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생명기술 중심의 초등 기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박형서(Bak, Hyoung Seo)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0 교육연구 Vol.47 No.-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기술교육을 지도하기 위한 초등 기술교육과정의 구성, 교수?학습전략,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살펴보고 초등학교 기술교육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생명기술 중심의 초등 기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먼저 초등기술교육과정의 구성에서는 현행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주된구성방법인 내용에 터한 교육과정의 단점을 지적하고, 미래 사회에서 요구하는 문제해결 능력, 창의성, 의사 결정 능력 등을 기르는 데 적절한 과정에 터한 교육과정의 도입을 제시하였다.둘째, 교수?학습전략에서는 바람직한 교수?학습 활동을 위해서 실습보다는 실험으로 변화가 되어야 함을 주장하였고, 설계개요 접근법에 터한학생경쟁법을 대안으로 소개하였다.셋째, 초등기술교육 가운데 창의적 문제해결력에서는 창의성이 문제해결의 한 가지 영역이며, 비구조화된 문제일수록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기르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밝히고, 초등기술교육에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을 문제의 이해, 연구와 개발, 실현하기, 산출물 평가하기의 네 단계로 제시하였다.넷째,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초등 기술 교육과정 조직인자를 생산기술, 수송기술, 통신기술, 생명기술로 제시하였다. 생산기술 영역에서는 움직이는 인형 만들기, 수송기술 영역에서는 호버크래프트 만들기, 통 신기술 영역에서는 스케치업을 이용하여 햄스터 장난감 설계하기, 생명기술 영역에서는 잔디 인형 모양 만들기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n alternative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to enhanc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To solve the objectives of the work, the literature was reviewed on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and its related teaching strategy;and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hands on activities programs for creativity problem solving ability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to enhanc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were production technology, transportation technolog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bio-related technology. Second, teaching strategy of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suggest design brief based the student competition. Third, it suggest that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isplayed with semi-aching strategy of etatements. Third,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were suggested that it should be displayed with moving toy based production technology, making hovercraft based transportation technology, sketchup program bas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grass doll based bio-related technology.

      • KCI등재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쟁점 : 내용을 감축하고 고등학교 기하과목을 진로선택으로 분류

        심성아(Seong-A Shim)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연구 Vol.64 No.-

        본 연구의 목적은 2015년 9월 23일에 고시된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특징을 정리하고, 세부적인 내용에서 이전의 2009 개정 교육과정과 어떻게 달라졌는지 비교분석하며,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쟁점이 되었던 문제들과 그에 대한 각계의 의견들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발전적인 방향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는 이전 교육과정의 문·이과 공통수학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 외에는 문·이과 통 합형 교육과정이라고 할 새로운 변화는 없으며, 내용 감축과 평가 가이드라인 제시로 학습 부담 완화를 모색하며, 선택과목을 재구조화한 것이그 특징으로 정리된다.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학습부담 경감의 문제와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진로선택 과목의 문제, 신설 교과의 정체성과 정착 방법의 문제, 수능연계 방법이 제시되지 않은 문제 등의 많은 쟁점이 있었다. 이러한 여러 문제점들 중 기하 과목의 진로선택 분류는 수학 내용의 교육적 측면에서 빠른 시일 내에 수정되어야 할 부분이다. 교육과정 개정은 더 긴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장기적인 계획으로, 면밀한 교육현장 조사와 사회 각계의 의견 수렴은 물론 전문가자문을 심도 있게 구하는 과정을 거쳐야한다. 이런 과정을 통하여 창의융합형 인재라는 목표에 부합하는 특징적 수학 과목을 개발하는 방안도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announced on September 23, 2015, to analyze it in detail comparatively with the previous 2009 revised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and to examine controversial issues that arose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opinion of experts in various fields. Also the author suggests a few methods of improvements for future revision of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In conclusion there are no changes that could be called an integrated curriculum of the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track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Its primary characteristics are seeking the load alleviation for students by reducing the learning content and providing evaluation guidelines, and the restructuring of the elective course system in that the High School Geometry is classified as an elective career course. Many controversial issues have arisen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including the issues of the study load alleviation, the elective career course system of the high School curriculum, the identities of the newly created courses and methods to settle them, and the absence of the linkage plan to th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The task of revising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based on long-term plans and comprehensive field research in school classrooms along the process of requesting experts advice in-depth.

