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evelopment of a bivalent live vaccine against duck hepatitis A virus types 1 & 3 and vaccine program for breeder ducks in Korea

        Jae?Hee Roh(노재희),Min Kang,Bai Wei,Se-Yeoun Cha,Jeong-Gon Cho,Hyung-Kwan Jang 한국가금학회 2017 한국가금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7 No.11

        어린 오리에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키는 오리바이러스성간염의 예방을 위해 혼합생백신 개발, 백신의 방어기전 연구 및 종오리백신 프로그램의 개발로 질병방어 및 제어를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국내에는 1형과 3형이 동시 유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3형의 발생보고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1형과 3형의 복합감염사례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효율적인 질병관리를 위해 국내에 발생하는 오리간염 1형과 3형을 동시에 방어하는 혼합백신을 개발하고 그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운반 및 보관 용이성 향상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두 번째, 오리감염 생백신의 3-5일 만에 조기면역을 획득하는 특성분석을 위해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반응을 평가하였다. Cytokine이 백신접종 그룹에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특히 IFN-α에서 강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항체가 평가에서는 기존에 알려진 바와는 다르게 백신 후 3일째에 항체를 획득하였고, 10일째에는 최고수준의 항체가 수준을 나타냈다. 세 번째, 1주령이하의 어린 일령에 치명적인 질병의 특성상 모체이행항체에 의한 예방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종오리백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농장에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종오리 농장 4개동 4천수의 종오리를 대상으로 백신을 실시하였으며, 모체의중화항체가(VN titer) 8 log2이상에서 후대병아리 14일령까지 100% 방어효능을 확인하였다. 모체이행항체의 전달률은 11%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후대병아리의 항체가를 개체별 추적하여 계산한 결과 모체이행항체 반감기는 3-5일령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오리에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키는 오리바이러스성간염 예방을 위한 혼합생백신 개발에 관한 연구로 기존의 국내 상용화백신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국내에 유행하는 혈청형들을 단회백신으로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혼합생백신을 개발하였으며, 백신의 특성상 조기면역에 대한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기전을 평가하였다. 또한 종오리백신 프로그램을 국내에 적용하여 모체이행항체에 의한 후대 병아리의 우수한 방어 효능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 흰쥐에서 paraquat독성에 미치는 tumor necrosis factor-α의 영향

        차종희,박정수,양성훈,박재윤,이병래 조선대학교 2000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5 No.2

        Background : The toxicity of paraquat is due to the oxygen-derived radicals formed by the reaction of oxygen with bipyridylium radical cations. Tumor necrosis factor (TNF)-α induces the synthesis of mitochondrial manganese superoxide dismutase (Mn-SOD) and other protective proteins in a variety of tumor cells and these protein contribute to a protect tumor cells from free radical injury.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NF-α on paraquat-induced toxicity were investigated in rats. Methods : Experimental animal used was Sprague-Dawley male rat, body weight 150-200g. The paraquat toxicity was determined by survival rate. The SOD, catalse, and glutathione peroxidase(GSHPx) activity were spectrophtomerically determined by Crapo method, Aebi method and Flohe method, respectively. Results : The survival rate of paraquat-intoxicated rats was decreased by subctaneous injection of TNF-α. However, the survival rate of paraquat injected rats were increased by pretreatment of TNF-α, comparing to saline pretreatment. The liver SOD activity was increased significantly by TNF-α treatment, but kidney and lung enzyme was unaltered in TNF-α treated-rats, comparing to normal control rats. The increment of liver SOD activity by TNF-α treatment was dose- and time-dependant SOD activity of kidney and lung of rats were not changed by TNF-α injection. The activities of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nd contents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TBARS) in liver were not changed by TNF-α treatment. Conclusion : From these result, TNF-α potentiate paraquat toxicity in rats but TNF-α pretreatment reduce paraquat induced toxicity. Protective effect may be resulted from the increased liver SOD activities by TNF-α.

      • KCI등재후보
      • 최신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분석법의 원리 및 유전자 연구 응용법

        차희재 고신대학교의과대학 2008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23 No.3

        This mini review describes the principles, protocols, and applications of three commercially availabl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genotyping platforms, the TaqMan® SNP Genotyping Assay, SNPlexTM Genotyping System and Gene Chip Assay. These technologies meet the requirements of multiple SNP applications in genetics research including diseases based on genetic background. This article also describes a set of SNP selection guide and useful web sites for SNP informations. Overall, the TaqMan assay format is suitable for low- to mid-throughput applications in which a high assay conversion rate, simple assay workflow, and low cost of automation are desirable. The SNPlex Genotyping System, on the other hand, is well suited for SNP applications in which throughput and cost-efficiency are essential, e.g., applications requiring either the testing of large numbers of SNPs and samples, or the flexibility to select various SNP subsets. Gene Chip Assay is powerful tool to analyze whole SNPs and has benefit to find new SNPs involved diseases or phenotype but has a defect that it is costly. In the conclusion, this article suggests the appropriate methods for the desired experiments by comparing with these three SNPs technologies.

