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어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예비교사의 교수역량 배양에 관한 사례연구: 온라인 플랫폼 활용을 중심으로

        조형숙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2 교육발전 Vol.42 No.1

        Improving pedagogical competence of English pre-service teachers(PSTs), a college course of ‘Understanding and Teaching of Underachieving English Language Learners(U-ELLs)' was designed. It consists of 3 stages: 1) understanding U-ELLs, 2) teaching U-ELLs, and 3) evaluation and reflection. During the stage of understanding U-ELLs, PSTs participated in a workshop about online platform Classcard, micro-teaching with Classcard, and preparing 3-week teaching plans and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second stage, the PSTs taught U-ELLs through a one-on-one English tutoring program. After completing 3-week tutoring, the PSTs and U-ELLs evaluated their learning experiences. The survey results were compared to those of Cho(2018). The teaching logs and reflective journals, written by the participating PSTs, showed that utilizing online platform was useful for teaching U-ELLs but that PST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being familiar with the various functions of online platform and in effectively utilizing the platform according to learning environments and leaner factors. Also,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at realizing the importance of online platform while tutoring U-ELLs, PSTs explored teaching methods and their career paths. This paper provides suggestions for teacher educators to improve PSTs’ pedagogical competences to support U-ELLs for English basic competency. COVID-19로 인하여 대면수업이 어려워짐에 따라, 기초학력 미달 학습자가 증가하였고, 영어과 예비교사들은 학습자의 기초학력을 보장할 수 있도록 교수역량 배양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를 위해 ‘영어학습부진아 이해와 지도’ 과목을 개설하고 ① 영어학습부진아 이해, ② 영어학습부진아 지도, ③ 성찰과 평가 세 단계로 구성된 교육과정으로 운영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는 온라인 플랫폼 클래스카드 실습, 수업시연, 교육과정 설계, 학습 자료 제작 후, 영어 기초학력 미달 중학생을 3주간 1:1로 멘토링하였다. 중학생과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진행된 평가회에서 수집된 설문조사의 결과는 조형숙(2018)의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예비교사의 교수 일지와 최종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에게 온라인 플랫폼 활용이 유용하지만 플랫폼의 기능을 익히기 어려웠고 학습 환경 및 학습자 특성에 따라 활용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고 보고하였다. 예비교사는 영어 멘토링을 진행하면서 온라인 플랫폼의 중요성을 깨닫고 예비교사로서 영어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교수법을 고민하며 진로를 탐색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 기초학력을 보장하기 위해 어떻게 예비교사의 교수역량을 배양할 것인지 제안을 덧붙였다.

      • KCI등재

        어린이과학관 전시 콘텐츠 분석 : 서울 및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조형숙,최인욱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4 유아교육학논집 Vol.28 No.2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어린이과학관 내 전시 콘텐츠를 분석하여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한계점과 대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에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4개의 전시 콘텐츠 분류 기준을선정하였다. 연구자는 2022년 7월 25일부터 약 7주간 서울 ․ 경기 지역의 5개 어린이과학관을 정하고현장방문과 사진촬영을 통해 전시 콘텐츠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후 검토 과정을 거쳐 182개의 전시 콘텐츠가 최종 선별되었다. 분류 기준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교육 내용별 분석에서는 물리, 생물 비중이 높고 지구과학과 화학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과학과정 기술별 분석 결과 관찰이 가장 많은 빈도로 나타났고, 그다음은 예측, 측정, 분류 순이었다. 셋째, 관람 방식별 분석에서는 관찰형, 단순 조작형, 설명형, 체험 및 탐험형의 비율이 높고 역할놀이형, 센서 인식형은 낮게 나타났다. 넷째, 자연탐구영역 관련 요소로 분석한 결과 생활 속에서 탐구하기, 탐구과정 즐기기의 비중이높고 자연과 더불어 살기는 낮은 비율을 보였다. 본 연구는 비형식 교육의 기능을 담당하는 어린이과학관의 전시 콘텐츠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유아과학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exhibition contents of children’s science museums and suggesting limitations and alternatives. Four classification criteria for exhibition content were selected based on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Researchers selected five children’s science museum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and collected exhibition content data through on-site visits and photographs for about seven weeks from July 25, 2022. Subsequently, 182 exhibition contents were selected through a review proces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analysis of science education content, the proportion of physics and biology was high, whereas that of earth science and chemistry was relatively low. Second, the analysis of science process skills revealed that observation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skill, followed by prediction, measurement, and classification. Third, in the analysis of viewing method, the ratio of observation, simple operation, explanation, experience and exploration was high, whereas that of role-play and sensory recognition was low.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factors related to nature exploration areas, the proportion of exploring everyday life and enjoying the exploration process was high, and the proportion of living harmoniously with nature was low.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provides basic data for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by analyz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exhibition content in the children’s science museums, which is important in inform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만 3, 4, 5세 유아의 동물에 대한 질문 탐색

        조형숙,김남연,문가영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0 생태유아교육연구 Vol.9 No.3

        This study investigated young children's interests in animals by examining their questions about animals. In order to collect data,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36 times with a total of 241 young children. The researcher showed living animals to young children and encouraged them to ask questions by themselves. The animals used were the rhinoceros beetle, hedgehog, and snail. The number of questions on animals collected from the group interviews was 2,105 and they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into 9 categories and respective subcategorie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the questions and the differences in the contents of the questions were caused by age and gender. 본 연구는 만 3, 4, 5세 유아의 동물에 대한 질문을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동물에 대한 관심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구성주의 접근에 기초하여 유아의 관심을 반영한 동물탐구 활동의 계획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9년 8월초부터 9월 말에 거쳐 이루어졌으며 유아교육기관을 방문하여 만 3, 4, 5세 유아 241명을 대상으로 36회의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2,105개의 동물에 대한 유아의 질문을 분석하여 총 9개의 범주와 각각의 하위범주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에서는 범주에 따른 질문 내용의 빈도를 보여주고, 연령과 성별에 따라 질문에서 나타난 차이를 비교하고 있다.

