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선택적 함묵아의 담임교사가 경험하는 갈등에 관한 질적 연구

        오영범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0 현장수업연구 Vol.1 No.1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educational activities and teacher’s conflicts that a homeroom teacher experience with a selective mutism child who is 5th grade student using qualitative research in the classroom and school setting. A researcher collected and analyzed various qualitative data such as participant observation, interviews, pictures and reflective diary. Based on these data, a researcher applied two individualized educational activities for a selective mutism child of the class. As a result of this paper, a researcher as a homeroom teacher experienced four kinds of conflicts resulted from the experience with a selective mutism child. A researcher experienced such as 1) confusion between consideration and waiting, 2) conflict between personalization and individualization, 3) dilemma of teacher identity, and 4) sorrow and pleasure of growth potential. But a selective mutism child didn’t give me conflicts. She gave me good conditions that a researcher could be a good teacher. A researcher found four meanings through various experiences related to a selective mutism child. First, a researcher could grasp the phase of deeply understanding about various students. Second, a researcher could appreciate the necessity of multi-dimensional caring strategy for selective mutism children. Third, a researcher could appreciate early detection and quick prescription. Fourth, a researcher could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school and classroom research in terms of teacher professionalism. 이 연구는 한 선택적 함묵아의 담임교사를 맡은 연구자가 학교생활을 통해 드러난 일련의 교육 활동 속에서 경험하는 갈등을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드러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참여 관찰, 면담, 성찰 일지, 사진 자료, SNS 등과 같은 다양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하나의 유기적 체제로 보고 각 자료들 간의 연결성, 위계성, 상호작용 등을 고려하여 의미를 도출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의 반성적 성찰은 초기 의미를 더욱 상징적으로 정교화함으로써 질적 연구가 가진 특징인 점진적 주관성을 지향하는 데 기여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자가 경험한 갈등으로 배려와 관망 간의 혼란, 개인화와 개별화 사이의 갈등, 교사정체성에 대한 딜레마,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와 절망이라는 4가지를 표면화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개나리는 연구자에게 갈등만을 안겨 주지 않았다. 개나리와의 경험은 성장과 고통이 함께하는 ‘성장통’으로 교사로서 한 단계 성장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개나리 담임교사로서 경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의미를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학생 다양성에 대한 심층적 이해의 국면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특별한 관심이 필요한 아이들에 대한 입체적 돌봄 전략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셋째, 조기 발견 및 즉각적인 처방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넷째, 교사 전문성 신장의 측면에서 현장 기반 연구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를 통해 선택적 함묵증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다양한 차원에서 선택적 함묵증에 대한 연구 수행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배움중심수업의 의미 분석을 통한 방향 탐색: 초등교사의 실천을 중심으로

        오영범 한국초등교육학회 2019 초등교육연구 Vol.32 No.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meanings and directions of learning centered classes. For this, a researcher conducted this study with 14 elementary school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in three ways: class observation, interview, and reflection journal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researcher observed and analyzed learning centered classes using diagnostic criteria developed by Lee et al(2018). Also, a researcher collected data using interview and reflection journa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qualitative data analysis method leading to transcription-coding-topic discovery and used as a strategy to validate the study by triangulation, experts review, and study participant review. As a result of study, the meaning of learning centered classes was revealed by the deliberation about learning based on collegiality, the establishment of teacher autonomy foundation, and the diversification of class improvement methods. Based on this meaning, a researcher was able to derive four learning centered classes directions, which are represented by the spread of the range of autonomy, the expansion of the opportunity to observe the class, the specification of the reflection method, and the autonomy based on voluntary wil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researcher suggested two types of necessity of continuous and regular evaluation of learning centered classes and the need for reflection from a critical perspective based on evaluation of learning centered classes. 이 연구는 배움중심수업의 의미 및 방향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업연구교사발표대회에 참여한 초등교사 1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업관찰, 면담, 그리고 성찰일지의 세 가지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업관찰은 이상수 외(2018)가 개발한 배움중심수업의 진단 준거를 활용하여 수업을 분석하였고, 면담은 두 차례에 걸쳐 연구참여자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성찰일지를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코딩-주제 발견으로 이어지는 질적 자료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고, 자료수집 방법의 삼각검증법, 전문가 검토, 연구참여자 검토의 방법으로 연구를 타당화하는 전략으로 삼았다. 연구 결과, 배움중심수업의 의미는 동료성에 기반한 배움에 대한 숙의, 교사 자율성 기반 조성, 수업개선 방법의 다변화로 드러났다. 이 의미를 바탕으로 동료성 범위의 확산, 수업 참관 기회의 확대, 성찰 방법의 구체화, 자발적 의지에 기반한 자율성으로 대표되는 네 가지의 배움중심수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배움중심수업에 대한 지속적이고 정기적인 평가의 필요성, 배움중심수업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비판적 관점의 성찰 요구의 두 가지를 연구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수업 분석을 위한 과업집중도분석의 타당도 이슈와 확보 전략