      • 칼로리량 급여 제한이 OLETF 흰쥐의 콜레스테롤량에 미치는 영향

        박재윤,김태형,이병래,차종희 조선대학교 부설 의학연구소 2002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7 No.1

        본 실험은 식이 제한 급여에 따른 비만형 당뇨병 환자의 체중 및 혈중 지질량의 변화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사람의 비만형 당뇨병과 유사한 병리소견을 나타내는 OLETF 흰쥐를 이용하여 칼로리 급여량 비 제한군, 칼로리 급여량 20% 제한군과 40% 제한군으로 나누어 12주간 사육한 후 체중과 혈당, 혈액 cholesterol 및 중성지질량을 측정하여 칼로리 급여량제한에 따른 혈액 지질량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체중은 칼로리 급여량 20% 제한군에서는 체중증가 억제 비율이 LETO와 OLETF흰쥐가 비슷하였고, 칼로리 급여량 40% 제한군에서는 OLETF 흰쥐에서 체중 증가 억제가 더 크게 나타났다. 칼로리 급여량 제한에 의한 혈당량의 저하는 비만형 당뇨쥐인 OLETF 증 흰쥐가 LETO 흰쥐에 비하여 더 크게 나타났다. 칼로리 급여량 제한으로 OLETF 종 흰쥐에서 혈액 중성지질량, 총 콜레스테롤량 및 LDL- 콜레스테롤량이 감소되었고, HDL-콜레스테롤량은 증가되므로, 비만형 당뇨병환자에서 칼로리 제한 식사는 OLETF 종 흰쥐에서와 유사한 혈액 콜레스테롤량의 변화를 유발시켜서 혈관 합병증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의 실험결과로서 칼로리 급여량 제한에 의한 체중, 혈당, 혈액 총 콜레스테롤량, LDL-콜레스테롤 및 HDL-콜레스테롤량의 변화가 비당뇨 흰쥐보다 당뇨흰쥐에서 더 큰 변화가 있음이 확인되어 칼로리 제한 급여는 당뇨병에서 체중, 혈당, 콜레스테롤량의 조절에 유의한 것으로 생각되고, 칼로리 급여 20% 제한군과 40% 제한군 사이에서 체중, 혈당, 콜레스테롤량의 변화는 칼로리 제한량의 변화에 비하여 적기 때문에 적절한 체중, 혈당, 혈중 지질량의 유지를 위해서는 칼로리 급여량을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칼로리 급여 제한에 의한 체중, 혈당, 혈중 중성지질과 콜레스테롤량의 감소는 혈관 합병증 발생이 예방 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계속적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aloric restriction on blood cholesterol levels of obese type 2 diabetes, we measured blood glucose and cholesterol level in Otsuka Long Evans Tokushima Fatty(OLETF) rats after caloric restriction. Methods: OLETF rats(obese diabetic rats) and Long Evans Tokushima Otsuka(LETO) rats(nondiabetic control rats) were grouped into 3 groups, control group, 20% caloric restriction(20% CR) group and 40% caloric restriction(40% CR) group, respectively. The blood glucose and cholesterol level in OLETF and LETO rats were determined after 12 weeks caloric restriction. The levels of triglyceride(TG) and cholesterol(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in blood of rats were determined by automatic biochemical analyser(Hitachi 747 Japan). Results: Blood glucose level of LETO rats were decreased by 12% on 40% CR compared to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s of blood glucose levels between control group and 20% CR group was not observed. OLETF rats blood glucose levels were decreased by 20% in 40% CR group and by 15% in 20% CR group. The levels of blood triglyceride in 20% CR and 40% CR groups were decreased by 20%, 15% in LETO rats and by 37%, 32% in OLETF rats respectively. Total cholesterol level was not changed by dietary restriction in LETO rats, but in OLETF rats, total cholesterol levels was decreased significantly by caloric restriction. The HDL-cholesterol levels were increased while LDL-cholesterol levels were decreased by dietary restriction in both LETO and OLETF rat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OLETF rats may be more susceptive to changes of body weight and blood glucose,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levels than LETO rats by caloric restriction. Reduced 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in diabetes by caloric restriction may have some roles on prevention of diabetic vascular complication.

