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휴대전화의존도 간의 잠재전이분석: 자아정체감과 휴대전화의존도의 유형 및 유형 간 전이의 예측요인 검증을 중심으로

        홍예지(洪乂志)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아시아교육연구 Vol.22 No.2

        이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휴대전화의존도의 유형을 구분하여 두 변인의 유형 간 전이 양상을 확인하고, 각 유형 및 유형 간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 중 4차 및 7차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총 1,737명을 대상으로 잠재전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1학년 시기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의 유형은 ‘혼미형’, ‘유예형’ 및 ‘성취형’으로, 고등학교 1학년 시기 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도는 ‘저수준형’, ‘중간수준형’ 및 ‘고수준형‘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중학교 1학년 시기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의 모든 유형이 이후 이들의 휴대전화의존도의 ‘중간수준형’으로 가장 많이 전이 되었다. 셋째, 중학교 1학년 시기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유형에는 삶의 만족도,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학교생활 적응이 유의하였으며, 고등학교 1학년 시기 휴대전화의존도 유형에는 어떤 예측요인도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휴대전화의존도의 유형 간 전이에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또래 애착이 유의한 예측요인이었다. 상술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pply latent transition analysis in between adolescents’ self-identity and mobile phone dependency by focusing on identifying typology of the self-identity and mobile phone dependency and testing their antecedents. To achieve these goals, 4th and 7th wave of the 4th grade panel study involving 1,737 adolescents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were used, a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7th graders’ self-identity was identified as three latent classes: a confused, a suspended and an achieved group. Moreover, 10th graders’ mobile phone dependency was identified as three latent classes: a low-level, a mid-level and a high-level group. Second, by checking up the probability of the transition of classes, groups of 7th graders’ self-identity were all transmitted into the 10th graders’ mid-level in mobile phone dependency. Third, life satisfaction, parents’ positive parenting, and school life adjustment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classes of 7th graders’ self-identity. Lastly, parent’s positive parenting and peer attachment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transition of classes.

      • KCI등재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영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홍예지,박영아,안수빈,이순형,이강이 육아정책연구소 2017 육아정책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fants’ and toddlers’ overindulgence in smart devi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infants’ and toddlers’ playfulness. Data were collected from 278 mothers and 88 teachers of children aged below 36 months from child care centers in Daejoen and Seoul, Korea.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 alpha, correlation, and the hypothesized model was verifi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mother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young children’s overindulgence in smart devices, but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ir playfulness. Second, the research model was selected as a final model which implied that mothers’ negative parenting had an indirect effect on infants’ and toddlers’playfulness. Lastly, infants’ and toddlers’ overindulgence in smart devices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implied that is necessary to protect young children from negative media effects with the help of mothers’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nd by promoting developmentally appropriate media environments for infants and toddlers.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영유아의 스마트기기과몰입을 매개로 이들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및 대전시 소재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36개월 미만 영유아 자녀를 둔 278명의 어머니와 88명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기술통계, 신뢰도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부정적 양육태도와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은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었으며, 영유아의 놀이성은 이들의 스마트기기 과몰입과 유의한 부적 관계를 보였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영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영유아의 스마트기기과몰입의 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완전매개모형이 적합한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을 매개로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연구 결과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를 촉진하도록 돕고, 영유아의 올바른 미디어 환경을 조성하여 영유아의 발달을 저해하는 환경적 맥락의 영향으로부터 이들을보호하고 예방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가족 응집성 및 가족 유연성의 관계: 아버지의 양육 분담의 조절효과

        홍예지,이순형 육아정책연구소 2017 육아정책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가족 응집성과 가족 유연성 및 아버지의 양육 분담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에 참여한 60-66개월 유아를 둔 어머니 1,608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가족 응집성과 가족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버지의 양육 분담의 조절효과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가족 응집성과 가족 유연성 및 아버지의 양육 분담의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응집성과 가족 유연성은 모두 어머니가 지각하는 아버지의 양육 분담에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가족 응집성의 관계에서 아버지의 양육 분담은 유의한 조절 변인으로서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 분담의 수준에 따라 양육 스트레스가 가족 응집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가족 유연성의 관계에서도 아버지의 양육 분담이 유의한 조절 변인의 역할을 하여 어머니가 지각하는 아버지의 양육 분담의 수준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가족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가족 응집성과 가족 유연성으로 대표되는 가족 기능을 저하시키는 위험 요인임을 시사하며, 아버지의 양육 분담의 수준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가족 기능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음을 알고 가정 내 아버지의 역할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함을 제시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arenting role-sharing with fathers o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family cohesion and family flexibility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Data were drawn from the sixth wave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develop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KICCE), conducted in 2013. The subjects were 1,608 mothers of children aged 60-66 month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 alpha,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ver. 22. The results illustrated that both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role-sharing with fathers had main effects on family cohesion and family flexibility, respectively. Especial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interaction analysis between factors, the parenting role-sharing with fathers moderated not only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family cohesion but also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family flexibility. Therefore, this study highlighted the need of fathers’ active role in parenting to support the spouse’s psychological well-being within a family. Moreover, findings suggest for the programs to promote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with the help of the parenting role training education and to encourage the family friendly public policy.

