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가 자발적 공시에 미치는 영향
김미나,김수인,신혜정,이혜정 한국회계정보학회 2015 회계정보연구 Vol.33 No.1
Voluntary disclosure plays a significant role in a capital market as means of alleviating the information asymmetric between managers and external stakeholders. Managers can make financial decisions by his or her own stake regarding of whether or not to disclose private information, timing of voluntary disclosure and contents of them. If the difference between voluntarily disclose information and ex post announcement is greater, the risk of litigation would be greater. In this study we examine how the risk of litigation affects managers’ decisions on their voluntary disclosure. We measure the risk of litigation as book-tax differences (BTDs) and test whether firms with greater prior-period BTDs are less likely to disclose voluntarily in order to mitigate a shock in the capital market or more likely to disclose voluntarily in order to avoid the legal liability. Using a lag model, the empirical results support our hypothesis that firms with greater prior-period BTDs which have greater risk of litigation tend to be less likely to disclose voluntarily. We also find evidence that firms with large temporary components of BTDs are less likely to disclose voluntarily especially on investors relations(IR). Firms with large permanent components of BTDs are less likely to disclose voluntarily, which affects on the frequency rather than the likelihood of voluntary disclosure. Because temporary components of BTDs is an indicator of earning management and permanent components of BTDs is an indicator of future growth.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types of voluntary disclosures discriminatively effect on firms since there are different characteristics between temporary and permanent BTDs. 자발적 공시는 경영자와 외부의 이해관계자 사이의 정보비대칭을 완화시키는 수단으로써 자본시장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그러나 경영자는 자신의 이해관계에 따라 내부 정보의 공시 여부, 시점 및 내용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것이고, 자발적으로 공시하는 내용이 사후적으로 검증되는 내용과 차이가 있는 경우 소송위험이 높아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발적 공시에 대한 경영자의 의사결정이 소송위험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검증하였다.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를 소송위험의 측정치로 보고 전기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가 큰 경우 경영자가 시장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자발적 공시를 늘리려고 하는지 혹은 소송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자발적 공시를 줄이려고 하는지를 시차 모형을 통해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기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가 큰 기업 즉 소송위험이 큰 기업일수록 자발적 공시를 회피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 중 일시적 차이가 큰 기업의 경우 이익조정의 가능성이 높으므로 투자자에게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기업설명회가 감소된 반면 영구적 차이가 큰 기업은 미래 이익 성장성이 낮기 때문에 자발적 공시를 적극적으로 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시적 차이와 영구적 차이가 나타내는 기업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자발적 공시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지역사회 당뇨병 유병자에서 당뇨병 이환 기간에 따른 건강관리 지표의 차이: 2018년 지역사회건강조사 분석
김미나,이영훈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20 No.3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 levels of healthcare indicators vary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diabetes in diabetic people. Methods: From the 2018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a total of 20,113 diabetic people aged 40-79 years were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people with diabetes and its corresponding diabetes duration were as follows: 34.9%, less than 4 years; 22.4%, 5-9 years; 18.9%, 10-14 years; 9.4%, 15-19 years; and 14.1%, more than 20 years. Outcome variables included eight health behavior indicators and seven diabetes management indicators. Results: After adjusting for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longer the duration of diabetes, the less alcohol drinking and the more influenza vaccination was availed, whereas the regular tooth brushing, perceived usual stress, and perceived depressive symptoms tended to be unhealthy. Smoking, regular walking, and utilizing food nutrition label did not differ based on the duration of diabetes. Moreover, blood glucose control was evaluated to be poorly controlled as the duration of diabetes lengthened; however, diabetes management education and medical institution services (glycated hemoglobin measurement, diabetic retinopathy screening, and diabetic nephropathy screening) tended to increase significantly. There was also no difference in relation to diabetes duration in the recognition of early symptoms of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which are the major complications of diabetes. Conclusions: People with long-lasting diabetes are at a higher risk of developing diabetes-related complications; therefore, more active community strategies are needed to improve their health behavior. 연구배경: 본 연구는 지역사회 당뇨병 유병자를 대상으로당뇨병 이환 기간에 따라 건강관리 지표들의 수준 차이가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지역사회건강조사 2018년 원자료에서 40-79세의 당뇨병 유병자 20,113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당뇨병 이환기간에 따른 당뇨병 유병자의 분포는 4년 이하 34.9%, 5-9년22.4%, 10-14년 18.9%, 15-19년 9.4%, 20년 이상 14.1%였다. 결과변수인 건강관리 수준은 8개의 건강행태 지표와 7개의 당뇨병관리 지표로 평가하였다. 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을 보정한 후 이환 기간이 길수록 연간 음주는 감소하고,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규칙적 칫솔질 실천, 주관적 스트레스수준, 우울감 경험은 불건강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현재 흡연, 규칙적 걷기 실천, 영양표시 활용은 당뇨병 이환 기간에따른 차이가 없었다. 당뇨병 이환 기간이 길수록 본인 인지혈당 조절은 부정적인 경향이었지만, 당뇨병관리 교육 및당화혈색소검사, 당뇨병성 안질환 합병증검사, 당뇨병성 신장질환 합병증검사는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당뇨병의 주요 합병증인 심근경색증 및 뇌졸중 조기증상에 대한 인지는 당뇨병 이환 기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결론: 당뇨병이 오래 지속되는 유병자들은 합병증 발생위험이 높은 고위험군이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건강행태 개선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지역사회 전략이 필요하다.