      • KCI등재
      • TMV에 의한 고추의 역병에 대한 전신획득저항성 유도

        이성희,차재순,이주연 충북대학교 한국과학재단 지정 첨단원예기술개발 연구센터 1997 연구보고서 Vol.2 No.-

        고추에 있어서 전신획득저항성 및 PR 단백질 축적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TMV pepper strain을 고추잎에 접종하고 4일후 고추역병균 P. capsici를 고추줄기에 접종후 역병발생량을 비교하였다. TMV를 전접종한 고추에서는 TMV를 전접종하지 않은 고추에서보다 역병발생량이 크게 감소하였는데, TMV를 전접종한 고추의 역병 발병도와 병반길이는 역병접종 10일째에 TMV를 전접종하지 않은 고추의 약 50% 수준이었다. 담배의 PR1b와 PR5a 항혈청을 이용한 immuno-blot으로 추적한 고추의 PR1 과 PR5 단백질은 TMV 접종엽과 접종상위엽에서 TMV 접종 24시간후부터 세포간극에서 동시에 검출되기 시작하였다. PR1 과 PR5 단백질은 TMV 접종엽에서는 TMV 접종 4-5일후 잎이 탈락할때까지 그 양이 크게 증가하였다. PR5는 TMV 접종상위엽에서 TMV 접종후 그 양이 크게 증가하지는 않았지만 실험종료일인 TMV 접종 20일후까지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추에서 TMV 검염에 의해 역병에 대한 전신획득저항성이 유도되며, 전신획득저항성이 유도되는 동안 매우 빠르게 고추전신에서 PR 단백질의 생산이 유도되고, 생성된 PR 단백질들이 오래동안 유지됨을 암시하고 있다. Induction of systemic acquired resistance (SAR) against phytophthora blight and PR protein accumulation by TMV in pepper plant (Capsicum annuum cv. Nockwang) were examined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systemic acquired resistance in pepper plant. The zoospore suspension of Phytophthora capsici was inoculated on stem of pepper plant on which TMV-pepper strain had been inoculated on fully expanded 3 leaves, and the amount of phytophthora blight incidence was determined with time course. Both disease severity and lesion length of phytophthora blight were much smaller in TMV pre-inoculated pepper plant than in uninoculated control plant. The amount of phytophthora blight in TMV pre-inoculated pepper was about 50% of uninoculated control plant's at 10 days after P. capsici inoculation. PR1 and PR5 protein were monitored in intercellular fluid of TMV inoculated and uninoculated upper leaves by immuno-blot with tobacco PR1b and PR5a antibody to find accumulation of PR proteins locally and systemically during induction of SAR. PR1 and PR5 were detected from 24 hours after TMV inoculation both TMV inoculated and uninoculated upper leaves, and increased rapidly in TMV inoculated leaves until th leaves were defoliated on 4-5 days after TMV inoculation. PR5 was not increased in uninoculated upper leaves as much as in TMV inoculated leaves, but it can be detected until 20 days after TMV inocu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MV infection induces SAR against phytophthora blight in pepper plant, and PR proteins is accumulated very rapidly after TMV infection systematically during induction of SAR and maintained for quite long time in pepper plant.

      • KCI등재

        국내산 상수리나무와 일본 잎갈나무의 수축율과 열전도율에 대한 주기적인 함수율 변화의 영향

        문성희,차재경 한국목재공학회 2002 목재공학 Vol.30 No.4

        국산재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사용을 위하여 상수리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소형 무결점 시편에 대한 열전도율과 수축율 실험을 실시하였다. 모든 시편은 상대습도 86, 66, 20% 및 온도 23℃인 항온항습기에서 함수율 18, 12, 5%순으로 3회 반복·조습처리하였다. 상수리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방사방향 및 접선방향의 수축율은 모든 함수율에서 주기(cycle)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또한 전건비중이 증가할수록 방사방향 및 접선방향 수축율은 증가하였다. 열전도율은 주기가 증가하면 모든 함수율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열전도율과 수축율은 전건비중 및 함수율과 매우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냈다. Small clear specimens of Quercus acutissima Carr. and Larix caempferi Carr. were used to measure shrinkage and thermal conductivity for the reasonable and effective use. All samples were conditioned to 18, 12, 5% moisture contents in a humidity chamber of 86, 66, 20% relative humidity(RH), respectively and room temperature(23℃). All specimens were conducted on the shrinkage and thermal conductivity test at each MCs. These processes(cycle) were repeated three times. The radial and tangential shrinkages of Quercus acutissima Carr. and Larix caempferi Carr. decreased at each level of MCs, with the increasing cycles. The radial and tangential shrinkages increased as the specific gravity(on oven-dry weight and volume basis) increased. Thermal conductivities of the radial and tangential direction of Quercus acutissima Carr. and Larix caempferi Carr. increased at each levels of MCs. with increasing cycles. Good correlations were obtained between shrinkages and thermal conductivities of radial and tangential direction, and specific gravity (on oven-dry weight and oven-dry volume basis) and MC.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