하수체로부터 엔돌핀을 방출시켜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있는 경혈자리를 위주로 경락마사지를 시행함으로써 경혈지점의 적절한 자극을 통해 해당 체표면에서 압통이나 지각과민 증상 이 완화된 젓으로 생각된다. 통증에 관한 경락마사지의 효과 연구를 살펴보면 Choi 등(2000)은 경락마사지가 편마비환자의 상지기능을 회복시카고 견통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으며, 마사지 기능은 근을 이완시켜 통종을 감소시킬 수 있고 통증감소에 기여하는 enkephalin의 유리로 효 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하였다. 마사지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그 방법과 적용되는 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으며, 전 선을 비롯하여 손이나 발, 등 마사지가 통증을 완화시키는데 효 과적임을 보고한 연구들이 다수 있다(Choi et la 2000), 하지 안면경락마사지가 안면신경마비흰자의 안면마비상태와 통증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는 Kim과 Jung (2006)의 연구 이외에는 드문 편으로 이틀의 연구와 비교해 볼 때 경혈지점에 있어 거료,찬죽,사죽공혈의 통증 완화어에 효과가 있는 경혈에 마사지를 실시한 공통점이 있는 반면, 경락마사지 방법과 횟수, 기간에 있어서는 보다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젓으로 생각된다. 안면신경마비환자의 불안감소에 대한 안면경락마사지의 효과는 대조군은 불안점수가 더 높아진 반면 실험군은 실험전보 다 불안 점수가 더 낮아져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락마사지의 불안에 대한 효과를 검정한 Ko (2004)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고, 그 외에 심리적인 측면 에서의 경락마사지의 효과에 대한 Kim과 Jung (2006)은 구안와사 환자의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 적이었음을 제시하였고, Choi 등(2000)은 편마비 환자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고 있어 이들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그 외에 마사지 중재방법에 따라 불안에 대한 효과를 검정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손마사지나 발마사지,등마사지, 전신마사지 등의 여러 연구에서 마사지가 다양한 상황의 대 상자에게 불안을 감소시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임상실무에서 손쉽게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간호중재임을 제시 하고 있다(Kim & Jung, 2006; Seong & Jeong, 2003). 본 연구에서 대상자들의 불안은 안면마비가 남지 않고 완전 히 회복될 수 있을지에 대한 관심이나 상 장기간의 회복과정으로 치료에 대한 확산이 부족하여 불안 점수가 비교적 높은 편이었는데 안면경락마사지는 신체적 접 대상 자에게 심리적 지지를 제공하고 불안상태를 완화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상자의 입원기간이 평균 2주 정도임을 감안할 때 대부분의 환자틀이 안면마비가 완전히 회복되지 못한 상태에서 예후에 대한 불안을 지닌 재 퇴원하고 있는 실정으로 입원기간 동안 의학적인 치료와 더불어 안명경락마사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안면신경마비환자에게 제공된 안면경락마사지가 안면마비회복과 통중감소에 유의한 효과가 있고 심리적 불안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안면신경마비환자를 위한 적절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안면신경마비환자를 위한 적절한 간호중재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안면신경마비에 대한 양한 양한방 협진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시점에서 (Park et al., 2004), 경락마사지 간호중재는 임상에서 의사와 협력허여 쉽게 적용 가능 중재방법으로 활용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effects of meridian massage on relieving facial paralysis, pain, and anxiety in Bell`s palsy patient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for the study. The subjects were 51 Bell`s palsy patients (experimental group=26, control group=25) of D University`s oriental medicine hospital.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meridian massage for 20 min three times a week for two week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following methods by using the SPSSIWIN 12.0 program: x2-test, Fisher`s exact test, and t-test. Results: The facial paralysis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pain and anxiety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meridian massage (applied by nurses) has beneficial effects on facial paralysis, pain, and anxiety in patients suffering from Bell`s palsy. Thus, meridian massage is recommended as an alternativ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Bell`s palsy.