김미나,김현수,배혜경,허희재,성흥섭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2021 의료관련감염관리 Vol.26 No.2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in March 2020, the COVID-19 diagnostic test has become a critical means of national response. Laboratory diagnosis of patients with COVID-19 is essential for not only patient management but also understanding the epidemiology and preventing the spread of infection, such as contact tracing. Real-time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hich amplifies and detects viral nucleic acids, is the gold standard for laboratory diagnosis of COVID-19. Currently, various real-time RT-PCR diagnostic kits are commercially available worldwide. Therefore, verifying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se kits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ir diagnostic value. However, in addition to RTPCR, the point-of-care test that is rapid and affordable by untrained individuals, antibody tests to monitor the immunological course of infected or vaccinated individuals, and large-scale sequencing of SARS-CoV-2 genome are technologies that are also needed in the long-term COVID-19 pandemic. As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intensifies, the need for various diagnostic tests has also increases, and there has been a quantum leap in quality and quantity. This review intends to present a comprehensive perspective on various diagnostic methods and appropriate use of tests approv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n Korea and used for COVID-19 laboratory diagnosis.
김미나,이영훈 전남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23 전남의대학술지 Vol.59 No.2
This study examined the gender-specific association between stroke status and depression in South Korea. A total of 5,746 men and 7,608 women aged ≥30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2014, 2016, and 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cross-sectional surveys targeted the general population consisting of nationally representative adults (≥19 years) residing in Korea. A 9-item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score of 10 or more was regarded as depression. A higher risk of depression in stroke survivors compared to the non-stroke population was not observed in men (odds ratio [OR], 1.51; 95% confidence intervals [CI], 0.82-2.81), while it was observed in women (OR, 2.49; 95% CI, 1.64-3.77). Compared to non-stroke women, women stroke survivors with a younger age at diagnosis (<60 years) (OR, 4.05; 95% CI, 2.28-7.20) and stroke with duration of ≥10 years (OR, 3.12; 95% CI, 1.63-5.97) had a higher risk for depression. Gender aspects should be more intensively considered in the association between stroke status and depression in community settings.
만 5세 유아의 또래놀이행동과 초등학교 1학년의 학업수행능력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김미나,이완정 한국아동권리학회 2019 아동과 권리 Vol.23 No.1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s the long lasting effects of preschooler’s peer play behaviors on their academic ability in primary school.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is the control variable and their basic academic skills is the mediating variable. Methods: 7 th year and 8 th year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for 859 children. Results: Controlling of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and preschooler’s peer play behaviors influenced academic skills in primary school. Also, preschooler’s basic academic skill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play behaviors and children’s academic ability in primary school. Conclusions: This study implies that children’s play behavior influences long lasting academic compet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organizing children’s play at the preschool period.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취학 전 또래놀이행동이 초등 1학년 때의 학업수행능력과 관계가 있는지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 유능감을 통제변인으로 하고, 만 5세 유아의 기초학업능력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만 5세 유아의 또래놀이행동이 초등학교 1학년의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분석해보았다. 방법: 한국아동패널의 7-8차년도 자료 중 결측값이 없는 859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기술통계,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AMOS 21.0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였으며, 구조모형의 직간접효과 및 총효과와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만 5세 유아의 또래놀이행동은 사회적 유능감의 효과를 통제한 후에도 초등학교 1학년 학업수행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 만 5세 유아의 기초학업능력이 만 5세 시기의 또래놀이행동과 초등학교 1학년 학업수행능력 간 영향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기 또래놀이를 통해 문해력 및 수학적 사고력과 같은 기초학업능력을 자연스럽게 기룰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학업수행능력을 기르는데 보다 효과적일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유아가 일상에서 활발한 놀이경험을 통해 미래 학업 역량의토대를 갖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유아 놀이권을 더욱 보장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김미나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04 정부학연구 Vol.10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of a fact that a special appointment of an administrative official explains one of the factors during the historical formation and the special appointment institution for the Public Service Personnel. Especially, a special appointment of an administrative official shows a notable feature of institutional formation and termination. Therefore, I classify according to time that is three times; the stage of germination, the stage of formation and maintenance, the stage of termination. And I analyze about formational motive and the system of veins of the special appointment of an administrative official. One important findings is that an incidentally disposition rather than an institution with intention. Thus, an incidentally disposition during the formation of bureaucracy is a tendency of strengthening and continuation in process of time that Government solve problems more and more. In conclusion, this study of a case shows an institutionalization in differential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Bureaucracy in Korea. 1961년 5.16 군사쿠테타를 계기로 군인의 관료화가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유신체제 이후 주로 5급 공무원을 중심으로 사무관특별채용제도가 본격적으로 형성 및 유지되었다. 그후 얼마동안 지속되다가 1987년 6.29 민주항쟁을 계기로 제도가 전면 폐지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무관특별채용제도의 형성 동인과 제도 변화의 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5.16 이후 집권한 박정희는 2년 반에 걸친 군정기간에 그들이 통치하기에 용이하도록 스스로의 규범(헌법 등)을 만들었고, 정권의 정당성을 보강하기 위해 기술관료와 군관료의 연합체제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산업경제발전의 국정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군인 출신에 대한 특별채용을 지속적으로 확대하였다. 비록 1987년 6.29 이후 사무관특채제도는 폐지되었지만, 한국 관료제의 성장과정에서 그 파급효과는 아직까지도 공무원 사회에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