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제2형 당뇨병에서 대혈관합병증 유무에 따른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와 죽상동맥경화증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

        윤현대,진명인,유성수,정덕수,이지현,손호상 대한당뇨병학회 2002 임상당뇨병 Vol.3 No.4

        연구배경: 당뇨병 환자에서 대혈관합병증을 조기에 발견하여 진단을 내리는 데에는 어려움이 많은데 최근 고해상도 B-mode 초음파를 이용한 경동맥의 내막-중막 두께의 측정은 조기에 죽상동맥경화증의 정도를 반영하는데 매우 유용함이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대혈관합병증의 예측에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의 유용성을 분석하고 경동맥 내막-중막두께와 죽상동맥경화증 위험 인자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대구가톨릭대학병원에서 추적, 경과관찰 중인 103명의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대혈관합병증 (관상동맥질환, 뇌혈관질환) 의 기왕력이 있는 군과 기왕력이 없는 군으로 나누어 시행하였다. 고해상도 B-mode 초음파기기를 이용하여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를 측정하였으며, 문진, 이학적 검사 등을 시행하여 키, 체중, 당뇨병의 유병기간, 흡연 및 고혈압의 기왕력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 10∼12시간 금식후 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지질성분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Lp(a), Apo(A), Apo(B)), 당화혈색소를 측정하고 24시간 요중 알부민과 단백질을 측정하였다. 결과: 대혈관합병증이 있는 군에서 연령, 혈압, 당화혈색소가 더 높았으며 당뇨병성 신증이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다. 또한 대혈관합병증이 있는 군에서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의 최고치 및 평균치가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으며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의 최고치는 대혈관합병증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분석되었다. 경동맥 내막중막의 두께와 관련된 위험인자로는 연령, 당뇨병의 이환기간, 수축기혈압, LDL-콜레스테롤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당뇨병성 대혈관합병증의 조기발견에 있어서 고해상도 B-mode 초음파로 측정한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의 측정은 유용하며, 특히 연령이 많고, 당뇨병의 이환기간이 오래 되거나, 고혈압이나 고지혈증이 동반된 환자일수록 더욱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Macrovascular complications such as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accidents are major causes of diabetes mellitus-related morbidity and mortality. However, it is difficult to diagnose such macrovascular complications before clinical symptoms are evident. In many previous studies, the measurement of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MT) has been a useful, non-invasive method to detect early atherosclerotic vascular changes. Methods: We measured carotid IMT by using high resolution B-mode ultrasonography in 103 type 2 diabetes patients with and without macrovascular complications. At the same time, we analyzed the patients' characteristics including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BMI), blood pressure, duration of diabetes, and past history of hypertension and smoking. Laboratory parameters such as HbA1c,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apolipoprotein (A), apolipoprotein (B), Lp (a) and 24-hour urine microalbumin and protei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esults: Age, blood pressure, glycosylated hemoglobin and diabetic nephropath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ype 2 diabetes patients with macrovascular complications. And type 2 diabetes patients with macrovascular complications showed significantly thicker maximal and mean carotid IMT than those without macrovascular complications. Maximal carotid IMT w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of macrovascular complication in type 2 diabetes patients, an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duration of diabetes, systolic blood pressure and LDL-cholesterol. Conclusion: The measurement of carotid IMT by using high resolution B-mode ultrasonography is a useful method for the early detection of macrovascular complications in type 2 diabetes patients.

      • KCI등재후보
      • SCOPUSKCI등재

        소아발병과 성인발병 제1형 당뇨병 환자의 체액성 면역표지자

        윤현대,김재홍,오정현,박진철,남상엽,지성,원규장,이충기,조인호,박중열,홍성관,이기업,이형우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4 No.4

