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윤리’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이성흠(李聖欽),윤초희(尹蕉熙),최상봉(崔相鳳)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4

        지식기반사회의 성숙과 함께 학문공동체에서는 연구윤리에 대한 담론이 활발하다. 연구윤리는 책임 있는 연구수행을 위해 준수해야 할 윤리원칙 또는 행동양식이다. 이 연구는 학습하는 과정에서 개인적인 윤리 확립을 위한 실천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학습윤리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을 조사?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K대학교 공과대학 재학생 183(남: 142, 여: 41)명이며, 설문지는 ‘학습윤리’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은 보고서 작성 항목에서 대리작성, 아이디어 도용, 과제물 구매 등에서는 준수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지만, 중복제출과 짜깁기에서는 중요성 인식의 정도가 낮았다. 학습윤리에 대한 실행도(준수정도)에서는 대리작성, 중복제출, 과제물 구매 등에서 높게(즉, 위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짜깁기와 표절에서는 실행도가 낮았다. 중요도와 실행도 점수 차이는 중복제출, 짜깁기, 과제물 구매, 표절, 대리작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학습윤리 위반에 대한 이유는 ‘더 좋은 학점에 대한 욕심’, ‘시간의 부족’, ‘자료에 대한 쉬운 접근성’이었다. 둘째, 기타 학업수행(출석, 협동과제, 시험 등) 측면에서 학습윤리 중요도는 대리시험, 시험부정행위, 무임승차에서는 높았지만 대리출석과 무단조퇴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이들 항목에 대한 실행도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다. 중요도-실행도 점수 차이는 대리출석, 무단조퇴, 대리시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학습윤리의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 분석 결과, 중요도는 높으나 실행도가 낮은 약점 항목으로 집중관리가 필요한 부분은 ‘표절’, ‘위조’, ‘변조’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높은 강점 특성으로는 ‘과제물 구매’, ‘대리작성’, ‘아이디어 도용’과 ‘대리시험’, ‘무임승차’, ‘시험부정 행위’가 포함되었다. 중요도와 실행도의 인식 수준이 모두 낮은 항목은 ‘짜깁기’를 포함하여 ‘대리출석’, ‘무단조퇴’ 항목이다. 중요도는 낮지만 실행도는 비교적 높은 투자 및 집중도 조절이 요구되는 불필요한 강점 항목에는 ‘중복제출’이 포함되었다. Nowadays ‘academic honesty/academic integrity’ becomes an important issue in the research community. The issue of ‘academic ethics’ is particularly relevant to college studen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college students’ conceptions of ‘academic ethics’. For this purpose, one hundred eighty-three (142 males and 41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K University in Seoul. The survey instrument used for the study consisted of thirteen questions regarding academic ethic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llege students reported high importance in compliance with the items of agency creating, idea stealing, and homework buying, but they reported lower importance on the items of weaves in writing and duplicate submission. Second, students also reported high importance in compliance with the items of surrogate test, test cheating, and free riding in homeworks, but they reported lower importance on the items of valet attendance and unauthorized leaving early. For the items of performance, compliance scores showed a similar trend. Lastly, the results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showed that the items of academic ethics in the ‘concentrate’ area were ‘plagiarism’, ‘fake’, and ‘modulation’, respectively. In conclusion, plagiarism as a violation of academic ethics may occur when students don’t know how to appropriately quote from resources. In order to establish ‘academic ethics’ code for college students in university, we should design, develop, and implement appropriate courses such as ‘research ethics,’ ‘academic writing,’ etc.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양성평등 교육프로그램 유형이 대학생의 성평등 의식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성흠 한국교육학회 2010 敎育學硏究 Vol.48 No.4

