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의 열정에 대한 인식: 의미연결망 분석의 활용

        임효진 ( Hyo Jin¸ Lim ),최은혜 ( Eun Hye¸ Choi ),박호익 ( Ho Ik¸ Park ),이지현 ( Ji Hyun¸ Lee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3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가 가지고 있는 열정에 대한 인식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현직 초등교사 1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에서는 열정, 열정의 장단점, 교사열정에 대한 인식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근접 중심성,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아이겐벡터 중심성을 위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열정에서는 ‘힘’,‘강렬’과 같은 높은 강도나 에너지를 나타내는 단어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커뮤니티 분석 결과 열정의 행동, 정서, 동기 특성에 대한 주제가 분류되었다. 둘째, 열정의 장점에서는 ‘삶’,‘원동력’,‘에너지’등이, 열정의 단점에서는 ‘타인’,‘피로’,‘살피지 못함’등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아 기존 이론에 나타난 열정의 특성을 설명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열정에서는 ‘학생’,‘수업’과 같은 교수활동의 실천을 나타내는 단어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커뮤니티 분석 결과 교육활동 전반, 학생과 수업, 전문성 개발에 대한 주제가 분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passion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perception of passion, we surveyed 131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ponses to passion, the positive and negative role of passion, and teacher passion were analyzed using a semantic network analysis. We focused on closeness centrality, 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Results showed that first, in passion, words indicating high strength and energy such as‘power’and‘intensity’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tructure of perception. Themes on behavioral, emotional, and motivational characteristics of passion were classified as sub-factors of passion as a result of community analysis. Secondly,‘life’,‘motivation’, and‘energy’appeared in key-word analysis in the positive role of passion while‘others’,‘fatigue’, and‘not caring for’appeared in the negative role of passion, reflecting the theory on the dualistic model of harmonious and obsessive passion. Third, in teacher passion, words indicating teaching activities and their practices such as‘student’and‘instruction’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tructure of perception. Themes related to educational activities in general, students and instruc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classified as sub-factors of teacher passion.

      • KCI등재

        컴퓨터 기반의 협력적 문제해결력 성취를 예측하는 학생과 학교 및 ICT 요인 : 다층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임효진,이순영,Lim, Hyo Jin,Lee, Soon Young 한국정보교육학회 2018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2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학생들(142개 학교의 4863명)의 PISA 2015 컴퓨터 기반의 협력적 문제해결력(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이하 CPS)에 미치는 학생, 학교 수준의 배경요소와 ICT 요인을 설정하여, 설명 변수가 없는 기초모형(모형1)부터 모든 변수가 투입된 최종모형(모형5)까지 2수준 위계선형모형(Two-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 이하 HLM)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성별, 사회경제문화적 배경, 협동지수는 CPS 점수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던 반면 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의 불공평함은 CPS 점수를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목적의 ICT 사용빈도가 많을수록, 그리고 오락 목적의 ICT 사용빈도와 학교에서의 ICT 사용빈도가 적을수록 CPS 점수가 높았다. PISA 2015에서 최초로 측정된 ICT 태도 중 ICT에 대한 흥미가 높고 ICT 기기 사용에 대한 자율성이 높을수록 CPS 점수가 높았으며, ICT를 사회적 상호작용(SNS, 채팅)을 위한 도구로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경우에는 CPS 점수가 낮았다. 셋째, 학교 수준 변수에서는 학교의 학습 분위기를 저해하는 학생 행동이 적을수록, 교사 근무환경 만족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학생 당 이용가능한 컴퓨터 수가 적을수록 CPS 점수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컴퓨터 기반의 협력적 문제해결력 소양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ICT에 대한 흥미나 자율성을 가질 수 있도록 조력해야 하며, 학교현장의 ICT 기기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ICT 활용이나 SW 교육과정에 대한 지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student- and school-level background and ICT factors that affected PISA 2015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PS) for Korean students (4863 students from 142 high schools). A two-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 (HLM) was analyzed from the basic model (model 1) with no predictors to the final model (model 5) with all predictors. Results showed that first, gender, socioeconomic/cultural backgrounds, cooperation level positively predicted CPS scores while perceived unfairness of teacher negatively predicted the outcome. Second, the more frequently ICT was used for out-of-school learning purposes, the less frequently ICT was used for entertainment purposes, and the less frequently ICT was used in schools, the higher CPS scores were. Considering ICT autonomy and social interaction variables measured for the first time in PISA 2015, students who were more interested in ICT and more autonomous in using ICT devices achieved higher CPS scores. On the other hand, the more students considered ICT important as social interaction, the less they gained CPS scores. Third, in terms of school-level characteristics, the smaller the students behavior detrimental to learning, the higher the teachers perceived positive working environment, and the fewer the number of computers available per student, the higher CPS scores were. To facilitate computer-based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e,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have interest and autonomy in using ICT. In addition, the guidelines of ICT use and SW curriculum need to be established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using ICT device in school.

