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독교상담에 대한 기독교 상담자들의 인식유형 연구

        장동진,김용태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4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사용하여 기독교상담에 대해 한국의 기독교 상담자들이 지니고 있는 주관적 인식유형을 파악하여, 각 인식유형의 특징을 탐색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총 4개의 유형이 의미 있는 유형으로 발견되었다. 첫째로, “하나님과의 관계 중심 인식” 유형은 기독교상담에서 내담자와 하나님의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상담자의 전문성이나 기독교와 상담학의 통합보다도 성령님과 함께하는 활동을 강조하는 특징이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로, “하나님의 관점과 성화 중심 인식” 유형은 기독교상담에서 내담자가 하나님의 관점을 갖고, 성화의 과정을 걷도록 함이 강조되며, 일반상담 기술의 사용에 대하여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갖고 있음이 나타났다. 셋째로, “기독교적 세계관에 근거한 통합 중심 인식” 유형은 기독교상담에서 기독교적 세계관을 중심으로 한 기독교와 상담학의 통합을 강조했으며, 마지막으로 “전인적 회복을 위한 상담학의 통합 중심 인식” 유형은 상담자가 지닌, 기독교적 세계관으로 내담자를 해석하려는 태도를 조심할 것을 강조하며, 내담자의 전인적 회복을 위하여 상담학과의 통합을 강조함이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ypes of the subjective perceptions about Christian counseling among Korean Christian counselors base on Q–methodology. In this study, 4 types of perception were identified. The first type, named “focused on the relationship with God,” emphasizes the client’s relationship with God in the Christian counseling. The second perception type was named as “focused on the perspective of God and sanctification” and it emphasizes to make the client has God’s perspective and be sanctified. The third type, named “focus on the integration which is based on the Christian worldview,” especially emphasizes the integration of Christianity and counseling and Christian worldview. The last type was named as “focus on the integration which is for the recovery of holistic being.” They beware the counselor’s attitude to interpret the clients with Christian worldview and to have stereotype to the client.

      • KCI등재

        기독교 상담 관점으로 바라본 Bowen 가족체계이론의 비평

        김지혜(Ji Hye Kim),전수정(Soo Jung Jun),장동진(Dong Jin Jang)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23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는 기독교 상담에서 Bowen 가족상담의 유용한 이론과 치료기법을 활용하기 위해 기독교 상담 관점으로의 통합을 시도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 상담과 Bowen 가족체계이론의 이론적 배경의 차이를 기독교 초자연주의와 자연주의로 살펴봄으로써 Bowen 이론의 이론적 배경의 한계를 드러냈다. 기독교 초자연주의 관점에서 볼 때, Bowen 가족체계이론의 자연주의는 자연법칙에 따라 세계가 자정적으로 서로 맞물려 움직이고 자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하나 인간의 ‘추론 행위’, ‘도덕적 판단 행위’, ‘삶의 의미를 묻는 실존적 질문’에 대해서는 인과적이고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한계를 보였다. 또한 Bowen의 이론의 주요 개념을 기독교 상담에 활용하기 위해 재해석 및 새로운 통합을 시도하였다. 기독교 상담 관점에서 볼 때, Bowen 이론의 핵심 개념인 정서적-관계체계와 지적체계는 결국 인간 자신의 생존과 건강이라는 자기-중심성에 목적이 있음을 드러냈다. Bowen 이론이 간과한 영적 존재로서 인간이 하나님과 가족(이웃)과의 관계에서 온전한 개별성과 연합성을 이루는 영적-관계체계로 확장시키는 변형을 시도하였다. 이에 대해 Bowen의 가계도와 삼각관계를 기독교 상담으로 통합하여 영적 가계도와 영적-관계체계로 확장한 삼각관계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기독교 상담과 Bowen의 가족체계이론의 근본적인 이론적 배경의 차이점과 함께 Bowen의 이론에 대한 실제적인 비판과 기독교 상담으로의 적용 가능성까지 살펴본 점이다. This study aims to utilize Bowen's Family Theory by integrating with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counseling. In this study, the difference between Christian counseling and Bowen's theory was examined as Christian super-naturalism and naturalism. The basis of naturalism theory explains that the universe operates itself according to the law of nature but it is not able to logically explain human's ability to reason, ethically judge, and answer existential questions regarding the meaning of life.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reinterpret and integrate the key concepts of Bowen's family system theory. There is limitation in applying Bowen's main concepts, emotional-relational system and intellectual system, into Christian counseling because both systems eventually aim to achieve one's own survival and health. Therefore, the present study suggests to broaden the system into a spiritual-relational system by examining one’s spiritual genogram and using the triangulation based on spiritual-relational system.

