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이주배경 학생 밀집초등학교 다문화교육 담당교사의 경험과 정책시사점

        박희진,최수진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22 한국교육논총 Vol.43 No.1

        This research aimed to explore the nature of teachers’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with ethnic diversity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s interviewed 15 primary school teachers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in mine different schools. The participating teachers were in charg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with ethnic diversity in two rural countie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analysis of the empirical data suggests that teachers stationed in ethnic diversity have not been trained for the diverse population n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general. In addition, they were struggling with the lack of teaching resources including textbook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support for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need of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ccurate data of those students etc. These teacher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while discussing the findings; such as the importance of practical in-service training opportunities, quality teaching resources, Korean as Second Language(KSL) experts, and accurate data of students with ethnic diversity. 본 연구는 이주배경 학생 밀집초등학교에서 다문화교육 업무를 담당하는 교사의 경험을 탐색하여 이를 토대로 교육정책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농촌지역 2개 군에 위치한 9개 학교의 교원 15명을 심층면담하였다. 연구결과 이주배경 학생 밀집초등학교에서 다문화교육 업무를 담당하는 교사조차 체계적인 다문화교육을 받은 경우는 찾아보기 어려웠고, 가용한 자료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학생 및 학부모와의 소통에 긴박한 지원 필요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주배경 학생에 대한 정확한 자료확보의 어려움도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 및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체계적인 다문화교육, 학교 한국어교육 자료 개선 및 통합교육 자료 보급, 일반교과 내용의 수정과 개선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학교 한국어교육 전담인력의 육성과 배치를 통해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학생 및 학부모와의 체계적인 소통지원 방안 마련, 이주배경 학생에 대한 정확한 실태파악 대책 등의 다문화교육정책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비대면 교육 문제점 파악을 위한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 분석

        박성재,황욱선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22 한국교육논총 Vol.43 No.1

        As the COVID-19 virus became prevalent worldwide, non-face-to-face contact was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nd the education system also began to draw much attention due to rapid non-face-to-face cont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rection of non-face-to-face education in line with the continuous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to date. In this study, data were visualized using Textom and Ucinet6 analysis tool programs to collect social network big data with various opin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keywords related to "COVID-19" were dominant, and keywords with high frequency such as "article" and "news" exis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various issues related to non-face-to-face education, such as network failures and security issues, were identified. After the analysis, the direction of the non-face-to-face education system was studied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education market and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security and feedback on teaching methods in non-face-to-face education analyzed using big data. 세계적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만연해짐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비대면화를 시행하게 되었고, 교육 시스템 또한 급격한 비대면화로 인해 많은 관심이 집중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까지 계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교육환경에 맞추어 비대면 교육이 나아가야 하는 방향성에 대해서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의견들이 존재하는 소셜네트워크 빅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텍스톰(Textom), 유씨넷6(Ucinet6) 분석 도구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시각화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와 관련된 키워드가 주를 이루었으며 ‘기사’, ‘뉴스’등의 높은 빈도의 키워드들이 존재했다. 분석 결과 네트워크 장애 및 보안 문제와 같은 비대면 교육에 관련한 다양한 이슈들을 확인해 볼 수 있었고, 분석 이후 교육 시장의 성장과 교육 환경의 변화에 따른 비대면 교육 시스템의 방향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한 비대면 교육시의 보안 강화 필요성과 수업 방식에 대한 피드백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 KCI등재후보

        『세계사의 구조』와 『안티 오이디푸스』에 나타난 사건적 교육의 해석적 비교

        김영철(Kim Young-chul)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21 한국교육논총 Vol.42 No.1

