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만금지역 하구갯벌의 유기물 분해능력 평가

        김종구,유선재 한국환경과학회 2001 한국환경과학회지 Vol.10 No.5

        갯벌내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능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환경특성이 다른 세지점의 갯벌을 대상으로 분해능력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갯벌의 입도조성은 육상기원 퇴적물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큰 만경강과 동진강 하구 갯벌이 하제갯벌보다 전체적으로 입도조성이 작았다. 갯벌의 유기물 분해능력은 초기에는 아주 느리게 일어났으며, 유기물 분해율은 동진강 하구갯벌에서 87.63%, 만경강 하구갯벌에서 86.36%, 하제갯벌에서 85.88%로 나타났고, 시험수 자체의 유기물 분해율은 27.5∼30%로 나타났다. 유기물 분해속도(K')는 동진강 갯벌이 1.364day^-1, 만경강갯벌이1.080day^-1, 하제갯벌이 0.735day^-1로 나타나, 축산폐수의 영향을 많이 받고 유기물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동진강 하구 갯벌에서 높은 유기물 분해속도상수를 나타냈다. 해수중에서의 유기물 분해량을 뺀 순수한 갯벌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 분해량은 동진강 하구갯벌이 0.4㎎/g/day, 만경강 하구갯벌이 0.36㎎/g/day 및 하제갯벌이 0.36㎎/g/day로써 평균 0.37㎎/g/day이었다. 단위면적당 유기물 분해량을 계산하기 위해 1ha당 표층 0.1㎝ 에서만 미생물이 작용하고, 갯벌의 비중을 2.5g/㎤으로 가정하여 1ha당 유기물 제거능력을 산출한 결과 9.25㎏/ha로 추정되었다. 갯벌의 유기물 분해속도는 유기물 함량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IL, COD_sed, TC와 높은 양의 상관성(R^2=0.97∼1.00)을 보였고, 물리적인 특성인 입도와는 입도조성이 작을수록 분해속도가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decomposition capacity for organic matter by microbe of tidal flat sediments (Hajae, Dongjin and Mankyung). The decomposition rate constants (K') have been determined by Thomas slope method and compared with the values of each tidal flats. The decomposition rates of organic matter by microbe were initially very slow, but at the end of 12 hours, very sharply increased. The values of decomposition rate constant for Dongjin, Mankyung and Hajae tidal flat sediment were 1.364day^-1, 1.080day^-1 and 0.735day^-1, respectively. The decomposition rate constant of Dongjin tidal flat sediment which affected by livestock wastewater was higher than others. The decomposition quantity (mg/g/day) of organic matter by microbe of tidal flat sediments were 0.4㎎/g/day for Dongjin, 0.36㎎/g/day for Mankyung and 0.36㎎/g/day for Hajae. The average of decomposition quantity was 0.37㎎/g/day. To calculate purification capacity (㎏/ha) of organic matter by microbe, we applied to two assumption ; 1) biological action by microbe is occur within 0.l㎝ under surface 2) specific gravity of sediment are 2.5g/㎤. The purification capacity of organic matter by microbe of tidal flat sediment was calculated to 9.25kg/ha. The relationships between decomposition rate constant (K^1) and ignition loss (I.L.), chemical oxygen demand by sediment (COD_sed), total carbon (TC), silt and clay as index of organic matter were a high positive (R^2=0.97∼1.00).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갯벌의 수직적 환경 특성