      • KCI등재

        학습자의 문학교육 경험 연구

        우신영(Woo, Shin-young)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6 교육연구 Vol.65 No.-

        문학교육 연구가 더 나은 문학교육을 위해 양질의 연구를 누적해가는 동안에도 학습자는 계속해서 문학과 인지적, 정서적으로 유리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간극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그동안 공백으로 처리되어 왔던 학습자의 실체와 욕구, 요구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 나름의 문학교육 경험사(經驗史)를 보유한 학습자의 경험기술지를 분석함으로써 그들이 문학교육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을 진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문학교육을 경험한 예비 고등학교 3학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문학교육 경험기술지 42편을 수합하고 이를 NVivo10으로 분석하여 향후 문학교육이 학습자와 맺어야 할 바람직한 관계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총 3개의 범주-문제의식, 원인 분석, 대안 제시와 10개의 트리노드가 추출되었다. 먼저 학습자들이 문학교육에 대해 느끼는 문제의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학교육으로 인해 문학에 대해 갖고 있던 호감이나 재미가 소실되었다. 둘째, 문학교육이 표방하는 목표와 실제 문학 교실의 모습, 평가의 목적과 실태, 교사들 간의 해석 및 교수 능력 차이 등으로 인해 심각한 불공정성을 체감하고 있다. 셋째, 학교 문학과 '나'의 문학이라는 이분법적 문학관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으로는 크게 인적 변인과 구조적 변인이 지적되었다. 첫째, 문학교과만의 정체성과 특수성을 인식하지 못한 채 기계적으로 수업하는 교사들의 태도, 둘째, 방대한 작품 수와 지식으로 인해 의미 없는 필기만 반복하는 수업 방식, 셋째, 시험이라는 하나의 귀결점을 향해 완벽하게 수단화된 문학 경험이 그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들로 크게 네 가지가 제안되고 있다. 첫째, 교과에 대한 교사의 애정과 열정, 둘째, 작품 자체가 아닌, 작품을 즐기고 이해하는 방법이 중핵이 된 수업, 셋째, 작품이 생산된 시대와 인간에 대한 이야기가 구술되는 수업, 넷째, 지식보다 문학 체험과 자유로운 반응이 선행되는 수업 등이 그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spects of learning-reader's experience about literary education and to design a practical framework for Learner-Centered literary education. Meanwhile many academic discussion about Learner-Centered literary education have been accumulating. However that discussions cannot provide a proper opportunity for growth of real learner's competen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analyze learning-reader's experience about literary education using actual 42 data. For concrete analysis, I adopt a method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d use a NVivo10 as a software tool. In succession, aspects of learning-reader's experience about literary education are analyzed three category <critical mind>, <cause analysis>, <presentation of alternative> and 10 tree nodes. The following are learner's critical mind about literary education. Firstly, they lose half their interest in literature because of literary education. Secondly, they feel current literary education is very unfair. Thirdly, they devide literature into school-literature and private-literature. The following are learner's cause analysis about these problems. Firstly, literature teacher work like a robot without identity as literature teacher. Secondly, learner always take down a lecture without literary pleasure because of overfull texts and fast progress in class. Thirdly, they feel that literary experience are degraded to the tool for examination. The following are learner's presentation of alternatives. Teacher's love for literature, methodical knowledge-centered literary class, many interesting stories about author and period related literary texts, and free literary responses before literary knowledge.

