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호텔 객실의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대기전력 분석 - 체크아웃 상태를 중심으로 -

        이준수,구충완,Lee, Junsoo,Koo, Choongwan 인천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2022 도시과학 Vol.11 No.1

        The issue of hotel energy use is growing more significant as the hotel industry expands. It is important to take into account the electrical installation and space-specific features in a room unit in order to comprehend the energy consumption of a hotel guestroom. In light of thi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standby power for enhancing the energy efficiency of a hotel guestroom during check-out statu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steps: (i) data collection; (ii) analysis of energy consumption patterns; and (iii) analysis of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plan.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32.24% of energy was used in fan coil unit) during check-out status. Second, a hotel guestroom had a 4.30% energy saving potential, based on energy consumption patterns during check-out status.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support hotel management to operate guestrooms differently by helping them identify patterns in energy use and realize potential savings.

      • KCI등재

        그래프 기반 분산처리 시스템 트리니티를 이용한 서열 정렬 알고리즘

        이준수,여윤구,노홍찬,윤영미,박상현 한국정보과학회 2014 데이타베이스 연구 Vol.30 No.1

        Sequence alignment is one of the widely used tools in genomics. Recently, after NGS(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y was developed, the production of sequence read data increaseddramatically. A number of sequence alignment algorithms have been developed for processing theseNGS data. However, these algorithms are suffered from a trade-off between throughput andalignment quality, because there is a large computation cost for handling the repeat reads andpolymorphism. On the contrary, alignment algorithms with distributed system such as Hadoop andTrinity can obtain better throughput without compromising alignment quality than existingalgorithms on single machine. In this paper, we suggest SAG, sequence alignment algorithm basedon graph with in-memory distributed system, Trinity proposed by Microsoft. We transformedreference sequence into a graph form, and added new edge between adjacent node havingconnection possibility on graph. And we performed combination of sequence fragments in order tocandidates allowing polymorphism. Finally, we performed glocal alignment to find final results forthe obtained candidates.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SAG better throughput with samequality or better quality than existing algorithms with Hadoop. We have also proved scalability thatwe obtained better throughput by simply adding machines. 유전체학(Genomics)에서 서열정렬은 가장 널리 사용된다. 차세대 시퀀싱(Next Generation Sequencing) 기술이 발전하면서, 최근 서열 리드 데이터의 양이 급격하게 증가했다. 급증한 차세대 시퀀싱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서열정렬 알고리즘이 많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서열정렬 알고리즘들은 반복서열(repeat), 변이(polymorphism)를 처리하기 위해 많은 계산량을 요구한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 서열정렬 알고리즘은 처리량(throughput)과 정렬품질(quality)사이에 트레이드오프(trade-off)가 존재한다. 하지만 분산처리 시스템Hadoop, Trinity에서 동작하는 정렬 알고리즘은 기존 싱글에서 동작하는 알고리즘에 비해 정렬 품질을 덜 희생하고, 더 높은 처리량을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Microsoft에서 제안한 그래프 기반 인-메모리(in-memory)분산시스템 트리니티(Trinity)에서 동작하는 서열정렬 알고리즘 SAG(Sequence Alignment Algorithm basedon Graph with Trinity)를 제안한다. 우리는 기존 참조 서열을 그래프 형태의 데이터로 변형 한 뒤, 그래프에서연결 가능한 인접한 노드에 새로운 간선을 추가했다. 그리고 변이(polymorphism)를 허용하는 정렬을 수행하기위해 서열조각들 사이의 조합을 통해 후보를 얻었다. 마지막으로 후보를 대상으로 glocal alignment를 수행해최종적인 결과를 찾았다. 실험을 통해 SAG는 기존 Hadoop에서 동작하는 알고리즘과 비교했을 때 비슷하거나더 좋은 정렬 품질조건과 동시에 상당히 높은 처리량을 얻었다. 또한 머신을 추가함으로써 더 좋은 처리량을 얻는확장성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