        김종구,유선재 한국환경과학회 2000 한국환경과학회지 Vol.9 No.2

        갯벌의 오염물질 정화능력 평가를 위한 기초조사로서 환경적 특성이 다른 3지점 갯벌을 채취하여 수직적인 물리,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갯벌의 입도특성을 보면, 금강하구에 위치한 어은리 갯벌의 니질 함량이 98.89%를 보인 반면 충남 서천에 위치한 춘장대갯벌은 모래함량 97.99%를 나타내었다. 새만금지구 내 위치한 계화도 갯벌은 니질 32.81%, 사질 67.19%로 나타나났다. 갯벌의 화학적인 특성은 니질 함량이 높은 어은리 갯벌에서 유기물 관련인자(IL, COD, POC)가 다른 두 갯벌 보다 3∼4배 높았으며, 각 지점에서 층별 농도 분포는 아래로 갈수록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중 갯벌의 유기오염물질과 관련 있는 인자인 I.L., COD 및 POC, PON 사이에는 0.821∼0.940의 높은 상관성이 있었다. 또한 pH는 COD, PON 및 POC와 0.9 이상의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갯벌의 층별 투수실험 결과 춘장대 갯벌은 평균 투수 계수가 0.01584㎝/s로서 투수량이 18.66ml/min이었다. 하지만 어은리 및 계화도 갯벌은 거의 투수되지 않았다. As one of the fundamental survey to evaluate purification capacity of pollutants at the tidal flat sediments, we studied verti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three tidal flat sediments, Chunjangdae, Eueunri and Gyewhado. These are dissimilar to external feature in each o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ed; As the results of particle analysis, Eueunri tidal flat sediment located in Keum river estuary consists of 98.98% as silt & clay, Chunjangdae tidal flat sediment located in SeocheonGun consists of 97.99% as sand. And Gyewhado tidal flat sediment located in Saemankeum area consists of 32.81% as silt& clay and 67.19% as sand. The concentration of organic pollutants(I.L., COD, POC, PON) in Eueunri tidal flat sediment which highly content of silt & clay were 3∼4 times higher than others. The concentration of organic pollutants at each layer were slightly increase goes with deepen layer. The linear correlation between I.L. and COD, POC, PON were obtained.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in range of 0.821∼0.940.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pH and COD, POC, PON were high(>r=0.9). Filteration rate in Chunjangdae tidal flat sediment was 0.01584㎝/s as mean value, but the other were almost nothing filtered off.

      • KCI등재

        유색미에 관한 연구 : Ⅲ. 유색미 유망계통에 대한 주요 생육 특성

        김광수,최윤표,김선택,최현구,정종태,김보경,유지홍,이희봉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07 농업과학연구 Vol.34 No.2

        국내외 유색미 수집종을 돌연변이원에 의해 유기된 우수 계통과 수집종간 상호교배에 의해 선발된 CNU 20계통을 파종하여 얻어진 주요 작물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간장은 유색 메벼인 CNU126 계통이 대조품종인 동진벼와 같이 가장 컸고 메성인 CNU 128계통에서 가장 작았다. 2. 주당 분얼수는 CNU3, CNU50. CNU56, CNU112 계통에서 가장 많았고 대조품종과 CNU 128 계통에서 10개 미만으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3. 수장은 육성 계통 중 CNU88 계통에서 가장 길었으나 대조구보다 짧고, 육성계통 중에서는 CNU 126 계통이 가장 짧았다. 4. 주당 영화수는 대조구인 동진벼보다 CNU50 계통에서 2배 이상 많았고, CNU158 계통에서 가장 적게 나타났다. 5. 천립중은 CNU113 계통에서 30g이상으로 대조구와 같이 가장 무거웠고, CNU128 계통에서 20g으로 가장 적었다. 6. 주당 수량은 대조구의 26.6g에 비해 CNU50, CNU112 계통에서 두배정도 높았고, CNU128, CNU158, CNU200 계통에서 가장 낮게 타나났다. Aims of this study were carried out to develop the useful lines induced from mutation and pedigree breeding methods among the collected genetic resources from national and domestic areas. In this study, Stem height of CNU126 line and check among them were high, while CNU128 was lower than other lines. Spiklet length of CNU88 was longer, but that of CNU126 was shorter than check. Number of spiklets per plant of CNU50 among lines have twice time than check. 1,000 grains weight of CNU113 was higher than check. In yield per plant, CNU50 and CNU112 were higher than check, Dongjinbyeo.

      • 米堤貯水池의 水質特性에 관한 硏究

        김환기,오태선,유선재,김종구 全北大學校 附設 都市및環境硏究所 1996 都市 및 環境硏究 Vol.11 No.1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and the cause of the eutrophication in Mijae Reservoir, chemical analyses were made on surface, bottom waters collected from 7 stations in July, September in 1995 respectively. 1. The Water quality of Mijae reservoir were Ⅳ grade over lake water quality criteria. 2. The trophic state of Mijae reservoir is placed eutrophic or Hypereutrophic state. 3. In order to protect of eutrohication, It is necessary that get ride of sediments, Nutrients and algaes.

      • 유무선 통합환경에서 QoS 향상을 위한 라우팅 알고리즘

        황선구,김미혜 충북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 연구소 2004 컴퓨터정보통신연구 Vol.12 No.1

        본 논문은 유무선 통합환경에서 QoS(Quality of Service) 향상을 위한 라우팅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유무선 통합환경에서 QoS의 요구사항 및 특징을 분석하고 유선망에 노드 이동성을 추가하여 유선망 뿐 아니라 유무선 통합환경에서도 QoS 향상을 가능하게 해주는 M-Dijk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M-Dijk 알고리즘에 따라서 각 수신자는 유무선 통합환경에서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In this paper, we design a routing algorithm for QoS(Quality of Service) improvement in the unified environment of wire/wireless. The M-Dijk algorithm for QoS improvement in the wire/wireless unified environment is proposed by adding node's mobility to the wire network. According to this proposed M-Dijk algorithm, each receiver will be able to utilize network resources more efficiently.

