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세대주택의 실내공기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 반 지하세대를 중심으로 Underground Units of Multi-Family Residential Houses

        박진철,이언구 한국건축설비학회 1999 건축 설비 Vol.2 No.2

        본 연구는 국내의 다세대주택의 반지하세대를 대상으로 공기환경의 현장측정을 실시하여 문제점을 파악한 후,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환기량에 따른 실내공기오염농도 감소효과를 실험용기측정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과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중간기와 하절기 동안 다세대주택 반지하세대 15개소를 선정하여 실내공기환경(IAQ)의 현장실태 및 관찰조사 등을 실시한 결과, 환기부족현상이 심각할 정도로 나타났고, 특히 실내공기환경은 많은 오염물질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등 열악한 환경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다세대주택 반지하세대의 열악한 실내공기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환기량의 변화에 따른 실내 오염농도 변화를 실험용기를 통한 실측과 컴퓨터시뮬레이숀을 실시한 결과, 국내 반지하 다세대주택인 경우 구조적으로 환기창 설치의 위치와 크기가 제약되어 있어 충분한 환기량을 확보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컴퓨터시뮬레이숀을 통하여 환기량을 증가시켰을 경우라도 그 오염농도의 감소폭은 일반조건보다 작게 나타나고 있었다. 따라서, 국내 다세대주택 반지하세대의 실내공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첫째, 가급적 오염원이 적은 토양 및 건축재료 등을 선정함으로써 오염요소를 최대한 줄여나가야 한다. 또한 국내 다세대주택이 반지하세대에서는 토양의 라돈가스 등이 실내로 침투할 수 없도록 밀폐된 구조로 하거나, 건물기초와 토양사이에 차단층을 설치하도록 해야 한다. 둘째는 이미 오염원이 확산된 반지하세대에서의 공기 배출, 즉 환기를 시키는 것인데, 환기에 의하여 건물내의 오염농도를 초기 값의 약 30∼50%까지 낮출 수 있음을 감안할 때, 적절한 환기창을 계획하여 자연환기를 유도하거나, 구조적으로 환기량의 확보가 어려울 경우, 오염농도가 발생하는 곳에 국부환기 등의 기계적 환기방법을 병용하여, 특히 에너지소비를 충분히 고려한 보다 효과적인 환기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세째는 실내공기환경에 관한 구체적인 기준치 설정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 즉, 지하공간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공기환경기준의 개선 및 재정립이 요구된다. 연구자는 건물의 실내공기환경(IAQ, Indoor Quality)에 관하여 남다른 관심을 가지고 지난 1993년부터 현재까지 계속된 연구를 수행해왔다. 주로 주거건물을 위주로 즉, 신축 및 기존공동주택을 포함하여 본 연구에서 언급되었듯이 다세대주택의 반지하세대의 실내공기환경실태를 측정·조사하여 그 오염실태를 밝혀내었다. 또한, 밀폐된 실험실 및 컴퓨터시뮬레이숀을 통하여 각종 건축재료(석고보드, 진흙, 페인트, 콘크리트 등)에서 발생되는 실내공기오염물질(라돈가스, 휘발성유기용제, 포름알데히드 등)의 방사량을 다양한 조건(온도, 습도 및 압력차)에서 측정 및 분석함으로써 건축재료에서 발생되는 오염원들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이와같은 연구는 건물의 실내공기환경에 대한 선도적 역할을 하는 연구로서 다가오는 21세기에 건물의 쾌적한 실내공기환경을 제공하는 기초적연구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fundamental strategies for improving IAQ in Semi-Underground Units of Multi-Family Residential House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field measurement of 15 semi-underground units, ventilation rate was found to be improper condition and contaminants concentration exceeded the standards. The laboratory experiment of pollutant-emitting power of formaldehyde (from paint) according to ventilation showed that pollutant concentraton was much reduced. It indicates an appropriate ventilation proved to be effective measure to reduce the level of indoor air pollution. Therefore, to reduce the level of indoor air pollution in Semi-Underground Units of Multi-Family Residential Houses, appropriate strategies including the installation of radon-protection layer, provision of michanical ventilation, planning of openings for cross ventil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rational standards are required.

