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원전 증기발생기 수실 내 에너지 스펙트럼을 고려한 MOSFET 방사선검출기 선량보정인자 결정에 관한 몬테칼로 전산모사 연구

        최상현,김찬형,조성구 대한방사선방어학회 2006 방사선방어학회지 Vol.31 No.4

        국내에서는 현재 물리적 인형 모의피폭체와 수십 개의 소형 MOSFET 선량계를 이용하여 유효선량(Effective Dose)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 중에 있다. 이때 사용되는 MOSFET 선량계는 그 크기가 매우 작으며, 상대적으로 높은 민감도를 가지고 선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검출부위가 조직등가 물질이 아닌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있어 저에너지 광자에 대하여 적절한 보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몬테칼로 전산모사 방법을 사용하여 증기발생기 수실 내부의 에너지 스펙트럼에 대한 MOSFET 선량계의 선량보정인자 값들을 계산하였으며, 이렇게 계산된 보정인자 값들을 선행 연구에서 구한 값, 즉 0.662 MeV와 1.25 MeV의 광자만을 이용하여 구한 선량보정인자 값들과 비교하여 보았다. 비교 결과, 두 서로 다른 조건에서의 선량보정인자들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1.5%), 따라서 선행 연구에서 구한 선량보정인자들을 원자력발전소의 증기발생기 수실에 그대로 적용하여도 큰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증기발생기 수실에 대하여 결정된 선량보정인자들을 실측된 MOSFET 선량계의 선량값들에 적용하여 선량보정에 따라 유효선량이 어느 정도 변화하는 가를 확인한 결과, 유효선량은 선량보정인자를 적용할 경우가 적용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 약 7% 정도 낮게 평가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MIMO 레이다 환경에서 Polar Format Processing 기반 이동표적 이미징

        최상현,양훈기 한국전자파학회 2019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30 No.2

        This study presents an imaging algorithm that can provide an image of a moving target in a multiple-input–multiple-output radar environment where multip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ars are fixed on the ground. The proposed algorithm, which is based on polar format processing using plane wave approximation, is shown to provide an unaliased image by using multiple transmitting radars even when the distances between the receiving radars are relatively large. We derive the conditions necessary to deploy the transmitting radars by which the resolution of the reconstructed image can be improved, while simultaneously reducing aliasing artifacts. Moreover, we offer a means of separating out each transmitting radar target echo. Finall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ystem is verified through a simulation.

      • KCI우수등재

        아연제련공정 침전물 중 미반응 아연의 자력선별 회수를 위한 니켈 세멘테이션

        최상현,Tam Thi Nguyen,유경근 한국자원공학회 2018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5 No.2

        아연제련공정 중 코발트 제거를 위해 세멘테이션을 이용한 정액공정을 실시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침전물은 코발트뿐만 아니라 안티몬, 구리 그리고 아연을 포함한다. 아연은 코발트의 안정적인 제거를 위해 과량 투입 하기 때문에 침전물 중 미반응 상태로 많이 남게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미반응 아연을 회수하기 위한 자력선별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아연정광 침출 모사액([Zn]=150 g/L, [Sb]=[Co]=10 mg/L, [Cu]=200 mg/L)에 강자성체 인 니켈 성분을 포함시킨 후 아연 분말을 투입하는 세멘테이션을 실시하여 니켈 성분을 포함하는 침전물을 생성시켰 다. 니켈의 초기 농도가 120 mg/L일 경우 자력선별이 불가능하였지만 초기 농도를 240 mg/L로 증가시키고 pH를 3.3-3.7, 온도를 85°C로 유지하며 30분간 세멘테이션을 실시하고 침전물을 자력선별한 경우, 자착물로 53.4% 니켈, 56.7% 구리, 48.2% 코발트, 57.0% 안티몬과 11.9%의 아연을 회수하고 비자착물로 88.1%의 아연을 농축시킬 수 있었다. A purification process using cementation to remove Co ions in the course of Zn metallurgy process generated precipitate containing Cu, Sb, Zn as well as Co. Because an excess amount of Zn is generally added to the cementation process to guarantee the Co removal, this study used a magnetic separation process to recover unreacted Zn powder. Nickel was added to simulated Zn leach solution ([Zn]=150 g/L, [Co]=[Sb]=10 mg/L, [Cu]=200 mg/L) and the precipitate with Ni component was generated by adding Zn powder to the solution. When the concentration of Ni was 120 mg/L, no magnetic separation of the precipitates was observed. In contrast, after the concentration of Ni increased to 240 mg/L, when the cementation test was performed for 30 minutes at 85°C and pH 3.3-3.7, and then precipitates were separated with a magnet, 53.4% Ni, 56.7% Cu, 48.2% Co, 57.0% Sb, and 11.9% Zn were recovered in the magnetic fraction, whereas 88.1% Zn was concentrated in the non-magnetic fraction.

      • KCI등재

        산지전용허가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실제 운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최상현,김은진,남주희,우종춘 강원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2014 Journal of Forest Science Vol.30 No.1

        This study was tried to find out the applicability of decision support system for forest land use conversion, which developed based on algorithm for forest land-use conversion. Decision support system developed by Ministry of Safety Administration is free from the existing licensed laws omission. And it made the input requirements for each value of the final result so that you can determine whether the permit was available by the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the algorithm for forest land use conversion. Also, in order to do field surveys, equal sampling interval method is used to extract samples for the operabilit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ctual area. As a result, 88 areas of total 100 areas are able to get permission by the decision support system for forest land use conversion, and it means if there is enough data with sufficient research, it can make the availability permits easily.