      • KCI등재

        진로성숙도의 변화와 관련된 교육포부와 독서활동의 동시지연효과

        임효진 ( Lim Hyo Jin ),김정수 ( Kim Jung So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7 초등교육연구 Vol.30 No.1

        본 연구에서는 경기교육종단연구 2~4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진로성숙도의 변화를 살펴보고, 교육포부와 독서활동이 각 시점에서의 진로성숙도를 어떻게 예측하는가를 알아보았다. 또한 성별과 사회경제적지위(SES)가 진로성숙도의 성장요인(초기값, 변화율)과 어떤 관련성을 보이는가를 추가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지역의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1학년까지의 학생들이며, 잠재성장모형의 분석을 통해 연구문제를 탐색하였다. 특히 교육포부와 독서활동이 시점별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예측력을 알아보기 위해 동시지연효과를 검증하였는데, 분석결과 진로성숙도는 3년 동안 유의하게 감소하고 있었다. 또한 독서활동은 전 시점에 걸쳐 정적인 동시지연효과가 나타났고, 교육포부는 초5와 초6 시점에서는 동시효과가, 중1 시점에서는 지연효과가 나타나 특히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의 교육포부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독서태도가 긍정적이고 독서습관이 잘 형성되어 있을수록, 교육포부가 높을수록 진로성숙도 또한 높음을 의미한다. 성별은 진로성숙도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유의한 관계가 없었던 것에 비해 SES는 초기값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of career maturity from 5<sup>th</sup> to 7<sup>th</sup> graders and current and lagged effects of educational aspiration and reading activities on career maturity. Additionally, we investigated how gender and SES were related to growth factors (i.e. initial status and rate of change) of career maturity. In a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Gyu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we utilized a conditional Latent Growth Modeling (LGM) method.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career maturity significantly decreased over three years and students who were higher in career maturity from the beginning were more likely to decrease faster. While reading activities had concurrent and lagged effects on career maturity in three years, educational aspiration had only concurrent effects in 5<sup>th</sup> and 6<sup>th</sup> grades and lagged effects in 7<sup>th</sup> grade. In other words, students who had more educational aspiration and more reading activities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career maturity. Finally, gender did not predict growth factors significantly, however, SES did predict initial status of career maturity, meaning that students with higher SES background from the beginning were more likely to report higher career maturit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교육의 내재적 가치 관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교육적 고찰과 발전 방향 연구

        임효진(Hyo Jin Lim),이두곤(Du Gon Lee) 한국환경교육학회 2016 環境 敎育 Vol.29 No.4

        이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규명함으로써 교육적 의의를 찾고,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통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는 첫째, 교육의 내재적 가치 관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은 학생들이 사물과 현상을 볼 수 있는 안목을 길러준다. 둘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은 학생들이 본성을 회복하여 심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돕는다. 교육의 내재적 가치 관점을 반영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발전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은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더욱 지향해야 하며, 교육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교육관이 변화해야 한다. 둘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은 내재적 가치를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셋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평가 관점은 학생의 성장 과정에 중점을 두는 과정중심평가로 전환되어야 한다. 넷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내재적 가치 이해 증진을 위해 교사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내재적 가치에 대해 주목하면서,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기반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학교교육에서 더욱 탄탄한 교육적 토양을 갖고 성공적으로 자리 잡아가게 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by illuminating the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and to seek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ESD through the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SD from the perspective of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is worth forming a perspective to see phenomena for students. Various adjectival education and integrative perspective of ESD forms an insight wherein students see the world to be holistic, while extending the students experience. Second, ESD cultivates the primordial mind by restoring it to its original nature for the students. This enable students to feel a moral obligation and responsibility to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minorities, and acquire a good mindset in the course of helping others without expecting anything in return.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ESD reflecting the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is as follows: First, ESD should be more oriented to the intrinsic rather than the extrinsic (or instrumental) value of education, and change it to educational viewpoints to pursue the sustainability of education. Second, the teaching methods of ESD should be changed in the direction of enhancing the intrinsic value. Third, the evaluation of ESD should be converted to process-centered assessments that focus on the growth of students. Fourth, in the teacher trai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in-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the intrinsic value of ESD should be emphasized, and the programs should be designed to help experience the intrinsic value and recognize its importance. As elucidated about the intrinsic value of ESD through this research, ESD based on the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is expected to develop and to establish itself in schools.

