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유료노인홈의 임대료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유하라,노승한 건국대학교 부동산도시연구원 2022 부동산 도시연구 Vol.15 No.1

        This study examines the rent determinants of Senior Assisted Living Facility in Japanese society, application plans to Korean society by variable analysis. We select the subject of the study in Setagaya-Ku, one of 23 districts in Tokyo, Japan, as a microscopic perspective. For using OLS regression, we employ ‘monthly payment per unit area’ for the dependant variable while we classify independent variables as three fields: service characteristics, real estate characteristics, and facility characteristics. We develop three models which perform sequentially adding characteristic groups. Based on the result, we argue that a sufficient review of environmental factor variables such as the degree of provision of nursing services, consideration of the age of occupancy, and convenience due to reverse accessibility will be needed to introduce housing for the elderly in urban Korea.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fundamental research on urban elderly housing that can be supplied to large cities with high population density in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유료노인홈을 분석하고 한국에서 적용할 고령자주택의 모델 중 하나로 제안하여 유료노인홈이 일본 사회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지 살펴보고, 월 지불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변수화하여 분석함으로 한국 사회로의 적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 번째로 최신 연구를 찾아보기 힘든 유료노인홈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데이터를 모으고 실증분석을 하였다는 점, 두 번째로 공간적 범위를 일본의 도쿄 23구 중 하나인 세타가야구로 선정하여 미시적 관점에서 유료노인홈을 재해석하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도쿄 23구 중 하나인 세타가야구를 선정해 소재하는 유료노인홈 전체를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유료노인홈에서 필수로 제공하는 독자적인 양식인 ‘중요사항설명서’를 통하여 독립변수를 선정을 하였고, 종속변수는 ‘단위면적당 월 지불액’으로 선정하였다. 독립변수는 서비스 특성, 부동산 특성, 시설 특성 중 세 분야로 분류하였으며 각 특성별로 Model 1, Model 2, Model 3으로 나누었다. 특성그룹을 순차적으로 추가해 회귀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이후 Model 3을 기반으로 하여 회귀분석결과를 해석하였다. 본 연구 분석결과를 통해, 한국 도심형 노인주택 도입을 위해 개호서비스의 제공정도, 입주가능연령에 대한 고려, 역 접근성으로 인한 편의성 등 환경적 면에서의 가격 영향 변수들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라는 점이 도출가능하다. 일본 내 보편화된 고령자주택의 형태 중에서도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춘 유료노인홈의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한국의 인구밀도가 높은 대도시에 공급할 수 있는 도심형 고령자주택에 대해 기초적인 연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조사의 배열 양상에 관한 몇 가지 문제