      • KCI등재

        기독교 상담사의 대사회적 상담서비스 참여 연구

        김정수(Jung Soo Kim)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22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33 No.4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counselors' participation in public or private counseling-related projects. Christian counselors are also interested in participating in public counseling services for reasons such as negative perception of Christianity in Korea and interest in public contribution as a Christian counselor. In this study, it were discussed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Christian counselors' participation in public counseling services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topics were analyz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counseling projects from KCS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ofessionalism of Christian counselors, active participation in counseling, and meaningful social contribution were confirmed, and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more professional network construction and activities were discussed. Finally, discussions for the development of KCSN were also presented. 최근 상담사들의 공공 또는 민간 상담관련 사업 참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독교 상담사 역시 한국에서의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 인식, 기독교 상담사로서의 사회 기여에 관심을 갖는 등의 이유로 대사회적 상담서비스 참여에 관심을 높여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와 한국목회상담협회가 설립한 사단법인 한국상담서비스네트워크의 상담사업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기독교 상담사의 대사회적 상담서비스 참여 필요성과 의의를 논하고, 발전 방향성과 주제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독교 상담사의 전문성 확인, 적극적 상담 참여, 의미 있는 사회 기여를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보다 전문적인 네트워크 구축과 활동의 필요성과 의의를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KCSN의 발전을 위한 논의점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이야기치료에서 마이클 화이트의 생애와 유산: 기독교 관점을 중심으로

        최민수,이현진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2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hat is the implication that Narrative Therapy can give the advancement of Korean Christian counseling as revealing how Michael White’s thoughts contributing to development of Narrative Therapy can be revalued. Through this study, there has been found that Michael White formed the unique therapy system applying interpretation and meaning of story based on the idea of cultural anthropology in early stage. Afterward he accepted constructivist view and social criticism philosophy and added sociocultural criticism giving political meaning to matters on personal and added sociocultural criticism giving political meaning to matters on personal and family’s life. Also, founding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Christian perspective and Michael White’s though and based on this, not simply unilateral acceptance to the Christian perspective or modifying methodology, attempting recomposition of progressive part, I suggested this study can provide directions of alternative solution to the Christian counselor. Thus,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searching clinical implications to the Christian counselor and family therapy counselors in Korea helping comprehension of Narrative Therapy and the inventor. 본 연구는 이야기치료의 발전에 기여한 마이클 화이트의 생애와 유산을 기독교 관점으로 어떻게 재평가될 수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이야기치료가 한국의 기독교 상담의 발전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이 무엇인지를 찾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호주 덜위치 센터를 중심으로 발전된 내러티브적 접근에 대한 텍스트와 마이클 화이트의 생애와 사상에 대해 평가되어진 여러 문헌들을 바탕으로 이야기치료에 기여해 온 마이클 화이트의 유산을 평가하고 기독교 관점에서의 비평 작업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연구 전개를 통해서 마이클 화이트가 초기에는 인류문화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이야기의 해석과 의미를 치료에 적용하는 독특한 치료체계를 형성하였으며 이후 구성주의 시각과 사회비평 철학을 받아들여 개인과 가족의 삶의 문제에 정치적 의미를 부여하는 사회 문화적 비평을 덧붙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기독교 관점과 마이클 화이트의 유산과의 관계에서 공통점들을 발견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단순히 기독교 관점으로의 일방적인 수용이나 방법론의 변형이 아니라 발전적인 부분으로의 재구성을 꾀하여 이야기치료와 기독교 상담과의 접목을 희망하는 상담가들에게 대안성의 방향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서 기독교 상담가들과 한국의 가족상담 실천가들에게 마이클 화이트가 이야기치료에 끼친 유산들을 고찰함으로써 실천적이고 임상적 함의를 찾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초월상담의 소개와 자기심리학의 기독교상담으로 통합가능성 타진: 두 이론의 비교를 통한 제언을 중심으로

