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체장애인의 객체화된 신체의식이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정숙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of Exercise Decisional Balance to Body Consciousness in physical disabilities. Data were obtained from a sample of 241 physical disabilities. The subject of the research are 241 physical disabilities. The questionnaire that was developed by MicKinley & Hyde(1996) and revised by Kim Jung-sook(2008)was used to identify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questionnaire and developed by Ryckman, Rovvins, Thornton & Cantrell(1982) and revised by Hong sun-ok(1996) was used to identify Physical Self Efficacy Questionnaire in physical disabilities. For the correct analysis they are used which are descriptive statistics,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MANOVA,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urvey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parti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Physical Self Efficacy according to gender. Second, Physical Self Efficacy also affects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out partially.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객체화된 신체의식이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구체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특수학교 지체장애인 130명과 복지관지체장애인 111명을 대상으로 MicKinley와 Hyde(1996)이 제작 개발하고 김완석 등(2007)이번안한 척도를 김정숙(2009)의 여성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발췌된 객체화된 신체의식 척도(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Questionnaire: OBCQ, 16문항)와 Ryckman, Rovvins,Thornton 과 Cantrell(1982)이 제작 개발하고 홍선옥(1996)이 번안한 신체적 자기효능감 척도(Physical Self Efficacy Questionnaire: PSEQ, 22문항)를 사용하였다. 먼저, 이 연구의분석을 위한 조사도구는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한 후 사용하였으며,통계방법은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일원다변인 분산분석, 상관분석, 단계적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으며, 첫째, 성별에 따른 객체화된 신체의식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객체화된 신체의식은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변인 간에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보여주었다.

      • 나체 및 춘추복 착용시의 피부온도와 온열감각과의 관계

        김정숙,양가연,최순화 대구산업정보대학 1994 논문집 Vol.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thermo-physiologically sound wear. The study investigated the skin temperature, rectal temperature, subjective thermal sensation and comfort according to various thermal envirnments. Adult female in twenties was studied in naked body and autumn clothing. The significance of the various factors was analy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temperature, maner of dress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With a comfort mean skin temperature of 33℃ , naked body was found to be comfortable at environment temperature 28℃, while autumn attire was most comfortable at environment temperature 22℃. 2. Psychological responses of the autumn cloth showed 'hot' 'slightly uncomfortable' as ambient temperature go up. 3. The between thermal sensation and rectal temperature was correlated. 4. From the result of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ean skin temperture and thermal sensation, comfort we can obtain the regression equation for thermal sensation.

      • KCI등재

        지체장애인의 신체의식에 따른 운동의사결정균형에 관한 연구

        김정숙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of Exercise Decisional Balance to Body Consciousness in physical disabilities. Data were obtained from a sample of 233 physical disabilities. The subject of the research are 233 physical disabilities. The questionnaire that was developed by Miller, Murphy & Buss(1981) was used to identify Body Consciousness questionnaire and revised by Kim Jung-sook(2008) wsa used to identify Exercise Decisional Balance questionnaire in physical disabilities. For the correct analysis they are used which are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MANOVA,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urvey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parti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exercise drop out according to gender and career. Second, Exercise Decisional Balance also affects of Body Consciousness out partially. 본 연구는 운동참가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신체의식이 운동의사결정균형에 미치는 효과를 구체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특수학교 지체장애인 129명과 복지관 지체장애인 104명을 대상으로 Miller, Murphy & Buss(1981)의 신체의식(Body Consciousness Questionnaire: BCQ, 15문항) 척도와 김정숙(2008)의 한국판 운동의사결정균형 척도(Exercise Decisional Balance Questionnaire: EDBQ, 12문항)를 사용하였다. 먼저, 이 연구의 분석을 위한 조사도구는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한 후 사용하였으며, 통계방법은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일원다변인 분산분석,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으며, 첫째, 성별, 운동경력에 따른 신체의식과 운동의사결정균형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신체의식은 운동의사결정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울금(鬱金)색소에 의한 염색견뢰도에 관한 연구

        김정숙,최순화 대구산업정보대학 1994 논문집 Vol.8 No.-

        A study on the colorfastness of turmeric cotton and silk fabrics were dyed by dyestuff extracted from turmeric and treated with four kinds of mordant. Then colors of the treated fabrics were specified by the method of XYZ color system and the colorfastness was tested for laundry, light. The result of experiment were analyzed by color difference according to L^(*)a^(*)b^(*) value formula. From the present study, following results were obtaianed. 1. Dyeing properties of tumeric silk beacme greater than on cotton. 2. Cu mordant did to laundy best of all. 3. Colorfastness to light was not good, cu mordant did to light best of all.