        유하라 형태론 2006 형태론 Vol.8 No.2

        In modern Korean, a noun phrase can be followed by several particles (cosa). In many cases, arrangement patterns hold between particles; if their order is changed, a sentence becomes ungrammatical. This paper studies the arrangement pattern of particles with the hope of explaining the principles between these patterns, and focuses on ‘ccum(쯤)’. We classify this particle as a “thukswucosa (delimiter),” because it can either follow or precede a particle phrase that combines lexical case markers and Class Ⅰ delimiter, but cannot follow a particle phrase that combines structural case markers and Class Ⅱ delimiter. So why are only some arrangements possible? “Semantic relevance” and “particle scope” determine arrangements. But particle phrase that includes ‘ccum’ are difficult to explain in terms of “semantic relevance” or “particle scope”. 본고는 ‘쯤’을 대상으로 조사의 배열 양상을 논의할 때 생기는 몇 가지 문제에 대해 지적하였다. 조사의 배열 순서는 조사 목록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으며 말뭉치 용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본고에서는 ‘쯤’이 특수조사임을 밝히고 조사연속구성에서 ‘쯤’이 어떠한 배열 양상을 보이는지 검토하였다. ‘쯤’은 접미사로 다루어지기도 하지만 용언의 활용형이나 조사 뒤에 실현될 수 있으므로 특수조사로 볼 수 있다. ‘쯤’은 어휘격조사나 특수조사에 선행하기도 하고 후행하기도 한다. 조사의 의미적 상관성과 작용역은 조사의 배열 순서에서 일정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쯤’이 포함된 조사연속구성의 경우, 그것을 이용해 명확히 설명할 수 없음이 한계로 남는다. 다만 다른 조사에 후행하는 예보다 선행하는 예가 더 빈번히 나타난다. 특히 특수조사 중에서 ‘쯤’이 후행하는 예는 ‘까지’와 ‘부터’에 한한다. 이것은 ‘쯤’이 ‘즈음’에 기원을 두고 있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학습자의 다양성에 대한 국가 수준 교육과정 총론 서술 내용 분석: 제4차~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유하라(Ryu Ha Ra),이효정(Lee Hyo J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9 열린교육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가 수준 교육과정 총론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이에 반영된 통합 혹은 포용의 가치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습자의 다양성에 대한 포용은 국내외적으로 강조되는 중요한 교육적 가치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학습자의 다양성에 대한 지원이 통합교육의 확대와 함께 양적·질적으로 성장해왔지만,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과정 수정 등과 같은 교육과정적 통합은 여전히 미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총론에서 학습자의 다양성을 지원하는 서술 내용의 변천을 분석하고자 학습자의 다양성, 교수·학습의 다양성, 평가의 다양성 차원으로 국가 수준 교육과정 분석의 틀을 구성하였다. 또한 이를 기초로 학습자의 다양성과 관련된 진술이 최초 등장한 제4차 개정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총론의 내용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여러 번의 개정을 거치며 지원 범위의 확대, 용어 정비, 수준별 수업의 도입 등을 통해 학습자의 다양성을 지원하려는 노력이 부분적으로 확대되어왔다. 그러나 학생의 요구보다 기능주의에 입각한 지원, 수준별 수업의 변질, 평가의 다양한 층위에 대한 논의 부족 등의 측면에서 한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학습자를 포함하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embedded value of inclusion by analyzing the general guidelines in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ions. Currently, inclusion and equity in education for diverse learners have become important values in education internationally. Although support for learners’ diversity has been improved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a lack of access to gener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till remains in terms of instructional inclusion. In this study,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documents have been analyzed focusing on descriptive changes in order to support and include all students based on their diversity. The dimensions of the national review framework for reviewing national policies by UNESCO (2016) were applied for the study to examine the domains of national curriculums including learners’ diversity, instructional flexibility, and assessment system for all learners. As a result, the included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documents of the study showed some efforts for supporting learners’ diversity such as expansion of supporting population, reconsideration of terminology, and differentiated classes. Nevertheless, findings showed a lack of flexibility of national curriculum revisions for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supporting diverse learners across all three dimensions for inclusion and equity in education.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대학입시 공정성에 대한 미디어 담론 분석: 학생부종합전형을 중심으로

