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EFDC 모형을 이용한 낙동강에서의 성층현상 재현성 평가
최현구,한건연,박준형 대한토목학회 201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7 No.3
Nakdong River was recently dredged with multi-functional weirs construction. Therefore, the depth was deepened and the lag time also increased. As a result, stratification occurred in some sections with deep water depth, and it also caused the increase of algal bloom phenomen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reproducibility of stratification in the Nakdong River by applying the EFDC model, which is a three-dimensional hydraulic and water quality analysis model proving the reproducibility of stratification phenomena in reservoirs and estuaries. In order to reproduce the Nakdong river water temperature and DO stratification, EFDC model was constructed in the downstream part of the Nakdong river and sensi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on key parameters sensitive to stratification. Sensitivity analysis was used to reproduce stratification by selecting optimal parame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analysis of various destratification scenarios. 낙동강에서 다기능보의 건설과 하도의 준설로 인해 수심은 더욱 깊어졌으며 유속이 느려져 지체시간 또한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수심이 깊은 일부구간에는 성층현상이 발생하였으며, 또한 녹조현상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와 하구언에서 성층현상 재현성이 입증된 3차원 수리․ 수질 해석모형인 EFDC 모형을 낙동강에 적용하여 성층현상의 재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낙동강 수온 및 DO 성층화 현상을 재현하기 위해 낙동강 중․ 하류부에 EFDC 모형을 구축하고 성층화에 민감한 주요 매개변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민감도분석을 통해 최적의 매개변수를 선택하여 성층화를 재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성층교란 시나리오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최현구 한국기술사회 2001 技術士 Vol.34 No.3
Patent Technology Map analysis of future ship type. Example ship type : Hydrofoil Craft. Air Cushion Vehicle Surface Effect Ship, Twin Hull Ship, Wing In Ground Effect Ship, Elelctrial Propulsion Ship, Icebreaking Ship, Submarine, LNG Ship Conclusion of future shipbuilding Technology Policy
피터 크랄직 매트릭스 기법에 의한 자재 분류를 활용한 구매 전략 제안
최현구,이재헌,Choi, Hyun Koo,Lee, Jae-Heon 한국플랜트학회 2015 플랜트 저널 Vol.11 No.3
구매자는 일반 제조업에서 자재를 피터 크랄직 매트릭스 기법에 의해 경쟁품목, 일반품목, 전략품목, 위험품목으로 분류한 후 각 품목 특성에 맞추어 구매 전략을 수립한다. 피터 클라직 매트릭스란 구매 리스크와 비즈니스 영향도 즉 특정 품목의 구매 금액 비중에 따라 자재를 분류하는 기법이다. 본 논문은 플랜트 엔지니어링산업에서 플랜트 기자재를 대상으로 피터 클라직 매트릭스 기법에 의해 기자재를 분류한 후 각 품목 특성에 맞는 구매 전략을 제안하고 사례 기업인 A사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수행하는 발전 플랜트 기자재에 제안한 구매 전략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플랜트 엔지니어링산업은 수주산업인데 총 수주금액 중 구매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50~60%이다. 따라서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원가를 절감하여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구매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플랜트 기자재는 크게 회전기계류, 고정장치류, 전기자재류, 제어자재류, 배관자재류로 구분된다. 각 공종별 플랜트 기자재에 대해 구매 지출 분석을 한 후 피터 클라직 매트릭스 기법에 의해 플랜트 기자재를 분류한 결과 경쟁품목에는 열교환기, 저장탱크 등이 포함되었고 일반품목에는 전선관, 조명기자재, 밸브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전략품목에는 가스터빈, 가스터빈 흡입공기 냉각장치 등이 포함되었고, 위험품목에는 가스터빈 고정 볼트 등이 포함되었다. 경쟁품목 중 다관형 열교환기는 공급자와 공동으로 원가 모델을 구축하는 전략을 수립했고 저장탱크의 경우에는 공급자에게 원자재를 사급하는 전략을 수립하였다. 그 전략을 A사가 수행하는 프로젝트에 적용한 결과 각각 20%와 6%의 원가 절감 효과를 얻었다. 일반품목 중 전선관은 구매 대행사를 활용하는 전략을 수립했고 조명기자재는 기술 사양 검토 과정을 생략한 구매 프로세스 간소화 전략을 수립하였다. 그 결과 약 10%의 원가 절감과 평균 5일의 발주기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 전략품목 중 가스터빈 흡입공기 냉각장치는 공급자와 포괄적 양해각서를 체결하여 공동으로 사업주에 대응하는 전략을 수립했고 그 결과 프로젝트 수행 안정성 확보와 공급자 조기 참여를 통한 발주 스케줄 단축을 이룰 수 있었다. 위험품목 중 가스터빈 고정볼트는 재고 확보 전략을 수립하여 자재의 부족이나 파손으로 인해 프로젝트 공기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리스크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었다.