      • KCI등재

        지체장애인의 운동지속수행, 신체의식,자기효능감 분석

        김정숙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of Exercise adherence, Body consciousness, Self efficacy in physical disabilities. Data were obtained from a sample of 244 physical disabilities. The subject of the research are 244 physical disabilities. The questionnaire that was developed by Corbin & Lindsey(1994) was used to identify Exercise adherence questionnaire and revised by Kim Jung-sook(2009) and developed by Miller, Murphy & Buss(1981) was used to identify Body Consciousness questionnaire and revised by Hong Sun-ok(2008) was used to identify Self efficacy questionnaire in physical disabilities. For the correct analysis they are used which are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MANOVA, correlation analysis. The survey result is as follows. First, Exercise adherence and Self efficacy showed man highly in all factor. Body consciousness showed highly in private body and body competence woman and man highly in public body according to gender. Exercise adherence showed 3 years - 7 years highly in enabling and predisposing and 7 years over in reinforcing. Body Consciousness showed 7years over in all factor and Self efficacy showed 3 years - 7 years in self-expressive confidence and 7 years over in perceived physical ability. Second,Exercise adherence, Self efficacy, Body Consciousness is partially a significant affects each other. 본 연구는 운동참가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운동수행을 위해 운동지속수행, 신체의식, 자기효능감을 구체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특수학교 지체장애인 132명과 복지관 지체장애인 129명을 대상으로 Corbin과 Lindsey(1994)에 의하여 개발되고 김정숙과 박재국(2008)이 번안한 한국판 지체장애인을 위한 운동지속수행척도(Exercise Adherence Questionnaire: EAQ, 11문항)와 Miller, Murphy & Buss(1981)의 신체의식 척도(Body Consciousness Questionnaire: BCQ, 15문항) 그리고 Ryckman, Rovvins, Thornton 과 Cantrell(1982)이 제작 개발하고 홍선옥(1996)이 번안한 신체적 자기효능감 척도(Physical Self Efficacy Questionnaire: PSEQ, 22문항)를 사용하였다. 먼저, 이 연구의 분석을 위한 조사도구는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한 후 사용하였으며, 통계방법은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다변량분석, 상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운동지속수행과 자기효능감은 모든 하위요인이 남자가 높게 나타났고, 신체의식에서는 내적신체의식과 신체유능감은 여자가 높고 외적신체의식은 남자가 높게 나타났다. 운동경력별, 운동지속수행에서는 경향성과 가능성은 3년-7년 미만에서 높게 나타났고 강화성은 7년 이상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신체의식은 모든 변인이 7년 이상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에서는 인지된 신체능력은 7년 이상에서 높게 나타났고 신체적 자기표현자신감은 3년-7년 미만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운동지속수행, 신체의식과 자기효능감은 각 변인 간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XML 문서의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스케치맵 시스템

        김정숙,이야리,홍경표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2

        The service that has recently come into the spotlight utilizes the map to first approach the map and then provide various mash-up formed results through the interface. This service can provide precise information to the users but the map is barely reusable. The sketch-map system of this paper, unlike the existing large map system, uses the method of presenting the specific spot and route in XML document and then clustering among sketch-maps. The map service system is designed to show the optimum route to the destination in a simple outline map. It is done by renovating the spot presented by the map into optimum contents. This service system, through the process of analyzing, splitting and clustering of the sketch-map's XML document input, creates a valid form of a sketch-map. It uses the LCS(Longest Common Subsequence) algorithm for splitting and merging sketch-map in the process of query. In addition, the simulation of this system's expected effects is provided. It shows how the maps that share information and knowledge assemble to form a large map and thus presents the system's ability and role as a new research portal.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지도(이하 맵)를 활용한 서비스는 맵에 접근한 후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매쉬업 형태의 결과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는 있지만 맵의 재활용은 어렵다. 본 논문의 스케치맵 시스템은 기존의 대형 맵 시스템과는 달리 목적에 부합하는 특정 지점과 경로를 XML 문서로 표현한다. 또한, 스케치맵 간에 클러스터링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맵에서 표현되는 지점을 최적의 내용으로 갱신한다. 그 결과로서, 목적지점에 대한 경로를 간단하게 약도로 표현하기 위해 설계된 맵 서비스 시스템이다. 본 시스템은 스케치 맵의 XML 문서 입력에 대하여 스케치맵 생성기에서 분석․분할․클러스터링의 과정을 통해 유효한 형태의 스케치맵을 생성한다. 스케치맵의 분할 및 병합을 위한 질의처리 방법으로는 LCS(Longest Common Subsequence)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스케치맵 시스템에 대한 기대효과를 시뮬레이션으로 제시하여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는 보이는 맵들이 모여 거대한 맵을 형성함으로서 새로운 검색 포털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