        김용태,조난숙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3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ranscendental counseling as a Christian counseling theory an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Kohut’s self–psychology into Christian counseling from transcendental counseling perspective. Transcendental counseling theory introduces new concepts of actual self, objective self, scope expansion, scope estrangement, scope substitution, scope division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integrated elements are examined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ranscendental psychology and self–psychology. This work helps the understanding of the two theories’ essence as well as human understanding, effective clinical work, and setting the foundation for Christian counseling’s identity establishment.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transcendental theory can have dialogue with general counseling theories while maintaining theological attention and confirms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by presenting the transcendental theory’s common and parallel concepts with the self–psychology theory by some parallels between the transcendental theory and the self psychology theory. 이 논문의 목적은 기독교상담의 한 이론으로서 초월상담을 소개하며 초월상담의 관점에서 자기심리학의 기독교상담으로 통합 가능성을 타진함에 있다. 초월상담의 실재 자기, 객관적 자기, 범주확장, 범주이탈, 범주치환, 범주분리와 같은 새로운 개념들을 소개하면서 고유한 임상적 특징들을 제시하였다. 또한 초월상담의 관점에서 자기심리학의 개념들을 비교 검토하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롯한 통합적인 요소를 고찰하였다. 초월상담의 관점에서 자기심리학을 볼 때 인간관이나 병리현상의 원인론에 대한 한계와 자기심리학과 기독교상담을 통합할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초월상담 모델이 일반상담 이론과 대화가 가능하고 신학적인 주의를 기울인 새로운 기독교상담 이론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면서, 자기심리학과의 여러 공통적이며 병렬적인 개념 제시를 통해 통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기독교 상담 대가(大家)의 상담 장면에서의 현존에 대한 내담자 경험 단일 사례 연구

        전은영(Jeon,Eunyoung),김민아(Kim,Mina)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24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35 No.3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 상담에서의 신학-상담학의 통합적 관점에서의 현존에 대한 탐구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미주 이론과 게슈탈트 이론에서의 현존이란 무엇인가 고찰하고 신학분야에서 최근 연구되고 있는 몸신학과 몸의 현상학에 중점을 두어 살펴본 후, 기독교 상담 대가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Merleau-Ponty의 지각의 현상학의 핵심적 주제들로 질문지를 구성하여 기독교 상담 대가에게 장기상담 경험이 있는 내담자와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은 전체 4회, 300분에 해당되는 녹음자료와 전사본, 대가와의 상담현장에서 생성된 현장 생성물 그리고 현장에서의 내담자가 경험한 현존에 대한 그림과 영성일기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기독교 상담 대가의 몸은 안전하게 연결되는 몸이자 고통 가운데 함께 애쓰는 몸으로 지각되었다. 둘째, 기독교 상담자의 현존은 나-너의 관계에서의 하나님이 공명함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담자의 어린 시절 트라우마 상황을 작업하며, 내 몸 안에서 나와 함께 겪는 혼연일체로서의 성령님의 현존으로 분석되었고, 마지막으로 새로운 지향성으로서의 소망함이 분석되었다, 기독교 상담에서의 현존은 ‘기독교 상담 대가-내담자-성령님(하나님)’의 세 주체의 동시적 현존으로 경 험되었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미는 현존에 대해 신학-상담학 관점에서 현존에 대한 탐구를 위해 한 분야의 오랜 시간 동안 능숙함을 가지고 몸 주체로서 상담을 실시해 온 기독교 상담 대가의 임상신학적 사례연구라는 점에 있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esence' of Christian(pastoral) counselors, this study examined presence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of theology and counseling and analyzed the cases of Christian counselors.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body of the Christian counselor was perceived as a body of safe connection and a body of shared suffering. Second, the presence of the Christian counselor was experienced as the resonance of God in the I-Thou relationship. Third, the presence of the Holy Spirit was analysed as the presence of the Holy Spirit as a unity with me in my body, working with the client's childhood trauma situation, and finally, hope as a new orientation. Presence in Christian(pastoral) counseling was experienced as the simultaneous presence of three entities: the counselor, the client, and the Holy Spirit(God).