      • KCI등재

        Bortezomib과 Dexamthasone으로 치료한 골수외 형질세포종 4예

        백종현,이은영,장리라,손창배,신은경,서정아,이지숙,이호섭,이상민,신성훈,김양수 고신대학교의과대학 2007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22 No.2

        Despite the use of aggressive local and systemic treatment including 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multiple myeloma, extramedullary recurrences are common and the prognosis of these patients is poor. Many novel drugs such as thalidomide, lenalidomide and bortezomib improve the response of treatment of multiple myeloma, but some reports failed to describe thalidomide has effect in extramedullary plasmacytoma. Recent data report on the successful treatment plasmacytomas with bortezomib in patients with advanced multiple myeloma. We treated 4 relapsed or refractory extramedullary plasmacytomas with bortezomib at our institution. We recognized all these extramedullary plasmacytomas decreased and showed more than partial response. This report lends support to the efficacy of bortezomib in the treatment of plasmacytoma and describes the safe use of bortezomib. Responses may, however, be of short duration. Therefore, despite our limited experience, we propose that bortezomib may be considered a therapeutic option for such patients who have risk of radiation therapy

      • KCI등재

        성인여성의 건강증진 행위에 따른 안면피부 상태

        이정란,홍해숙 대한기초간호자연과학회 2000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ifferentials in life styles and their effect on the epidermal facial tissue in order to provide a basis for health professionals so that they might better be able to maintain and promote healthy skin care and further delay the premature ageing of the epidermal facial tissue. The subjects consisted of 145 females of various ages who visited skin care room in cern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Park In sook's Profile) and questions on their behavioral practices pertaining to personal skin care were used. The investigation also ess of the four parts of the epidermal facial tissue studied. All data collected were entered into the SAS program and analyzed for frequency, percentages, the utilizedPusan. The study dates ranged from May 1, 1998 to May 30, 1998. The methods used for this investigation were a questionnaire survey consisting of genenal objective questions. The questions con a "skin analyzer" to measured levels of moisturizing hydrates, facial oils, and roughnmean,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Epidermal facial oil was at its highest levels in the chin area with additional decreasing levels in the forehead and nose regions. The least oiliest regions were those of the cheeks. The highest levels of hydration on the other hand started with the forehead followed by the area of the chin, the cheeks and the lowest level of epidermal facial hydration was in the region of the nose. 2. The average score of the performance i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variable was 139.51. The variables with the highest degree of the performance were rest and sleeping(35.17). The lowest degree was hiegenic life(23.44). 3. The relationship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epidermal condition was not correlated with oil, hydration and roughness of the skin surface. 4. Skin care behavior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epidrmal condition were washing style and temperature of washing water. 5. Gener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epidermal condition were occupation, education level, acne and melasma.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several factors were significant in the behavior of skin care. Clear knowledge of both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which affect the epidermal condition will help women to pursue active and appropriate practices in their health behaviors and skin care.

      • 식이 단백질 수준이 납중독된 흰쥐의 혈청및 조직의 무기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 Ⅱ.아연,칼슘,마그네슘 함량에 미치는 영향

        이정숙 高神大學校 1990 論文集 Vol.18 No.2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protein level on Zn, Mg and Ca content of the tissues of Pb-administered rats. The dietary protein levels were 6%, 15% and 40% and the rats were exposed to the drinking water containing 2,000ppm of lea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Urinary δ-aminolevulinic acid and glucose were higher in the Pb-added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enhanced with decreasing dietary protein levels. Creatinine clearance was not affected by the Pb-administration when the rats fed the diet containing sufficient protein. Zinc contents in serum and liv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Pb administration. Magnesium content in liver was reduced with Pb administration and affected by dietary protein level. Calcium contents in serum liver and femur were decreased with Pb adminstration. Calcium contents in serum and femur were reduced with dietary protein level.