경주 동궁과 월지 3호 우물 출토 옛사람 뼈의 동위원소에 기록된 고려시대 식생활 양상
최현구,신지영 한국분석과학회 2019 분석과학 Vol.32 No.6
뼈에서 추출된 콜라겐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정보는 그 당시의 사람들이 섭취했던 식생활, 영양 상태, 고환경과 생활상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출토 자료가 희박하여아직까지 시도된 바가 없는 고려시대 피장자들에 대한 식생활과 모유수유 양상을 밝히고자 한다. 고려시대 경주 동궁과 월지 3호 우물에서 출토된 옛사람 뼈 4개체에서 추출된 뼈 콜라겐을 이용하여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는 각각 다음과 같다(δ13C(‰) = -19.5 ± 0.9‰, δ15N(‰) = 11.1 ± 1.1‰, (n = 4)). 탄소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 벼, 보리 등 C3 작물군을 주로 섭취하였고,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 동물성 단백질은 주로 육상 동물로부터 얻었을 가능성이 높다고추정된다. 또한, 출토된 옛사람 뼈 4개체는 성인, 소아, 유아, 영아로 추정되는 다양한 연령대로 나타났으며, 유아와 영아로 추정되는 피장자들과 성인 피장자 간의 질소 안정동위원소 값 차이로부터 약 3세의연령까지 모유수유가 진행되고 있었다고 추정된다. 모유수유와 이유 양상은 당시의 출산율, 인구역학, 이동 패턴, 질병 등 다양한 사회상을 반영하는 매우 중요한 정보이며, 다양한 연령대의 분석 결과로부터 의미 있는 정보를 밝혀냈다.
낙동강하구 시범개방에 따른 수변식생 모니터링 및 건강성 평가
최현구,김화영,이준열,손병용,이지영 한국환경생태학회 202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6 No.5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current vegetation and assessed the health of vegetation through the KERVI (Korea Estuary Riparian Vegetation Index) to monitor vegetation changes near estuaries due to the opening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As the first investigation of the long-term monitoring, six areas near the Nakdong River estuary were surveyed twice in July and October 2021, and vegetation monitoring and a survey of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density of aquatic, riparian, and land plants were carried out. The survey identified 262 taxa, 82 families, 192 genera, 196 species, 3 subspecies, 26 varieties, and 1 form of vascular plants in the surveyed area. The results of the vegetation health assessment through KREVI showed that sites 1 and 6 were rated "Very good" in both surveys, sites 2 and 4 were rated “Very good” in the first survey and then “Good”in the second survey, and site 3 and 5 were rated one grade higher in the second survey than the first survey. The assessment showed that the health grades of most species in the survey area were generally high. Most of th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after the opening of estuary gates to create a brackish water area is expected to consist of reed (Phragmites communisTrin.) communities. The area of the willow (Salix koreensisAndersson) community adjacent to the water area may be somewhat narrower, but the community will be maintained. In the case of freshwater areas in inland areas with very low salinity, reeds (Phragmites communisTrin.) are expected to occupy most of them, and some communities such as amur silver-grass (Miscanthus sacchariflorusBenth.) and cattails (Typha orientalisC. Presl) are expected to be distributed. We suggest establishing measures such as estuary gate operation to create healthy brackish water regions through long-term monitoring. 본 연구는 낙동강하굿둑 개방으로 인한 하구 인근의 식생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현재 식생에 대해서 조사하고, 하구수변식생평가지수를 통해서 식생의 건강성을 평가하였다. 장기모니터링의 첫 번째 조사로 낙동강하구 인근의 6개 구역에 대해서 2021년 7월과 10월 2차례 수행하였으며, 식생모니터링 및 수생식물, 수변식물, 육상식물의 종조성, 분포밀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구역 내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은 82과 192속 230종 1아종 28변종 3품종 262분류군으 로 파악되었다. KREVI를 통한 식생건강성 평가 결과는 1, 6번 구역이 두 차례 조사에서 모두 ‘매우 좋음’ 등급이었고, 2, 4번 구역은 ‘매우 좋음’에서 ‘좋음’으로 2차 조사결과가 낮게 산정되었으며, 3, 5번 구역은 1차 조사에 비해 2차 조사결과가 1등급 상향되었다. 조사구역 대부분의 건강성 등급이 대체로 높게 평가되었다. 기수역 조성을 위한 수문개 방 후 잠재자연식생의 대부분은 갈대군락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수역과 인접한 버드나무군락의 경우 다소 면적이 좁아질 수 있으나 군락 형태를 유지하고, 염분농도가 매우 낮은 내륙지역 담수역의 경우 갈대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일부 물억새, 부들 등의 군락이 분포할 것으로 사료된다. 장기모니터링을 통해 이런 예상되는 변화를 관찰하 며, 건강한 기수역이 조성될 수 있도록 하굿둑 개방 운영방안 등 대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최현구,한건연,노홍식,박세진,Choi, Hyun Gu,Han, Kun Yeun,Roh, Hong Sik,Park, Se Jin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5
Recently we need to take various measures to prepare for extreme flood that occur due to climate change. It is important that establish flood forecasting system to prepare flood over non-structure measur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uperior real-time flood forecasting model by comparing the Neuro-fuzzy model and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The Neuro-fuzzy model and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are established using same input data and applied for various flood events in Nakdong basin. The results show that the Neuro-fuzzy model can carry out flood forecasting results more accurately than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high accuracy flood information system that secure lead time in Nakdong basin.
최현구,김동일,나창환,한건연,Choi, Hyun-Gu,Kim, Dong-Il,Na, Chang-Hwan,Han, Kun-Yeun 한국수자원학회 201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5 No.7
최근 많은 연구에서 수리해석과 수질해석을 다루고 있는 EFDC 모형을 낙동강에 적용하여 수질해석의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낙동강 중하류에 해당하는 낙본 GH 구간과 HI 구간을 대상으로 2008년과 2009년의 수리해석과 수질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질해석의 결과는 수온, COD, TOC, DO, TN, TP에 대해 실측자료와 비교하였으며, BOD의 경우 EFDC 모형에서 직접적으로 계산되지 않아 COD와 BOD의 환산식을 유도하여 환산된 BOD를 실측자료와 비교하였다. 금번 연구결과를 실측자료와 비교하였을 때 EFDC 모형이 하천수리해석 뿐만 아니라 수질해석에서도 높은 재현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나 향후 국내 수질해석에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COD나 TOC와 관련된 BOD의 정확한 환산에 관한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