      • KCI등재

        그릿의 최근 연구동향과 재개념화의 필요성

        임효진(Hyo Jin L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7 敎育心理硏究 Vol.31 No.4

        이 연구에서는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주제인 그릿(Grit)에 대한 그간의 연구동향을 살피고, 기존의 연구결과들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그릿의 재개념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전개하였다. 그동안 그릿은 장기적인 목표달성을 위한 열정과 인내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이해되었으며, 학업수행, 적응, 진로, 삶의 만족 등 다양한 영역에서 성공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주목을 받아왔다. 그릿의 핵심적 요소인 열정과 인내는 각각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이라는 하위요인으로서 척도의 문항을 구성하고 있다. 그릿 연구에서의 문제점은 크게 보아 구인의 개념적 정의가 심리학의 유사한 개념들과 구분되지 않는다는 것과, 조작적 정의를 반영하는 척도의 불완전성으로 말미암아 일관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후속 연구에서는 목표, 열정, 인내에 대한 전면적 고찰을 통해 그릿의 재개념화 작업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I first summarized studies of grit literature in order to critically review theoretical concept and empirical results of grit. Grit was defined as passion and perseverance for long-term goals, and it has been found to be a powerful and positive predictor of academic performance, career, work, and various types of life adjustment. However, it has been criticized that 1) grit is not clearly distinctive from personality and/or motivational constructs and 2) the effects of grit’s outcome are not consistent across studies. Key characteristics of grit, such as passion and perseverance, are usually measured by consistency of interest and perseverance of effort in grit scale. I claim that theoretical controversies of grit research are related to the problems of grit’s original conceptualization and its operationalization, resulting in limitations of scale/items and inconsistent outcomes. Therefore, I suggest that researchers conduct future studies in order to reconceptualize grit by considering each sub-component of grit such as goal, passion, and perseverance.

      • KCI등재

        학습동기, 자기통제, 학습전략을 중심으로 한 초등학생의 잠재집단분석

        임효진 ( Hyo Jin Lim ),황매향 ( Mae Hyang Hwa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2 초등교육연구 Vol.25 No.3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동기, 자기통제, 학습전략의 여러 요인들을 중심으로 연구대상 내에 존재하는 잠재집단을 탐색하고 이와 같은 잠재집단을 분류하는데 영향을 주는 예측요인들을 알아보았다. 학생들의 내적·외적 동기, 목표, 자기효능감과 성공경험 등과 같은 동기촉진요인, 시험불안과 같은 동기저해요인, 자기통제, 자기조절학습에 필요한 인지전략과 자원관리 등을 중심으로 초등학생들은 네 집단으로 구분됨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모든 요인의 수준이 전체 평균과 비슷한 ``평균집단``, 동기와 자기통제의 수준이 높은 ``높은 동기-높은 통제 집단``, 동기가 높고 효율적인 학습전략을 사용하는 ``높은 동기-높은 전략 집단``, 모든 수준의 학습동기가 낮고 자기통제 수준이 낮은 ``하위집단``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일수록 그리고 성적이 높을수록 ``높은 동기-높은 통제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으며, 남학생이고 성적이 낮을수록`` 하위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하위집단``에는 학습부진학생들의 비율이 높아, 이들에 관한 차별적인 개입을 하기에 앞서 이 연구에서 밝혀진 동기유형과 학습전략의 사용정도에 관한 정보가 도움을 줄 것이라 예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ypes of academic motivation, self-control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stly, we examined whether there exist multiple latent classes/groups based on motivational, control, and self-regulatory factors. Motivational factors were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self-control factors were related to delay of gratification and impulsivity; self-regulated learning factors involved concentration, the use of cognitive strategies, effort and time management, and test preparation. Results showed that four subgroups within the sample were found to be qualitatively different as they presented average, high motivation-strategy, high motivation-control, and all-low groups. High motivation-control group contained students with high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control ability while high motivation-strategy group contained students with high extrinsic motivation and high learning strategies. Girls and high-achieving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high motivation-control group while boys and low-achieving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all-low group or high motivation-strategy group. Secondly, we also investigated whether student background variables significantly predicted class membership. Covariates such as gender, grade, and level of achievement contributed to classification.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helping normal-achieving and under-achieving students were discussed.