        이 논문은 세계사적 단계들과 그 구분 원리를 제시하는 柄谷行人(가라타니 고진)의 『세계사의 구조』와 Deleuze와 Guattari의 『안티 오이디푸스』를, 사건을 보고하는 육하원칙이라는 공통항에 입각하여 해석하고 비교한다. 평가적 비교의 전 단계로서의 해석적 비교는 두 저서의 텍스트적 해석과 비교, 그리고 교육적 측면에서의 해석과 비교로 반복하여 두 번 시행된다. 이 논문에서 사용한 사건적 교육은 본성적 교육과 대비된다. 텍스트적 비교에 있어서, 1) 육하원칙의 What은 Kant와 Nietzsche적 Marx 활용, 2) Who는 교환하는 인간과 생산적 기계라는 현실적 주체, 3) When/Where는 교환양식과 기입양식이라는 사회, 4) How는 세계동시혁명과 분열증적 과정이라는 혁명의 방도, 5) Why는 연합적 인간과 욕망해방적 비인간이라는 이상적 주체이다. 교육적 비교에 있어서, 1) 교육의 경로로서의 What은 자율적 윤리성과 능동적 힘, 2) 교육의 현실적 주체의 긍정성으로서의 Who는 이념적 긍정성과 실재적인 힘의 긍정성, 3) 교육의 사이-시공간으로서의 When/Where는 개체들 사이의 공약불가능한 소통적 시공간과 기계들 사이의 갈등적 시공간, 4) 이미-있음의 이상에 도달하는 교육의 방법으로서의 How는 과거에 이미 있던 이상의 비자발적 회복과 현재에 이미 있는 과정의 완성과 돌파, 5) 교육의 목적으로서의 Why는 코스모폴리턴과 위버멘쉬이다. The thesis tries to compare The Structure of World History with Anti-Oedipus in the textual context, and to re-compare in the educational context. I mean by the education an event which contrasts starkly with an essence. It adopts 5W1H, a general reporting form of an accident or event, as the distinctive features at twice comparisons.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not evaluative but interpretive comparison. In the textual context, the thesis discusses, 1) as WHAT, the use of Marx from Kant vs. Nietzsche’s point of view, 2) as WHO, the actual subjects of the exchanging human vs. the productive machine, 3) as WHEN/WHERE, the society of the modes of exchange vs. the modes of inscription, 4) as HOW, the revolutionay means of the simultaneous revolution of the world vs. the schizophrenic process, 5) as WHY, the ideal subjects of the associative human vs. the non-human of liberation of desire. In the educational context, the thesis discusses, 1) in the WHAT as educational way, autonomous morality vs. active power, 2) in the WHO as the affirmity of actual subjects, that of the ideal idea vs. that of real power, 3) in the WHEN/WHERE, as the in-between time-space of education, the incommensurable communicative situation of humans vs. the conflictive of machines, 4) in the HOW, as the educational method of achieving the ideal, the involuntary restoration of the already-had ideal vs. the now-have completion and break-through of the schizophrenic process, 5) in the WHY, as the aim of education, cosmopolitan vs. overman.

      • KCI등재후보

        SF문학 교육을 위한 예비적 고찰

        황지영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21 한국교육논총 Vol.42 No.3

        본고에서는 최근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한국의 주요 SF 작가들의 소설과 에세이들을 중심으로 중고등학생들에게 SF문학을 교육할 수 있는 방법을 예비적 차원에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아직까지 중고등학교 교육과정 안에서 SF문학이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SF문학을 활용하여 교육하기 좋은 세 가지 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할 것이다. 첫 번째는 ‘세계 이해’ 차원으로, 지구온난화에서 비롯된 기후/생태 재난과 우주시대에 대응하는 교육이고, 두 번째는 ‘타자 이해’의 관점에서 기술적 객체로서의 로봇/AI, 외계 지적 생명체, 초능력자들 같은 탈인간(脫人間)적 타자들과 소통하는 교육이며, 세 번째는 타자와의 연대를 위한 선결과제로서 윤리적인 삶을 위한 ‘자기 이해’ 교육이다. 최근 SF문학은 소외를 논하는 최적의 장르이자 현시대와 근미래에 대한 예리한 통찰력을 담은 장르로 평가된다. 그러므로 첨단 과학기술이 등장하는 콘텐츠와 디지털 미디어에 흥미를 갖고 있는 중고등학생들에게 SF문학을 활용한 교육은 점차 확대되어야 하고, 교육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모색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학생 선택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탐구