        유하라(Hara Ryu) 한국교육학회 2023 敎育學硏究 Vol.61 No.6

        최근 언론을 중심으로 각종 입시 비리 사건과 부작용이 보도되면서 대학 입시 공정성을 둘러싼 다양한 논의들이 화두로 등장하였다. 이 과정에서 언론은 대학 입시 공정성에 대한 여러 담론들을 생성・유통하였으며, 반대로 대중들의 다양한 인식이 이러한 언론의 담론 형성과정에 반영되기도 하였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사회적 현상에 주목하여 대학 입시 공정성을 둘러싼 다채로운 논의들이 형성하는 특정한 담론적 질서를 조명한다. 특히, 이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과 맞닿아 있는 대학 입시 공정성 담론들이 언론을 통해 대중에게 수용되는 과정을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학생부종합전형을 보도하는 신문 기사들은 ‘잠재력 평가’ 담론, ‘스펙 쌓기’ 담론, 공정성 잣대로 본 ‘학종 대 수능’ 담론이 서로 접합・배열된 형태로 대학 입시 공정성을 둘러싼 독특한 담론적 질서를 형성하고 있었다. 특히, 학생부종합전형의 ‘잠재력 평가’ 담론은 ‘스펙 쌓기’ 담론으로 왜곡・변용되면서 능력주의와 결합된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와 접합하였고, 이로 인해 형성된 담론적 질서는 대입 경쟁의 과열 및 불안 심리의 확산과 더불어 개인의 ‘능력’ 형성에 작용한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정당화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언론을 중심으로 형성된 이러한 담론적 질서는 대학 입시의 절차적 객관성과 투명성 확보라는 미시적 차원에만 주목한다는 측면에서 사회정의의 실현에 대한 논의를 부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에 현존하는 불평등의 구조적 문제를 정당화하고 이를 끊임없이 재생산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대학 입시 공정성에 대한 다채로운 접근, 즉 대학 입시를 둘러싼 경제・사회・문화적 갈등의 다양한 요인들과 이를 초래하는 불평등한 권력관계에 대한 깊은 논의의 필요성을 촉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discourses of fairness germane to the college admission systems. To do so, the study paid close attention to the comprehensive student record screening (the so-called Hakjong in Korean), a revised version of the college admissions officer system in South Korea. To analyze the varigated public opinion son fairness entwined deeply in the college admission systems, I conducted a critical discours eanalysis (CDA) of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in South Korea. In so doing, I illustrated three interrelated discourses: (a) the evaluations of students’ potentials, (b) the competitions for various qualifications (i.e., spec, a widely used term in South Korea) to get admissions from the highly selective colleges, and (c) the Hakjong (the comprehensive student record screening) versus the CSAT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Furthermore, the order of discourses of fairness overarching these interrelated discourses is intimately attached to powerful ideologies (e.g., neoliberalism and meritocracy) in, but not limited to, Korean society/societies. Based upon CDA, this study articulates a crucial point: the order of discourses of fairness germane to the college admission systems serves crucial roles to (re)shape unequal relations of power that perpetuate social inequality in South Korea. This work, by doing so, offers insights to address various critical issues related to the fields of education as well as the college admission systems in South Korea.

      • KCI등재

        교사 저작물에 기술된 수업담론 실천과정 분석

        고진호,유하라 한국교육철학학회 2019 교육철학연구 Vol.41 No.4

        This article analyses recent teaching discourse written and published by teachers’ community at school. The teaching discourse offers a critical lens to reflect on the improvement of teaching. The teaching discourse is different from the theoretical discourse in terms of language. Compared to the objective language in the theories on teaching, the teaching discourse reveals the teaching situation in classroom by using on-site language. The recent teaching discourse is also distinguished from the existing teaching discourse. While the previous discourse written by teachers tends to focus on the personal narrative, the recent discourse is more widely acknowledged as a professional practice through publishing their works. With the help of publications, the teaching discourse has gained the publicity and authority. Based on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by Fairclough, this study analyses the teaching discourse in relation to the textual, practical and social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textual practice focuses on the activities of teachers’ community in writing and publishing. Finally, this paper examines the teaching discourse in the process of social practice. It shows the social relation between time and contexts in which the various occasions of teaching discussions occur at school. 최근 학교현장에서 생성되고 있는 교사 수업담론은 수업에 대한 비판과 성찰, 개선을 위한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수업담론은 여러 가지 면에서 이론과 차이점이 있다. 수업 이론이 과학적인 특성을 지닌 객관적인 언어에 기초하고 있다면, 수업담론은 교사들이 생성하는 현장언어로서의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교사들의 수업 담론은 과거부터 학교 현장에서 언급되고 있었지만, 대부분 일회성의 이야기 혹은 자기고백적 내러티브(narrative) 이상의 의미를 지니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 교사 수업담론은 저작물의 형태로 생성되고 있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수업담론의 생성이 현장 교사들의 전문적 실천 활동의 일환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교사들의 전문적 실천 활동에는 교사 수업담론을 저술, 출판하는 과정과 담론적 생성을 위한 교사 공동체 활동이 포함되어 있다. 교사 수업담론의 저술과 출판은 담론의 공공성(publicity)과 권위(authority)를 확보하게 되는 계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내포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교사 수업담론의 중요성에 대한 최근의 상황을 고려하여, 1990년 이래 생성된 교사 수업담론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방법은 페어클러프(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 분석기법(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이다. 이 연구에서는 교사 수업담론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을 통해 교사 수업담론의 실천적 과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에 대한 대학 유학생의 요구와 인식 연구

