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안정 애착과 우울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기용서와 타인용서의 매개효과

        정주리,김은영 한국상담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1 No.4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forgivingness of self and other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depression, and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life satisfaction. A total of 265 college students (143 males and 122 females) participated in a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two dimensions of insecure attachment, anxious attachment and avoidant attachment, negatively predicted forgivingness of self and others. Self-forgivingness negatively predicted depression, and positively predicted life satisfaction. However, forgivingness of others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depression or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self-forgiving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depression, and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imply that those with insecure attachments are less likely to forgive themselves, which could contribute to higher levels of depression and lower levels of life satisfaction. As such,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those with insecure attachments to enhance self-forgivingness may be beneficial. 본 연구는 불안정 애착과 우울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기용서와 타인용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65명(남학생 143명, 여학생 122명)이 성인애착, 우울, 삶의 만족도, 자기용서, 타인용서를 측정하는 척도로 구성된 설문조사에 응답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불안정 성인애착의 두 차원인 애착불안과 애착회피 모두 자기용서와 타인용서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자기용서는 우울에 부적 영향을, 삶의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타인용서는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불안정 애착과 우울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는 자기용서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불안정 애착을 가진 사람들의 경우, 자신의 잘못을 스스로 용서하는 경향이 낮으며, 그로 인해 높은 우울감, 낮은 삶의 만족도를 느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불안정 애착을 보이는 사람들의 심리적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스스로의 잘못을 바로잡는 책임감은 느끼되, 자신을 이해하고 너그럽게 용서할 수 있는 치료적 개입을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상담자의 자기자비가 공감능력, 자기효능감,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연령과 상담자경력을 조절변인으로

        정주리,임채원,최승애,이유정,김은영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2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lf-compassion on empathy, self-efficacy, and burnout with moderating effects of age and counseling experience in a sample of counselors. Data were collected from 108 counselors working in a variety of settings across the country. The results of correlational analysis indicated that self-compass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age, counseling experience, empathy, and self-efficacy, but nega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self-compassion had a main effect and an interaction effect with age on empathy. In addition, both counseling experience and self-compassion had a main effect, and self-compassion and age had an interacting effect on self-efficacy. Furthermore, both age and self-compassion had a main effect on burnout. In sum, self-compassion predicted counselors’ empathy, self-efficacy, and burnout, and age moderated the effects of self-compassion on empathy and self-efficac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clinical ap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상담자들을 대상으로 연령과 상담자 경력을 조절변인으로 하여 자기자비가 상담자들의 공감능력, 자기효능감,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국의 다양한 상담센터에서 일하고 있는 상담자 108명으로부터 수집된 설문자료가 분석되었다. 먼저 상관분석 결과, 자기자비는 상담자의 연령, 상담경력, 공감능력,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정적관계, 소진과는 부적관계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자기자비는 상담자의 공감능력을 예측하는 데 주효과 및 연령과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상담자의 자기효능감을 예측하는 데는 상담자의 상담경력, 자기자비의 주효과 및 자기자비와 연령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담자의 소진을 예측하는 데 연령과 자기자비의 주효과가 나타났다. 즉, 자기자비는 상담자의 공감능력, 자기효능감, 소진을 예측할 뿐만 아니라, 연령은 자기자비가 상담자의 공감능력과 자기효능감을 예측하는데 조절변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상담 및 후속연구에 갖는 의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Salmonella typhimurium의 금속이온에 대한 유전적 반응

        정주리,박경량,고상균,박용근,이인수,Jung, Ju-Ri,Park, Kyeong-Ryang,Koh, Sang-Kyun,Park, Yong-Keun,Lee, In-Soo 한국생명과학회 1998 생명과학회지 Vol.8 No.2

        Metal ion-induced and it’s regulatory genes were screened in virulent salmonella typhimurium UK1 and tested cross-regulation with various stresses. Using the techniqud of P22-MudJ(Km, lacZ)-directed lacZ operon fusion, LF40 cuiA::MudJ and Lf153 cuiD::MudJ which were induced by copper were selected. cuia and cuiD were determined anaerobic coper inducible and copper tolerance response gene, respectively. Also cuiA and cuiD locus were determined at 81 and 8min, respectively, on salmonella Genetic Map. The two regulators were identified as cuaR, and cudR, which controls cuiA and cuiD, respectively. cuaR, and cudR appeared as negative regulators because the expression of cuiA-lac-Z and cuiD-lacZ were increased. Copper adapted UK1 showed high resistance to H$_{2}$O$_{2}$, but cuiD did not. The product of the cudR locus was responsible for decreasing the tolerance to copper and H$_{2}$O$_{2}$. Furthemore cuiA and cuiD locus were found to be part of a regulon under the control of a trans-acting regulators, rpoS, oxyR and relA.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 CTR participate with oxidative stress on Salmonella.