      • 전해질로 나피온을 사용한 Ti/IrO_2 전극상에서 유기물의 양극산화 반응

        강태구,윤영재,김희정,노성희,김선일 한국공업화학회 2003 응용화학 Vol.7 No.1

        This paper describes the anodic oxidation od various alphathic alcohols in pure water using Nafion cation exchange membrane as solid polymer electrolyte. The oxidation has been carried out on an IrO_2 anode under conditions of simultaneous oxygen evolu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the anodic oxidation of four different alcohol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theoretical model presented in a previous paper. Finally a simple experimental method is describe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relative reactivity of organics oxidation on IrO_2 anodes.

      • KCI등재

        백서 뇌에서 전기경련 충격에 의해 발현이 조절되는 새로운 유전자

        정선주,박정은,강웅구,구영진,박주배,김용식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5

        연구목적: 이 연구는 백서 뇌에서 전기경련 충격(Electroconvulsive shock, ECS)에 의해 발현이 조절되는 새로운 유전자를 검색하고, 발달단게 및 뇌 조직에 따른 발현양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 생후 7일, 21일된 어린 웅성 백서에 전기경련 충격을 가한 후 mRNS differential display-PCR(DD-PCR) 기법을 시행하여 발현의 차이를 나타내는 유전자를 검색한 후 서열분석을 실시하였다. 생후 7일 및 21일된 백서의 뇌와 성년 백서의 대뇌피질, 해마를 이용한 Northern blot 분석을 시행하여 검색된 유전자의 ECS 처치 후 시간경과에 따른 유전자 발현양상을 관찰하였다. 결과: ECS 처치군과 위충격군간에 발현의 차이를 나타낸 유전자 4개를 검색할 수 있었으며, 이중 ECS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1개의 유전자를 선정하여 서열분석을 실시한 결과 EST 서열만이 보고된 새로운 유전자임이 밝혀졌다. 이 유전자는 생후 7일된 백서의 뇌에서는 ECS 처치 후 180분에 발현양의 증가가 최고치에 도달하였으나, 생후 21일된 백서의 뇌와 성년백서의 대뇌피질 및 해마에서는 360분 경과시까지 지속적으로 발현 양이 증가하였다. 결론: 이같은 결과는 ECS에 의해 생체 내에서 유전자 발현의 조절이 이루어짐을 시사하며, 향후 이러한 유전자의 세포 내 기능에 관한 연구를 시행함으로써, ECS에 의한 생체의 반응과 치료기전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심단어:전기경련 충격·DD-PCR·유전자·백서 뇌.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genes regulated by electroconvulsive shock (ECS) and to observe the pattern of expression of genes according to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and brain regions. Method: ECS(130V, 0.5 sec) was given to male Sprague-Dawley rats with age of postnatal day 7 and 21(P7, P21 respectively). After screening genes regulated by ECS with mRNA diffe-rential display-PCR(DD-PCR), we selected one clone among them and observed the induction of this gene after ECS by time-dependent Northern blot analysis of rat brain of P7, P21 and adult rat cortex and hippocampus. Results: By DD-PCR method, we have identified four clones whose expression was regulated by ECS. Among them, one(CP 10-2) was proved to be a new gene by sequencing and BLAST search. Its expression was increased after ECS in P7, P21, and adult rat brain. The expression of CP 10-2 reached peak level at 180 minutes after ECS in P7 rat brain, but was further increased until 360 minutes after ECS in P21 and adult rat brain. Conclusion: In this study, a new gene was identified in rat brain which showed up-regulated expression in response to ECS.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this new gene would be helpful to elucidate the effect of ECS in rat brain. KEY WORDS:Electroconvulsive shock·Differential display-PCR·Gene·Rat brain.

      • KCI등재후보

        섬유송출 유압구동부 급제동시 발생하는 충격상승압 흡수장치에 관한 연구

        이재구,김정현,김도태,김성동,정선환 한국공작기계학회 2003 한국생산제조학회지 Vol.12 No.1

        The equipment of textiles let off is a part of inspection machine which inspects finished textiles and it checks up textiles through that.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to select the capacity and initial gas pressure of accumulator to control surge rising pressure occurring when suddenly braking action to a desired degree. An accumulator in hydraulic systems is hydraulic machinery which store kinetic energy of inertia body during braking. A series of computer simulations were done for the brake action.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work were compared with those of experi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