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애니 베어드(Annie L. A. Baird, 1864-1916)의 선교사역과 음악

        김사랑 한국음악학학회 2019 음악학 Vol.27 No.2

        애니 베어드는 한국 선교 초기인 1891-1916년까지 사역했던 미북장로교 파송 선교사로, 교육 사업과 다양한 출판 활동으로 한국 선교에 있어서 중요한 이정표를 남긴 선교사로 평가받고 있다. 음악분야에 있어서도 빼놓을 수 없는 인물로, 뛰어난 언어적 음악적 재능을 바탕으로 다수의 찬송가를 번역하고 편찬하는 역할을 했을 뿐 아니라 일반 노래집인 챵가집 을 편집・출판하여 음악 교재로 활용할수 있도록 했다. 챵가집 은 한국인의 가창 특징을 고려한 편집과 다양한 장르의선곡으로 당시의 근대음악교육의 단면을 보여주는 의미를 가진다. 애니 베어드는 한국에 들어온지 6년만인 1897년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초급교재인 한국어를 배우기 위한 50가지 도움들 (Fifty Helps for the Beginner in the Use of the Korean Language)를 발간하여 선교사들의 한글 교육에힘을 썼다. 또한 빼어난 한글 실력으로 샛별전 , 쟝자로인전 , 고영규전 등의한글 소설을 썼고, 한국의 새벽 (Daybreak in Korea)과 같은 영어 소설 등다수의 저작을 남겼다. 그녀의 저술들은 남아선호사상, 여성의 차별대우 문제 등한국여성들의 실상을 드러내는 내용을 다루면서 현세적 복을 강조하는 무속 신앙, 조상 숭배와 풍수지리 사상, 조혼 풍습 등 다양한 당시의 한국문화들을 매우 세심하게 묘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한글 교재를 번역 및 편찬하여 다수의 한국학생들이 모국어로 근대식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그녀의 활약을 토대로볼 때, 언어의 능숙함과 한국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적인 정서를담은 섬세한 번역과 한국인들의 연행방식을 고려한 선곡이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보수적인 신앙인으로서 당시의 선교부의 선교 방침과 세계 선교 흐름에 따라‘계몽’을 위한 서구적인 교육 시스템을 한국에 뿌리내리고 교회의 리더들을 양성하기 위해 서구식 음악교육을 지향했던 애니 베어드지만, 한국적인 정서를 고려했던 번역과 한국인의 음악언어를 이해한 선곡은, 한국인들과 근거리에서 다양하게소통하려 했던 태도와 한국의 가치와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려 했던 문화적 감수성을 보여준다. Annie Baird, who worked as an NPCUSA (Northern Presbyterian Church of USA) missionaries in Korea from 1891 to 1916, contributed greatly to the music field in Korea of the modern era. She translated numerous hymns with excellent linguistic and musical talents and was an important committee member for hymn publication in Korea. In addition, she edited and published an occasional songbook Changgajip which was compiled various genre included Asian traditional tunes, nursery rhymes, and school songs. Changgajip was a widely used textbook and a meaningful collection as a selection and arrangement that took into consideration of Korean’s singing characteristics. This presentation focuses on how Annie Baird's perspectives and educational ideas were reflected in her music activities. Annie Baird began her ministry at a time when the mission movement was in full swing in the United States, and when the women’s mission of various denominations, including the Women's Missionary Association, reached its peak. Growing up under a conservative church, Annie Baird was faithful to the mainstream mission perspectives and strategy of the tim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missions, she worked with Husband Baird, who founded Soongsil School in Pyeongyang, to translate and edit textbooks, to serve as teachers. She believed that education would be a crucial tool to “enlighten” Korean youth on gospel foundations and to build their talent up. In that sense, her educational activities generally were not far away from the beneficiary's position. However, if we look at the results of the activities in more detail, we can see that Annie Baird not only contributed greatly to the dissemination of ‘Hangul’ and the publication of Hangul textbooks but also considered the emotions and customs of Koreans in hymn translation and in songbook compilation. Thus, I suggest that Annie Baird was a beneficiary and a subject of education, at the same time was at a place where she was compelled to make new musical negotiations.

