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의 중학생 사회과 학업성취 특성 분석: 2015~2018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성경희,장의선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0 사회과교육 Vol.5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2009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rough an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2015-2018 NAEA Social Studies. For this purpose, first,to understand the achievement characteristics in cognitive aspect, the change trends of social achievement score and ratios of achievement levels were analyzed. Next, in the affective aspect,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students’ attitudes about social studies were analyzed. The notabl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tended to increase in the four-year achievement scores, and the scores in the rural areas were more likely to change for four years than the other areas. Second,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ate of positive responses to subjects attitudes and scores. Third, positive response rates of students’ interest and self-confidnce about social studies were relatively lower than the value perception and learning motivation. La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f higher and lower achievement increased in value construct for four yea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eparation for the revision of the next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policies. 본 연구의 목적은 2015∼2018년 4년간의 사회과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학업성취를 총체적으로 점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학생들의 성취 특성을 인지적 측면에서 파악하고자 사회과 성취도 점수와 성취수준별 비율의 추이 결과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학생들의 성취 특성을 정의적 측면에서 파악하고자 사회과 학업성취에 대한 주요 교육 맥락 변인인 학생의 사회과 교과태도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주목할 만한 결과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첫째, 성별에 따른 4년간의 성취도 점수에서는 남녀 간 점수 차이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지역규모에 따른 4년간의 성취도 점수에서는 읍·면지역의 연도 간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과 교과태도에 대한 긍정응답 비율과 사회과 성취도 평균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사회과의 필요성·유용성에 대한 인식(가치 구인)과 학습의욕 구인에 비해 사회과에 대한 학생의 흥미와 자신감 구인의 척도 평균 및 긍정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치 구인에 대한 보통학력 이상과 기초학력 이하 집단 간 차이가 4년 동안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차기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준비, 교수·학습 개선 방안 마련, 교육 정책 수립 등에 필요한 근거 자료로 유의미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현실요법을 적용한 청각장애인의 대인관계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성경희,박재황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5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현실요법을 적용하여 청각장애인의 대인관계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개발은 먼저 청각장애인의 특성과 문화, 대인관계 증진 프로그램의 내용 및 방법, 그리고 현실요법의 핵심내용과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예비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예비 프로그램을 실제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면서 본 연구자의 관찰내용과 청각장애인의 피드백을 수집하였으며, 또한 사전–사후 평가와 상담 전문가 및 청각장애인 전문가의 자문을받아 최종 프로그램을 확정하였다. 주요 방법으로는 각 회기마다 가능한 시각적 자료나 활동 촉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모든 활동을 간단하고 재미있게 반복적으로그리고 자기평가를 촉진하면서 연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회기는 총 8회기. 회기당75분의 시간, 한 집단의 참여자 수를 5명 정도로 하였으며, 집단리더의 조건으로 최소한 현실요법 기초과정 32시간 이상을 이수해야 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청각장애인의 대인관계 증진 프로그램을 위한 적합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으며, 특히 청각장애인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첫 시도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the hearing–impaired. A preliminary program was constructed by referring to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hearing–impaire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program for enhanc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fundamental contents and methods of Reality Therapy. The program consisted of eight sessions, 75–minute each session. The appropriate number of group participants was set as 5. The group leader was supposed to take a 32 hour training of the Basic Intensive Week of Reality Therapy. The major methods of the program involved using short sentences if possible, employing visual or activity–promoting materials, and designing simple, interesting, and repetitive activitie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rogram was considered appropriate for hearing–impaired peopl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enhancement and was viewed meaningful in that it was the first trial for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hearing–impaired people’s.
2009 개정과 2015 개정 중학교 ‘사회’ 교육과정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 내용요소 비교 분석
성경희,이소연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교육연구 Vol.74 No.-
본 연구는 초등학교 ‘사회’ 교육과정의 세계시민교육 내용요소를 분석한2017년 연구의 후속 연구로, 세계시민교육 지표에 근거하여 2009 개정 및 2015 개정중학교 ‘사회’ 교육과정에 나타난 내용요소를 분석하고, 나아가 이전의 초등학교 연구결과와도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2009 개정 대비 2015 개정의 중학교‘사회’에서 세계시민교육 내용요소의 비중이 증가하거나 강화되는 모습을 발견할 수없었다. 강한 관련성을 중심으로 영역별로 살펴보면, 인지 영역과 사회⋅정서적 영역의비중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행동적 영역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초등학교 ‘사회’ 분석 결과와 비교하면,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내용요소 비중의 증가 폭과 내용 심화가중학교급보다 초등학교급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초등학교급에서 세계시민교육이 강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세계시민교육 차원에서 중학교 ‘사회’가 시대의 흐름 및 국제사회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차기 교육과정 개편 시 내용요소 추가 및 수정이 고려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of the 2017 research which analyzed content eleme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Based on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dex, the content elements of are analyzed in the 2009 and 2015 revised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hen it was compared to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in elementary school. As a result, it can be found that the content eleme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are not increased or strengthened. In terms of ‘strong connection’, there was almost no change in the proportion of the cognitive domain and the socio-emotional domain, but rather it decreased in the behavioral domain.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elementary school, it is appeared that elementary school showed a larger increase than the middle school in the proportion of content elements depending on the change of curriculum.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as strengthened in elementary school in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t the time of next curriculum revision,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der adding and revising the content elements related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 meet the needs of international community.