      • KCI등재

        기독(목회)상담과 영성 형성: 영성상담을 위한 예비적 제언

        이주형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8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9 No.2

        This research begins with the primary presupposition that the Christian spirituality must be employed in counseling context for holistic healing and wellbeing revoking spiritual care as its intrinsic nature. It defines spirituality as holistic and integrating components in which the intimate relationship with God is experienced and realized in every aspects of human beings. Scrutinizing both aspects of generality and particularity of spirituality, the spiritual implication of Presence, mystery and encounters in practicing counseling is unfolded and contemplative prayer is introduced as essential vehicle for spiritual formation in Christian counseling. Lastly, it suggests the contemplative listening skills as foundational threshold to establish the essence of practice of Christian counseling. The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would be discovered in the initial academic endeavor to delineate spiritual formation in Christian counseling and it sets up the preliminary environment to construct the discourse between Christian counseling and spiritual direction and its integrating form, Christian spiritual counseling. 본고는 기독(목회)상담의 정체성이 영적 돌봄 사역이란 개념을 환기시키며, 전인적건강과 치유를 목표로 기독교 영성적 접근을 상담사역에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전제로부터 출발한다. 인간이 영적인 존재라는 사실을 전제로, 이 소고는 기독교영성을, 하나님과의 관계가 전인격적 영역에서 실현되며 경험되는 모든 방식과 형태에 관한 총체적인 것이라 정의한다. 기독교 영성이 형성되는 방식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탐구하면서, 임재와 신비, 그리고 만남에 대한 영적 의미를 기독(목회)상담의 영성 형성으로 제시하였다. 기독교 영성수련에 필수적 방법으로 관상기도를 그본질적 특징들과 함께 기술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기독교 영성을 지향하는 상담의기초적 단계로 거룩한/관상적 경청의 영적인 의미와 영성전통적 이해를 소개하면서, 전인적 치유와 영적 성장을 지향하는 기독(목회)상담이 어떤 방식으로 영성 형성을구비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초적인 담론을 제시하였다. 기독(목회)상담 상황에서 영성 형성과의 연관성을 최초로 탐구하였다는 데 본고의 학문적 의미를 찾을 수 있을것이며, 앞으로 논의될 기독(목회)상담과 영성지도 간의 건설적인 담론과 확장된 토의에 기초적 토대를 놓았다는 데 이 연구의 기여 가능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종교적 이종혼에 대한 기독교 상담적 고찰

        심은정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3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4 No.1

        대부분의 기독교 교회에서는 기독교인들 간 결혼을 할 것을 가르치고 장려한다(본논문에서 기독교는 개신교를 지칭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상당수의 기독교인들이 종교적 배경이 다른 사람과 데이트를 하거나 결혼을 한다. 이 논문에서는 종교적 이종혼(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사이의 결혼)에 대한 성경적 관점을 살펴보고,종교적 이종혼이 종교적 동종혼(기독교인과 기독교인 사이의 결혼)과 비교해 볼 때부부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심리학적 실증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를토대로 성경적 관점과 심리학적 관점을 통합하여 목회 상담과 기독교 상담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종교적 이종혼이 종교적 동종혼에 비해 부부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적이종혼이 의미 중에는 종교활동 공유의 제약이 있는데, 이는 결혼에 대한 신념과가치의 공유를 제한하고 나아가 부부 간 종교적 대처와 사회적 지지 체계의 차이를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독교 상담을 하는 상담자가 타종교인과의 결혼을 고려하는 기독교 내담자를 상담할 때 상담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것이다. Most Protestant churches tend to teach and encourage marriage in the same faith. In reality, however, a great number of Christians(i. e., Protestants) date or marry those who are from a different religious background. This paper examines religious heterogamy(marriage between a Christian and non-Christian) from a biblical perspectiv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heterogamy and marital quality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Based on the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biblical and psychological findings, the discussion of how the Christian counseling should approach the interreligious marriage foll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 religious heterogamy have a greater possibility of negative impact on martial relationship than religious homogamy. When a couple have different religious backgrounds, they have limited opportunities in sharing religious activities, which further creates discrepancies in marital beliefs, religious coping, and social support system. Christian counselors are expected to benefit from utilizing these results when seeing a Christian client who considers religious heterogamy.

      • KCI등재

        신흥종교집단의 개종과정과 상담

        반신환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2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3 No.3

