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위산업기술 유출에 대한 형사법적 대응방안

        송승은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5 법률실무연구 Vol.13 No.1

        방위산업기술은 국가안보자산일 뿐만 아니라 전략적 경제자원으로서 상당한 가치를 지니기 때문에 국가역량을 집중하여 보호해야 할 필요성이 크다. 4차 산업혁명시대 진입과 더불어 국방 핵심기술은 고도로 발달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무기체계 또한 고도로 정밀화 첨단화 다기능화되고 있다. 국가 간의 기술 확보 경쟁은 치열해지고 있으며 선진국의 기술보호주의는 더욱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방산업 핵심기술 확보가 점차 어려워짐에 따라 불법적인 방법으로 방산기술을 탈취・편취하려는 기법 또한 진화하는 중이다. 우리나라는 2015년 ‘방위산업기술보호법’을 제정하고 여러 차례의 개정을 통해 방산기술 유출의 법정형을 강화하는 등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적극 대응하고 있으나 방산기술의 해외 유출은 여전히 증가하는 등 실효적 대응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방위산업 유출 처벌 법규를 검토하고 개선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위산업기술보호법 제10조 제1호의 ‘부정한 방법으로’는 그 내용이 모호하여 명확성의 원칙에 반하므로 입법론적 재검토를 요한다. 둘째, 방산기술 국외 유출을 처벌하려면 외국에서 사용되게 할 ‘목적’이 있어야 하는데(제21조 제1항), 이를 입증하기가 쉽지 않아 처벌을 어렵게 한다. 목적범 요건은 삭제하는 등 처벌조건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방위산업기술의 안보적 측면에서 처벌법규를 국가안보에 위협이 되는 적국(반국가단체)에 대한 유출과 그 밖의 외국으로의 유출로 구분하여 별도의 처벌조항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행위불 법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넷째, 산업스파이와 다름없는 방위산업기술의 국외유출을 간첩죄(형법 제98조)로 의율하여 처벌하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국가기밀을 실질적 개념으로 파악하여 방위산업기술을 여기에 포함시키고 구성요건에서 ‘적국’ 개념을 삭제하거나 ‘외국’을 위한 간첩죄 규정을 신설하여 매우 강력하게(최고 사형까지) 제재할 수 있다. 강력한 형벌위하를 통해 국가안보를 위협하는 범죄에 대한 일반예방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역외규정의 미비로 인한 문제(외국에서 행해진 유출행위)도 해결할 수 있다. 방위산업기술은 국가안전보장과 직결되기 때문에, 튼튼한 방위산업기술 보호체계를 구축하고 국가의 안보와 국익에 반하는 방위산업기술 유출 및 침해범죄에 강력 대응해야 한다. Since defense industry technology is not only a national security asset but also a strategic economic resource and has significant value, it is highly necessary to focus on protecting national capabilities. Long-term and large-scale investments are involved as a national strategic resource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national security. Internationally, securing reliability through strong technology protection and cooperation between allies are of paramount importance in defense industry technology transactions. As Korea's defense industry technology has developed dramatically and the market for introducing various weapons and defense systems has grown in size, attempts to leak and infringe from abroad have increased rapidly, and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protection is increasing. With the entr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core defense technologies are developing, and weapon systems that respond to them are also becoming highly precise, advanced, and multifunctional. Techniques to seize and defraud defense technologies in illegal ways are also evolving as it becomes increasingly difficult to secure core technologies in the defense industry in a situation where competition for technology acquisition between countries is intensifying and technological protectionism in advanced countries is intensifying. Since defense industry technology is directly related to national securit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rong defense industry technology protection system and respond strongly to defense industry technology leakage and infringement crimes contrary to national security and national interests. Korea is actively responding by establishing legal and institutional measures, such as enacting the Defense Industry Technology Protection Act in 2015 and strengthening the statutory punishment for defense technology leakage through several revisions, but questions are being raised about effective responses, such as the increase in the outflow of defense technology abroad. In this situation, the argument to punish the outflow of defense industry technology abroad as a crime of espionage under the criminal law is drawing attention. It is necessary to respond strongly to the crime of espionage under the criminal law for the outflow of defense industry technology that threatens national security and causes enormous damage to the national economy.