      • KCI등재

        2009 개정 문학 교과서 수록 다문화 시 제재 및 학습활동 분석

        김명석(Myung seok Kim)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4 교육연구 Vol.60 No.-

        This article analyzes multicultural poetry and learning activities in the new literature textbook. And this article purposes to diagnose the stage of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poetries in the 2007 revised literature textbooks are 13 works which are written by 6 poet. But multicultural poetries in the 2009 revised literature textbooks are only 3 works. The poet Ha jong-o noted the migrants into Korea before anyone else. He wrote a poem shaping them. This article looks three directions of multicultural poetries of Ha jong-o. First, This article analyzes original language that deals with the problems of the eyes looking up the migrants and the reflection of the poet. Second,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to deal with the marginalized band and dancing were analyzed. Third, in the case of the lives of migrant workers into the city Identity and khaki moheon's The pray for salvation was analyzed. Textbook shapes the curriculum and mediates students. Literature works shapes abstract theme and mediate leaders. Literary texts perform two roles at the same time. Section of Ha jong-o' poems in Literature Textbook shows the current stages and limitations. 이 글은 2009 개정 교육과정 새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다문화 시 제재와 학습활동을 분석하여 다문화 교육의 현단계와 문제점을 진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새 교육과정에 따라 대부분의 문학 교과서에 다문화 교육 내용을 수록하고 있으나, 2007 개정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에서 총 여섯 명의 작가의 13 편의 작품에 이르던 다문화 시는 새 교과서에서 소단원 제재로 선택된 작품이 하종오의 세 편의 시에 불과하다. 하종오 시인은 누구보다 먼저 한국 사회에 유입된 다문화 주체들에 주목하고 시로 형상화하는 작업을 수행해 왔다. 이 글은 교과서에 실린 다문화시를 세 가지 각도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이주민을 바라보는 시선의 문제와 이에 대한 시인의 반성을 다루는 시로 <원어>를 분석하였다. 이 시는 기차에서 만난 동남아계 두 여인을 통해 이주 여성들의 삶과 이에 대한 시인의 의식을 다룬 작품이다. 이주민의 현실과 고통보다는 반성적 시선에 초점을 맞춘 제재와 학습활동이다. 둘째, 소외된 자들의 소통과 연대를 다루는 <밴드와 막춤>을 분석하였다. 노인들이 동남아 청년 밴드에 맞춰 서로 얼싸안고 춤추는 장면은 소외된 자들의 연대 가능성을 상징한다. 이는 다문화 사회의 문제점에 집중된 기존의 접근 방법에서 벗어나 다문화 사회의 긍정적 요소들을 학생들에게 환기시켜줄 수 있다. 셋째, 이주노동자들의 삶 속으로 들어간 사례로 <신분>과 이주노동자 모헌 카키의 시 <구원을 바라는 기도>를 분석하였다. 결혼이민자의 현실이나 이 주노동자의 일터를 보여주지 못한다면 그들이 실제로 겪는 고통과 갈등, 화해와 희망 등 삶의 다양한 국면을 학생들에게 전달할 수 없다는 점, 다수자의 시선이 아닌 이주민을 주체로한 시선의 경험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주목해야 할 작품들이다. 교육과정을 구체화하여 학습자와 매개시키는 것이 교과서이며, 추상적인 주제를 구체화하여 작가와 독자를 매개하는 것이 문학 작품이다. 문학교과서는 이 두 가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교과서의 하종오 시 단원은 우리 다문화 교육의 현단계와 한계를 보여준다. 문학 교과서가 보여주는 다문화 교육 역시 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편견 극복에 초점을 맞추는데 성공했다. 반면 새 교과서는 학생들에게 다문화 문제를 이주민 문제로만 한정하여 인식하게 만들 수 있다. '문화적 다양성의 수용과 인정'이나 '세계 공동체에 대한 책임' 부분에서 취약점이 있다. 우리 사회에서 여전히 다문화는 '문제'이지 '목표'가 아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교육과정이표방하는 문화적 다양성의 긍정적 사례를 교과서에서 찾아보기 힘든 것은 당연한 일이다. 교과서는 현실과 이상을 매개해야 한다. 다문화 사회의 경험이 부족한 우리 사회에서 이를 반영한 작품을 찾기가 쉽지 않고, 더구나 교육여건상 교과서에 수록될 수 있는 제재의 양 역시 제한적이지만 다문화 문학의 성취가 다문화 교육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교과서가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타인과 소통하고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함으로써 바람직한 공동체 문화를 만들어가는 데 기여하자는교육과정의 목표처럼 문학 교과서도 다문화 사회의 공동체 문화를 만들어가는 교육적 실천이 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중등 대안학교에서의 컴퓨터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성기영(Sung, Ki Young),노석준(Seak-Zoon Roh)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교육연구 Vol.45 No.-