      • KCI등재

        국내 선형가속기의 포괄적인 품질관리체계에 대한 제언

        최상현,박동욱,김금배,김동욱,이재기,신동오,Choi, Sang Hyoun,Park, Dong-wook,Kim, Kum Bae,Kim, Dong Wook,Lee, Jaiki,Shin, Dong Oh 한국의학물리학회 2015 의학물리 Vol.26 No.4

        미국의학물리학회는 포괄적인 방사선치료기기의 품질관리를 위한 작업그룹(Task Group: TG) 40 보고서를 1994년 발표한 이후로 세기조절방사선치료, 정위적방사선치료, 및 영상유도방사선치료 등의 고정밀 방사선치료를 포함한 선형가속기에 대한 품질관리를 권고하기 위해 2010년에 AAPM TG-142를 발간하였다. 그리고 최근 국내에서도 최신 치료기법에 대한 품질관리의 필요성에 따라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원자력안전위원회고시 제2015-005호 "의료분야의 방사선안전관리에 관한 기술기준"을 발표하였다. 원자력안전위원회고시에는 각 의료기관에서 품질관리전문인력을 두어 품질관리 조직 및 직무, 품질관리에 필요한 장비, 품질관리 방법/주기/관리오차 및 관리오차 초과 시 조치방법 등에 대한 내용이 포함된 품질관리절차서를 수립하고 품질관리를 수행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의료기관에서는 3차원 입체조형방사선치료, 세기조절방사선치료, 정위적방사선치료 등과 같은 방사선치료유형별(Non-IMRT, IMRT, SRS/SBRT)로 방사선치료기기에 맞는 품질관리 항목, 주기 및 관리오차를 설정하고, 적절한 품질관리 장비 등을 사용하여 기관의 실정에 맞게 품질관리를 수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국내에는 선형가속기의 체계적인 품질관리를 구축할 수 있는 지침서나 학회 보고서 등이 미비하여 현재 각 의료기관별로 각기 다른 품질관리의 항목, 주기 및 관리오차를 설정하여 품질관리를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방사선치료의 안전성 및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원자력안전위원회 고시 및 TG-142에 기반한 국내 실정에 적합한 선형가속기에 대한 품질관리체계 구축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선형가속기에 대한 품질관리 체계는 다른 고정밀 방사선치료기기 등의 품질관리 체계 구축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merican Association of Physicists in Medicine (AAPM) Published Task Group 40 report which includes recommendations for comprehensive quality assurance (QA) for medical linear accelerator in 1994 and TG-142 report for recommendation for QA which includes procedures such as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IMRT), stereotactic radiosurgery (SRS) and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 in 2010. Recently,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NSSC) published NSSC notification no. 2015-005 which is "Technological standards for radiation safety of medical field". This notification regulate to establish guidelines for quality assurance which includes organization and job, devices, methods/frequency/tolerances and action levels for QA, and to implement quality assurance in each medical institution. For this reason, all of these facilities using medical machine for patient treatment should establish items, frequencies and tolerances for proper QA for medical treatment machine that use the techniques such as non-IMRT, IMRT and SRS/SBRT, and perform quality assurance. For domestic, however, there are lack of guidelines and reports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ists (KSMP) for reference to establish systematic QA report in medical institutes. This report, therefore, suggested comprehensive quality assurance system such as the scheme of quality assurance system, which is considered for domestic conditions, based the notification of NSSC and AAPM TG-142 reports. We think that the quality assurance system suggested for medical linear accelerator also help establishing QA system for another high-precision radiation treatment machines.

      • S-97 : 대장 내 표피하 종괴에서 발견된 표피낭종

        최상현,김성훈,김연수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3 No.1

        표피낭종은 진피 내에서 표피세포가 증식하여 형성되는 양성 종양으로 원인으로는 외상, 수술, 피어싱, Gardner`s syndrome, HPV 감염 등에 의해 발생한다. 호발연령은 20-30대이나 생애 어느 나이에서도 발생가능하다. 이중 Gardner`s syndrome의 경우 평균적으로 13세에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증상은 없으나 감염이 동반되는 경우 통증이 있을 수 있으며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구강 내에 발생하는 경우 연하곤란, 발성에 장애가 올 수 있으며, 외부생식기에 발생하는 경우 성교통, 배뇨곤란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신체검진에서 단단하며 유동성의 종괴로 만져질 수 있으며, 치즈 양상의 분비물을 확인할 수 있고, 피하 종괴를 확인할 수 있다. 증상이 없을 경우에는 치료는 필요 없으며, 감염의 소견이 없는 경우 triamcinolone 주입해 볼 수 있고, 감염의 소견이 있는 경우 절개와 배농을 시행하고 경구용항포도상구균 항생제 투여가 필요하다. 치료 후에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수술적 제거가 필요하다. 53세 여자 환자 과거력상 당뇨, 우울증이 있었으며 한 달 전부터 오심, 회음부에 혹이 만져진다 하여 내원했고 대장내시경에서 표피하종양 의심되어 경질적 적출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얻은 조직에서 시행한 조직 생검 결과 표피낭종과 만성 염증이 동반된 것으로 나왔다. 저자들은 대장내시경에서 표피하종양 확인되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표피하종괴 감별진단으로 표피낭종을 생각해봐야 함을 보여주는 증례라 판단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 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