      • 법조경합의 종류에 관한 고찰

        송승은 培材大學 附設 社會科學硏究所 2005 사회과학연구 Vol.26 No.-

        Bei der Gesetzeskonkurrenz(od. Gesetzeseinheit) verdrängt ein Tatbestand den anderen, so daß nur ein Tatbestand erfüllt ist und allein dieser angewendet wird(unechte, scheinbare Konkurrenz). Einmal wird bei der Gesetzeskonkurrenz die zurücktretende Strafvorschrift nicht in den Schuldspruch aufgenommen, trägt also auch zur Kennzeichnung der Tat nichts bei. Zum anderen steht der Mitberücksichtigung des ausgeschlossenen Gesetzes bei der Strafzumessung nicht selten die Tatsache entgegen, daß dessen Merkmale im Tatbestand des anzuwendenden Gesetzes bereits enthalten sind(Verbot der Doppelverwertung). Endlich bleibt das verdrängte Gesetz dann endgültig aus dem Spiel, wenn das primär anzuwendende Gesetz eine Privilegierung enthält, die der Täter durch den Rückgriff auf das verdrängte Gesetz verlieren würde. Gesetzeskonkurrenz kommt in drei Fällen in Betracht, wobei freilich viele Einzelheiten umstritten sind. Die überwiegende Meinung unterscheidet zwischen Spezialität, Subsidiarität und Konsumtion. 1. Spezialität: Hier enthält eine Norm alle Merkmale einer anderen Norm und zusätzlich weitere, spezielle Merkmale, weshalb die andere, generelle Norm verdrängt wird. Hier wird also von der verdrängenden Norm her gedacht. Kurz: Eine Norm enthält eine andere ganz und noch mehr. 2. Subsidiarität: Hier ist eine Norm ausdrücklich (formelle Subsidiarität) oder stillschweigend (materielle Subsidiarität) nur unter der Voraussetzung anwendbar, daß nicht schon eine andere Norm eingreift und die nur hilfsweise geltende Norm verdrängt. Hier wird also von der verdrängten Norm her gedacht. Kurz: Eine Norm gilt nur hilfsweise. Subsidiarität ist typischerweise dann gegeben, wenn bei einem Angriff auf dasselbe Rechtsgut schwächere und stärkere Angriffsformen zusammentreffen. So steckt in jedem vollendeten Vorsatzdelikte als Minus der Tatbestand des Versuches, der als (stillschweigend) subsidiär verdrängt ist. Entsprechend ist die schwächere Beihilfe subsidiär gegenüber der Anstiftung, und ist die Anstiftung subsidiär gegenüber der Täterschaft. 3. Konsumtion: Hier wird ein Delikt typischerweise vor, während oder nach einem anderen, oft, aber nicht notwendig, schwereren Delikt begangen, weshalb man annimmt, das eigentliche, der Tat das Gepräge gebende Delikt "verzehre" den Unrechts- und Schuldgehalt des anderen, begleitenden Deliktes (mitbestrafte Vor-, Begleit- oder Nachtat). Auch hier wird von der verdrängten (konsumierten) Norm her gedacht. Kurz: Eine Norm trifft im Einzelfalle typischerweise mit einer begleitenden Norm zusammen, die ihr gegenüber keinen Eigenwert mehr hat. Auch die Konsumtion muß durch Auslegung der jeweiligen Tatbestände - am Fall- ermittet werden. Für die mitbestrafte Vortat ist kennzeichnend, daß das Schwergewicht bei der Nachtat liegt und der Gesamtkomplex nur unter dem Gesichtspunkt der Nachtat zu bewerten ist. Für die mitbestrafte Begleittat ist ebenfalls der Gesichtspunkt des Schwergewichts auf der anderen Tat maßgebend; dabei kann die Begleittat durchaus einmal eine höhere Strafdrohung enthalten. Und für die mitbestrafte Nachtat ist in entsprechender Weise der Aspekt des Ausbau und des Verwertens der durch die Vortat erlangten Position maßgebend.

