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로그래밍 기반 수업이 과학교사의 TPACK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최은선,이영준,백성혜,Choi, Eun-Sun,Lee, Youngjun,Paik, Seoung-Hey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4

        In this study, 37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attending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ere surveyed about their thoughts about the difficulty of teaching science units and teaching methods to teach these units to students. After experiencing the activity of making new teaching tools using scratch, we tried to confirm the development of TPACK among the teachers.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for elementary, secondary, and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we selected the unit of Planetary Movement of the Solar System as a unit that is difficult for teachers to teach. We gave them the experience of instruction on tool making process for implementing a planetary operation model using scratch. Then, based on the questionnaires and class presentations, we analyzed the change of awareness about technology introduc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ir TPACK. As a result, most of the teachers showed changes of perceptions related to TK, TCK, TPK; the use of programming for creating teaching materials enhances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teaching contents; the teachers were convinced that students would develop the ability to construct models that fit observational phenomena; they thought that there would be a positive educational effect in the positive domain. 이 연구에서는 교육대학원에 재학하는 37명의 초등, 중등,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기존의 과학수업에서 가르치기 어려운 단원과 기존의 교수법에 대해 조사한 후에, 스크래치를 이용한 새로운 교수 자료를 제작하는 활동을 체험하도록 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새로운 수업전문성인 TPACK의 발달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설문을 통해 초등, 중등,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이 공통적으로 가르치기 어려운 단원으로 선정된 태양계의 행성운동 내용을 중심으로 스크래치를 활용한 천동설과 지동설 행성 운행 모델을 구현하는 경험을 하도록 하였다. 그 후 설문조사와 수업 발표를 토대로 테크놀로지의 수업도입에 대한 인식 변화 및 TPACK의 발달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의 TK, TCK, TPK 등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보였으며,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교수 자료 제작이 교사들의 내용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고, 학생들에게 관찰 현상에 맞는 모델 구성 능력을 길러주며, 정의적 영역에서도 긍정적인 교육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 KCI등재후보

        열린어린이집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부모 협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최은선,김경은 동명대학교 창의·인성연구소 2022 교육과 문화 Vol.4 No.2

        본 연구에서는 열린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부모 협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 열린어린이집 95개소에 근무 중인 열린어린이집 보육교사 27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중 272부의 설문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열린어린이집 교사의 교사효능감, 교사-부모 협력관계와 직무만족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열린어린이집 교사의 교사효능감, 교사-부모 협력관계가 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열린어린이집 교사의 교사효능감만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열린어린이집 교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교사중심으로 살펴보았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추후 연구에서는 열린어린이집의 긍정적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변인들을 포함하여 통합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국제 바칼로레아를 접목한 창의적 스토리텔링 교재 교육 효과 분석

        최은선,박남제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

        첨단 기술과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4차 산업 혁명 시대에는 단편적 지식의 습득으로 이루어진 3차 산업 시대의 교육에서 탈피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짐에 따라, 인간과 미래에 대해 깊이 사유하고 인류 전체에 기여할 수 있는 창의적 인간을 길러내는 교육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제주대학교 과학기술사회연구센터에서 개발한 『혼자서도 쉽게 하는 창의 스토리텔링』 교재에 접목된 창의적 스토리텔링 교수법 활용 교육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국제 바칼로레아 의 지향점에 따라 분석한 핵심 역량 및 평가를 도입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고찰하여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IB를 접목하여 제안된 핵심역량, 평가 기준 및 그 방안을 기존 수업에 유연하게 적용하여 활용의 기회를 확대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으로 국내 IB 도입에 긍정적 가능성을 여는데 도움이 되길 바라며, 나아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창의 융합 인재 양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ere the importance of cutting-edge technology and software is highlighted, there is a growing need for education to think deeply about humans and the future and foster creative human beings who can contribute to the whole of humanity. This paper proposes a plan to introduce core competencies and evaluations analyzed according to international Baccalaureate orientation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education using creative storytelling applied to the 『Creative storytelling class that is easy even by yourself』 textbook developed by the Science and Technology in Society Research Center at Jeju University. Furthermore, the proposed core competencies, evaluation criteria, and their measures were applied flexibly to existing classes by incorporating IBs to expand utilization opportunities. I hope this paper will help open up positive possibilities for introducing domestic IBs, and further fostering internationally recognized creative convergence talent.