        장민정,홍은실,유하라,현원숙,오문경,김경훤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1

        With a steady increase in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attending Korean universities, various studies have emerged to addressthese students ’ approach to academic Korean. Most of the studieshave focused extensively on reading and writing, with few lookingbeyond to what is required in regards to academic listening. Theability to listen to lectures has a decisive effect on learning and academicachievement in universities. However, a large number of internationalstudents tend to perceive listening as the easiest of the languageskills, because they do not distinguish between general listening andlecture listening. Due to the difficulties in lecture listening, directlyassociated with understanding lecture contents, many students tend tofall behind early in the semester and resort to dropping courses andfail to graduat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ssess the perceptionsand needs of first year international students in terms of academiclistening.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the students to lecturesatisfaction. We strived to assess factors associated with competencyin academic listening in order to build a curriculum for effectivelecture listening for academic purposes.

      • KCI등재

        전공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자체교육인증 실태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 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이선영(Sun-Young Lee),유하라(Ha-Ra Ryu)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0

        본 연구는 전공교육과정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질 관리를 위하여 도입된 자체교육인증을 투입-전환-산출-환류라는 체계이론 관점에서 자체교육인증의 현 수준을 진단하고,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전공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체인증 자료를 분석하고 참여학과 교수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함으로써 자체교육인증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현행 자체교육인증의 투입, 전환, 산출, 환류 차원에서 발생하는 제한점을 확인하였다. 차원별 제한점에 대한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투입차원에서는 학문분야별 특성을 반영한 교육수요 기반 교육목표 설정 및 필요지원을 확대해야한다. 둘째, 전환차원에서는 자체교육인증을 운영하는 목적에 부합하도록 교육과정 인증 기준 및 인증체계를 개편해야한다. 셋째, 산출차원에서는 자체교육인증 참여 학과 단위에서 실질적 혜택을 체감할 수 있는 평가제도적 장치 마련과 운영결과 활용 및 관리를 위한 데이터 기반 평가체계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넷째, 환류차원에서는 교육과정 평가 및 환류를 위하여 자체교육인증의 유형을 이원화하고 재인증체제를 도입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공교육과정 및 자체교육인증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의 역할을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operational status of internal accreditation introduced for continuous and systematic quality management of the major curriculum and suggests improvements for the quality management of the major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put-transition-output-feedback" theory. To this end, data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professors of participating departments in internal accreditation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the input, transition, calculation, and feedback of current internal accreditation. The improvement plan for each dimension is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input, the educational needs-based goal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cademic field, and the necessary support needs to be expanded. Second, in terms of translation, the curriculum accreditation standards and systems must be reformed to meet the purpose of operating internal accreditation. Third, in terms of output level, data-driven quality management systems should be established for continuous quality management and differentiated support for certification participation. Fourth, in terms of feedback, it is necessary to dualize the stages of accreditation and prepare a system for curriculum evaluation and feedback.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the major curriculum and internal accreditation system.

      • KCI등재

        역량 기반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 교육과정 연구

        홍은실 ( Hong Eunsil ),장민정 ( Jang Minjung ),오문경 ( Oh Moonkyoung ),유하라 ( Yu Hara ),현원숙 ( Hyun Wonsook ),김경훤 ( Kim Kyonghwon ) 한국화법학회 2017 화법연구 Vol.0 No.3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cademic listening curriculum based on core competency. Traditionally, since learning involved obtaining static and absolute knowledge and skills, the structure of knowledge played a major role in the curriculum. However, a rapidly changing society requires efficient problem-solving abilities regardless of circumstances. Therefore, attention has now shifted to core competencies in developing curricula. First, in order to develop a Korean academic listening curriculum, the concept and traits of core competencies will be revisited. Second, we will identify implications from the cases of curricula based on core competencies and establish the direction of developing our curriculum. Third, we will show how the Korean academic listening curriculum of Sungkyunkwan university is developed based on the core competency approa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