      • KCI등재

        데이터 마이닝 기반 메타버스 산업보안 연구의 국내 동향 분석

        송승은,김경곤,이창무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2024 한국산업보안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메타버스 산업 보안 분야에서의 국내 연구 동향과 주요 주제를 분석하기 위해 데이터 마이닝 기법 중 하나인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8개의 키워드와 관련된 논문 제목 및 주제어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산업 보안과 관련된 논문 228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들의 국문 초록을 대상으로 LDA 방법을 사용하여 토픽 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세 가지 주요 토픽으로 분류되었다. 각 주제의출현 확률이 높은 단어들과 할당된 연구 논문 초록의 내용을 바탕으로, 각각의 토픽을 ‘메타버스디지털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메타버스 저작권 및 디지털 콘텐츠 보호’, ‘메타버스 내 범죄 및대응’으로 명명하였다. 기존 연구들이 주로 기술적 위협에 집중한 반면, 본 연구는 저작권 문제나 아바타 성범죄와 같은 사회적 취약점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메타버스 산업보안의 국내 연구의 현황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향후 연구 주제와 방향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분석에 사용된 논문 수가 228편으로 적어 다양한 잠재 토픽을 도출하지 못하고, 제시할 수 있는 향후 연구 시사점도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국외논문과의 비교 연구, 연구 대상의 확대, 다양한 분석 기법 도입, 사회적 이슈의 심화 연구, 그리고 산업 및 정책적 연계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안들을 통해 메타버스 산업보안 연구가더욱 체계적이고 다각적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utilized Topic Modeling, one of the data mining techniques, to analyze domestic research trends and major topics in the field of Metaverse industrial security. For this purpose, 228 papers related to metaverse industrial security were selected from the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based on the title and subject terms related to the eight keywords. Topic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Korean abstracts of the selected papers using LDA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ree main topics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 high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each topic and the content of the assigned research paper abstracts, we named them ‘Metaverse Digital Security and Privac’, ‘Metaverse Copyright and Digital Content Protection’, and ‘Crime and Response in the Metaverse’. While previous research focused mainly on technical threats, this study revealed that social vulnerabilities, such as copyright issues and avatar-related sexual crimes, are also actively explored. This provid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domestic research in metaverse security and offers foundational insight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However, due to the relatively small sample size, the range of potential topics identified was limited, and so were the implications. Future research should consider comparative studies with international papers, expanding research subjects, using diverse analytical methods, and exploring social issues in greater depth. These effor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a mor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development of metaverse industry security research.