        본 연구는 중등 대안학교들을 대상으로 대안학교 컴퓨터교육 여건에 대한 인식도,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일반학교 컴퓨터교육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이에 기초하여 중등 대안학교에서의 컴퓨터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등 대안학교 학생 552명(총 11개교)과 교사 30명(총 30개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재구성한 학생용과 교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교차분석,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중등 대안학교에서의 컴퓨터교육 여건은 재정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그 특성을 살리지 못한 채 파행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외부적 지원이 전혀 없는 비인가학교의 경우에는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컴퓨터 교과의 편성?운영 측면에서는 대부분의 중등 대안학교들이 컴퓨터교육을 주당 1시간 정도밖에 실시하고 있지 않았다. 또한 학생과 교사 모두 현행 컴퓨터교육에 있어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시대에 알맞은 교육내용과 미흡한 컴퓨터 교과교재 개선’을 꼽았으며, 대부분의 교사들은 수준별 교육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현행 컴퓨터교육 교과내용은 이러한 요구를 충분히 수용하고 있지 못하며, 교육내용 간의 연계성도 부족한 것으로 인식했다. 컴퓨터교육의 교수방법 및 평가 측면에서는 별다른 문제가 없었으며, 정보통신 윤리교육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나 현행 컴퓨터교육은 이를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간략히 제시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computer education in the secondary alternative schools, and to propose some solutions to improve computer education in it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o achieve these goals, both online and offline survey(34 items for students and 33 items for teachers) was conducted in the 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11 schools for students' survey and 30 schools for teachers' survey, including some of unauthorized schools), which considered having relatively good conditions and located in Seoul, Kyeonggi, and Incheon area(including some of Gangwon, Chungcheong, Jeolla, and Gyeongsang provinces). The survey was also conducted from September 16, 2008 to October 10, 2008.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552 from students, 30 from teachers), frequency, cross-tab and t-test were conducted using SPSS 12.0K versio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ings: First, most alternative schools had very poor educational conditions for computer training due to their financial problems, and those problems were more serious in the un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 than the 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 Second, the problems related to contents selection and processes of the class were still existed without improvement although many researchers were continuously pointed out. in addition, it was appeared that the texts using for education were unable to respond to the technical environment rapidly changing.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regarding education for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between secondary 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 and unauthorized ones. That is, the education level for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in the un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 was not so good, compared to the 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 Based upon the research results, several recommended solutions were suggested: providing government'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developing instructional materials customized for alternative schools, and managing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dedicated computer teachers.