      • KCI등재

        ‘-주다’ 형식의 구문과 의미

        정주리 한국어의미학회 2006 한국어 의미학 Vol.19 No.-

        Jeong Ju-ri. 2006.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Juda’ Construction. This thesis is to analysis the meaning of ‘-주다’ by the Construction Grammatical approach. Constructions have typical frame meaning of verbs in sentences. There are three constructions related wih ‘-주다’ verb combination. That is, Dative construction, transitive construction, intransitive construction. We examined closely the meaning and function of ‘-주다’ verb combination in three constructions. The ‘-주다’ meaning of dative construction is typical ‘Giveness(수여성)’ which is similar to central meaning ‘주다’ of main verb. The usage of ‘-주다’ in Transitive construction is to convey ‘latent giveness’ because the dative argument do not realized in the sentence. ‘Latent goal’ arguments depend on semantic and pragmatic context. The third usage of ‘-주다’, intransitive construction has the meaning that contained a speaker’s beneficient. And there are still more usage of ‘-주다‘ verb combination. One is concerned about idiom. the other is polite rhetoric.

      • KCI등재

        성별과 성역할 고정관념에 따른 진로타협 과정에서 선호도 차이

        정주리,이기학 한국여성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2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areer compromise processes of university students by compar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sex type, social prestige, and interests based on Gottfredson's (1981) theory. A total of 370 undergraduates (237 males and 131 females) at two large universities in Seoul, South Korea participated in return for extra credit in their introductory psychology classes. The results of repeated measures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ve importance among three Gottfredson compromise aspects. Even though both men and women placed the greatest importance on social prestige, men seemed to sacrifice interests for higher social prestige, but women did not.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sex-role stereotype on the career compromise processes. Interests were preferred to sex type for students with lower levels of sex-role stereotype, but not for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sex-role stereotype.

      • KCI등재

        선행조직자 유형 및 작동기억이 영어 듣기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정주리,김회수 한국교육방법학회 2010 교육방법연구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선행조직자 유형 및 작동기억이 영어 듣기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G시 K 여고 2학년 123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처치 전에 작동기억 검사를 실시하였고, 세 집단으로 나눠 서로 다른 선행조직자(그림, 핵심어구, 개념도)를 제공하는 학습을 실시했다. 듣기 학습과제는 언어정보 유형과 원리 · 법칙 유형으로 나누어 제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선행조직자 집단과 개념도 선행조직자 집단이 핵심어구 선행조직자 집단보다 영어 듣기 학업성취가 높았다. 둘째, 언어정보 듣기 과제에서 작동기억 상 · 하 집단 간 듣기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원리 · 법칙 듣기 과제에서 작동기억 상 · 하 집단 간 듣기 학업성취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언어정보 듣기 과제에서 작동기억과 선행조직자 유형의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 KCI등재

        문법교과서의 내용 개발을 위한 연구- 중학교 <생활 국어> ‘음운과 음절’ 단원을 중심으로

        정주리 한국국어교육학회 2006 새국어교육 Vol.0 No.72

        This thesis is a proposal for a better contents for Grammar textbook. Grammar textbook has an important role in grammar education. Both students and teachers contact directly to their mother language knowledge by studying grammar textbook. Grammar researchers and instructers should keep in mind that a better textbooks can maintain a student's motivation and desire for their language knowledge. Grammar textbook writers have to make useful grammar books which are centered on users, not grammar knowledge itself. I suggest three principals which can make up the recent grammar textbooks. First, Grammar textbooks have to motivate student's latent language competence. Second, the contents of grammar books are connected each other. And third, Grammar textbooks have to supply proper knowledge which will improve daily language skill in actual situation. At last this thesis shows an model grammar syllabus for one unit, especially for korean phoneme and syllables. 이 논문은 국어 문법 교과서의 내용 개발을 위해 내용선정의 기준을 모색하고 이를 적용한 실제 학습 단원 모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문법교과서는 문법 교육에서 그 성패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도구이다. 학습자와 교사는 문법 교과서를 통해 국어의 지식을 학습한다. 그러나 모국어에 대한 지식은 내재된 지식으로서, 모국어 화자들에게는 완전히 생소한 지식이 아니다. 문법 교과서의 내용을 구성할 때 이러한 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고 잠재지식을 활용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여야 한다. 또한 각 단원의 내용 사이에는 연계가 잘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또한 일상의 언어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제적인 문법지식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문법교과서에서 다루는 지식은 지식 자체로 의미가 있는 것이기보다는 기능적 실효성을 갖는 지식으로 가공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관점을 반영하여 문법 단원 중에서 ‘음운과 음절’에 대한 단원 모형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순환교대근무와 주간고정근무 여성 간호사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스트레스, 수면, 우울증의 영향