      • KCI등재후보

        IT산업의 연구개발 지출에 대한 자본화가 이익관리에 미치는 영향

        최은선,김문태 한국회계정보학회 2017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17 No.2

        [Purpose]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s of capitalization of research and development(R&D) expenditures on earnings management in information technology(IT) firms. [Methodology]Earnings management is proxied by discretionary accruals(DAJ) estimated using the version of modified Jones(Dechow et al. 1995)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activities (RM) by Roychowdhury(2006). The test sample consists of 266 firm-year data with R&D expenditures, selected from the KOSPI listed companies of the fiscal year during 2005-2015. [Findings]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mean difference tests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the capitalization of R&D has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DA and RM. This means that the capitalization of R&D in information technology firms is related to the increasing earnings. [Implications]This study can contribute to suggesting the intention of boosting earnings through the capitalization of R&D in information technology firms that are greatly influenced by R&D activities. [연구목적]본 연구는 IT산업에서 연구개발 지출의 자산처리가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이익조정의 대용변수는 수정 Jones 모형으로 추정한 재량적발생액과 실질활동에 의한 이익조정 변수의 합계치를 활용하였다.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코스피시장에 등록되어 있는 12월 결산법인 중 연구개발 관련 지출이 있는 IT기업 266개 표본을 검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상관분석, 평균차이분석, 다중회귀분석 결과, 자산으로 회계처리된 연구개발 지출은 이익조정 변수에 유의한 양(+)의 설명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IT산업에서의 연구개발 관련 지출이 자산으로 처리될 경우, 이익의 상향조정과 관련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연구개발 지출이 기업의 존속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IT산업에 한정하여, 연구개발 지출의 자본화가 이익조정에 활용되었는지를 검증한 연구결과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초등 현직교원의 인공지능·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자격인증제도 지원 전략에 관한 논의 및 분석

        최은선,박선주,박남제 한국정보교육학회 2023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7 No.2

        본 논문은 디지털 인재양성을 위한 교원교육이 중요해짐에 따라 초등 현직교원의 인공지능(AI)·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하여 자격인증제도 지원 전략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논의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AI·디지털 관련 교원 자격인증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자격인증제도의 지원 전략을 일차적으로 수립했으며, 전국 현직교원 5000여 명을 대상으로 필요도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시행했고, 기술통계, t-test, ANOVA, 사후 분석을 통해 교원들의 응답을 분석했다. 교원들은 최소 평균 3.67 이상으로 필요도에 답했으며, 배경변인별 응답의 차이가 있었다. 교원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지원 전략을 중점, 세부과제로 구성하였으며, 전문가 15인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 결과는 내용타당도비율, 합의도, 수렴도, 안정도로 분석되었고, 교원과 전문가들의 주관식 응답은 텍스트 마이닝과 오피니언 마이닝을 통해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제안된 세부 전략은 체계적으로 구성되었으나 제도 도입 자체에 우려를 표했다. 따라서, 자격인증제도의 당위성 및 실효성에 관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본 논문은 디지털 100만 인재 양성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원 전략 관련 연구이며 향후 정책결정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 기초 연구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하이퍼 블렌디드 실천모델 기반 초·중등 창의 융합 교육 프로그램 평가도구 개발 및 적용 방안

        최은선,박남제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2

        다양한 학문을 넘나들며 새로운 지식과 관점을 창의적으로 추구하는 역량은 21세기 융복합시대를 살아가기 위 한 기초적 소양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다양한 창의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따라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 또한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초·중등학생 대상 창의 융합 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도구로 하이퍼 블렌디드 실천모델에 기반하여 자기 평가, 동료 평가, 창의성 평가, 자기 성찰도구를 제 안하였다. 개발된 평가도구는 타당도 검사를 통해 2개 문항을 수정하고 4개 문항을 삭제하여 보다 완성된 평가도구의 개발을 꾀했다. 또한, 평가도구는 전국 초·중등학생 596명을 대상으로 적용되었으며, 적용 결과는 일원배치 분산분석 과 워드클라우드를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자기 평가와 자기 성찰도구는 학년군에 따른 문항 개발이 필요할 것 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변화하는 교실 환경 속 원격 수업이나 여러 교육 활동에서 본 평가도구를 활용하기를 제안한 다. 본 논문을 통해 창의 융복합 교육을 위한 평가체계 및 도구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기 바란다. The ability to creatively pursue new knowledge and perspectives across various disciplines has established itself as a basic literacy for living in the 21st-century convergence era.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creative education programs, assessment tools that can objectively and systematically evaluate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are also required. Therefore, this paper proposed the self assessment, peer assessment, creativity assessment, and reflection tool based on the hyper blended practical model as assessment tools for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developed assessment tools attempted to develop more completed evaluation methods by modifying two items and deleting four items through validity tests. In addition, the evaluation tool was applied to 596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nationwide, and the application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one-way ANOVA and Wordcloud syst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elf assessment and the reflection tool need to develop questions according to the grade group. In addition, we proposed to use these assessment tools in blended classes or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changing classroom environment. We hope that this paper provide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evaluation systems and tools for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