        연구배경:제1형 당뇨병의 진단 및 예측에 사용되고 있는 자가항체로서는 ICA, GADA 및 IA2 항체 등이 있다. 이러한 자가항체의 양성률은 서양인 제1형 당뇨병환자에 비해 한국인이나 동양인 제1형 당뇨병환자에서 낮은 유병률이 보고되고 있다. 제1형 당뇨병은 발병연령에 따라 그 경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성인 발병 제1형 당뇨병의 경우는 전형적인 소아 발병 제1형 당뇨병의 경우에 비해 발병시 임상적 및 자가면역적 차이도 명확하게 규명되어 있지 않다. 제1형 당뇨병 환자를 소아발병과 성인발병으로 나누어 각 환자군에 대한 임상적 지표 및 자가항체의 빈도의 차이를 관찰하여 한국인 제1형 당뇨병 환자들의 소아 및 성인발병 형태의 차이 와 각각 병인에 자가면역이 관련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소아발병 제1형 당뇨병환자 32명과 성인발병 제1형 당뇨병 환자 4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을 다시 전형적인 제1형 당뇨병 39명과 비전형적인 제1형 당뇨병33명으로 분류하였다. ICA는 간접 면역 형광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GAD 항체과 IA2 항체는 방사성면역측정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소아발병 제1형 당뇨병 환자군과 성인발병 제1형 당뇨병 환자군의 평균연령은 각각15±3세, 47±14세 이었으며, 평균 발병 연령은 각각 11±2세, 39±12세이었다. 체질량지수는 소아발병 제1형 당뇨병 환자군에서는 19.1±2.2㎏/㎡, 성인발병 제1형 당뇨병 환자군에서는 21.4±3.2㎏/㎡이었으며, 공복시 혈장 C­펩타이드는 소아발병 제1형 당뇨병 환자군은 0.18±0.19nmol/L이었고, 성인발병 제1형 당뇨병 환자군은 0.23±0.19nmol/L이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소아발병 제1형 당뇨병 환자 32명의 ICA, GAD항체 및 IA2 항체의 빈도는 각각 50%(16/32), 38%(12/32), 31%(4/13)이었다. 성인발병 제1형 당뇨병 환자 40명의 ICA, GAD항체 및 IA2 항체의 빈도는 각각 30%(12/40)25%(10/40)18%(7/40)로 세 항체 모두 소아발병 제1형 당뇨병 환자군보다 낮았으나 두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소아발병 제1형 당뇨병 환자군의 경우 각각의 작가 항체들이 양성인 경우와 음성인 경우로 나누었을 때, 각 환자군의 임상적 특징을 연령, 병의 이환기간, 체질량지수, 공복시 혈장 C­펩타이드에 따라 비교하여 보면, 연령에 따른 GAD 항체와 IA2 항체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성인 발병 제1형 당뇨병 환자군의 경우 각각의 자가 항체들이 양성인 경우와 음성인 경우로 나누었을때, 각 환자군의 임상적 특징을 연령, 병의 이환기간, 체질량지수, 공복시 혈장 C­펩타이드에 따라 비교하여 보면, 연령에 따른 ICA, 체질량지수에 따른 ICA, 공복시 혈중 C­펩타이드에 따른 GAD 항체와 IA2 항체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한국인 소아 발병 제1형 당뇨병 환자의 자가항체 빈도는 성인 발병형보다는 높았으며, 중국인과는 유사하게, 서양인에 비해서는 낮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국인 소아 및 성인 발병 제1형 당뇨병 환자의 병인에는 자가면역 기전이 중요한 역할을 하나 자가 면역을 제외한 다른 인자들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Type 1 diabetes melitus is autoimmune disease in which serum antibodies against islet antigens have been recognized. These antibodies include cytoplasmic islet cell antibodies (ICA), and glutamic acid decarboxylase (GAD) 65 antibodies and IA 2 antibodie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prevalence of these autoantibodies is different among Caucacian and Asian and Korean type 1 diabetes patients. And the natural course of type 1 diabetes can differ according to the age of onset. But, in contrast to the classic juvenile onset type 1 diabetes, the adult onset type 1 diabetes is poorly characterized about clinical and autoimmune differences at presentation. Thus, this study was perfomed to evaluate clinical and autoimmune characteristics at presentation in subjects with either child onset or adult onset type 1 diabetes and to establish an autoimmune pathogenesis in Korean type 1 diabetes. Method : We examin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ild onset type 1 diabetes (n=32) and adult onset type 1 diabetes (n=40) retrospectively. At the same time, ICA from these patients was measured by standard indirect immunofluorescence, GADA and IA2A fro these patients were measured by radio immunoassay. Results : The mean duration of disease was longer in the adult onset and their serumfasting C-peptide concentration at diagnosis were higer. The prevalence of ICA, GADA, IA2A in sera from 32 patients with child onset type 1 diabetes was 50%, 38% and 31% respectively. And, the prevalence of ICA, GADA and IA2A in sera from 40 patients with adult onset type 1 diabetes was 30%, 25% and 18% respectively. The prevalence of ICA, GADA and IA2A in sera from 39 patients with typicaltype 1 diabetes was 46%, 30% and 16% respectively. And, the prevalence of ICA, GADA and IA2A in sera from 33 patients with a typicaltype 1 diabetes was 30%, 30% and 25% respectively. The concordance rate of ICA and GADA in child onset and adult onset diabetes was 81% (26/32), 80% (32/40) respectively. In a subset of these patients with recent onset type 1 diabetes (duration of diabetes ≤ 1 year), the prevalence of ICA, GADA and IA2A was 75% (3/4), 75% (3/4), 100% (1/1) respectively, in the child onset type 1 diabetes. Conclusion : These observations show that autoantibodies in Korean patients with child onset type 1 diabetes is similar compaired with other Asian groups but is lower than Caucasian patients with type 1 diabetes and the prevalence of humoral immunologic markers in child onset type 1 diabetes was higher than that of adult onset diabe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utoimmune response is a significant cause of Korean type 1 diabetes but other factors except autoimmunity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Korean type 1 diabetes (J Kor Diabetes Asso 444~456, 2000)