      • KCI등재

        2000년 이후 한국오페라의 현황과 변모 양상에 대한 연구: 초연 작품을 중심으로

        전정임 ( Chungim Chun ) 한국음악학학회 2020 음악학 Vol.28 No.2

        2000년 이후 한국오페라가 새롭게 창작ㆍ공연된 횟수는 획기적으로 증가했다. 최초의 한국오페라인 현제명의 《춘향전》이 초연된 1950년부터 1999년까지 50년간 총 44편의 한국오페라가 초연되었다면, 2000년 이후에는 2000년대(2000년~2009년) 55편, 2010년대(2010년~2019년) 91편 등 총 146편의 한국오페라가 초연된다. 본 논문은 2000년도 이후 한국오페라계가 급격하게 활성화된 원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한국오페라의 발전을 지속할 수 있는 동력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향후 한국오페라의 발전 내지는 글로벌화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2000년대 이전과 이후의 한국오페라 초연 양상을 비교해 보면, 첫째, 작곡가 측면에서 2000년 이전에는 오페라 작곡가가 기성 작곡가층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숫자 면에서도 미미했었던 것이, 2000년 이후에는 젊은 세대부터 기성세대까지 폭넓은 양상을 보여주며 수적으로도 방대한 층을 형성하고 있다. 둘째, 공연 장소 측면에서 2000년 이전에는 한국오페라 초연 공연이 주로 서울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면, 2000년 이후에는 서울 이외의 지역에서 더욱 많은 공연이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주최 오페라단별로는 2000년 이전에는 공공기관인 국립오페라단이 한국오페라 공연을 주도하였다면, 2000년 이후에는 사립오페라단이 공연을 주도하고 있다. 넷째, 대본의 출처별로는 2000년 이전에는 타 장르 중에서 연극희곡을 오페라 대본화하는 경우가 많았고 소재 면에서도 고전물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면, 2000년 이후에는 문학을 대본화하는 경우가 많고, 소재 면에서도 인물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으며, 현실적 이슈나 일상을 다룬 작품들의 비중도 높아지는 등 소재가 확대되고 있다. 한편, 2000년 이후 한국오페라의 활성화의 원인으로는 오페라 축제들의 한국오페라 공연 편입, 오페라 창작 지원 사업의 패러다임 변화, 지자체 및 지방오페라단의 한국오페라에 대한 관심 확대, 오페라 전문 인력의 육성 등을 들 수 있다. Since 2000, the number of creation and performances of Korea operas has increased dramatically. From 1950 - when The first korea opera Hyun Je Myung’s Chunhyangjeon was premiered - to 1999, for 50 years, a total of 44 korean operas were premiered, whereas after 2000, 55 pieces (from 2000~2009), in the 2010s (2010~2019) 91 pieces, a total of 146 korea operas were premiered. This thesis aims to find out the cause of the dramatic invigoration in the korea opera field after 2000. Based on this research, the thesis focuses in understanding what the power to maintain the development of korea opera is and assist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opera and globalization When comparing the aspect of premieres in korea operas before and after 2000s, first, in terms of composers, before 2000, opera composers were made up of older generation composers and the number of composers was in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after 2000, there is a wide range of composers from the younger generation to older generation and shows a vast increase in the number of composers. Second, in terms of performance venues, before 2000, premiere of korea operas were mainly centered in Seoul but after 2000, many performances were held in regions other than Seoul. Third, in terms of opera companies hosting the premiere, before 2000, the Korea National Opera - a public institution - led the performances of korea operas but after 2000, private opera companies are leading the performances. Fourth, in terms of sources of script, before 2000, among other genres, script writers converted theoretical plays into opera scripts and traditional works made up a huge percentage of the subject matter. After 2000, in many cases, writers converted literature into opera scripts. Furthermore, the subject matter has been expanding. For instance, Many scripts focus on individual figures, and the number of pieces that deal with real issues and everyday life have increased. Meanwhile, the causes of invigoration in korea operas after 2000 include the inclusion of opera festivals in korea opera performances, changes in the paradigm of performing arts creation support projects, expansion of interest in korea operas from local governments and local opera companies, fostering of professionals in opera etc.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제시기 음반산업계에서 한국인 중개자의 역사적 주체성 고찰- 접촉영역에서 식민자 - 피식민자의 상호적 주체구성의 관점에서