현실치료를 적용한 대인관계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각장애인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성경희,박재황 한국직업재활학회 2015 職業再活硏究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 of hearing-impaired persons based upon Reality Therapy a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mong the hearing-impaired persons over the age of 20 who were using educational organizations or welfare centers in D Metropolitan city, 34 hearing-impaired person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were assigned into an experimental and a control group of 17 respectively based on a first-come first serve. A total of 8 sessions were implemented with each session proceeded for 75 minutes with 5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e program verification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rpersonal skills of hearing-impaired person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Second, behavioral habits that establish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highly increased including active listening, respecting, accepting, trusting, encouraging, supporting, and compromising. Third, behavioral habits that hinde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greatly decreased including criticizing, blaming, complaining, reproaching, threatening, punishing and cajoling. These results supported that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hearing-impaired persons' interpersonal relations based on Reality Therapy was effective in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deaf people and changing their behavioral habit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본 연구의 목적은 현실치료를 적용하여 청각장애인의 대인관계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 하였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하는 청각장애인 교육기관과 복지기관을 이용하는 20세 이상의 청각장애인 중에서 대인관계 증진에 관심을 가지고 본 연구에 참여하고자 신청한 청각장애인 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청한 순서에 따라 실험집단에 먼저 17명을 배정하였으며 다음으로 통제집단에 17명을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을 다시 3개의 소집단으로 나누고 이3집단을 대상으로 회기 당 75분, 주 1회, 총 8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에참여하지 않은 청각장애인 보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각장애인의 대인관계 증진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대인관계형성 행동습관인 관계형성 요인인 경청하기, 존중하기, 수용하기, 믿어주기, 격려하기, 지지하기, 불일치를 협상하기 등과 같은 행동이 유의하게 늘어났다. 셋째, 대인관계형성행동습관인 손상 요인인 비판하기, 비난하기, 불평하기, 잔소리하기, 협박하기, 벌하기, 매수·회유하기 등이 현격하게 감소하는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현실치료를 적용한대인관계 증진 집단상담은 대인관계 증진에 효과가 있으며 대인관계 행동습관의 변화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초・중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영역 및 내용 요소 탐색
성경희,배주경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3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학교 교육에 적합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지속가능발전 및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세 영역에 대한 연원을 살펴보고, 교육과정 관련 문서에 나타난 지속가능발전교육 현황,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영역 및 내용 변천과 관련된 기존 연구 동향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초・중등학교 교육에 적합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목표, 영역 및 주요 내용 요소 마련을 위한 초안을 도출하였다. 이후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학교 교육에서 요구되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목표, 영역 및 주요 내용 요소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한 델파이 조사지를 개발하였으며,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전문가, 정책추진 관계자, 교사 등의 전문가 패널 24명을 구성하여 두 차례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 결과, 지속가능한 현재와 미래를 실현하기 위한 시민적 역량 함양에 방점이 있는 목표를 설정하였고, ‘Ⅰ. 지속가능한 현재와 미래’, ‘Ⅱ. 지속가능한 환경과 시민 생활’, ‘Ⅲ. 지속가능한 사회와 시민 생활’, ‘Ⅳ. 지속가능한 경제와 시민 생활’의 4개 대영역을 도출하였으며, 대영역별 2~3개의 중영역과 주요 내용 요소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전문가들의 합의를 통해 절차적・내용적 타당성을 갖춘 목표와 내용 체계를 구성하고, 내용의 범주를 영역 수준만이 아니라 영역별 주요 내용 요소 수준까지 마련하여 학교에서 실행할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내용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마련한 초・중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목표, 영역 및 주요 내용 요소가 이후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실행 마련의 토대가 되고, 이와 관련된 연구가 확산되는 데 시발점이 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goals and learning conten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required in Korean school education. To this end, we first examined the origin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three areas of ES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ESD and the changes in the scope and learning contents of ESD in curriculum-related documents, and then derived the framework for preparing the goals, learning domains and content elements of ESD suitable for school education in Korea. Afterwards, Delphi survey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goals, learning domains and content elements of ESD developed in this study by gathering expert opinions. A panel of 24 experts was formed, and two rounds of Delphi survey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Delphi survey, we set a goal that focuses on fostering civic capabilities to realize a sustainable present and future. And then, we derived four learning domains, including ‘Ⅰ. Sustainable present and future’, ‘Ⅱ. Sustainable environment and civic life’, ‘Ⅲ. Sustainable society and civic life’, and ‘Ⅳ. Sustainable economy and civic life', and two to three sub-domains and learning content elements for each learning domain.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prepared goals and learning contents with procedural and content validity through the consensus of experts, and prepared the learning contents of ESD not only at the domain level but also at the level of content elements so that schools can specify the contents of ESD to be implemented. It is expected that the goals, learning domains and content elements of ESD prepared in this study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ESD in Korean schools and as a starting point for the spread of further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