        오종욱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22 한국교육논총 Vol.4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college students to identify the outcomes of elective-centered curriculum. We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FGI) with 14 college students who recently experienced the high school to college transi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tudents perceived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positively for reasons such as enhancement of identity, career-specific opportunities, the opening of demand-based elective courses, academic exchanges with teachers, curriculum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college, and improvement of satisfac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students had negative impressions because career choices could be limited due to undecided career paths or the possibility of career changes, and the effects of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only appeared in some majors. Finally, an improvement plan for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was suggested in terms of the role of the Office of Education and unit school in setting students' early career paths and the linked curriculum.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이수한 대학생의 경험과 인식을 분석하여 학생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성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G광역시에 소재한 C대학교 1, 2학년 재학생 14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FGI)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주체성 증진, 진로 구체화 기회 제공, 요구를 반영한 선택과목 개설, 교사와의 학술적 교류 증진, 고교-대학 교육과정 연계 강화, 학업성취 만족도 제고 기여 등의 측면에서 학생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긍정적으로 인식했다. 반면에 진로 미결정, 변경 가능성 등으로 인해 진로 선택이 제약될 수 있다는 점과 특정 전공계열에서만 학생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성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이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기도 했다. 이 같은 학생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학생의 조기 진로 설정을 위한 교육청과 단위학교의 특별한 노력이 필요함과 선택과목 개설 확대를 위한 연계교육과정의 내실화 방안을 제언했다.

      • KCI등재후보

        해외사례를 통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장애학생 교육지원의 발전 방향 탐색

        손지영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22 한국교육논총 Vol.43 No.2

        COVID-19 has brought major changes to education. In particular, the need for support to bridge the educational gap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emerged. Currently, international organization reports and various research reports provide varied information and implications for overseas education policies during the COVID-19 period. However, overseas education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not been properly investigated.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content of educational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during the COVID-19 period, focusing on the UK,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This study’spurpose was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VID era. Future directions were presented in terms of educational technology infrastructure, face-to-face and online learning support, behavioral problem counseling and educational welfare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prepare educational policies providing effective educational support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VID era. 코로나-19는 교육에서 큰 변화를 가져왔고, 특히 장애학생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다각적인 교육지원의 필요성이 대두되게 되었다. 현재 국제기구 보고서 및 여러 연구보고서 등에서 코로나-19 기간동안 해외 교육 현황 및 정책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으나 교육에서 가장 취약한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해외사례는 적절히 조사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국, 독일, 미국을 중심으로 코로나-19 기간 동안 장애학생 교육지원 내용에 대해 살펴보고, 포스트 코로나 대비 국내 장애학생 교육지원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장애학생을 위한 에듀테크 기반 인프라 지원, 대면 및 비대면 학습지원, 행동문제 상담 및 교육복지 지원 측면에서 6가지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하여 장애학생에게 효과적인 교육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교육 정책을 마련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중학교 사회과교육과정 공민교육 내용의 변천

        김원겸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05 한국교육논총 Vol.26 No.2

        본 연구는 지난 60여 년 간 중학교 사회과교육과정 공민교육 내용의 변천을 탐색하여 미래의 내용은 어떻게 선정 • 조직되어야 바람직한가를 찾아보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향후 사회과교육과정 개정시에는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공민영역의 내용을 선정 • 조직할 것을 제안한다. 우선,공민영역은 지리 • 역사영역과의 연계성과 통합성을 고려하면서,생활주변의 사회현상 파악뿐만 아니라 각 지역,국가, 세계의 사회현상 파악 및 문제해결에 이를 수 있도록 조직해야 한다. 둘째, 공민영역의 기본개념 및 핵심 아이디어를 학습자의 시 • 공간의식의 발달과 연계하여 배열하여야 한다. 아울러 국지적, 지역적,국가적, 그리고 지구적 내용 간의 균형 및 과거, 현재,미래와 관련된 내용 간의 균형도 추구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공민교육의 목표, 주제의 특성에 따라 내용의 분량과 비율이 적절히 선정 • 조직되어야 한다. 공민교육 내용은 목표와의 연관성, 각 주제의 특성과 이해가능성 등을 고려해 내용의 분량과 방식을 적절히 조정해야 한다. 넷째,공민교육 내용은 학생의 홍미와 요구 및 관심을 실질적으로 반영하여 선정 • 조직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회과의 내용 구조에서는 현대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학문 간의 통합적 지식의 요구에 따라 보다 통합된 사회과를 지향하되, 고학년으로 갈수록 학문의 특성도 살리는 방향으로 조직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and list out the transition in contents of citizen area in the middle-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during the past 60 years. Following this discovery and enumeration will be a detailed explanation for better ways in which to organize and present the curriculum of the future. It has been suggested to select and construct the contents of the citizen area after considering followings when the curriculum of a subject of social studies needs to be changed in the future. First of all, citizen area should be constructed by considering connections and integrations that exist between geography and history area so that the social phenomena not only around our lives but also in respective regions, nations, and world can be grasped and the problems caused by those phenomena can be solved. Second, the basic concepts and the key ideas of a citizen area should be arranged linking with the development of learner's time and space perception. Also the balance between local, regional, national, and global contents and the balance between contents regarding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should be pursued. Third, the quantity and the ratio of the contents of civil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its goal and topic characteristic should properly be selected and constructed. The contents of citizen education should be properly adjusted in terms of quantity and approach in consideration of a link with goal,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opic and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Fourth, the contents of civil education should be selected and constructed in a virtual reflection of students' interests, demands and curiosities. Lastly, in terms of content structure, more integrated subject of social studies should be pursued in accord with the demand integrative knowledge between sciences in order to solve the many problems of modem society. Also, the contents should be organized in the way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are also emphasized as the grades advance.