        Gender studies have been current issues in the Korean society because of changes in sex roles during the past 25 years. The Korean government has recently enacted many statutes upgrading gender egalitarianism.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n enhancement of gender egalitarianism in the education program, called ‘Education Program for Gender Egalitarianism,’ which consists of the contents on sex roles and gender equality. Two hundred thirteen (35 males and 178 females) college students, who were subjected to the study, were selected from H, K, and S Universitie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first group, consisting of 71 students, was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1 using online method. The second group, consisting of 72 students, was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2 using face-to face lecture method. And the third group, consisting of 70 students, was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he measurement instrument used for the study was the ‘Korean Gender Egalitarianism Scale (KGES).’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during the study, t-test, one-way ANOVA, and Schffe’ s Post Hoc Tests were used with SPSS 14.0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nhancement in the total score of egalitarianism measurement for the experimental (online and lecture) groups. For the online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KGES between pre- and post-tests (t=8.14, p < .001). For the lecture group,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KGES between pre- and post-tests (t=9.51, p < .0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nline and lecture groups in the post-test score of KGES.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for KGES among online, lecture, and control groups in the post-test score of KGES (F=25.33, p < .001). 이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을 중심으로 성평등 의식(性平等意識) 함양을 위하여 개발·배포한 대학생의 ‘양성평등 교육프로그램’을 온라인과 면대면 강의기법을 통하여 실천함으로써 대학생의 성평등 의식 향상에 나타나는 효과를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의 H, K 및 S대학교 대학생 213명(온라인 집단 71명, 강의 집단 72명, 통제 집단 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이 완료된 후 프로그램의 효과는 ‘남녀평등의식검사’ 점수를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양성평등 교육프로그램’은 온라인과 면대면 강의 방법에서 ‘남녀평등의식검사’의 전체 하위영역에서 성평등 의식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온라인방법은 검사의 개별 영역인 가정, 교육, 사회․문화, 직업 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사전과 사후 검사의 평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체 점수에서도 유의미한 차이(t=8.14, p < .001)가 있었다. 그리고 면대면 강의방법에서도 모든 하위영역의 사전과 사후 검사 평균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체 점수에서도 유의미한 차이(t=9.51, p < .001)가 있었다. 남녀평등의식검사 전체 점수와 각각의 하위영역별 평균은 면대면 강의, 온라인, 통제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F=25.33, p < .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평등의식검사 점수에서 어떤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기 위한 Scheffe의 사후비교(Post Hoc Tests)의 결과는 온라인과 통제 집단, 면대면 강의와 통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그러나 온라인과 면대면 강의 집단 간에는 두 집단 모두 동등하게 남녀평등의식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 KCI등재

        체험중심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인성계발에 미치는 효과

        이성흠 ( Sung Heum Lee ),윤초희 ( Cho Hee Yoo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5 중등교육연구 Vol.6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체험중심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인성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내용과 교수·학습방법은 바른 인성을 생활 속에서 습관화하도록 하는 행파(杏坡)인성교육 이론에 따라 구성되고 실천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개인(학생)의 성공적인 삶에 요구되는 인성덕목을 구체화하고 감화이야기를 통해 쉽고 재미있게 덕목을 실천하는 체험을 함으로써 좋은 습관을 길러주고자 하는 목적 하에 이론학습과 실제(활동)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울 소재 M중학교 1학년 155명 학생이 인성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결석자와 부적절한 응답을 제외한 131명 학생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사전·사후 설문지는 이 연구에서 선택한 6가지 인성덕목(자기존중, 책임, 배려·소통, 효도·예의, 창의성, 지혜)을 묻는 41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평균 차이를 검증하는 단일표본 t 검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전체적으로 인성교육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인성함양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지혜 덕목에서는 교육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자신(나)과 관련된 인성 덕목인 ‘자기존중’과 ‘책임’ 덕목에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타인(남)과의 관계형성에 요구되는 덕목인 ‘배려·소통’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동시에 ‘효·예의’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생의 학업(일)과 관련되는 ‘창의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지혜’덕목에서는 교육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지혜가 단기간의 교육을 통해 계발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학교내·외의 경험을 통해 길러지며, 실천 지능, 삶에 대한 전반적인 가치 등과 관련이 있는 매우 복잡한 덕목이라는 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종합하여 이 프로그램은 인성교육의 목표와 이를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방법을 결합하여 체험중심 인성교육프로그램을 현장에서 실천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장기적이면서도 학교교과와 연계된 인성교육프로그램을 시도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이 ‘지혜’를 포함한 다양한 인성덕목에 효과적인지를 재검증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on the character building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 total of 155 7th grade students enrolled in M Junior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program. Data from 131 students excluding absentees and insincere respondents were analyzed. The pre- and posttest questionnaires included 41 items which asked about six character virtues (self-esteem, responsibility, caring and sharing, filial piety and etiquette, creativity, and wisdom). The t-test on the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 scores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On the whole,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character building except for the wisdom virtue. More specifically,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self-esteem and the sense of responsibility, a virtue related to ‘self.’ Second, the program was also effective in improving the virtues of caring and sharing, and filial piety and etiquette, which are required in building good work relationships with ‘others.’ Third,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creativity, but had no effect on wisdom. It could be that wisdom cannot be increased by a short-term educational program, and is a very complex virtue related to practical knowledge acquired from a variety of experiences in and out of school and general attitudes towards life. This may have resulted in no effects. Long-term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integrated with school curriculum need to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and further research needs to examine their effects on various virtue areas including wisdom.