      • 치료용 siRNA의 표적 수송

        이대현,박정숙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의약품개발연구소 2008 藥學論文集 Vol.23 No.-

        RNA interference (RNAi) is a post-transcriptional gene-silencing phenomenon that is triggered by double-stranded RNA (dsRNA). Since many diseases are associated with the inappropriate production of specific proteins, attempts are being made to exploit RNAi in clinical settings. However, before RNAi can be exploited therapeutically, several obstacles must be overcome. For example, small interfering RNA (siRNA) is unstable in the blood stream so any effects of injected siRNA are only transient. Accordingly, methods must be developed to prolong its activity. Furthermore, the efficient and safe delivery of siRNA into target tissues and cells is critical for successful therapy. Any useful delivery method should be designed to target siRNA to specific cells and to promote gene-silencing activity once the siRNA is inside the cells. Recent chemical modifications of siRNA have overcom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instability of siRNA, and various ligands, including glycosylated molecules, Peptides, Proteins, antibodies and engineered antibody fragments, appear to be very useful or have considerable potential for the targeted delivery of siRNA. The use of such ligands improves the efficiency, specificity and, as a consequence, the safety of the corresponding delivery systems.

      • 白血病에서 c-myc 腫瘍遺傳子의 增幅에 관한 연구

        이재숙,조윤정,손정원,이갑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1994 고려대 의대 잡지 Vol.31 No.3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myc amplification and leukemic transformation. The Southern hybridization was performed in 23 clinical leukemic samples(4 cases of ALL, 17 cases of ANLL, 1 case of CML, 1 case of CMMoL), 6 ATCC leukemic cell lines(ATCC CCL 213 Daudi;Burkitt lymphoma, ATCC CCL 243 K-562;chronic myelogenous leukemia, ATCC CRL 2582 Molt-4;T-cell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TCC CCL 240 HL-60; promyelocytic leukemia, ATCC CCL 246 KG-1;acute myeloblastic leukemia, ATCC CCL 246.1 KG-1a;acute myeloblastic leukemia), and 6 cases of nonleukemic bone marrow aspirate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leukemic cell lines, HL-60 showed marked c-myc amplification(6x) compared to negative control and KG1 showed mild amplification(2x). However, there was no c-myc amplification in K-562, KGla, and molt-4. 2. In leukemic samples, mild c-myc amplification(2x) was observed in 3 cases of 17 AML, but no amplification was observed in 4 ALLs, 1 CML, and 1 CMMoL. 3. In nonleukemic samples, one case of reactive marrow hyperplasia showed mild c-myc amplification (2x). From the above findings, it was concluded that the c-myc amplification was more common in acute nonlymphocytic leukemia than other types of leukemias, c-myc amplification appeared not only enough to transform hematopoietic cells but expression of other complicated oncogenes together with it cotributed the development of leukemia.

      • 한국산 표고버섯에서 분리한 Cysteine Sulfoxide Lyase 효소의 특성

        이극로,김정숙 서강대학 지역발전연구소 1996 지역발전연구 : 서강전문대 Vol.2 No.-

        Properties of cysteine sulfoxide lyase from Korean Lentinus edodes have been investigated.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of cysteine sulfoxide lyase were the pH range of 8.0 to 9.0 at temperatures from 35 to 40℃. The enzyme were stable at temperatures lower than 40℃ and pH range of neutral to weakly alkaline pH. Des-glutamyl lentinic acid was the best substrate for cysteine sulfoxide lyase.

      • 2000년 이후 주요 학술지에 발표된 떡 연구 고찰

        배정숙,이경은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13 자연과학연구논문집 Vol.25 No.-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review research on dduk (Korean traditional rice cake) published in two academic journa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Cookery Science 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for year 2000-2012 and to provide researc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 total of 171 articles were reviewed and analyzed by research purpose, research method, type of dduk, and ingredients. All of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dduks which were prepared by steaming or punching. In the same context, sulgidduk and jeungpyeon were the most frequently studied. The research purposes were quality characteristics evaluation and standardized recipe development, functionality of ingredients, customer’s perception on dduk, microbiological assessment, packaging and storage, and review of old literature. Most research used regular rice as a main ingredient and various secondary ingredients were used. Based on the result, several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future research. The result will guide researchers to plan research projects on dduk and an infrastructure is needed that bridges between the needs of the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 the dduk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