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등도 이상의 신부전 환자에서 B-type Natriuretic Peptide(BNP) 측정은 수축기 심부전의 진단에 유용한 검사인가?

        왕희성,유병수,정일형,유호열,이낙원,김장영,이승환,황성오,윤정한,최경훈 대한심장학회 2005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35 No.12

        Background and Objectives:Plasma B-type natriuretic peptide (BNP) can be increased in patients with renalinsufficiency (RI).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agnostic value of BNP for systolic heart failure(HF) in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RI. Subjects and Methods:Between Aug 2002 and May 2004, 433patients found to have systolic HF or moderate to severe RI were include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3groups (group I; only HF, group II; only RI, group III; HF and RI). The severity of RI was graded according tothe calculated creatinine clearance (Ccr); moderate 30≤Ccr<60, severe 15≤Ccr<30 or end stage renal disease(ESRD) Ccr<15 mL/min. Results: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67.6±12, and 49% were male. There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BNP levels between group III and the other two groups (p<0.001); group I(n=65, 837.3±884), group II (n=137, 1049.4±1332) and group III (n=231, 1738.3±1501 pg/mL). A weaknegative correlation was note between BNP and Ccr (r=-0.335, p<0.001) in patients with RI. As the renalfunction deteriorated, the mean BNP of groups II and III was found to be elevated (moderate 625.5±574,1183.0±1056; severe 760.5±1211, 2205.4±1470; ESRD 2157.6±1831, 3209.9±1900 pg/mL, p<0.05), withthe mean BNP of group III being higher than that of group II for each grade (p<0.05). From the ROC curve, theoptimal cut-off point of BNP for the diagnosis of systolic HF in patients with RI was 829 pg/mL (accuracy 68%,sensitivity 66% and specificity 70%, p<0.001). Conclusion:In the case of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RI,a higher BNP cut-off point for the diagnosis of systolic HF and a relatively lower diagnostic accuracy of BNPshould be considered. 배경 및 목적:B-type natriuretic peptide(BNP)는 신기능 장애를 가진환자에서도 상승될 수 있다. 이에 저자등은 신기능과 BNP의 연관성 및 중등도 이상의 신부전을 가진 환자에서 수축기 심부전을 진단할 때 BNP 측정의 유용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방 법:2002년 8월부터 2004년 5월까지 NYHA class III 이상의호흡곤란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여 중등도 이상의 신부전혹은 수축기 심부전을 진단받고 BNP 측정 및 심초음파도 검사를 시행받은 43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를 수축기 심부전만 있는 군(I군), 신부전만 있는 군(II군),수축기 심부전과 신부전이 동반되어있는 군(III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혈중 BNP는 Triage?? kit(Biosite, Sandiego,USA)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신기능평가를 위하여 Cockcroft-Gault equation을 이용하여 크레아티닌 청소율(Ccr)을 산출하였으며, 중등도 이상의 신기능Hee-Sung Wang, et al:BNP in Renal Insufficiency·903부전은 Ccr이 60 mL/min 미만인 경우로 정의하였다.신부전은 진행정도에 따라 중등도(30≤Ccr<60), 중증(15≤Ccr< 30), 말기신부전(Ccr<15 mL/min)으로 구분하였다. 결 과: 전체 대상환자는 433명으로 평균연령은 67.5±12세였으며, 남자 213명(49%)이었다. 대상환자 각 군의 평균 BNP 농도는 I군(n=65) 837.3±884, II군(n=137) 1049.4±1332,그리고 III군(n=231) 1738.3±1501 pg/mL으로 III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1), I군과 II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9). 신부전 환자에 있어서 BNP 수치는 Ccr의 변화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r=-0.43, p=0.00), 말기신부전인 경우에 유의하게 상승되었다(중등도; 625.5±574, 중증; 760.5±1211, 말기신부전; 2157.6±1831 pg/mL, p<0.001). 신부전이 동반된 경우 수축기 심부전 유무를 평가하는데 BNP 검사의 정확도는 ROC curve 상에서 BNP 수치가 829 pg/mL일때 예민도와 특이 도가 각각 66.2%, 70.1%였다(accuracy 68%, p<0.001). 결 론: 중등도 이상의 신기능 장애가 동반된 경우 BNP 수치는 정상 신기능인 환자에 비해 유의하게 상승하므로, BNP 검사를 통한 수축기 심부전의 진단 시에는 보다 높은 수치를 기준으 로 삼아야 하며, 또한, 신기능 장애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진단의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 KCI등재