        오영범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validity issues raised in task engagement analysis, a class analysis tool, and to explore ways to solve these problems. For this purpose, data such as task engagement analysis results, class videos, and the researcher's reflective journal were collected. These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the researcher's many years of experience in instructional consult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degree of concentration on the task. The validity problems of the task engagement analysis derived through this study were revealed as ambiguity in judgment about learner behavior, reliability problems due to single observer analysis, limitations in analysis due to flat observation, and lack of evidence for the causes of results. To solve these problems, the following four methods of securing validity are suggested: First, clarification of the action in parallel with class video recording. Second, securing reliability through multiple observers. Third, three-dimensional analysis using other instructional analysis tools. Fourth, the collection of rich data through interviews and survey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use of the task engagement analysis tool can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competency of observers who perform class analysis. Second, an instructional analyst or observer can derive highly valid instructional analysis results by considering the method for securing validity suggested in this study. Third, contributing to the practical improvement of the instructor's class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instructor's class expertise.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 분석 도구의 하나인 과업집중도분석에서 제기되는 타당도 이슈를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다년간 수업컨설팅 경험을 통해 수집한 과업집중도분석 결과, 수업동영상, 그리고 연구자의 성찰 일지 등과 같은 자료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포괄적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과업집중도분석의 타당도 문제는 학습자 행위에 대한 판단의 모호성, 단일 관찰자 분석으로 인한 신뢰도 문제, 평면적 관찰로 인한 분석의 한계, 그리고 분석 결과에 대한 원인의 근거 부족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타당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타당도 확보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업동영상 촬영을 병행한 행위의 명료화, 다중 관찰자를 통한 신뢰도 확보, 다른 수업 분석 도구를 활용한 입체적 분석, 면담 및 설문을 통한 풍부한 정보 도출을 타당도 확보 전략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과업집중도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수업 분석을 수행하는 관찰자의 역량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수업컨설턴트 혹은 관찰자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타당도 확보 방안을 고려하여 타당도 높은 수업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셋째, 교수자의 실질적인 수업 개선에 기여함으로써 교수자의 수업 전문성 신장에 이바지할 수 있다.

      • KCI등재

        프로젝트 수업 사례를 통한 프로젝트 수업의 의미 탐색

        오영범 한국교육개발원 2017 한국교육 Vol.44 No.1

        Purpose: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project instruction through a project instruction case based on a scholastic context. To facilitate this, the author first demonstrated a project instruction case according to Kilpatrick’s 4 step process: goal establishment,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Second, the author analyzed the meaning of project instruction.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Qualitative data such as interviews, blogs, and reflection diaries were collected. Qualitative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of transcription, coding, and theme finding using Parangsae2.0, which is a Computer Assisted Qualitative Data Analysis program written in Korean. Findings/Results: The meaning of project instruction derived from the qualitative data suggests the following: practical learning connects the subject to the context of real life, a systemic community occurs through the constructive integration of the cognitive domain and the affective domain, there is an increase in latent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he formation of a semantic network combining fragmented knowledge occurs. Value: Based on these four results, this paper validates two core principles: first, the potential of research and practice regarding project instruction; second, the valid necessity of project instruction based on the four stage process employed in this study. 본 연구는 한 초등학교 교사가 진행한 프로젝트 수업 사례를 통해 프로젝트 수업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두 가지의 구체적인 연구내용을 설정하였다. 첫째, Kilpatrick이 제시하고 있는 프로젝트 수업의 단계(목적 설정, 계획, 실행, 평가)에 따라 프로젝트 수업 사례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둘째, 프로젝트 수업 사례 속에 담긴 프로젝트 수업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면담, 블로그, 성찰 일지와 같은 질적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 면담은 본 연구에서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한 이교사와 그가 담당하고 있는 16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이교사가 교육 자료 수집과 수업 관련 글쓰기를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블로그를 수집하였다. 연구자는 이 과정에서 프로젝트 수업의 의미를 도출하는 데 필요한 성찰 일지를 작성하였다. 수집된 질적 자료는 한국형 CAQDAS(Computer Assist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인 파랑새2.0(www.thebluebird.kr)을 활용하여 전사, 코딩, 목록화, 의미 발견의 순서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프로젝트 수업 사례를 통해 밝혀진 의미는 교과와 삶의 맥락을 연계한 실제적 학습, 인지와 정의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유기적 학습공동체 구축, 잠재된 학습동기 및 자기 주도적 학습력 증대, 파편화된 지식을 통합하는 의미망 구축의 네 가지로 밝혀졌다. 이 연구는 최근의 배움중심수업과 함께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프로젝트 수업의 유용한 사례를 제공함으로써 교육 현장에서 프로젝트이 필요한 타당성을 강화해 주는 측면이 있다. 아울러, 본 사례를 바탕으로 다양한 형태의 창의적인 사례들이 더욱 확산 보급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한 도교육청 장학사의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넘침과 모자람의 균형을 찾아서