      • 건축바닥장판재에서의 휘발성유기용제(VOCs) 및 환경호르몬(DOP) 방출특성에 관한 연구

        박진철,이동주,이언구 한국건축설비학회 2000 건축 설비 Vol.3 No.3

        본 연구는 주거용 건물에서 사용되고 있는 건축바닥장판재를 대상으로 VOCs 및 DOP의 오염물질 발생정도 파악과 컴퓨터시뮬레이숀을 통하여 오염농도의 저감대책을 강구한 것으로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즉, 밀폐된 모델시스템에서의 오염물질 발생정도 파악에서 국내 PVC바닥장판재에서는 공기오염물질 중 VOCs인 톨루엔이 일부 검출되고 있었으며 그 농도 값은 외국의 방출량값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바닥장판재에서의 최근 환경호르몬 물질로 알려진 DOP(DEHP)농도 함유량은 Mass Selechve Detector(HP5973MSD)로 측정한 결과, 평균 22.76%로 나타났으나, DOP를 함유한 바닥장판재를 주택내부에 시공하여 실내공기중에서의 DOP 농도검출결과, 바닥장판재에서는 DOP(DEHP)의 물질이 전혀 검출되지 않고 있음으로써 공기중에서는 전혀 검출되고 있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바닥장판재가 시공된 곳의 바닥온도를 약 50℃까지 가열함에 따라 오염물질의 방출량은 약 4.7배에서 최고 14.8배까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건축공간내에서 바닥장판재로부터의 오염물질이 발생할 때, 환기량 크기에 따른 농도분포 시뮬레이션에서는, 환기율에 따라 오염물질이 약 23%까지 그 농도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환기량이 증가할수록 개구부주변 뿐만 아니라 개구부에서 멀리 떨어진 실 깊숙한 곳까지 오염물질이 낮은 농도로 고르게 분포되고 있으로써 환기가 오염농도 개선에 커다란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자료는 바닥장판재 제조업체로 하여금 바닥재의 환경성능을 기술적으로 확인하고 앞으로 보다 환경친화적인 제품의 개발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mission rate of Indoor Air pollutants from the PVC flooring.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model system & model house testing of the emission rate from the PVC flooring(pet, non-uv, uv), VOCs(benzene, toluene, xylene, ethyle benzene) and formaldehyde were detected. Although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were lower than the foreign standards, the emission rates were found to increase in propotion to floor temperature, and could be expected to be higher if TVOC is considered. The test result of GC-MS to identify DOP(DEHP) component from the PVC flooring showed an average of 20% concentration of DOP.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DOP was not detected in the air.

      • KCI등재

        신축공동주택에서 실내마감재 시공에 따른 실내공기환경 실태 조사연구

        박진철 대한건축학회 2007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3 No.6

        The harmfulness of HCHO (Formaldehyde) and VOCs (Volatile Organics Compounds) in indoor is important problem at the new houses and residential buildings. Specially, the concentration of HCHO and VOCs in indoor is showed great difference according to construction progress. This paper i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ncentration of HCHO and VOCs according to finishes and construction. This paper provides the fundamental data for selecting finishes considering indoor air quality. The field measuring and small chamber experiments are conducted to evaluate the concentration of finishing materials according to construction in the new house located in Ansan, Korea from 27 September to 22 December, 2005. The HCHO concentration was showen below the standard all construction process. But the TVOC concentration showed the great difference according to construction process. Specially, When the furniture, built-in chest of drawers and art-wall paper are installed, the TVOC concentration was high concentration. The TVOC concentration is affected by flooring and wall adhesive.

      • KCI등재

        의문형 종결어미 ‘-(으)ㄹ까(요)’의 담화 기능 연구

        박진철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19 언어사실과 관점 Vol.47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discourse functions that appear in semi-spoken language corpus for ‘-(으)ㄹ까(요)’ of the ending of a word who have the sentence closure function in question. interrogative final endings ‘-(으)ㄹ까(요)’ is a common ending term in spoken words, and is mainly trea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style that expresses the function of suggestion, conjecture in the beginning stage. However, ‘-(으)ㄹ까(요)’ performs various and complex functions compared to other expressive patterns, the training that faithfully reflects the functional system is not provided at the Korean language training site, making it difficult for learners to use it appropriately for contextual situations. Therefore, language training should be provided from a functionalist perspective focusing on 'use' that focuses on discourse functions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skills of Korean learners. It was also intended to attempt a comprehensive approach to the discourse function performed by ‘-(으)ㄹ까(요)’ by characterizing which discourse function is extended from the circular attribute to the actual use of the language.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의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박진철,박수연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20 언어사실과 관점 Vol.50 No.-

        The Korean Immigration & Integration Program (KIIP) was introduced by the Ministry of Justice in 2009.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present a desirable direction for research so that the results of research and major issu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 be reflected in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the KIIP in the future. As a result, compared to the early days of the operation of the KIIP the past,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quantitative achievements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areas where sufficient research has not yet to be done in order for social integration programs to achieve their operational purposes in a multifaceted manner. Teaching and content studies related to the KIIP, in particular,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lacking. In the future, the overall direction needs to be continuously checked to ensure that the KIIP meets the purpose of its operation and increases its effectiveness, and various studies on participants’ needs, achievements and satisfaction should be conducted together.

      • 전로 내 용강 출강 시 Slag 유출방지 설비 연구 해석

        박진철,박권필 한국공업화학회 2020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20 No.-

        강의 생산 과정 중 유출되는 Slag 양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개발로서 전 세계 철강 제철 공정 중 전로 취련 후 용강 출강 시 Vortex에 의한 Slag 유출은 제품의 품질을 저해하는 요소일 뿐만 아니라, 이를 처리하기 위한 다량의 Al 투입(탈산)은 후처리 공정의 생산 원가가 상승하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 개발은 전로내 Slag 열유동 해석, 출탕시 Ar 노즐 주입 압력과 Slag 두께에 따른 영향, Ar 노즐 형상에 따른 영향 등을 열유동 해석에 대해 앞서 연구하였고, 이번 연구는 전로내 용강 출탕시 Slag 유출방지 설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 개발에서는 전로내 출강 중 발생되는 슬래그 혼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출강구 상부에서 고압의 Ar 가스를 분사함으로써 슬래그 유출량을 저감시키는 설비를 개발하는 것에 목적으로 이를 위하여 Cooling Lance Assembly 개발을 하였으며, Mchanical Driving System 개발과 설비 운전에 필요 System Control PLC Program 개발 그리고 Conveter Slag Measuring System 개발 연구를 하였다. Slag 유출방지 효과는 기존의 출강시의 Slag 유출은 35%에서 15%정도 줄어든 효과를 얻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