      • KCI등재후보

        인터넷 도박의 법적 규제에 관한 고찰

        송승은 법무부 2006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36

        Internet gambling introduces many new potential problem. Gambling can be a very addictive behavior, for some it becomes pathological. And the liquid and ever-changing environment of the Internet provides a perfect cloak for criminal activity. One of the primary concern is that the encryption and anonymity of accounts in off-shore gambling sites provides a conduit through which criminals can launder money. Also, the Internet is readily accessible by young people. As such, teenagers also have access to the multitude of new gambling websites. The U.S. Congress passed legislation on Sept. 30, 2006 that would ban forms of Internet gambling and require banks to develop systems to block their customer's transactions to gambling Websites. This 2006 Internet Gambling Prohibition Act would prohibit businesses from accepting credit card, checks, or other bank instruments from gamblers who illegally bet over the Internet. It also would direct the Department of the Treasury and the Board of Governors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to issue regulations outlining policies and procedures that could be used by financial institutions to identify and block gambling-related transactions that are transmitted through their payment systems. Compliance with those prohibitions and regulations would be enforced by various federal agencies as well as state governments, and violations would be subject to new civil remedies and criminal penalties. To solve the problems with Internet gambling, the regulations of current criminal law can be applied to punish Internet gambling. However, because many Internet gambling operators open the sites in the country where gambling is legalized and can change the address of their web site quickly, in fact it is not easy to enforce the law and punish Internet gambling. Therefore it is required to arrange legal and technical measures that can regulate Internet gambling. 인터넷 도박이란 현실세계에의 도박이 인터넷이라는 사이버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도박을 말한다. 그런데 인터넷 도박의 개방성과 높은 수익성은 도박사이트와 그 이용자의 폭증을 가져오면서 많은 사회적 병폐를 낳고 있으며, 도박행위자와 도박사이트 운영자에 대한 익명성으로 인해 사기도박이나 자금세탁의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강한 중독성과 미성년자의 도박행위를 양산하는 위험이 크다. 이러한 인터넷 도박은 우리 형법의 규정상 도박죄나 도박개장죄, 사기죄 등을 적용하여 처벌하는데 문제가 없다. 즉 인터넷도박 행위자는 도박죄가, 영리의 목적으로 인터넷 도박사이트를 개설한 자는 도박개장죄가 성립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사기도박인 경우에 사기죄를 적용하여 처벌할 수 있다.그러나 다만 도박이 합법인 국가에서 도박사이트를 개설한 자가 외국인인 경우에 도박개장죄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지가 문제로 된다. 이 경우 외국에서 도박사이트를 개설했다 하더라도 실제로 도박을 하고 있는 곳이 도박의 장소라고 보게 된다면, 그 외국인은 당해국가에 도박의 장소를 제공한 것이 될 것이다. 따라서 형법 제2조에서 ‘죄를 범한’이라는 문언의 해석과 관련하여 행위지와 결과발생지를 모두 범죄지로 보는 ‘편재설’에 의할 때, 그 외국인에게 도박개장죄의 적용이 가능하고 이에 공범형태로 가담한 내국인도 처벌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다만 편재설의 지나친 형벌확대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예컨대 도박사이트가 한글로 되어 있는 경우 등과 같이 일정한 경우에 한하여 국내 형법을 적용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한편 미국의 경우 연방의회는 2006년 9월 30일, 1961년 유선법을 초안으로 하여 금융기관과 신용카드업체들이 신용카드의 사용, 수요 및 전자자금 이체 등 인터넷상 도박의 결제를 허용하는 것을 불법화하고 인터넷 도박에 대한 엄중한 처벌을 골자로 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와 같은 미국의 인터넷도박금지법은 우리의 인터넷 도박 근절책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그 폐해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인터넷 도박의 규제를 위해서는 도박죄 등의 형사처벌 외에 도박사이트에의 접속차단, 자금거래의 차단 등과 같은 것을 내용으로 하는 입법적, 제도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부정경쟁방지법상 이른바 ‘저명상표 희석범죄’의 기수시기

        송승은 충남대학교 세종지적재산권연구소 2020 The Journal of Law & IP Vol.10 No.1

        오늘날 저명상표는 세계 각국에서 보편적으로 보호되고 있는데,우리나라도 이와 같은 국제적인 추세에 맞추어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부정경쟁방지법’이라 한다)에서 저명상표를 보호하고 있다.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 제1호 다목은 “국내에 널리 인식된 타인의성명,상호,상표,상품의 용기•포장,그 밖에 타인의 상품 또는 영업임을 표시한 표지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을 사용하거나 이러한 것을사용한 상품을 판매•반포 또는 수입•수출하여 타인의 표지의 식별력이나 명성을 손상하는 행위”를 부정경쟁행위의 한 종류로 정의하고,이를 위반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제18조 제3항 제1호). 이렇게 형사처벌의 대상이 되는 저명상표 희 석행위를 이른바 ‘저명상표 희석범죄’라 한다. 부정경쟁 방지법상 저명상표희석 범죄가 성립하려면 표지의 저명 성, 동일 또는 유사한 표지의 사용,식별력 또는 명성의 손상(희석화)의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그 사용이 비상업적 사용 등 대통령령이 정하는 정당한 사유에 해당하면 법령에 의한 행위로써 정당행위에해당하여 위법성이 조각된다고 본다. 그리고 저명상표 희석범죄의 구성요건은 식별력 또는 명성의 손상 가능성(위험)을 명시하고 있지 않으므로,법문언상 구체적 위험범이 아니라 침해범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따라서 저명상표의 식별력 약화 또는 명성의 손상이 현실적으로 발생한 때에 기수범이 성립한다고 본다. 그렇지만 저명상표 희석행위는 혼동 여부와 관계없이 소유자의 개인적 이익을 침해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해 형사처벌을 가하는 것이 지나친 규제라는 의문이 있다. 형벌은 매우 강력한 제재수단이므로최후의 수단이어야 한다. 형법의 보충성,형벌의 최후수단성이라는 대원칙은 부정경쟁행위와 관련된 형사책임에 있어서도 예외일 수는 없다. 따라서 저명상표 희석범죄의 구성요건에 대한 엄격해석을 통해 명확성,보충성원칙과의 조화로운 해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문화재범죄에 대한 형사법적 대응방안