        생화학/분자생물학 : 토양미생물 Bacillus sp. GS2에 의한 질산이온 흡수

        왕희성 ( Hee Sung Wang ),윤영배 ( Young Bae Yoon ),김영기 ( Young Kee Kim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2011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54 No.2

        국내 시설농업에서 질소비료의 과다시용은 토양에 염류집적을 유발하고 있다. 토양중 축적된 질산이온을 제거하기 위하여 질산이온 흡수능이 뛰어난 토양미생물을 밭토양으로부터 분리하고, 질산이온 흡수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한 GS2 균주는 50 mM 농도의 질산이온을 12시간 이내에 제거하였다. 이 균주는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Bacillus sp. GS2로 분리동정하였다. 이 균주의 성장과 질산이온 흡수의 특성을 조사하였을 때, 각각 30-40oC와 37oC에서 최대치를 보였으며, 두 가지 모두 pH 6-8 범위가 최적의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Bacillus sp. GS2 균주는 50 mM 질산이온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43 mM의 농도를 감소시켜 약 86%의 질산이온 흡수를 보였으며, 300 mM 까지의 농도범위에서 유사한 질산이온 제거 능력을 보여, 질산이온 흡수활성이 50 mM 이상에서 포화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Bacillus sp. GS2 균주의 우수한 균주성장과 질산이온 흡수능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 균주는 환경중 질산이온 제거에 유용한 균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Over-application of nitrogen fertilizer keeps increasing the salinity in the soils of greenhouse in domestic agriculture. In order to remove the excess amounts of soil nitrate, soil microorganisms which have high capacity of nitrate uptake were isolated from the upland soils and their nitrate uptake activities were measured. Strain GS2 was able to remove 50 mM nitrate within 12 h. After sequence comparison analysis of 16S rRNA gene, the strain was identified and named as Bacillus sp. GS2. When the growth and nitrate uptake activities were measured, maximal values were obtained at 30-40oC and 37oC, respectively; however, both were optimal at pH 6-8. In the media containing 50 mM nitrate, Bacillus sp. GS2 removed 43 mM nitrate which is corresponding to 86% removal. Similar amounts of nitrate removal were observed at the nitrate concentrations up to 300 mM, showing a saturation in nitrate uptake at concentrations above 50 mM. These results imply that Bacillus sp. GS2 can be a good candidate for the microbial remediation of accumulated environmental nitrate because of its excellent growth and nitrate uptake activity.

      • SCOPUSKCI등재

        톨라신의 용혈활성에 대한 Ni<sup>2+</sup>의 저해효과

        최태근,왕희성,김영기,Choi, Tae-Keun,Wang, Hee-Sung,Kim, Young-Kee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09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52 No.1

        세균독소인 톨라신은 재배버섯에서 버섯균사 및 자실체의 구조를 파괴하여 갈반병을 일으킨다. 톨라신의 세포독성은 톨라신이 적혈구의 세포막에 pore를 형성하여 세포구조를 파괴하기 때문에 용혈활성을 측정하여 평가한다. 저자들은 $Zn^{2+}$와 $Cd^{2+}$에 의한 톨라신의 용혈활성 저해효과를 측정하는 중에 $Ni^{2+}$이 또 다른 저해제로 톨라신의 독성을 억제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Ni^{2+}$에 의한 톨라신 용혈활성의 저해는 농도의존적이었으며, Ki 값은 대략 10mM이었고, 이것은 $Ni^{2+}$이 $Cd^{2+}$에 비하여 저해효과가 높음을 의미한다. 용혈활성은 50mM 이상의 $Ni^{2+}$농도에서 완전히 제거되었으며, $Ni^{2+}$의 효과는 EDTA 첨가에 의해 가역적임을 확인하였다. 톨라신에 의한 용혈활성이 20mM $Ni^{2+}$에 의해서 완전히 억제된 상태에서 EDTA를 가하면 즉각 용혈활성이 나타났다. $Ni^{2+}$에 의한 톨라신 독성의 저해기작은 알 수 없지만, $Ni^{2+}$은 톨라신의 독성과정인 막결합, 분자중합체 형성, pore 형성, pore를 통한 막대한 양의 이온이동 등에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된 연구의 결과는 $Ni^{2+}$이 독성과정의 마지막 단계인 pore를 통한 이온이동 과정을 저해함을 보여준다. The bacterial toxin, tolaasin, causes brown blotch disease on the cultivated mushrooms by collapsing fungal and fruiting body structure of mushroom. Cytotoxicity of tolaasin was evaluated by measuring hemolytic activity because tolaasins form membrane pores on the red blood cells and destroy cell structure. While we investigated the inhibitions of hemolytic activity of tolaasin by $Zn^{2+}$ and $Cd^{2+}$, we found that $Ni^{2+}$ is another antagonist to block the toxicity of tolaasin. $Ni^{2+}$ inhibited the tolaasin-induced hemolysis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its Ki value was $\sim10$ mM, implying that the inhibitory effect of $Ni^{2+}$ is stronger than that of $Cd^{2+}$. The hemolytic activity was completely inhibited by $Ni^{2+}$ at the concentration higher than 50 mM. The effect of $Ni^{2+}$ was reversible since it was removed by the addition of EDTA. When the tolaasin-induced hemolysis was suppressed by the addition of 20 mM $Ni^{2+}$, the subsequent addition of EDIA immediately initiated the hemolysis. Although the mechanism of $Ni^{2+}$ -induced inhibition on tolaasin toxicity is not known, $Ni^{2+}$ could inhibit any of fallowing processes of tolaasin action, membrane binding, molecular multimerization, pore formation, and massive ion transport through the membrane pore. Our results indicate that $Ni^{2+}$ inhibits the pore activity of tolaasin, the last step of the toxic process.