      • KCI등재후보

        가상세계 활용 교육을 위한 인지 전환 이론과 실천방안

        최원재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23 한국교육논총 Vol.44 No.1

        Recently, virtual worlds have become a popular topic in education. However, aait is difficult to clearly define the role of metaverse in education. Metaverse is an omnidirectional concept that continues to evolve like an organism and collectively refers to the sum of technological and social fragments. Current metaverse education is so technology-centered that, the use of a metaverse platform has been accepted as if it were all of metaverse education. Non-face-to-face education on the rapidly developing metaverse platforms caused misunderstandings and gave the wrong messages to users regarding the use of virtual worlds. iMoreover, users felt a sense of heterogeneity regarding the virtual world and raised arguments about the uselessness of the metaverse because of the emphasis on immediate use without training in the cognitive conversion process triggered by the metaverse. The metaverse should have been recognized as having a transformative capacity before using the platform. Metaphors and pataphors have the power to solve imaginary problems through the transformative capacity. To be ready for the days when virtual worlds are used in education, a curriculum that helps users metaphorically create these worlds is required. This curriculum, based on humanistic inquiry like metaphors, can prepare the era where the XR environment spreads socially and more sophisticated video images become an essential factor in implementing XR. Therefore, I propose a curriculum that implements metaphors using video media with 3D engines. It is not mechanical learning, but one of the cognitive enhancement curricula. 가상세계는 교육계에 큰 화두다. 그러나 메타버스로 대표되는 가상세계를 활용하는 교육에서 메타버스가 무엇인지를 명확히 정의하지는 못하는 상황이다. 메타버스는 생물처럼 계속 진화하는 관념이자 기술 사회 단편의 합을 총칭하는 전방위적 개념인데, 지금의 메타버스 교육은 너무도 기술 중심적이고 그 결과 메타버스 플랫폼 사용법이 마치 메타버스 교육의 전부인 것처럼 받아들여졌다. 갑작스럽게 다가온 메타버스 플랫폼에서의 비대면 교육은 메타버스에 관한 오해를 불러일으켰고 가상세계 활용에 대해 사용자들에게 잘못된 메시지를 던졌다. 플랫폼 사용 이전에 메타버스가 일으키는 인지 전환 과정에 대한 교육 없이 바로 사용만을 강조하다 보니 사용자들은 가상세계에 관해 이질감을 느꼈고 메타버스 무용론까지 제기되기에 이르렀다. 메타버스는 플랫폼 사용 이전에 전환을 일으키는 역량으로 먼저 인식되었어야 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한 연구의 결과다. 인지 전환 역량의 하나로 메타포와 파타포를 들 수 있다. 메타포(파타포)는 인지능력이자 차원 전환 역량으로 상상적 문제 해결을 일으키는 동력을 갖게 되므로 가상세계 활용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준비하는 데 적합하다. 또한 사회적으로 XR 환경이 확산하고 더욱 정교한 영상 이미지가 XR 구현에 필수적 요소가 되는 상황에서 메타포(파타포) 개념을 3D 엔진을 이용하는 영상 미디어 제작에 활용한다면 인문적 천착을 바탕으로 하는 기술 교육이 가능해지므로 메타버스 역량의 실천방안으로써 3D 영상 미디어 교과 과정을 제언한다. 대상과 현상에 대해서 메타포로 구현하는 3D 영상 미디어 교육은 단순히 기계적인 기술학습이 아니라 인지 전환 역량이 내용적·방법적으로 바탕이 되는 인지력 신장 교육과정에 하나다.