        정주리,권혁민,김태형,최말례,은헌정,Jeong, Ju Li,Kwon, Hyuk Min,Kim, Tae Hyung,Choi, Mal Rye,Eun, Hun Jeong 대한수면의학회 2019 수면·정신생리 Vol.26 No.2

        목 적 : 건강한 수면은 중요하며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대근무 간호사와 주간 고정 근무 간호사 두 집단에서 회복탄력성의 차이를 비교하고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두 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만 20세 이상의 여성 교대근무 간호사와 주간고정근무 간호사 4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7년 6월 12일부터 2018년 6월 12일까지 설문조사하였다. 한글판 스트레스 자각척도, 스트레스 대처전략 축약형, 사회심리적 건강측정도구,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 상태불안척도,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 엡워스 주간졸음 척도, 불면증 심각도 척도, 코너 데이비슨 리질리언스 척도 질문지를 적용하였다. 결 과 : 교대근무간호사와 고정근무간호사 두 집단 간의 변수 통계량을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자각, 수면의 질, 주간 졸음증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회복탄력성과 유의한 상관을 보인 요소들은 근무자들의 스트레스 대처전략, 사회 심리적 건강수준, 우울증, 불면증 심각도 이었다(p < 0.05). 다중회귀분석에서는 긍정적 재구성1이 커질수록(β = 0.206, p < 0.001), 우울증이 줄어들수록(β = -3.45, p < 0.001), 사회심리적 건강수준이 높아질수록(β = 0.193, p < 0.001), 수용적 대처2가 증가할수록(β = 0.129, p < 0.05), 주간졸음이 줄어들수록(β = -1.17, p < 0.05), 적극적 대처2가 증가할수록(β = 0.118, p < 0.05), 긍정적 재구성2가 증가할수록(β = 0.110, p < 0.05) 회복탄력성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교대근무자에 비해 주간고정 근무자의 회복탄력성이 높음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특정 스트레스 대처 전략과 사회심리적 건강수준, 수면, 우울증이 회복탄력성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더 많은 수면과 회복탄력성과의 관계를 밝히는 전향적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Healthy sleep is important and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resilience between two group nurses in rotating shift and daytime fixed work schedules and to investigate stress perception, coping factors, social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sleep factors that may affect resilience. Methods: A total of 400 female nurses having rotating shift and daytime fixed work schedules at two hospitals was surveyed from June 12, 2017 to June 12, 2018. All participants completed perceived stress scale (PSS), stress coping short form (Brief COPE), psycho-social wellbeing Index short form (PWI-SF) or general health questionnaire-18 (GHQ-18),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STAI-X-1 in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insomnia severity index (ISI), Conner 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o the results of the final 373 questionnaires of 400 nurses in two general hospitals. Results: Comparing the variable statistics between the two groups of rotating shift and daytime fixed work nurs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variables except perceived stress, sleep quality, and daytime sleepiness. Factors that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esilience were stress coping strategies, depression, and insomnia severity (p < 0.001).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larger positive reframing1 (β = 0.206, p < 0.001), severe less depression (β = -3.45, p < 0.001), and higher psychosocial health (β = 0.193, p < 0.001). As acceptance coping2 increased (β = 0.129, p < 0.05), as daytime sleepiness decreased (β = -1.17, p < 0.05), and as active coping2 increased (β = 0.118, p < 0.05), as the positive reframing2 increases (β = 0.110, p < 0.05), the resilience increased. Conclusio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resilience was higher in daytime fixed workers than in shift workers. In addition, specific stress coping strategies, psycho-social health, sleep, and depression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resilience.