      • KCI등재

        급성 대퇴동맥 혈전색전증 환자에서 PercuSurge GuardWireTMSystem 및 7 Fr. 유도관을 이용한 경피적 색전 제거술 1예

        정일형,김장영,왕희성,유병수,이승환,윤정한,최경훈 대한심장학회 2004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34 No.8

        An acute thromboembolism of the peripheral artery is a common complication in patient with inappropriately treated atrial fibrillation. A case of successful recanalization of a thromboembolic occlusion of the left common femoral artery, using the PercuSurge GuardWireTM System, with a 7 Fr. guiding catheter, was experienced in a patient with atrial fibrillation. 저자들은 심방 세동으로 인한 좌측 대퇴 동맥의 혈전 색전증으로 급성 동맥 폐쇄를 보인 환자에서 PercuSurge GuardWireTM System과 7 Fr. 유도관을 이용하여 혈전의 원위부 색전 없이 성공적으로 경피적 흡입 색전 제거술을 시행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돼지 관상동맥 스텐트 재협착 모델에서 Cobalt Alloy와 Stainless Stainless Steel Core® Stent의 비교

        김장영,윤정한,정일형,왕희성,안민수,이경훈,유병수,이승환,최경훈,장양수,안재모,류용선 대한심장학회 2005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35 No.7

        The stent material and thickness may influence the rate of restenosis following coronaryartery stenting. A thin strut cobalt-alloy stent has been developed in an attempt to reduce the restenosisrate, while maintaining the radiopacity and radial streng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 stainlesssteel Core?? stent (thickness: 90 μm/HUMED Co. Ltd, Korea) with that of a cobalt alloy Core?? stent (thickness:60 μm/HUMED Co. Ltd, Korea) in a porcine coronary stent restenosis model. Materials and Methods:The cobaltalloy (Co-alloy) and stainless steel (SS) stents were implanted in 24 porcine coronary arteries. Four weeks afterstenting, the pigs were sacrificed after quantitative coronary angiography (QCA). The coronary arteries were perfusion-fixed and stained, and a pathological examination performed by computer-aided histomorphometry. Results:The minimal luminal diameter at 4 weeks was larger in the Co-alloy than the SS group according to the QCA(1.8±0.8 mm vs. 2.7±0.8 mm, p=0.019). The neointimal area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Co-alloy thanthe SS group (1.96±0.68 mm2 vs. 0.89±0.27 mm2, p<0.001). The intima/media area ratio was significant lowerin the Co-alloy than the SS group (1.33±0.46 vs. 0.69±0.21, p=0.003). Conclusion:The thin strut cobalt alloyCore?? stent significantly reduces the neointimal formation compared to the stainless steel Core?? stent in a porcinecoronary stent injury model. 기존의 연구에 의하면 스텐트의 재협착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스텐트의 구성 물질(material composition), 두께(thickness)이다. Cobalt alloy 소재는 스텐트의 두께를 줄이면서radial force를 유지할 수 있어 스텐트의 내막 증식에 의한재협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개발된 60 μm두께의 cobalt alloy Core?? 스텐트와 90μm두께의 316 L stainless steel Core?? 스텐트가 돼지 관상동맥의 스텐트 재협착 모델에서 내막증식 억제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방 법:스텐트를 각각 12개씩 돼지 관상동맥 혈관(좌전 하행 지 및우 관상동맥)에 스텐트를 삽입하였다. 관상동맥 손상 4주 후에 추적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고, 돼지를 희생시킨 후 관상동맥 표본의 조직 병리학적인 특징을 관찰하였다. 결 과: 24개의 스텐트를 성공적으로 삽입하였고, 4주 후의 추적 관찰에서 사망한 돼지는 없었다. 4주 후 희생 전 관상동맥 조영술에서의 최소 혈관 내경은 Co-alloy군이 1.8±0.8 mm와 SS군이 2.7±0.8 mm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9). Injury score는 Co-alloy군은 1.14±0.14이고 SS군은 1.19±0.31로 양군의 혈관 손상의 차이는 없었다(p=0.688). 내막 면적은 Co-alloy군 0.89±0.25 mm2, SS stent군 1.96±0.68 mm2로 Co-alloy군이 유의하게 적었다(p<0.001). Intima to media ratio는 Co-alloy군 0.69±0.29, SS군 1.33±0.46로 Co-alloy군이 유의하게 적었다(p=0.003). 결 론:돼지 관상동맥 스텐트 재협착 모델을 이용한 실험에서 60μm두께의 cobalt alloy Core?? 스텐트가 기존의 316L stainless steel Core?? 스텐트보다 유의한 내막의 증식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 KCI등재