        오영범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2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도교육청에서의 장학사 경험을 탐구하기 위해 자전적 내러티브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방법은 한 개인이 겪은 경험의 지엽성과 특수성을 인정한다. 이로 인해, 연구자인 ‘나’는 도교육청 맥락에서 겪은 장학사 경험을 이야기하며 의미를 부여하였다. 나는 경험을 구체화하기 위해 개인 저널을 작성함으로써 연구 자료를 형성하였다. 경험의 의미를 도출하기 위한 자료의 해석은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인 시간성, 사회성, 장소를 고려하였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경험의 순서를 반영하기 위해 진입, 적응, 갈등, 타협이라는 4개의 대표적인 개념을 제시하였다. 진입에서는 ‘나를 누르는 무거운 기류’, 적응에서는 ‘관료 조직에 동화되는 나’, 갈등에서는 ‘나는 무엇을 위해 일하는가?’, 마지막으로 타협에서는 ‘균형을 통한 새로운 나의 발견’이라는 주제를 부여하였다. 나는 경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적 정당성, 실제적 정당성, 사회적 정당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가 갖는 의미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영어과 학습 부진아를 위한 RPG 게임 기반 학습 콘텐츠 개발 및 적용

        오영범,정희재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영어 학습부진아를 위한 RPG 게임 기반의 학습 콘텐츠를 개발하여 그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교수 설계의 기본 모형인 ADDIE 모형을 토대로 교육과정 및 관련 문헌을 분석하여 설계 전략을 추출하였으며, 이 설계 전략을 활용하여 영어 교육용 RPG 게임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콘텐츠는 초등학교 5학년 영어 학습부진아 4명을 대상으로 2개월 동안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자유 글쓰기, 인터뷰, 그리고 담임교사의 관찰 방법을 병행하였다. 그 결과, 영어 학습부진아들은 RPG 게임 자체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고, 이것은 학습 기대감과 만족감으로 이어졌다. 게임에서 미션의 해결에서 오는 만족감은 새로운 미션에 대한 도전감을 갖도록 하였는데, 이것은 Keller가 언급하고 있는 ‘계속동기(continuing motivation)'의 측면에서 해석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RPG based learning content for English low-achievers at elementary school and to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is content. Design strategies were elicited by reviewing curriculum and literature. Educational RPG was developed based on ADDIE model. The researchers implemented them in four 5th-grade English low-achievers for two months. Free writing, interviews and observations of the homeroom teacher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ontent. As a result, English low-achieving students became interested in RPG itself, raised their expectations and became more satisfied in learning. When students completed missions while playing games, they gained satisfaction and were challenged by the new missions. This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motivation, or continuing motivation as mentioned by Keller.

      • KCI등재

        한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담긴 의미 탐색 : L교사의 교육 이야기

        오영범,정영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5 평생학습사회 Vol.11 No.4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meanings of practical knowledge through teacher L’s story. For this, the researcher conducted participant observation, content analysis of dialogue with teacher L, and analysis of teacher L’s blog. The researcher also wrote reflective diaries. Data was analyzed using 3steps; transcription, coding, and theme finding. Researchers deduced meanings through transcription, coding, and theme finding using ‘PARANGSAE 1.0’ which is a CAQDAS(Computer Assist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The meanings contained in teacher L’s practical knowledge consist of 4 results, ① learning and caring through a double role as a teacher and a father, ② class community- making ‘learning together’ through destroying the wall, ③ 3 dimensions of educational practice: educational reconstitution, thorough planning, and human․ material resources, ④ practical knowledge development and reflection through teachers’ learning community. Teacher L’s practical knowledge results were combined contextually with teacher’s value and belief, teacher’s experience based on theoretical knowledge and reflective thinking. Based on this, researchers suggested way in which to direct teacher education through practical knowledge. 이 연구는 연구자와 함께 근무하고 있는 저경력의 L교사 이야기를 통해 그의 실천적 지식 형성 과정과 그 속에 담긴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 이다. 이를 위해 같은 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연구자는 직접 참여관찰하 면서 관찰일지를 작성하였고, L교사와의 대화 내용 분석, L교사의 블로그 내용, 그리고 연구자의 성찰일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특히 질적자 료분석 프로그램인 ‘파랑새1.0’을 활용하여 전사 및 자료입력, 코딩, 주제생 성의 과정을 통해 의미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L교사의 교육적 실천 속 에 내재된 의미는 첫째, 교사와 아빠의 이중적 역할을 통한 배움과 돌봄, 둘째, 학생과 벽허물기로 ‘어깨동무’ 학급공동체 형성, 셋째, 교육실천의 3박자: 교육적 재구성, 철저한 계획, 인적․물적 자원, 넷째, 교사학습공동 체를 통한 지속적인 실천적 지식 향상과 성찰 등의 네 가지로 도출되었다. L교사의 이러한 실천적 지식은 이론적 지식과 반성적 사고를 중심으로 교 육현장의 맥락성, 교사의 가치와 신념, 교사의 경험 등이 결합되어 이루어 진 것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실천적 지식 관련 연구와 현장의 교사교육의 방향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육아의 현실에 관한 포토보이스