      • KCI등재

        그릿(Grit)을 매개로 학업열의를 예측하는 부모, 교사, 교우 변인: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비교

        임효진 ( Lim Hyo Jin ),이소라 ( Lee So Ra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1

        본 연구에서는 가정에서 부모의 양육태도, 학교에서 교사 관계와 교우 관계 변인이 그릿의 흥미유지와 노력지속 요인을 매개로 학업열의에 미치는 예측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모, 교사, 교우 변인이 그릿을 예측하고, 이어 그릿이 학업열의를 예측하는 관계 모형을 검증하였다. 또한 이러한 구조적 관계가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1학년 집단에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8의 1차년도 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초4 코호트 2,607명과 중1 코호트 2,590명의 자료에 대한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부분매개모형이 채택되었으며, 전체적으로 부모의 긍정적, 부정적 양육태도, 교사관계, 교우관계는 그릿의 흥미유지와 노력지속 하위요인을 매개로 학업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경로계수를 확인한 결과 매개변인의 하위요인 별로, 그리고 학교급 별로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흥미유지보다는 노력지속에 의한 매개효과가 더 컸고, 집단에 의해 조절된 매개효과는 노력지속에 의해서만 존재하였으며, 중학생 집단보다는 초등학생 집단에서 효과 크기가 더 큼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그릿에서의 노력지속은 흥미유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업열의와 더 관계가 깊다고 볼 수 있으며, 동일한 부모의 양육태도라 할지라도 자녀의 연령에 따라 심리정서적 반응이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아동기에는 부모나 교사의 영향력이 크게 반영되는 반면 청소년기에 들어서면서 점차 또래의 사회적 영향력이 커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intend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g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parenting attitude at home,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friends at school and academic engagement through two factors of grit, consistency of interest and perseverance of effort. This study also seeks the difference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depending on school level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data from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with application of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2,607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2,590 1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partial mediating model was selected for both grade levels, and overall, parenting attitude, teacher relationship, friend relationship have significant effects on academic engagement through two grit components as mediation. Specifically, ‘perseverance of effort’ has greater mediating effect than the ‘consistency of interest.’ In terms of controlled mediating effects,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nly through 'perseverance of effort,' also the effect is greater for the elementary school level than the middle school level. We conclude that the 'perseverance of effort' has stronger relationship with academic engagement compared to 'consistency of interest.' Also, identical parenting attitude can have different effect on psychological response of their children depending on age levels. Specifically, the influence of parents and teacher could be much stronger when the students are in elementary school level, but the influence of social relationship with friends could be stronger when the students are in middle school level.

      • KCI등재

        어머니의 심리적, 관계적 변인과 양육스트레스, 후속 출산의도의 구조적 관계

        임효진(Hyo Jin Lim),박휴용(Hyu Yong Park),장경은(Kyung Eun Jahng),이지은(Ji Eun L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관계적 변인의 예측력과 이와 같은 변인을 포함한 양육스트레스가 후속 출산의도에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자료로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4차년도의 자료를 사용하여 심리적 변인으로는 우울,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을, 관계적 변인으로 부부갈등, 결혼만족도,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추출하여 양육스트레스와 후속 출산의도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검증 결과 나타난 적합도 지수를 통해 모형은 자료에 잘 부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 소득수준은 양육스트레스와 후속 출산의도 모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지 않았다. 반면 우울은 양육스트레스에 부적영향을,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은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그 상대적인 크기는 자아존중감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다. 또한 양육스트레스는 소득을 통제하고도 후속 출산의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어, 전반적으로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출산의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경제적, 사회적 조력 못지 않게 개인의 심리적 요인, 특히 양육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다각도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s of psychological and relational variables on parenting stress. It also investigat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sychological/ relational variables, parenting stress, and intention for a second childbirth. We analyze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2011 data, specifically collecting psychological (depression, self-efficacy, self-esteem) and relational (couple conflict, marital satisfaction,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raising) variables. Results show that family socio-economic status (SES)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edicting parenting stress and intention for a second childbirth. Depression and conflict between couple, on the other hand, negatively predict parenting stress while self-related variables (self-efficacy and self-esteem) and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raising positively predict parenting stress. Controlling for the family SES, parenting stres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other`s intention for a second childbirth. As a mother`s stress decreases, the couple`s intention to have and raise more children increas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그릿(Grit)과 과제도전감의 관계 :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에서 유능감의 조절효과

