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주민의 건강정보 수용 수준과 건강행동과의 관련성 - 인천지역 성인 거주자를 대상으로 -

        양선영,박경옥 한국지역사회학회 2018 지역사회연구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ssociations of the perceived acceptance levels of health information with adult residents’ health behaviors in Incheon. A total of 180 adults who visited the two survey borough offices of Incheon participated in the self-administered surve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perceived acceptance levels of health information (exposure and acceptance), and health behaviors. The perceived exposure had positive medium level correlation with the perceived acceptance of health information (r=.465, p<.001).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ived exposure of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behaviors was not significant (r=.069) but there was significant, even though weak,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ived acceptance of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behaviors (r=.185, r<.05). The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 behaviors were gender, age, perceived health interest, and the perceived acceptance of health information. These four significant factors explained 29.6% variance of health behaviors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is suggested to identify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health information acceptance of target audiences when developing health communication programs in community level. 본 논문은 일부 인천지역의 성인 거주자들이 인식하는 건강정보 수용 수준과 건강행동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구청 중 본 조사연구에 협조를 허락한 2개 구청에 조사기간 동안 민원업무를 위해 방문한 60세 미만 성인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80명이 조사에 응답하였다. 조사지는 일반적 특성, 인지된 건강정보 수용 수준(노출과 수용), 건강행동으로 구성되었으며 회수된 응답은 모두 SPSS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되었다. 건강정보 노출 인식은 수용 인식과 중등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r=.465, p<.001), 건강행동과 건강정보 수용 인식 간에도 약하지만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185, p<.05). 그러나 건강행동과 건강정보 노출 인식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회귀분석 결과, 건강행동과 관련된 유의미한 요인은 성, 연령, 건강관심도, 건강정보 수용 인식이었으며 이 요인들의 대상자 건강행동에 대한 분산설명력은 29.6%였다. 여성이고, 연령이 높을수록, 건강관심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건강정보 수용점수가 높을수록 건강행동 점수가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 건강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단순한 건강정보 노출을 넘어 정보 수용도를 높일 수 있는 목표 대상의 관련 특성을 규명하고 적용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 KCI등재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중독 수준에 따른 현실 자아 정체감과 사이버 자아 정체감의 불일치

        양선영,한유진 한국인간발달학회 2006 人間發達硏究 Vol.13 No.4

        이 연구는 인터넷 게임 중독이 청소년의 현실 자아 정체감과 사이버 자아정체감 각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 인터넷 게임 중독 수준에 따라 현실 자아 정체감과 사이버 자아 정체감의 불일치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밝혀보고자 하였다. 중학생 337명 중 남학생이 149명, 여학생이 188명, 고등학생 287명 중 남학생이 126명, 여학생이 161명으로 총 624명을 인터넷 게임 중독 수준에 따라 고위험 중독 집단, 잠재적 위험 집단, 일반 사용자 집단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인터넷 게임 중독 청소년의 중독 수준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이버 자아 정체감의 경우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더 높았으나, 현실 자아 정체감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셋째, 인터넷 게임 중독 수준은 청소년의 현실 자아 정체감 형성에 영향을 주며 인터넷 게임 중독 수준이 높을수록 낮은 목표 지향성을 보였다. 넷째, 인터넷 게임 중독 수준은 사이버 상에서의 자아 정체감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사이버 목표지향성, 사이버 독특성, 사이버 대인관계, 사이버 자기 수용, 사이버 자기 주장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중독 수준에 따라 현실 자아 정체감과 사이버 자아 정체감의 불일치가 크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청소년의 사이버 자아 정체감을 살펴본 최초의 탐색적 연구라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인터넷 게임 중독이 현실과 사이버 상에서의 자아 정체감 불일치를 밝혔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미용 서비스의 편의성과 가치소비가 만족도 및 재방문 여부에 미치는 영향

        양선영,진용미 한국미용학회 2023 한국미용학회지 Vol.29 No.2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a total of 314 questionnaires through SPSS 24.0 to find out the effect of convenience and value consumption on satisfaction and revisit. The results are as follows. Beauty service convenience is two factors: convenience and convenience of use, and value consumption is three factors: social value, emotional value, and practical value, and satisfaction and revisit were derived in a single dimension. The effect of beauty service convenience on satisfaction and revisit was all positive, and value consump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and revisit. The resulting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eek to strengthen continuous capabilities, such as investing capital throughout the human and material composition of beauty services and providing beauty services online and offline. Second,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professional beauty technology and steadily train employees to strengthen services to identify and implement various direction of value consumption of customers. Third, customer management is needed to increase satisfaction and revisit through excellent customer data such as age, occupation, and visit pattern, and the quality of hair shops' beauty services is expected to help the development and competitiveness of the beauty industry.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applying various variables will continue, such as collecting survey results and calculating statistics and comparing and analyzing them, prioritizing even distribution by gender and age.

      • KCI등재

        자연모티브를 활용한 인테리어 텍스타일 소품의 표현 유형에 따른 선호도 연구: 쿠션을 중심으로

        양선영,김지인,박혜신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2

        최근 몇 년간 주거 공간 내에서의 힐링(healing)과 자연주의를 중시하는 트렌드가 지속되면서 텍스타일 디자인에서도 자연 모티브를 표현하는 방법 또한 다양화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의 모티브를 활용한 인테리어 텍스타일 제품의 다양한 표현 유형을 조사·분류하고 그 중 쿠션을 중심으로 유형별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알아보았다. 사례조사의 범위는 2014년 2월 기준 인테리어/리빙 잡지(월간지) 판매량 Top 50 중 판매량 3위 이내의 잡지에 최근 3년간 소개된 인테리어 텍스타일 제품들로 그 범위를 한정하였다. 선행 연구 및 사례조사를 토대로 인테리어 소품에서의 자연 모티브의 표현 유형을 질감표 현형, 실사이미지형, 그래픽형, 형태표현형으로 텍스타일을 유형화 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분석한 결과 소비자들은 질감표현형의 제품에서 가장 편안하고 안락한 느낌을 받았으며, 형태표현형의 제품에서 가장 독창적인 느낌을 받고 있었다. 실사이미지형과 그래픽형은 심미성에 있어서 높은 평가를 얻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선호도에서는 질감 표현형을 가장 선호하여 현대인들이 자연의 질감을 실내에서 그대로 재현하는 제품을 통해 주거 공간에서 안락감과 휴식을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For a last few years, a trend emphasizing a healing power and naturalism in residential space has been lasted consistently, and that phenomenon has been varying all those methods which the field of textile design would use to express a nature-based motif. As discusses above, this study examined diverse expression types of natural motif-based interior textile products and investigated their type-specific customer preference by centering on cushions. The case study selected only those interior textile products which have been introduced within the last three years in those top three magazines on interior decorations and lifestyles as research subjects. These three magazines were those which had created the greatest profits among top 50 magazines as from February of 2014.Based on preceding researches and case studies, this present research involved surveys dividing the textile expression types of natural motif in interior pieces into texture expression type, actual image type, graphic type and shape expression typ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was learned that the customers would feel most relaxed and safe with those textile products focusing on textures while they felt most original and individual with those concentrating on forms. The textile products with real pictures on and graphic images on were recognized highly for their aesthetics. In terms of the preference, the textile products focusing on textures would be loved most, and that explained how much people in this modern society would pursue a sense of comfort and relaxation in their residential space as they try to reproduce textures of nature in their inner space using these textile products focusing on textures without making many changes in those original textures of n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