        야마우치 후미타카(YAMAUCHI Fumitaka) 한국대중음악학회 2009 대중음악 Vol.- No.4

        이 논문은 1930년대 음반산업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수행한 한국인들을 사례로 삼고 역사서술에서 피식민자의 주체성이라는 쟁점을 고찰했다. 이를 위해 접촉영역(contact zone)이라는 분석개념을 도입해 식민자와 피식민자가 비대칭적인 관계 속에서 서로 대면하고 상호작용한 제 양상을 검토하고자 했다. 특히 음반산업계에서 한국인 중개주체의 구성에 주목하며, 그와 일본인 경영주체 사이의 간주체적(inter-subjective) 상호관계가 펼치는 미시적 수준에서 한국음반 제작이라는 식민지 문화생산의 자율성/타율성 문제를 풀어나갔다. 우선 2절에서는 한국에서 민족레이블 창출이라는 활동에 관한 기존의 역사 서술을 검토했다. 오케라는 레이블을 중심으로 그것과 관련한 역사에서 한국인이 집단적 주체=주어로 서술되는 방식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분석을 통해 기존의 역사서술이 당시 음반산업계의 거시적인 사회구조나 일본 본사의 전략 등을 극소화하거나 생략함으로써 일본인과의 제국적 연관성을 절단하고 한국인의 주체적이고 자율적인 활동을 부각시키는 경향을 지적했다. 3절에서는 거꾸로 일본 경영진 측의 역사적 주체성, 즉 그들이 한국인 중개자를 영입하게 된 경위나 전략을 분석했다. 일본 본사의 입장에서는 한국시장에서 한국음반을 만들고 팔며 이익을 얻기 위한 효율성 때문에 한국인을 중개자로 내세울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이는 영입된 한국인들이 본사의 전략에 종속된 객체로 움직였다는 의미는 아니다. 오히려 이들은 나름의 전술이나 포부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그 새로운 산업계로 뛰어들었다. 이 논문은 그러한 한국인들을 문화적 중개자로 개념화했고, 일본인 경영주체와의 상호관계 속에서 구성되면서도 핵심적인 매개행위들을 담당한 중개주체로 규정했다. 이 같이 접촉영역에서 상호적인 간주체성 구성이라는 관점을 바탕으로, 4절에서는 일본인 경영진의 필요와 한국인 기업가의 욕망이 어떤 방식으로 서로 만나고 교섭하고 맞아떨어졌는지에 대해 살펴나갔다. 우선 일본 측 자료를 분석해, 당시 일본 관계자들이 한국음반 제작에 적극적으로 관여하기보다는 오히려 식민지 음악자원 전반에 대한 구조적 무관심이라 할 의식구조를 가지고 있었음을 밝혔다. 나아가 이것이 아이러니컬하게도 한국음반 제작에서 한국인 중재자들에게 더 많은 자율공간을 허용한 것으로 논했다. 그러나 그 자율공간이란 접촉영역 속에서 어디까지나 상대적인 것, 즉 식민지 지배자와 연관된 것이었다. 이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마지막 절은 음반산업계 내 식민자와 피식민자의 상호적 인식과 경험을 미시적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기술하고자 했다. This paper attempted to engage with the issue of subjectivity in colonial history with a focus on Korean middlemen in the recording industry in the 1930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It employed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contact zone, a conceptual tool that enabled a researcher to examine the ways colonizer and colonized encountered and interacted each other in an asymmetrical yet reciprocal fashion. Special attention was paid to the construction of colonial intermediary subjects in relation to administrative subjects that were mostly monopolized by Japanese. By looking into the Korean record making at the micro level where their inter-subjective relations took various shapes, this study aimed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historiographical issue of autonomy/heteronomy of cultural production under colonialism. The second section critically examined the existing writings about the rise and fall of the allegedly Korean-run label Okeh. It presented a detailed analysis of the ways such narratives positioned Koreans as a collective subject in historiography by way of minimizing, simplifying and obliterating descriptions about macro social structure and the Japanese headquarters’ strategies. Despite the fact that Okeh was closely related with a Japanese major label Teichiku, conventional histories often intended to disconnect their imperial association to highlight Koreans’ subjectivity and autonomy. The third section turned to the Japanese supervising subjects to see their strategies of incorporating Koreans into the relevant industry. It revealed that they needed to bring in Korean middlemen to improve their business efficiency and make constant profit in the making of Korean records aimed primarily at the Korean market. Those incorporated Koreans, however, did never work just as passive objects subjugated to the top-down decisions; rather, they jumped in the new field of commerce and creativity with their own tactics and visions. This study conferred a particular subjectivity upon such Korean entrepreneurs, regarding them as intermediary subjects who took charge of crucial activities within the industry but emerged and existed only in association with Japanese administrative subjects, and vice versa. From the perspective of reciprocal construction of intersubjectivity in contact zone, the last section tackled the question of how colonizers’ demands and colonized’ desires encountered, negotiated and compromised. By looking into colonial archive, it revealed that rather than actively involving in the Korean record making, Japanese businessmen held a particular structure of consciousness, that is, structural indifference to Korean musical resources. It went further to argue that such conscious-ness ironically allowed Korean intermediaries to secure an autonomous cultural space for making recordings for Koreans. Deeply situated in the colonial contact zone, however, the Korean sovereignty was nothing but a relative autonomy, namely a limited space structurally related to the colonizers. The last section took a micro-perspective to offer a detailed and vivid description of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both colonizers and colonized in the recording field.