        오영범,백승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3

        Objectiv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ality of parenting.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what is the meaning of parenting?, Second, what are the difficulties of parenting?, Third, what are the rewards of parenting? Methods Researchers applied the photovoice research method, a type of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to explore the reality of parenting. Fourteen mothers who are experiencing childcare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study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photovoice activities three times. The first meeting between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took place during orientation. Using this time, the researchers explained the concept, characteristics, procedures, and effects of photovoice to the participants. Additionally, the researchers informed the participants that they would take pictures, give meanings, and conduct discussion activities according to the topic. Researchers collected data through three sessions of photovoice activities and photo-based focus group discussions with participant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processes of selecting, contextualizing, and codifying, and results were derived according to three research question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eaning of parenting appeared to be growth and hope through reflection, and the difficulties of parenting appeared to be continuous self-sacrifice in difficult situations. And the reward of parenting appeared as the reason for existence and the power of social move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veyed their vivid voices by conducting photovoice research targeting mothers experiencing parenting.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ers discussed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we were able to vividly see the reality of mothers experiencing childcare. Second, by applying the photovoice research method, we showed the reality of mothers experiencing childcare in a three-dimensional way. Third, this study, which applied the photovoice research method, served as a useful channel through which the voices of mothers experiencing childcare could be conveyed to society.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photovoice can be a useful means of social participation.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육아의 현실을 탐색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육아의 의미는 무엇인가?, 둘째, 육아의 고충은 어떠한가?, 셋째, 육아의 보람은 무엇인가? 방법 연구자들은 육아의 현실을 탐색하기 위해 참여적 행동 연구의 한 유형인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에는 육아를경험하고 있는 14명의 어머니들이 참여하였고, 연구 참여자들은 3차례에 걸쳐 포토보이스 활동에 참여하였다. 연구자들과 참여자들의 첫 만남은 오리엔테이션 시간에 이루어졌다. 이 시간을 활용하여 연구자들은 참여자들에게 포토보이스의 개념, 특징, 절차, 그리고 효과를 설명하였다. 또한 연구자들은 주제에 따라 사진을 찍고 의미를 부여하며 토론 활동을 수행할 것이라고 참여자들에게안내하였다. 연구자들은 참여자들과 함께 3회기의 포토보이스 활동, 사진에 기반한 포커스 그룹 토론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선택하기, 맥락화하기, 그리고 성문화하기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고, 세 가지 연구 문제에 따라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육아의 의미는 성찰을 통한 성장과 희망으로 나타났고, 육아의 고충은 어려운 상황 속 지속되는 자기희생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육아의 보람은 존재의 이유와 사회 움직임의 힘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육아를 경험하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포토보이스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그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전달하였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첫째, 육아를 경험하는 어머니들의 현실을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육아를 경험하는 어머니들의 현실을 입체적으로 보여주었다. 셋째,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이 적용된 본 연구는 육아를 경험하고 있는 어머니들의 목소리가 사회를 향해 전달될 수 있는 유용한통로 역할을 하였다. 넷째, 포토보이스는 유용한 사회적 참여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XML기반 영어과 교수학습용 전자교과서 개발 및 적용

        오영범,이상수,서정진,김미숙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4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영어과 교수.학습용 전자교과서를 개발·적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CD-ROM 타이틀의 단점을 보완하고 전자교과서가 가진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 XML을 기반으로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개발된 후에는 그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호작용성, 만족도, 그리고 흥미도의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개발된 영어과 전자교과서의 사용으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성, 학습 만족감, 그리고 학습 흥미도가 높아져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이 보다 증진될 으로 예상된다. 이것은 영어 학습 효과성으로 이어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nd apply an electronic English textbook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3rd grade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textbook was based on XML to maximize the advantages of the electronic textbook format, and avoid the disadvantages of the CD-ROM that 3rd grade classes currently use. After electronic textbook was developed, focus group interview was implement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at based on interaction, satisfaction, and interests. As a result of this study, interaction, satisfaction, and interests of students will be improved through the use of electronic textbook and it is anticipate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ill be improved. Also, we anticipate that the students’ learning effectiveness will be enhan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