      • KCI등재

        교과연계형 인성교육중심 수업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

        이성흠(Lee Sung Heum),김진규(Kim Jin Gyu),윤초희(Yoon Cho Hee),홍정근(Hong Jung Ge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7 열린교육연구 Vol.25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교과연계형 인성교육중심 수업이 초등학생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3학년 2학기 과학교과의 차시별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진과 수업을 담당하는 담임교사가 협동으로 교과연계형 인성중심수업을 설계·개발하였고 담임교사가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소재 Y초등학교 3학년 학생 197명(실험집단 113명, 통제집단 84명)이었다. 사전·사후 인성검사는 생명존중, 소통, 협동의 인성덕목을 측정하는 30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실험설계로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을 사용하였으며, 자료는 공변량분석(ANCOV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한 학기의 과학교과 전체 내용을 중심으로 교과연계형 인성교육중심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지도안을 개발하였다. 둘째, 교과연계형 인성교육중심 수업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설정하고 사후점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생명존중, 소통, 협동, 전체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 3학년 과학교과와 연계한 인성교육중심 수업은 학생들의 생명존중, 소통, 협동의 인성덕목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연계형 인성교육중심 수업의 활성화를 위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이 인성교육중심 수업유형 개발, 초·중등교육의 다양한 교과에서 인성교육중심 수업의 실천과 효과분석, 교과연계 인성교육중심 수업 효과분석을 위한 측정도구 개발 등의 영역에서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ubject-linked character education on developing the character virtu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linked character program for science class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the cla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7 students (113 for the experimental group, 84 for the control group) in Y elementary school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pre- and post tests consisted of 30 items measuring the virtues of respect for lif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n experimental design with pre- and post test control group was used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covariance analysis (ANCOVA) techniqu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we developed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subject-linked character education focused on the whole contents of science class for one semester. Second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respect, communication, cooperation, and the overall score of character virtues. In conclusion, there were positive effects of the subject-linke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on developing the virtues of life respect,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necessity of follow-up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types of subject-linked character education and the analysis of their effects, and for the development of measurement tools for analyzing the effects of subject-linked character educ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체험중심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삶에 대한 긍정적 태도형성에 미치는 효과

        이성흠(Lee, Sung Heum)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6 敎育問題硏究 Vol.2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위한 체험중심 인성교육프로그램을 설계ㆍ개발ㆍ실천하고 인성함양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광진구 소재 C초등학교와 J초등학교의 5학년 학생 179명(실험집단 91명, 통제집단 88명)이었다. 사전ㆍ사후 생활태도검사는 배려ㆍ소통, 효ㆍ예의, 자기존중, 책임, 창의성, 지혜의 인성 덕목을 묻는 4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체험중심 인성교육프로그램의 효과 분석은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사후검사 점수의 차이를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을 중심으로 인성함양에 미친 효과분석은 사전과 사후 점수 차를 이용한 t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체험중심 인성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점수의 차이를 공변량분석(ANCOVA)한 결과는 전체적으로는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배려ㆍ소통, 효ㆍ예의, 책임, 지혜의 덕목에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실험집단의 사후검사 점수는 사전검사 점수 보다는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효ㆍ예의’ 덕목을 제외한 대부분 덕 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효ㆍ예의’ 덕목계발을 위한 인성교육은 학교교육에서 단기간의 교 육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며 가정과 연계되어 시대정신을 반영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하고 적절한 교수ㆍ학습방법을 선정하여 현장에서 실천되고 난 다음 효과를 재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n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for forming a positive attitude towards life in the 5 th grade students. A total of 179 5 th grade students enrolled in C and J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consisting of 91 students, was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the second group, consisting of 88 students, was assigned to control group. The pre- and posttest questionnaires included 41 items which consist of the contents on six character virtues of caring and sharing, filial piety and etiquette, self-esteem, responsibility, creativity, and wisdom. The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as conducted with the pretest score as covariate to compare the posttest score. The t -test on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test scores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for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have shown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NCOVA were found that the total score, and self-esteem and creativity virtues were significant. However, there was non-significant in virtues of caring and sharing, filial piety and etiquette, responsibility, and wisdom. Second, the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character level building except for the virtue of filial piety and etiquette. It could be that ‘filial piety and etiquette’ cannot be increased by a short-tern educational program, and is a very traditional virtue related to home education. This may have resulted in no effects. Long-term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integrated with school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and further research needs to examine their effects of various virtue areas including filial piety and etiquette on character level.