        이 논문은 신흥종교집단으로 개종하는 과정과 신흥종교집단의 구성원을 상담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우리나라 기독교에 병립되어 있는 기독교 전통관점과 대안관점을 사용한다. 기독교 전통관점은 개신교 중심의 배타적 관점이고 대안관점은 종교와 교파 사이의 평등과 종교 영역과 비종교 영역의 분리불가능성을 포함한다. 신흥종교집단의 개종의 동기에 대해, 기독교 전통관점은 신흥종교집단으로 빠지는 심리적 취약성을 강조하고 대안관점은 보상동기와 합리적 선택에 초점을 둔다. 개종의 과정에 대해, 기독교 전통관점은 세뇌의 과정으로 주장하지만 대안관점은 기존 집단에서 탈출하는 과정과 새 집단을 선택하고 정착하는 과정을 제시한다. 신흥종교집단의 구성원을 상담할 때 기독교 전통관점의 상담자는 내담자를 그 집단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설득한다. 이것은 이단상담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대안관점은 비종교인을 상담하는 것과 동일하게 내담자의 자율과 복지를 존중하고 성장시킨다. 신흥종교집단의 내담자를 상담하는 과정의 4개 원리를 대안관점을 중심으로 제시한다. 첫째, 상담자의 한계를 정의한다. 둘째, 상담의 규칙과 구조를 상담자와 함께 논의하여 설정한다. 셋째, 상담의 목표설정 및 목표달성과 상담과정에서 내담자의 자존감을 증진한다. 넷째, 내담자의 전인성과 총체적 환경에 영향을 주도록 다면적 개입을 사용한다. Religious conversion in a new religious group or movement is analyzed from either the classic Christian perspective and the alternative perspective. That focuses on the active agency and the rational choice in the religious conversion, whereas this focuses on the passive surrender and suggestibility. From the classic Christian perspective, motifs of the religious converts are personal vulnerabilities to get addicted to dependence. Their conversion process is the mechanisms of brainwashing or thought reform. Their counseling, that is, exit counseling, is dictated by their counselor’s purpose of deprogramming. However, from the alternative perspective, their motifs are expectation for reward as well as compensatory needs. Their conversion process is composed of their predisposing conditions and situational contingencies. Their counseling is dictated by their autonomy and beneficence. Four principles are presented in counseling with a member of the new religious group. First, the counselor’s boundary is clarified and defined. Second, the framework of counseling is discussed and formulated together. Third, their self-determination and self-worth are respected and encouraged in the whole process of the counseling. Last, multiple interventions are encouraged to take care of their complex needs.

      • KCI등재

        기독교상담 모델의 자기와 자기병리에 대한 관점비교와 통합 방향

        조난숙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2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3 No.2

        We compare five Christian counseling models introduced by Johnson and Kim and try to find an optional approach for the integration of Christianity and self psychology via considering main concepts of self psychology, which are self and self-pathology. The five views are Biblical counseling, Christian psychology model, transformational psychology, integration model, and a levels-of-explanation (parallel) model. Dealing some specific topics, we name the three models as integrational models for a convenience. Analyzing the concept of self in the perspectives of self psychology and the five Christian counseling models, we address that human self is the agent of God and this is the human perspective on which Christian counseling theory shall be established on. When integrating self psychology and Christianity, we first scrutinize and translate foundational concepts which are not consistent with Christianity, and then correlate its many practical and clinical concepts of self psychology. 본 연구의 목적은 Johnson과 김용태의 저서에서 제시하는 다섯 가지 기독교상담 모델을 비교하면서, 각 기독교상담 모델의 관점에서 자기심리학의 중심 주제인 자기와 자기병리에 대하여 고찰하며 자기심리학과 기독교의 적절한 통합 방향을 찾는 것이다. 즉 ‘자기’의 의미와 일반적인 병리를 각 기독교상담 모델에서 어떻게 이해하며 접근하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여기서는 주로 자기심리학에서 다루는 자기의 개념과 비교하며 고찰한다. 자기병리 중에서는 자기심리학에서 주로 다루었던 자기애의 문제에 좀 더 초점을 모은다. 또한 논점에 따라서 성경심리와 평행심리 모델을 양 극단으로 두고, 기독교심리 모델, 변형적 심리 모델, 재건심리 모델을 합쳐서 통합적 모델로 취하는 입장을 취하고자 한다. 자기심리학에서 제기되는 자기개념을 기독교상담적 관점에서 고찰하며, 인간의 자기(self)를 하나님의 대행자(agent)라고 규정하고, 이러한 인간관위에서 기독교상담학이 세워져야 함을 피력한다. 자기심리학의 기본적인 개념들을 기독교신학에 비추어 비평하고 검토함은 기독교심리 모델이나 재건심리 모델, 변형적 심리 모델 등에서 공통적으로 주장하는 통합의 필요 요소이다. 이러한 작업이 선행된 후, 임상실재나 인간이해에 도움이 되는 제반 개념들은 평행심리 모델의 입장에서 받아들이는 통합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