        임효진(Hyo Jin Lim),윤여경(Yeo Kyeong Yoon) 한국교육방법학회 2017 교육방법연구 Vol.29 No.4

        본 연구에서는 장기적인 목표를 위한 열정과 인내를 뜻하는 그릿(Grit)과 학업적 유능감, 과제도전감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릿은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의 두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유능감이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고 있는지 이어 노력지속이 과제도전감을 어떻게 예측하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를 위해 초등학생 5, 6학년 3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확인적 요인분석과 잠재조절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알아보았다. 구체적인 결과를 살펴보면, 노력지속은 흥미유지에 의해 유의하게 예측되는 가운데 유능감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양상을 보였다. 부트스트래핑 검증 결과 유능감이 낮거나 중간인 집단에서는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의 관계가 유의하지 않았지만, 유능감이 높은 집단에서는 두 변수의 관계가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유능감의 조절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노력지속은 과제도전감을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이는 노력을 지속하는 수준이 높은 학생들일수록 학습에서 어려운 과제를 선호하고 실패에도 포기하지 않는 경향이 있음을 나타낸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grit (i.e. passion and perseverance for long-term goal), perceived academic competence, and preference for challenging task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Grit consists of two subfactors such as consistency of interest and perseverance of effort. We examined whether academic competence w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istency of interest and perseverance of effort and whether perseverance of effort would predict students’ preference for challenging tasks. We administered survey for a total of 348 5th and 6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data employ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latent modera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demomstrated that perseverance of effort was found to be predicted by consistency of interest, depending on the level of competence. Bootstrapping results indicated that perseverance of effort was positively predicted by consistency of interest when competence was high (+1SD) but not when competence was low (-1SD) or at the mean. In addition, perseverance of effort positively affected preference for challenging task, meaning that students who had higher perseverance were more likely to choose to undertake a more challenging task against an easier alternative and less likely to give up after failure.

      • KCI등재

        중학생의 자존감, 자기통제 및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

        임효진(Lim Hyo Jin),이지은(Lee Jee 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2

        본 연구에서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LS)의 4차년도(2013년)부터 6차년도(2015년)까지의 응답자료를 사용하여 중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 자존감, 자기통제, 학업성취도의 변화를 각각 알아보는 한편, 긍정적인 자기평가와 관련된 자존감, 자기통제의 성장요인들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ㆍ간접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검증 결과 자존감과 자기통제의 변화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고, 중1부터 중3까지 3시점에 걸쳐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반면, 학업성취도의 변화율은 정적으로 나타났고, 이에 학생들의 성취도가 매년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성장요인들의 관계에서는 우선 긍정적 자기평가가 자존감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자존감의 초기값 역시 자기통제의 초기값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초기 자기통제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학업성취도를 보였고, 간접효과의 분석결과 자존감이 자기통제를 거쳐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of self-esteem, self-control,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4th(year 2013) to 6th (year 2015) dataset of SELS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We also investigated how growth factors (i.e. initial status and rate of change) of self-esteem and self-control would predict academic achievement directly and indirectly.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was employed to analyze data. Results demonstrated that growth rates of self-esteem and self-control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ing that self-esteem and self-control were stable over time from first to third years of middle school. However, the growth rate of academic achievement was positively significant, meaning that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increased over time. Positive self-evaluation predicted 1st year’s self-esteem, which in turn, positively affected self-control. Students who had higher initial status of self-control were more likely to achieve better than students who had lower self-control. Lastl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between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