      • KCI등재후보

        다산(茶山) 『대학공의(大學公議)』에서 교육주체들의 관계 고찰 - 효(孝)·제(弟)·자(慈)를 중심으로 -

        조문숙,Jo, Moon Sook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19 한국교육논총 Vol.40 No.2

        This study examines the fundamental ethics of practice that Dasan Jung Yak-yong(1762-1836) argued at the book, "Dàxuégōngyì大學公議, The Public debate of Great Learning",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 agents of education. "Dàxuégōngyì", the book that Dasan wrote when he was 53 years old at his exiled place, Gangjin. As the title suggested, Dàxuégōngyì, it could be recognized as the impartial view based on the critical perspective to Zhūxǐ(朱憙)'s opinion. Zhuxi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Great Learning 大學" as a study of the Great people and argued that "Great Learning" is the study for all the people should learn. On the other hand, Dasan claimed that "Tàixuézhīdào太學之道" in "Great Learning" is the study for the prince, not for the normal people. And he also interpreted "Dàxué 大學" as the school for teaching prince. In addition, "Great Learning" suggested the three practical principles; to illustrate illustrious virtue; to renovate the people; and to rest in the highest excellence. However, Dasan argued different way and emphasized three ethics of practice; filial piety(孝), admiration(弟), mercy(慈) and regarded as illustrious virtue of "Great Learning." He denied the three principle of "Great Learning" that Zhuxi reorganized and suggested including renovating the people(新民), and provided that close to the people(親民) is one of the main principles of "Great Learning." According to Dasan, if the king practices these three ethics of practice including filial piety, admiration, and mercy, so that the people will practice these ethics voluntarily. In other words, he indicated that the practice of three ethics is not only for the prince in the loyal family, but also for principles to educate the people in the nation. Thus, three ethics by Dasan including filial piety, admiration, and mercy could be recognized as the symbol of humanity. In other words, Dasan's three ethics in "Great Learning" can be recognized as the practical principles including educational issues and educational interactions. If these three ethics can be referred as the symbol of humanity as mentioned above, the implicit educational interactions are specifically constructed within the basic assumption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larify the specific ethics of practice by the indicating specific subjects and objects in the educational interactions between these three ethics of practice. Also, it helps more clear comprehension about the "Dàxuégōngyì大學公議, The Public debate of Great Learning", by Dasan. 본고는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의 『대학공의(大學公議)』에서 나타나는 교육 주체들의 관계에 대하여 고찰하여 그가 『대학공의(大學公議)』에서 주장하고자 하였던 궁극적인 실천윤리를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다산의 『대학공의』는 그가 53세일 때 유배지인 강진의 다산초당에서 저술한 책으로써 특히 '공의(公議)'라는 명칭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대학공의』는 『대학』에 관한 다산의 공정하고도 공평한 견해라고 볼 수 있으며, 당시 보편화된 주자의 『대학장구(大學章句)』에 대한 비판의식이 전제된 것이기도 하다. 주자는 훈고(訓詁)에서 『대학(大學)』을 대인(大人)의 학문이라 풀이하여 어린이의 학문과 대소(大小)로 대조를 이루어 온 세상 사람들이 모두 배워야 하는 학문으로 그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그에 반해 다산은 『대학』을 가리켜 경문(經文)에서 말한 '태학의 도[太學之道]'는 태자를 가르치는 도이지, 분명 백성을 가르치는 도가 아니며, 이를 '태학의 도'라 말할 수는 있지만 '향학의 도[鄕學之道]'라고 말할 수 없다고 하여 『대학』을 나라의 태자를 교육시키기 위한 장소로써 해석한다. 또한 『대학』에서는 유학의 이념으로 명명덕(明明德), 친민(親民), 지어지선(止至於善)의 삼강령(三綱領)을 제시하고 있는데, 다산은 『대학』의 실천윤리는 효·제·자(孝·弟·慈)이며 효·제·자야 말로 명덕(明德)이라고 풀이한다. 또한 효·제·자를 가리켜 백성을 효도로써 가르치면 백성 가운데 아들된 사람은 그 부모에게 친하게 하며, 백성을 공경으로써 가르치면 백성 가운데 동생 된 사람은 그 형에게 친하게 하고 백성 가운데 어린 사람은 그 웃어른에게 친하게 하며, 백성을 자애로써 가르치면 백성 가운데 어버이 된 사람이 그 자식에게 친하게 하고 백성 가운데 웃어른 된 사람이 그 어린 사람에게 친하게 한다. 그러므로 태학의 도는 친민(親民)에 있다고 하여, 주자의 신민(新民)을 부정하고, 효·제·자를 친민(親民)의 실천윤리로 제시한다. 다산은 임금이 이러한 효·제·자를 실천하면 백성에게까지 그 가르침이 미치어 백성들에게 또한 효·제·자의 실천이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효·제·자라는 대학의 실천윤리가 단지 나라의 태자에게만 교육되어져야 할 것이 아닌 백성들에게도 필요한 덕목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즉 효·제·자(孝·弟·慈)는 인륜(人倫)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렇듯 다산이 유학의 실천윤리로 제시한 효·제·자(孝·弟·慈)에는 『대학』에서의 교육적 내용과 교육적 관계들이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효·제·자(孝·弟·慈)가 인륜이라고 할 경우 그 안에 내포되어 있는 교육적 관계들은 구체적으로 가장 기본적인 가정 안에서부터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효·제·자(孝·弟·慈)에 내포되어있는 교육적 관계들의 주체와 객체를 구체화 시키는 것으로부터 우리는 다산이 『대학공의』에서 주장하고자 하였던 구체적인 실천윤리를 더욱 명확히 밝힐 수 있을 것이며, 그것을 통하여 다산이 풀이한 『대학공의』를 더욱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중국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국문화교육 연구