      • KCI등재

        한국 인디 일렉트로닉 댄스 음악의 형성에 관한 연구

        권현우(Kwon, Hyun Woo) 한국대중음악학회 2021 대중음악 Vol.- No.27

        본 논문은 1990년대 생성된 인디 씬을 중심으로 한국 일렉트로닉 댄스 음악형성에 영향을 준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렉트로닉 댄스음악의개념과 함께 서구의 일렉트로닉 댄스 음악의 형성과정을 살펴봤으며, 한국 형성기 인디 일렉트로닉 음악의 뮤지션, 레이블 관계자와의 반구조화 면접법을 실시해 인디 일렉트로닉 댄스 음악 형성요인을 도출하였다. 먼저 주류 음악계에 도입된 일렉트로닉 댄스음악을 살펴보기 위해 1990년대 초 한국 대중음악에서 하우스, 테크노를 비롯한 일렉트로닉 댄스 음악 요소의도입과, 대중음악과 일렉트로닉 댄스음악을 결합하려는 시도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한국 댄스 클럽의 형성과 일렉트로닉 댄스음악의 전파, PC통신 동호회 ‘21세기 그루브’ 활동으로 일렉트로닉 댄스 음악의 문화적 전파 및 네트워크형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클럽문화와 PC통신 동호회는 한국 인디 일렉트로닉댄스 음악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 요인으로 2000년대 이후 대중가요와 일렉트로닉 댄스 음악의 결합과 한국적 토착화에도 큰 역할을 하였다. 또한 펌프기록과 DMS TRAX와 같은 테크노 전문 레이블의 활동과 음반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이들이 한국의 일렉트로닉 댄스 음악 생산과 유통을 담당하며 테크노 문화를 일반 대중들에게 확산시킨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적 짧은 역사를 가진 장르이지만 일렉트로닉 댄스 음악에 대한 연구는한국의 현재 진행형인 대중음악과 앞으로 다가올 대중음악의 새로운 연구 방향을제시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formation of electronic dance music in Korea, focusing on the indie scenes created in the 1990s. To examine electronic dance music introduced into the mainstream music industry, the introduction of electronic dance music elements including house and techno in Korean popular music in the early 1990s, and attempts to combine popular music and electronic dance music were examined. Next, I investigated the formation of Korean dance clubs, the spread of electronic dance music, and the cultural dissemination and network formation of electronic dance music throuth the ‘21 Centrury Groove’, a PC communication club. Club culture and PC communication clubs played a decisice role in the formation of Korean indie electronic dance music, and since the 2000s, they have played a large role in the combination of popular songs and electronic dance music and indigenization of Korea. In addition, I examined the activities and albums of techno-specialized labels such as ‘Pumpgirok’ and ‘DMS TRAX’, and confirmed that they were in charge of producing and distributing electronic dance music in Korea and spreading the techno culture to the general public. Although it is a genre with a relatively short history, the study of electronic dance music will suggest a new research derection for popular music, which is currently in progress in Korea, and popular music to come.