      • KCI등재

        학령초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일-가정 갈등의 변화 유형화 및 영향요인과 결과요인 검증

        홍예지,이강이 육아정책연구소 2020 육아정책연구 Vol.14 No.1

        이 연구는 학령초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일-가정 갈등의 변화를 유형화하고, 변화의 유형화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변화 유형화에 따른 결과요인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8, 9, 10차 데이터에서 취업중임을 보고한 459명의 어머니의 자료를 활용하여 성장혼합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모의 일-가정 갈등의 변화는 3개의 집단으로 구분되며, ‘급감소집단’, ‘하위유지집단’ 및 ‘완만한 증가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양육스트레스, 우울, 부부갈등이 취업모의 일-가정 갈등 잠재집단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취업모의 일-가족 갈등 잠재집단 중 하위유지집단과 완만한 증가집단 간에 권위있는, 권위주의적 및 허용적 세 개의 양육행동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학령초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일-가정 갈등 변화의 개인차를 확인한 결과이며, 취업모의 일과 가정의 양립을 지원하기 위한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ypology of changes in work-family conflict among working mothers with an early school-age child and to examine their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Data from 459 working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eighth, ninth, and tenth waves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used. A growth mixture model was used to identify working mothers’ work-family conflict trajectorie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anges in working mothers’ work-family conflict were categorized into three latent classes: a rapidly decreasing group, a low-level stable group, and a steadily increasing group. Second, among the antecedents, mothers’ parenting stress, depression and marital conflicts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classes. Third, regarding working mothers’ authoritative, authoritarian, and permissive parenting behaviors according to changes in work-family conflict, group differences in all the parenting behaviors were suggested in between a low-level stable group and a steadily increasing group. These findings reveal differences in work-family conflict changes among working mothers, and have further implications regarding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work-family balance support for such individuals.

      • KCI등재

        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도, 우울의 변화 궤적 및 자기조절학습 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

        홍예지,Hong, Yea-Ji 대한가정학회 2021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adolescents'mobile phone dependency, trajectories of depress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To achieve these goa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3rd, 5th and 7th wave of the data on 4th graders taken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rowth-curve longitudinal analysis indicates that depression in 6th through 10th grade has increased. Second, mobile phone dependency among adolescents at 6th grad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in depression. Also,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in depression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mobile phone dependency at 10th grade. Moreover, both increased levels of mobile phone dependency and the rate of change in depression significantly influence adolescents'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at 10th grade. Based on a longitudinal data set,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adolescents'trajectories of depression and their mobile phone dependency. The findings also provide a comprehensive framework with implications for adolescents'development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depression and mobile phone dependency, which impact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 KCI등재

        초등학생 자녀를 둔 취업모의 일-가정 균형의 잠재전이분석: 일-가정 균형의 유형 및 유형 간 전이의 예측요인 검증을 중심으로

        홍예지,Hong, Yea-Ji 대한가정학회 2021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9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pply latent transition analysis to the work-family balance of working mothers with a child in elementary school by focusing on the effect of antecedents on both work-family balance typology and the transition between typologies. Data from 400 working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eighth and eleventh waves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us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atent profile analysis of working mothers whose children were in the first grade classified the work-family balance types as 'contradictory' or 'beneficial' and of working mothers whose children were in the fourth grade as 'conflictual', 'contradictory', 'high beneficial', 'low beneficial' or 'beneficial'. Second, working mothers whose work-family balance was 'contradictory' or 'beneficial' when their children were in the first grade mostly had, respectively, a 'low beneficial' or a 'high beneficial' balance when their children were in the fourth grade. Third, the probability of being classified into each type differed according to subjective happiness and marital conflict in the first grade, and marital conflict and social support in the fourth grade. Moreover, marital conflict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in the transition between the types of work-family balance. The study showed that the types of work-family balance differed for each time point for individual working mothers. The study also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parenting-related personal, family and social factors in determining the work-family balance type and transition between ty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