        심전도와 심근 효소가 정상인 급성 관동맥 증후군에서Ischemia Modified Albumin 측정의 진단적 의의

        김장영,최경훈,윤정한,정일형,왕희성,최훈,정현숙,김현,유병수,이승환,어영,황성오 대한심장학회 2005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35 No.12

        Background and Objectives:In the early phase of acute chest pain, the diagnosis of acute coronary syndrome(ACS) is often difficult to achieve in an emergency department (ED) due to the non-diagnostic ECG and cardiacmarkers. Ischemia modified albumin (IMA) has recently been shown to be a sensitive early biochemical markerof ischemi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agnostic value of IMA for the patients with suspectedACS and who have normal ECG/cardiac markers. Subjects and Methods:We enrolled 142 consecutive patientswho presented to the ED due to suspected ACS, and they had a normal EKG and troponin-I/CK-MB within 5hours after the onset of their chest pain. The diagnosis of ACS was based upon the clinical findings, the resultsof serial ECG/troponin and the coronary angiography. The ideal cutoff value of IMA for ACS was calculated bythe receiver operator characteristic (ROC) curve analysis. Results:The ACS was diagnosed in 80/142 (56%).The ROC curve area for the IMA test was 0.77 (CI; 0.70-0.85, p<0.01). At a cutoff value of 98.5 U/mL, thesensitivity, specificity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for ACS were 73%, 75% and 75%, respectively. At a cutoffvalue of 85 U/mL,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for ACS were 92%, 35% and95%, respectively. Conclusion:IMA might be a useful diagnostic marker of ACS for those patients with normalECG/cardiac markers and who present within 5 hours after the onset of chest pain. 배경 및 목적:급성 흉통으로 조기에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에서 심전도 및CK-MB/troponin-I가 정상인 경우 관동맥 증후군을 진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흔하다. 최근 소개된 혈청 내 ischemiamodified albumin은 민감한 심근 허혈의 검사법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급성 흉통환자에서 심전도 및CK-MB/troponin-I가 정상이며 급성 관동맥 증후군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IMA 측정의 진단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방 법:대상환자는 연속적인 급성 흉통 후 5시간 안에 응급실에내원한 환자 중 troponin-I와 CK-MB가 정상이면서 심전도상 허혈의 증거가 없는 142명(평균나이: 58±14세, 남성;56%)을 포함시켰다. 관동맥 증후군의 진단은 내원하여 검사한 연속적인 생화학적 표식자 및 침습적/비침습적 심혈관검사에 의해 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ROC커브를 통해 진단적 의의를 조사하였다. 결 과: 대상환자에서 관동맥 증후군은 80예(56%)였다. ROC커브상 IMA의 area under the curve는 0.77(confidence interval,0.70~0.85)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IMA치가 98.5 units/mL에서 관동맥 증후군의 민감도, 특이도, 음성 예측도는 각각 73%, 75%, 75였다. IMA치가 85units/mL에서 관동맥 증후군의 민감도, 특이도, 음성 예측도는 각각 92%, 35%, 95%였다. 결 론: 급성 흉통으로 조기에 내원하여 심전도와 CK-MB와 troponin-I이 정상인 환자에서, IMA의 측정은 관동맥 증후군을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임을 시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