        문영자(Young-Ja Moon)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14 한국교육논총 Vol.35 No.1

        세계가 하나의 지구촌으로 되는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중 · 한 두 나라 간의 정치, 경제, 무역, 문화 등 분야의 교류가 갈수록 밀접해지고 활발해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한국어 인재들이 중요한 가교역할을 하고 있으며, 아울러 한국 언어뿐만이 아닌 한국 사회 전반에 대한 탄탄한 이해를 가진 고 소질, 고 실력의 한국어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런 인재의 양성은 한국문화 교육을 떠나서 한국 언어교육만으로는 이루어질 수 없다. 언어를 외면하고 문화를 이해할 수 없고 문화를 외면하고 언어를 이해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언어교육과 문화교육은 유기적인 연계 속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현재 중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한국문화교육 실태를 살펴보면서 존재하는 문제를 짚어보고 풀어야 할 과제를 지적하였다. 논의는 한국문화교육의 필요성을 지적하고 문화교육의 목표에 비추어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지금까지 무절제하게 이루어지던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최근 들어 다소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다. 한 국어 교육의 질적 향상의 불균형으로부터 우승열태({尤姓劣洙)의 경쟁을 거쳐 양적 팽창에서 벗어나 질적 향상을 추구하는 과학적인 재정립이 필요한 단계에 들어섰다. 이는 한국어교육에서 단순한 언어교육이 아닌 한국학 전반에 관한 지식 교육 즉, 언어교육과 문화교육 통합 진행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진일보적인 중명과 강조로 된다. The speed that world is becoming to a global village is getting faster. Thus, exchanges in areas of politic, economy, trade, cultural between China and Korea are becoming increasingly closely and actively. In this process Korean language talents have played an important bridge role. Therefore, it is required not only Korean language talents, but also the Korean talents with a solid understanding of aptitude, and skills for whole Korea Training of these personnel can not be done with language training alone without cultural education, understanding culture without language. Likewise, language training and cultural education is made in the organic connection. Ths study take a look at the realities is currently underway in China while Korea in cultural education, and pointed the problems being exist and a subj ect need to solve. The discussion pointed out the need for Korea culture education, and proposed a plan to proceed effectively in educati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excesses of until now has shown a lull recently. Korean education through competition from quantitative expansion to qualitative improvement entered the necessary step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are emphasize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not just language training and must be done with cultural education toge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