      • KCI등재

        한국판 대인관계 마음챙김 척도 타당화 연구

        정주리 한국상담학회 2023 상담학연구 Vol.24 No.4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Interpersonal Mindfulness Scale developed by Pratscher et al (2019) to measure mindfulness that occurs in interpersonal interactions as the Korean version of the Interpersonal Mindfulness Scale (K-IMS). The sample included Korean adults, including counseling major students and counselors. Data collected from 402 Korean adults (166 males and 236 females, 305 non-counselors and 97 counseling major students and counselors)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e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found that the K-IMS has four factors (presence, awareness, nonjudgmental acceptance, and nonreactivity) as appropriate as the original scale. However, unlike the 27 item original scale, the K-IMS was found to be more appropriate with 23 items. The K-IMS generally demonstrated appropriate reliability. I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rait mindfulness, social connectedn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negatively related to anxious attachment, avoidant attachment, anxiety, and depression. Furthermore, even if the influence of trait mindfulness was controll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other variabl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erefore the concurrent validity of K-IMS was confirmed. In addition, the results of linear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interpersonal mindfulness and trait mindfulness were found to have differences in predicting mental health and interpersonal variabl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K-IMS is a useful tool for measuring mindfulness that occurs in interpersonal interactions and highlight the uniqueness of interpersonal mindfulness compared to trait mindfulness. The study discussed its limitations and provide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이 연구는 대인관계 상호작용에서 일어나는 마음챙김을 측정하기 위해 Pratscher et al.(2019)이 개발한 대인관계 마음챙김 척도를 국내 일반성인 및 상담전공자, 상담자들을 대상으로 한국판 대인관계 마음챙김 척도로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국내 성인 402명(남 166명, 여성 236명; 일반 성인 305명, 상담전공생 및 상담자 9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판 대인관계 마음챙김 척도는 원척도와 마찬가지로 4요인 구조(현존, 인식, 비판단, 비반응)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7문항인 원척도와는 달리 한국판 척도는 23문항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판 대인관계 마음챙김 척도는 대체로 양호한 신뢰도를 나타내었고, 특성 마음챙김, 사회적 유대감, 정서지능과 유의한 정적관계를, 애착불안, 애착회피, 불안, 우울과 유의한 부적관계를 나타내었다. 나아가 특성 마음챙김의 영향을 통제하고도 다른 변인과의 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한국판 대인관계 마음챙김 척도의 공인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대인관계 마음챙김과 특성 마음챙김은 정신건강 및 대인관계 변인들을 예측하는 데 있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판 대인관계 마음챙김 척도가 대인관계 상황에서 일어나는 마음챙김을 측정하기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특성 마음챙김과 차별성을 가지는 척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 뇌성마비아동의 앉은 자세 균형능력 향상을 위한 체간훈련장치 개발 기초연구

        정주리,이혜림,박대성,승준,은선덕,김동아,김현경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뇌성마비는 뇌손상으로 인한 자세조절능력과 안정성 저하로 체간근력강화와 앉은 자세 균형훈련이 필요하다. 뇌성마비 아동의 균형훈련을 위해 치료사에 의한 훈련, 불안정판 자세조절 훈련과 승마훈련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체간균형훈련의 위한 기구부와 훈련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고, 아동에게 적용하기 전에 건강한 성인 여성 한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여 장비의 개선을 위한 기초데이터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체간훈련장비는 전후좌우로 움직이는 2축 의자, 의자와 몸통에 부착 가능한 기울기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기울기 센서를 체간(흉추 8번과 9번)에 부착한 상태로 불안정판과 체간훈련장치에서 각각 네 가지 프로토콜로 구성된 균형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체간훈련장치 조건이 불안정판(balance wobble board)조건보다 낮은 수행력(percentage)과 안정 정도를 보여, 균형훈련을 하기에 더욱 난이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기초로 장비개선 후 건강한 아동과 뇌성마비아동을 대상으로 체간훈련장비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Sitting balance and trunk muscle training in cerebral palsy (CP)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mpaired postural control and low stability caused by brain injury. Physical therapy practice, unstable platform training and horse-riding training have been suggested as methods of balance training in children with CP.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 new trunk training system (TTS) that consists of training seat tilting 2 axis (X, Y) and software program including four protocols. A preliminary test was undertaken to evaluate sitting balance in two different conditions of using trunk training system and balance wobble board. The training protocols performed and title sensors attached to T8-9 were set equally. The result indicated that using trunk training seat showed both lower intime(%) and stability index(SI) than balance wobble board so that training with the tunk training system was more challenging. Based on this study, we need to improve this system and evaluat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