        송승은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4 법률실무연구 Vol.12 No.1

        The Cultural Heritage Crime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ordinary crimes, so special measures and preventive measures are required. In particular, since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return cultural heritage exported abroad, it is necessary to prevent illegal trade and smuggling abroad. Applying the basic principles of criminal law theory, focusing on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nd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Protection and Inspection of Buried Cultural Heritage(hereinafter, the Buried Cultural Heritage Act), which currently have penalties for cultural property crimes,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the relevant regul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contrary to the principle of equal treatment to equally define the statutory sentence for damaging, stealing, and concealing cultural properties, so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m and determine the appropriate scope of punishment. Second,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punishes the acquisition, transfer, transfer, or transportation, and arrangement of stolen cultural assets, but it is reasonable to punish the act of storage compared to the crime of stolen goods under the criminal law. Third, even if the statute of limitations for theft of cultural properties is completed, the concealment of cultural properties can be punished and confiscated. However, when the statute of limitations is completed, the stolen property disappears, and punishment is impossible. Considering the cultural property crime as a continuing offender and proceeding with the statute of limitations from the end of the concealment act can have the effect of extending the statute of limitations. Fourth, there are regulations that exclude the acquisition of good faith for certain cultural properties, but the requirements for proof are not clear, so if data such as the source and acquisition of hidden cultural properties are submitted and confirmed, the exception of confiscation shall be recognized by presuming the acquisition of good faith. Fifth, for certain crimes that can be included in the criminal law, such as theft of cultural properties, damage, arson, and days, it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criminal law.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newly establish counterfeit cultural property crimes and stipulate them as aggravated constituent requirements for counterfeit crimes under the criminal law. Sixth, cultural property crimes are international crimes and are subject to cosmopolitanism, so new globalism regulations are required. Finally, a separate criminal sanctions regulation should be newly established for illegal cultural property transactions taking place online.

      • KCI등재

        근로기준법상 이른바 임금체불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송승은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 法學論叢 Vol.30 No.1