        SERVQUAL과 IPA분석을 통한 기업지원서비스의 개선 방향 : 부산 지역 중소기업 사례

        이준수,정혜진 한국기술혁신학회 2020 기술혁신학회지 Vol.23 No.5

        Non-R&D support programs have been provided to small and medium-sized firms(SMEs) for their sustainable operations and competitivenesses. However, there is little evidence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as efforts to measure the extent of satisfaction were not continuously made.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59 SMEs that received the non-R&D support programs in Busan. We used the SERVQUAL model consisting of tangibles,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and empathy through 21 questionnair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verage mean of nine questionnaires measuring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questionnaires measuring perceived importance among the whole survey questionnaires.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service quality would be enhanced by improving the accessibility of service and the amount of non-R&D program reflecting market status through the IPA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analyses of SERVQUAL and IPA, this study suggested various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increase the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non-R&D support programs. 비R&D지원 사업은 지역 특화산업 내 중소기업의 안정적 운영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업지원서비스사업에 대한 수혜기업의 만족도에 대한 분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사업 개선에 대한 방향이 모호하다. 이에 본 연구는 2019년 기업지원서비스사업을 이용한 부산지역의 59개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서브퀄 모델을 적용하여 5개 분야(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의 21개 세부항목을 통해 기업지원서비스의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21개 중 9개 항목에서 중요도보다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기업지원서비스 품질에 대해 만족스러워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추가적으로 IPA 분석을 수행한 결과 응답 기업들이 느끼는 중요도에 비해 만족도가 낮은 중점 영역은 지원서비스의 이용 및 접근성과 지원금액의 시장 상황 반영 수준 등 2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서브퀄 모형과 IPA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향후 비R&D사업의 수요기업 만족도와 효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야 너두? 야 나두!: 무시의 경험과 관찰이 소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준수,김지호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21 No.1

        Social exclusion is a universal means of control. Recent studies point out that pro-social or antisocial behavior and consumption may appear depending on what type of exclusion has been experienced. However, studies that have been tested on Koreans present that exclusion of the ignoring type has not shown a somewhat consistent behavior response. In addition, while observed exclusion throug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may also be expected to produce behavioral responses, there is a limit in tha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o confirm behavioral responses from observed exclusion. Therefore, the study first wanted to reconfirm how the experience of ignored Koreans leads to a response of action, and further it was confirmed that observing other people’s disregard could lead to behavioral respons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periment 1, ignored participants showed preference for products with high acceptance size. In other words, the trend of conformity consumption has emerged. On the contrary, however, the preference for unique products with low acceptance sizes has been shown to decreas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periment 2, participants who observed ignored target were more likely to accept it than those who observed inclusion even though subsequent experiments did not benefit them.in addition, participants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 stronger they perceived exclusion from the environment they were exposed to, the less likely they were to refuse. Consequentl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ignoring type of exclusion shown in this study appears to cause prosocial consumption and behaviour, and simply observing the exclusion of others can lead to behavioral reactions. We also want to use these results to discuss various practical implications, such as donation advertising or use in marketing and company education. 사회적 배제는 문화 보편적 통제 수단이다. 최근 연구들에 의하면 어떤 유형의 배제를 경험했는가에 따라 친사회적 혹은 반사회적 행동 및 소비가 나타날 수 있음을 지적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한국인을 대상으로 실험된 연구에 따르면 무시 유형의 배제는 다소 일관된 행동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배제를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행동 반응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지만 관찰된 배제에서 나타나는 행동 반응을 확인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 가지 실험을 통해 무시 배제의 경험이 어떤 행동 반응을 가져오는지 재확인하여 한국인에게 무시 경험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추가적으로 타인의 무시를 관찰하는 것이 행동 반응까지 이끌어 낼 수 있는지 확인했다. 실험 1의 결과에 따르면, 무시를 경험한 참가자는 수용 크기가 큰 제품에 대해 선호가 나타났다. 즉, 동조 소비 경향이 나타났지만 반대로 수용 크기가 낮은 독특한 제품에 대한 선호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2의 결과에 따르면, 무시를 관찰한 참가자들은 이후에 진행되는 실험이 자신에게 아무런 이득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포용을 관찰한 참가자보다 수락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로지스틱 분석에 따르면 자신이 노출된 환경에서 배제를 강하게 지각할수록 거절할 가능성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나타난 무시 유형의 배제는 친사회적 소비 및 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이며, 단순히 타인의 배제를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행동 반응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우리는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기부 광고나 마케팅 및 사내 교육에서 활용 등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