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메타경로분석

        윤미승,홍희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경로분석을 활용하여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22년 12월까지 최근 12년간 국내에서 출간된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연구논문 중 직무스트레스 또는 회복탄력성 간의 상관관계 r 값이 제시된 6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메타경로분석을 위해 먼저 메타분석으로 효과크기를 산출한 후,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은 교사의 행복감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스트레스는 회복탄력성을 매개하여 행복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행복감과 직무스트레스 및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에 대한 개별 연구들의 결과를 수집하여 상이한 효과크기를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종합적인 결론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분석방법으로는 메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합한 메타경로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관련된 변인의 영향을 밝힌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uses meta-path analys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resilience that affects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Among research papers on the happiness of such teachers published in Korea over the past 12 years from 2010 to December 2022, a total of 61 papers that presented an r-value of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or resilience were targeted. For meta-path analysis, the effect size was first calculated through meta-analysis, and path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Job stress and resilience have a direct effect on teachers' sense of happiness, and job stress has an indirect effect on happiness through mediation of resilience. The result of individual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job stress and resilience were examined via meta-path analysis to draw comprehensive conclusions through systematic analysis of different effect sizes. The specific analysis method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s the influence of variables related to the happiness of teachers via a meta-analysis that integrates meta-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1)

        윤미승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1

        우리나라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인 누리과정의 자연탐구영역에서 탐구하는 태도 기르기와 과학적으로 탐구하기를 과학교육의 내용으로 지정하고 있다. 현재까지 유아들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를 신장시키기 위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적극적으로 수행되어 왔으며 그 결과 상당양의 연구들이 축적되어 있다.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단일연구의 효과크기를 종합, 분석하여 전체효과를 확인하고 효과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인을 총체적으로 검토하여 종합적 결론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문제는 첫째,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태도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조절변인(연령, 집단유형, 활동기간, 활동 횟수)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학술 데이터베이스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국회도서관, 구글 스칼라를 이용하여 유아과학교육프로그램, 유아과학활동, 유아과학교육 등의 주제어로 검색한 결과, 2000년부터 2014년까지 발표된 박사학위논문 15편, 학술지 게재논문 53편으로 총 68편의 선행연구를 추출하여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결과 첫째, 유아과학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크기는 1.34,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1.21로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연구대상의 연령과 처치기간, 처치횟수, 집단 구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메타분석은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로 이해할 수 있는것으로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큰 효과크기를 나타낸 것은 현재 국내에서 연구되고 개발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의 향상을 위해 유아교육현장에서 적용할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프로그램임을 입증하는 것이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대인관계와 자율성지지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윤미승,조하영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5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at enabl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function positively in institutions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utonomy support.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86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Busan and Gyeongnam region. The SPSS 25.0 program was us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upport for autonomy.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utonomy support.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arents, young children, and fellow teachers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relative influence on autonomy support. Among the sub-factor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ope, optimism, and self-efficacy had the highest relative influence on autonomy support. Thir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utonomy support. This suggests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autonomy suppor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effor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individual efforts that can suppor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re necessary.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대인관계와 자율성지지 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 울산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82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대인관계와 긍정심리자본은 자율성지지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하위요인 중 학부모, 영유아, 동료교사 순으로 교사의 자율성지지에 상대적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 하위요인 중 희망, 낙관주의, 자기효능감 순으로 교사의 자율성지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대인관계와 자율성지지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유아교사의 자율성지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인관계와 긍정심리자본을 지원할 수 있는 유아교육기관의 노력과 개인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 생활동화를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1)

        윤미승,여진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동화를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들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효과를 밝히기는 것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생활동화를 통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생활동화를 통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이다.연구의 대상은 만 5세 유아 45명으로 실험집단 15명, 비교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으로 나누어 6주 동안 총 15회의 토의활동을 실시하였다. 토의활동으로 실험집단는 생활동화를 들은 후 토의활동을 실히하였고, 비교집단은 생활동화를 듣고 토의활동은 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통제집단은 일일교육계획에 따라 자유선택활동을 진행하였다. 집단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토란스 창의적 사고 검사(TTCT, 1990) 중 도형검사와 대인문제해결검사 검사(박찬옥, 1996)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의 토의활동은 5권의 생활동화를 선정하여 한 권의 생활동화로 3회에 걸쳐 토의활동을 실시하였는데 1회기는 동화책 읽고 이야기 나누기를 하고 2회기는 문제발견하기, 3회기는 문제해결하기 및 뒷이야기 꾸미기로 토의 활동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집단 간의 t-검증을 실시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그 결과 생활동화를 통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전반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생활동화를 통한 토의활동을 한 실험집단이 생활동화를 듣기만 한 비교집단이나 생활동화 듣기활동을 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창의성의 하위요소인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의 점수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생활동화를 활용한 토의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인문제 해결능력의 하위요인인 대안적 해결사고와 결과예측사고에서 생활동화를 활용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생활동화를 통한 토의활동은 유아들이 친구의 입장이 되어보는 경험과 협동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대인관계능력과 창의성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대인문제해결능력과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인 방법으로 생활동화를 활용한 토의활동을 적극 도입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아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가정연계 요리활동의 효과에 관한 연구