        근로자에게 임금은 가계의 주요 수입원이자 미래의 노동을 위한 의식주 해결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임금이 체불되면 현재의 생계와 미래의 노동력에도 심각한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임금체불은 근로자의 생계를직접적으로 위협하므로 근로기준법은 이에 대하여 일반적인 채무불이행과 달리 취급하고 있다. 사용자가 임금지급을지체하거나 임금을 전액 지급하지 않거나(재직 중의 체불) 혹은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날로부터 14일 이내에임금을 지급하지 아니하면(청산시의 체불)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진다(근로기준법 제109조 제1항). 실무상 전자를 ‘임금지불의무위반죄’(근로기준법 제43조 위반죄), 후자를 ‘금품청산의무위반죄’(근로기준법 제36조 위반죄)라 하고 양자를 포괄하여 ‘임금체불죄’라 한다. 임금체불의 문제는 근로관계 당사자 간의 사적인 권리분쟁사항에 해당하므로 원칙적으로 민사절차를 통하여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민사절차에서 경제적 약자인 근로자가 시간적・비용적인 어려움을 겪게 됨을 고려하여 별도의 형사처벌 규정을 둠으로써 근로기준법의 실효성을 강화하려는데 그 취지가 있다. 다만, 본죄에 대하여는 피해자의 명시적인 의사와 다르게 공소를 제기할 수 없다(근로기준법 제109조 제2항: 반의사불벌죄). 임금체불죄에 대해서는 임금 및 퇴직금의 지급확보는 근로자의 생존권에 직결된 문제이므로 법・정책으로 보호해야할 강력한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순한 민사상의 문제에 불과한 임금체불 관계를 형사적 제재를 통하여 해결을 하는 것은 국가가 근로자의 생존권 보장의 책임을 민사법리와 형사법리를 초월하여 개인에게 형사책임을 묻는것으로 국가형벌권의 남용으로 볼 여지가 크며, 특히 형벌이라는 제재수단은 매우 강력한 수단으로서 국가의 최후수단으로 되어야 할 것이므로 보충성을 위반한 형법은 그 자체 정당성을 가질 수 없기 때문에 이를 폐지하자는 주장이있다. 그러나 임금은 근로자에게 주요 수입원이자 미래의 노동을 위한 의식주 해결에 필수적인 요소이므로, 임금이체불되면 현재의 생계는 물론 미래의 노동능력에도 심각한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임금을 단순한 민사상 채권관계로 보는 관점에는 동의하기 어렵다. 임금채권은 재산권적 법익뿐만 아니라 생존권적・사회권적법익으로서의성격도 가지므로 임금체불의 문제는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가 강하게 요구되는 전형적인 영역이라는 점, 그리고 임금체불시 노동자와 부양가족의 생존이 위협받는다는 점에서 임금체불에 대한 형사처벌은 필요하다고 본다. 헌법재판소도 2005년 결정(2002헌바11)을 통해 임금체불죄의 규범적 타당성을 확인한 바 있다. 다만, 반의사불벌죄의 경우 일단 표시한 처벌불원의사를 번복할 수 없어 자칫 처벌규정의 규범력을 약화할 우려가 있고 사용자가 이를 악용하여 실질적인 변제기 유예의 부작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므로 이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으나, 철저한 사법처리 및 적정 수준의 양형이 담보되면 반의사불벌제도는 사업주의 청산을 독려하는 기제로 작동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근로자의 기본권 보호에도 기여할 수 있으므로, 존치하되 고의・악덕・상습 체불사업주에 대하여 그 적용을 배제하거나 적어도 처벌불원의 의사표시의 시간적 한계를 공소제기 이전으...

      • A case of Mycobacterium africanum infection in Korea : monitoring result from National TB typing service

        송승은,이정섭,김영미,하지민,권승직,유재일,김지은,이소담,박미선,김동혁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8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6 No.-

        The increase rate of tuberculosis (TB) among foreigners in Korea possesses important significance in public health. In this study, we report a case of Mycobacterium africanum which was first isolated in Korea from the results of National TB typing service. From the results of spoligotyping and 24-loci MIRU-VNTR, phylogenetic tree analysis suggested that this isolate was closed to M. africanum. And corresponding to TB-insight database, the isolate was identified as M. africanum lineage 2. The isolate was further characterized by performing standard biochemical identification tests, rpoB and hsp65 gene sequencing, and drug susceptibility testing test for first and second line by using the MGIT 960 system. The results of these tests provide the isolate is M. africanum and this bacteria is pan-susceptible to anti-tubercle drugs. From the epidemiological data, the patient was 25-year-old man from Liberia who had entered Korea in February 2016. After 1.5 years later, he had been registered at the public health center as TB patient in October 2017 and completely recovered after standard 6 month treatment. It seems to be the patient would be exposed the bacteria in his own country. Monitoring the genotype of TB is important to distinguish imported TB from domestic TB to identify the route of inf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