      • KCI등재
      • 교수·학습매체로서 인터넷방송의 효과적 활용

        이성흠(Lee, Sung-Heum) 한국교육방송공사 2012 미디어와 교육 Vol.2 No.1

        교수·학습과정에서 첨단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은 교육의 형식과 틀을 바꾸는 교육개혁에 공헌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학교교육을 포함하여 가상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원격교육의 규모와 폭을 넓히고 있다. 이 연구는 지식기반사회의 교수·학습과정에서 효과적인 매체활용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교수·학습매체로서 인터넷방송의 연구동향을 요약하고 인터넷방송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탐구과제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함이 그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교수·학습매체로서 교육방송의 활용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둘째, 통신·방송의 융합과 인터넷방송의 연구동향을 요약하였다. 셋째, 교수·학습매체로서 인터넷방송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탐구과제는 (1) 기술적인 측면에서 기반시설 확충, (2) 인터넷방송용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 (3) 상호작용과 사용자 편의성, (4) 교수·학습과정에서 효과적인 인터넷방송 활용을 위한 교사교육, (5) 평생교육에서 인터넷방송의 활용전략 등의 분야로 종합·제시 되었다. 차세대 교수·학습매체로서 인터넷방송이 교육의 책무성과 교육력 신장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이론연구에 기초하여 교수·학습과정에서 효과적으로 통합·활용되는 실천이 요구된다. Recent developments of educational technologies in the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have introduced a new element in the form of rapid communication. This has the characteristic of the teachers and learners being separated in time and space, even if not necessarily by distance. As new technologies developed, instructional media such as audiotapes, videotape, radio and television broadcasting, and satellite transmission were added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describe the roles of broadcasting as a medium for teaching and learning, to summarize the studies of radio and television utilization for the classroom, and to prospect the development of intercasting in the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order to propose the theoretical backgrounds for intercasting utilization i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broadcasting were considered and summarized. Broadcasting as an effective medium for teaching and learning has undergone significant changes in many areas including content, educational method, availability, and eff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Especially, intercasting offers a unique way for teachers to integrate technology into the curriculum in the networked information society. Teachers with Internet connections will find intercasting an accessible technology for bring the world to their students. Finally, future directions for intercasting research are suggested in the areas of infrastructure, program development, interaction / usability, teacher education, and strategies of utilization for life-long education.

      • KCI등재

        교양교육과 연계된 인성교육이 대학생의 인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이성흠,김진규,박영민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6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haracter education linked with general education on developing college students' character virtues. The subject-linked character program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the general eduction course (Civic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Age) during 1st semester in 2018 school yea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1 college students in K University in Kyonngi Province. The questionnaires included 38 items to measure 4 character virtues (cooperation, communication, citizenship, tolerance). The one group pre- and post test design and t-test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we developed and implemented a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subject-linked character education focused on the whole contents of general education course for college students. Second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operation, citizenship and total score of character virtues. In conclusion, there were positive effects of the character education linked with liberal arts education on developing the character virtues for college students. For further studies we suggest; (1) relative comparison study among various subject-linked character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 and (2) implementation of validation studies for character measurement tools for college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교육과 연계한 인성교육의 프로그램을 설계·실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교양강좌 수업을 주관하는 교수자가 연구진과 협동으로 교양강좌와 연계된 인성교육 수업내용과 수업방법을 개발하여2018년도 제1학기 대학 교양강좌에 적용하였다. 경기도 소재 K대학교 1∼4학년 41명을 대상으로 기존의 강좌 수강절차에따라서 강좌에 등록한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인성검사는 협동, 소통, 시민성, 관용을 측정하는 38문항으로구성되었다. 자료는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에서 덕목별 평균 차이를 검증하는 종속표본 t검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에서 교양강좌와 연계하여 인성교육을 위한 수업지도안과 교수·학습매체를 개발하였다. 둘째, 협동, 소통, 시민성, 관용의 사전과 사후 검사의 차이점수에서 협동과 시민성 덕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차이가 나타났지만, 소통과 배려의 덕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인성 덕목의 종합점수의사전-사후검사의 차이점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t = 2.62, p < .05)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대학에서 교양교육과연계된 인성교육은 대학생들의 인성개발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에서 인성교육활성화를 위한 후속연구의 주제는 교양교육의 특성을 반영한 인성 덕목을 연계하는 교양교육의 개발과 실천, 대학의교직과목을 포함하는 전공과목과 연계된 인성교육을 위한 이론과 실천, 대학생을 위한 인성교육의 효과 측정을 위한 평가연구를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