      • KCI등재후보
      • SCOPUSKCI등재
      • 당뇨병 환자에서 발생한 기종성 신우신염 1례

        이형우,조철규,이현우,이헌주,조인호,원규장,김영수,이찬우,경우,윤현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3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0 No.2

        저자들은 당뇨병 환자에서 발생한 기종성 신우신염을 내과적 치료와 응급 신적출술로 성공적으로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Emphysematous pyelonephritis is a necrotizing renal infections characterized by intrarenal and occasional perirenal gas production. Although uncommon (89 cases in the literature), it occurs almost exclusively in diabetic patients (87% of the cases). Prompt and aggressive management is required to salvage these patients. We describe a recent case of a diabetic woman with emphysematous pyelonephritis due to E. Coll, successfully managed with unilateral nephrectomy.

      • Tc-DTPA를 이용한 신장스캔에서 사구체 여과율의 측정방법과 영상분석에서 구한 지표들에 의한 신장기능의 평가

        조인호,이현우,원규장,이형우,이찬우,윤현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4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1 No.1

        저자들은 Gates의 방법으로 구한 사구체 여과율과 신장스캔 시행중에서 얻을 수 있는 relative intensity of peak renal to peak aortic activity(pK/pA), time between aortic and kidney peak(AK) 및 parenchymal renal activity at 25 min compared to peak kidney activity(25K/pK)등의 지표들이 신기능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알기 위하여 정상 및 신장질환 환자등 57명을 대상으로 Gates의 방법을 시행하여 사구체 여과율을 구하고 이를 크레아티닌 청소율과 그리고 A-K, pK/pA및 25K/pK등의 지표들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99mTc-DTPA를 이용한 사구체 여과율과 크레아티닌 청소율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0.9) A-K, pK/pA및 25K/pK등과 99mTc-DTPA를 이용한 사구체 여과율 사이에는 각각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r=0.42, 0.66, -0.48) 이상의 결과로 Gates의 방법을 이용한 사구체 여과율의 측정은 통상적인 신장 스캔과 함께 시행함으로서 환자에게 별다른 고통을 주지 않으면서 간편하게 시행할 수 있는 검사로써 임상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그리고 A-K, pK/pA 및 25K/pK등의 지표들도 신기능의 평가에 사구체 여과율과 함께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any previously described nuclear medicine procedures to assess glomerular filtration rate have some problems because numerous blood sample is to be taken and they don't measure each separate renal function. Gates described isotopic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global and unilateral GFR based on the fractional renal uptake of 99mTc-DTPA 2 to 3 minutes after its intravenous injection. We evaluated GFR using 99mTc-DTPA in 57 people according to Gates method and compared with creatinine clearance. A good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creatinine clearance and GFR calculated by Gates' formula with an r value of 0.9(P<0.05). And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parameters of 99mTc-DTPA renal scan images and GFR was taken. The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FR calculated by Gates' formula : r value 0.66 between relative intensity of peak renal to peak aortic activity(pK/pA) and GFR, -0.42 between time between aortic and kidney peak(A-K) and GFR and -0.48 between parenchymal renal activity at 25 min compared to peak kidney activity(25K/pK) and GFR. In conclusion, the determination of GFR according to the Gates' formula shows good and reproducible of GFR with rapidity and simplicity. And the parameters from the renal scan images can use to estimate the renal 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