      • KCI등재
      • KCI등재

        1970년대 한국 청년문화의 문화적 정체성: 통기타음악을 중심으로

        김창남(Kim Chang Nam) 한국대중음악학회 2008 대중음악 Vol.- No.2

        한국 대중음악사에서 1970년대의 통기타음악은 몇 가지 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우선 1970년대의 통기타음악은 한국 대중음악 사상 처음으로 젊은 세대의 문화가 기존의 주류 대중음악 질서를 전복하면서 새로운 주류를 형성한 세대혁명의 양상을 보여주었다. 그것은 한국 문화 전반이 과거 일제강점기를 통해 형성된 문화 질서로부터 미국 문화의 영향 속에서 새로운 문화질서로 재편되는 과정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1970년대의 한국 모던포크가 가지는 중요성은 그것이 미국을 비롯한 서구 대중음악의 절대적영향 속에서 태동했으면서도 한국 청년세대의 감성과 의식을 담보하는 한국적 청년문화의 양상으로 발전해갔다는 점에 있다. 주로 외국 음악의 번안으로 시작되었던 통기타음악은 개성적인 싱어송라이터들의 등장과 함께 상당히 폭넓은 음악적 스펙트럼을 보여주었다. 그 속에는 정치적인 저항의 메시지를 담은 모던포크부터 낭만적인 팝 성향의 음악까지 다양한 음악적 경향이 존재했다. 이러한 다양성이 존재했는데도 통기타음악이 흔히 한 묶음으로 취급되는 것은 그것이 당대의 사회적 질서와 상당한 길항 관계를 형성했고 정치권력에 의해 매우 직접적인 통제와 억압을 받아야 했으며 결국 시장에서 사실상 강제로 퇴출되어야 했다는 사정 때문이다. 이 글은 1970년대 한국 통기타음악이 미국 문화에 대한 모방에서 출발해 미묘한 변화를 겪으며 한국적인 청년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해가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그 문화적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The Korean modern folk music has some very important meanings in Korean popular music history. The Korean modern folk in 1970s was a kind of generation revolution that the young generation culture overturned the system of established mainstream pop music. It was related to the reorganization of general Korean culture under the influence of US culture. Korean modern folk music in 1970’s had been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western pop music but it developed into Korean youth culture that represents emotion and consciousness of the Korean youth generation. In that process, Korean modern folk formed rivalry relation with social order of the older generation. It had to take very directive suppression from the government, thus practically exterminated from the market. This essay looks into the process of 1970s Korean modern folk music developed starting from imitating US culture to establishing true character of the youth culture to clarify the cultural signific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