      • KCI등재

        협동적 실내정원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생명존중태도와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형숙,김정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협동적 실내정원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생명존중태도와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 56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28명, 비교집단 28명으로 나누었으며, 실험집단에는 주1회씩 12회에 거쳐 실내정원가꾸기 활동을 실시하였고, 생명존중태도는 김귀순(2001)과 배용철(2003)이 사용한 질문지를 유아수준에 맞도록 수정한 것을, 친사회적행동은 Mcginnis와 Goldstein(1990)의 기술상황척도(skill situation measures)를 이원영 외(1993)가 번안, 발췌, 수정하여,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검사도구로 제작한 것을 검사도구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협동적 실내정원가꾸기 활동은 생명존중태도와 친사회적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로 볼 때, 협동적 실내정원가꾸기 활동은 생명존중태도와 친사회적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유아로 하여금 자연을 보다 가까이 접하고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생명을 존중하고,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고 대인관계를 형성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s of cooperative indoor gardening activities on children’s respectful attitude of life and pro-social behaviors. Therefore, this study, which selected 56 children and divided them equally into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test group, performed indoor gardening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cooperative indoor gardening activities affected positively respectful attitude of life and pro-social behaviors,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findings, cooperative indoor gardening activities influenced positively respectful attitude of life and pro-social behaviors, and made children approach nature more closely and actively, implies that the activities provide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 to respect life, control their emotion, and form interpersonal relations.

      • KCI등재
      • KCI등재

        Literacy Practices and Social Identities of Biracial Multicultural Children

        조형숙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5 언어와 문화 Vol.11 No.2

        With the advent of growing population of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literacy practices and identity construction of biracial multicultural children who enroll in an authorized multicultural school. I selected three biracial elementary children: an American Korean girl, a Vietnamese Korean boy, and a Jordanian Korean boy.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writing samples were colle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is study depended on thematic analysis throughout coding and comparative analysis. To capture the power dynamics and social relations, this qualitative study employs sociocultural perspectives and represents three participants’ literacy practices. Findings show that the American Korean student received sufficient feedback from teachers while multicultural children of minoritized languages did not have teachers’ help for biliteracy. Using the social theories of subjectivity, linguistic capital, and addressivity, I discussed how linguistic capital affects literacy learning in different positions and how literacy practices construct their identities in different time and space. Lastly, I propose the importance of the diversity model in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유아-아동의 여가활용 실태 및 요구 조사

        조형숙,권혁인,백소영,김정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학논집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effective plans by surveying the current status and demands for leisure use of kindergarten-age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questionnaires were operated to the subjects of 226 5-years old children and 207 elementary school children between first and second grades.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current status of practice for leisure use indicat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ype of leisure activities by ages and gender. In particular, it showed that the older children and boys were spending more time with electronic games. Furthermo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views of leisure, the spending of electronic game time, and leisure time. In the demand for leisure us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reference for a particular kind of leisure activity and positive effects from leisure. However, who spends leisure with and how much leisure is needed turned to differ by age. 본 연구는 유아-아동의 여가활용 실태 및 요구를 알아보고 여가활용 개선을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의 만 5세 유아 226명과 초등학교 1,2학년 아동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여가활용 실태’의 경우, 연령, 성별에 따라 유아-아동이 현재 하고 있는 여가활동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연령이 높을수록, 남아일수록 전자게임을 하는 시간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가에 대한 인식, 전자게임 활동시간(닌텐도, 휴대폰), 여가가 주는 즐거움은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여가활용 요구’의 경우, 연령, 성별에 따라 여가활동의 선호도, 여가가 주는 도움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여가의 필요도와 여가를 함께 보내고 싶은 사람에 대해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

        장애이해교육의 구성과 운영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

        조형숙,이효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학논집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which is maintained in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in a practical early childhood curriculum. Moreover, it is to find out what effects the level of teachers' perception in composing the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on variables which affects teacher's perception. For an optimal examination, 253 teachers from 33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which are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were surveyed. First, as a result of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the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was mainly operated in the area of social relationship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It was managed in a large group of 5 year old children. Moreover, it has been discussed more frequently when the topic of daily life was about family and neighborhood. The approach was an understanding-centered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The activity form was mainly a conversation activity and a discussion activity was used as an educational method. Secondly, as a result of teacher's perception on the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the activity form was reading story books and doing dramatic plays. In addition. reading picture books was another way of learning the education. The scope of the education was respecting the diversity and inspiring the positive behavior. By experiencing the inclusion educ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familiarity, understanding, necessity and satisfaction of the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In particular, the co-relation between familiarity and understanding was somewhat meaningful.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장애이해교육의 구성 및 장애이해교육의 운영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에 소재한 33개 유아교육기관의 유아 교사 2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먼저 유아교육기관 장애이해교육의 운영 실태를 본 결과 관련 교육과정은 사회생활영역, 생활주제는 가족과 이웃, 만 5세 유아를 대집단으로 구성하여 실시하는 교사들이 가장 많았으며, 접근법은 이해중심의 장애이해교육, 활동형태로는 이야기나누기 활동, 교육방법으로는 이야기나누기 및 토의하기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이해교육활동 구성에 관한 유아 교사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활동형태로는 동화 및 동극 활동, 교육방법은 장애 관련 그림책, 교육내용 범위는 다양성 존중과 긍정적 태도 고취가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통합교육 실시경험에 따라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친숙함, 이해도, 필요성, 만족감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 가운데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친숙함과 이해도의 상관관계가 다소 유의미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