        윤미승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0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home-connected cooking activity program to cultivate children's creativity and personality and to verify their effectiveness. Methods The subject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were 43 5-year-old children from daycare center H in D city, 21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2 subjects in the comparison group. The period of the study was from May 23 to July 30, 2022. For 10 weeks, a total of 8 sessions of culinary activities were conducted to foster creativity and character in connection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families. In order to develop a home-connected culinary activity program to foster creativity, based on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two major professors and three field experts tested the facial validity to develop a creative personality activity program for institutions and a home day activity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that the home-connected cooking activity program for cultivating children's creativity and persona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cultivating fluency, originality, sophistication, openness, and abstraction in children's creativit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positive effects in filial piety, consideration, respect, cooperation, sharing, and order in children's personality domain.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home-connected cooking activity programs for cultivating children's creativity and character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cultivating children's creativity and character.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possibility of applying a home-connected cooking activity program as a way to cultivate children's creativity and character, and also various play and activity programs conducted in conjunction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families to promote children's creativity and character. suggests the need to develop.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창의성과 인성을 함양하기 위하여 가정연계 요리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것에있다. 방법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 대상은 D시의 H 어린이집 만 5세 유아 43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 21명과 비교집단 22명으로선정하였다, 연구의 기간은 2022년 5월 23일부터 7월30일까지 10주 동안 총 8회기의 유아교육기관과 가정을 연계하여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요리활동을 실시하였다. 창의인성 함양 가정연계 요리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기반으로 전공교수 2명과 현장 전문가 3명의 안면타당도 검증을 거쳐 기관용 창의인성 활동과 가정용 요일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결과 본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가정연계 요리활동 프로그램은 유아의 창의성 영역에서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 개방성, 추상성에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인성 영역에서는 효, 배려, 존중, 협력, 나눔, 질서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가정연계 요리활동 프로그램의 적용은유아의 창의⋅인성 함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인성교육은 가정과 연계될 때 그 교육적 효과가 증진 되는 것으로밝혀졌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의 창의⋅인성을 함양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정연계 요리활동 프로그램 적용 가능성을 시사하며또한 유아들의 창의⋅인성 증진을 위해 유아교육기관과 가정이 연계하여 이루어지는 다양한 놀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아동이 지각하는 학교 환경 및 자아존중감과 행복 간의 관계

        윤미승,김경은,정진 한국생활과학회 2022 한국생활과학회지 Vol.3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school environment, self-esteem, and happiness of children and identify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in the effect of school environment on happiness. This study used the 10th data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The participants were 326 males and 307 female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perceived physical school environment was partially associated with children’s self-esteem and happiness. Perceived psychological school climate was associated with children’s self-esteem and happiness. Also, children’s self-esteem was associated with their happiness. Second, children’s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s between psychological school climate and happiness. However, self-esteem fully mediated the effect between physical school environment and happiness.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promoting self-esteem and creating a warm and supportive school to enhance children’s happiness.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학교 환경과 자아존중감, 행복의 관계를 살펴보고, 학교환경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아존중감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연구(PSKC)의 10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남아 326명과 여아 307명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물리적 학교 환경은 아동의 자존감 및 행복과 부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심리적 학교 환경은 아동의 자존감 및 행복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행복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심리적 학교환경은 행복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아존중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지만, 물리적 학교환경은 자아존중감을 통해 간접적으로만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행복을 증진하기 위해 아동의 자존감을 고취하고 따뜻하고 지지적인 학교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했다.

      • KCI등재

        교사의 자기결정성과 영유아 자율성지지 간의 관계

        윤미승,김경은,정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8 No.3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nfluence of teachers’ self-determination on support for autonomy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 t-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to assess if there is a difference in support for autonomy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 of teacher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elf-determination on support for autonomy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score according to age, care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of teachers,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understanding and interest, which are sub-factors of infant autonomy support. That is, the teachers in charge of infant classes took more actions to enhance children’s understanding and interest than teachers with more than three years of experience. Further, autonomy and relationships, which are sub-factors of teachers’ self-determination, affected support for infants’ autonom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level of self-determination of teachers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promote infant autonomy support behavior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infant-toddler-led play-centered curriculum, which is the focus of Gaejeong Nuri Curriculum. It is noteworthy that teachers’ self-determination should be cultivated at the same time when developing teacher education or programs for fostering support. 이 연구는 교사가 보유하고 있는 자기결정성과 영유아 자율성지지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영유아 자율성지지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t 검증과 ANOVA를 실시하였고, 교사의 일반적 특성 및 교사의 자기결정성이 영유아 자율성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사의 담당연령과 경력에 따라 영유아 자율성지지 하위요인인 이해와 흥미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유아반 교사가 영아반 교사에 비해, 3년 이상의 경력교사가 2년 미만 경력교사에 비해 영유아의 이해와 흥미를 증진시킬 수 있는 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자기결정성과 영유아 자율성지지 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본 결과, 교사의 자율성과 관계성이 영유아 자율성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정누리과정의 중점이 되는 영유아 주도의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성공적 실행을 위해 영유아 자율성지지 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교사의 자기결정성의 수준이 향상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영유아 자율성지지 함양을 위한 교사 교육이나 프로그램 개발 시 교사의 자기결정성을 높이는 내용이 포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