      • KCI등재

        교사의 인성교육 전문성 특성의 잠재프로파일분석

        김연후,김하연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2 교육연구 Vol.83 No.-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attempting categoriz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Character Education expertise.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latent profile analysis method was used, and the data of 115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collected in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conducting latent profile analysis, teachers' Character Education expertise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experts group (27.8%), average satisfaction group (35.7%), and novices group (36.5%)’.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classification of group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teacher's efficacy in Character Educati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are meaningful as basic data confirming the aspect of teacher's Character Education expertise and providing a basis for teacher education for school Character Education. 본 연구는 교사의 인성교육 전문성의 특성에 따른 유형화를 시도하는 것을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 방법을활용하였고, 기존의 인성교육 전문성 척도 개발 선행연구에서 수집한 현직 초⋅중등학교 교사 데이터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의인성교육 전문성은 크게 세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전문가 집단(27.8%), 평균만족집단(35.7%), 초보자 집단(36.5%)’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류는 교사의 담당 과목, 담임교사 경력 및 성별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잠재집단 분류결과는 인성교육에 대해 갖는 교사의 효능감과도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교사의 인성교육 전문성의 양상을 확인하고, 학교 인성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에 근거를 제공하는 기초자료로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교직전문성 제고를 위한 사범대학 교육과정 개정방향 탐색

        이숙재(Sook Jae, Lee),장영희(Young Hee, Chang),노석준(Seak Zoon, Roh)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7 교육연구 Vol.41 No.-

        본 연구는 성신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구성원인 교수와 학생들이 현행 사범대학 교육과정과 교육내용, 교육방법 등을 어떻게 생각하고, 어떠한 방향으로 개편되기를 원하는지에 관한 요구분석을 함으로써 향후 사범대학 교육과정을 개편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참고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행해졌다. 연구 결과 교수와 학생들은 교육과정 영역별 이수학점 구성에 대하여는 대체적으로 적절하다고 생각하였으며, 사범대학에 개설된 교직과목에 대하여는 교육철학 및 교육사,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등 통합교과의 경우 분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교육실습과 관련하여 2학점으로 운영되는 학점 수에 대하여는 28%의 학생만이 만족한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현행 실습기간(4주)에 대하여는 교수(44%), 학생(63%)가 만족한다는 반응을 보여 교육실습 전반에 걸친 세심한 대책을 마련.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교직이수학점에 대한 변화추세 등을 고려하여 각 학과별 교육과정을 재조정하고 실습학점 및 시기, 기간 등 보다 체계적인 교사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방안을 마련ㆍ 시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dentify how professors and students at the College of Educ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think about current curricular offered from the college, and instructional methods, and 2) to analyze their needs about how they want those curricular and instructional methods to be changed.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wo groups of participants(23 professors; 270 students at the college) and 253 questionnaires(16 professors; 237 students) were collected. Using SPSS 12.0,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Open-ended question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by frequenc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ofessors thought that the number of the credits for general major and in-depth major was appropriate, and teacher-training courses being consisted of 20 credits were also suitable. Second, the statistics showed that professors(57%) and students at the college(70%) were satisfied with the subjects dealing with the theories of teaching professions, which were offered from the college, and most professors and students insisted that the combined courses which were currently offered for teaching professions should be divided into two courses. Third, professors(50%) were more highly satisfied with the current teaching practice credits(2 credits) than students(28%) at the college did. In summary, the trends of the courses and credits for teaching professions should be widely announced and the curriculum of each department should be reorganized. In addition, continuing reorganization efforts for developing systematic and effective curricular in order to train the qualified pre-service teachers should also be made.

      • KCI등재

        한국, 미국, 영국 정보과 교육과정에의 연계성 비교 분석: ‘자료와 정보’, ‘정보문화’ 영역 중심으로

        윤혜진(Yun, Hye Jin),조정원(Cho, Jungwon)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교육연구 Vol.75 No.-

        본 연구에서는 한국⋅미국⋅영국의 정보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비교⋅분 석하여 각 교육과정에서 연계성 강화를 위한 방안과 특징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 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정보과 교육과정에서 연계성 강화를 위한 방안과 정보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교육과정 분석을 위해 한국⋅미국⋅ 영국의 교육과정 원문과 안내 지침서 및 관련 자료를 활용하였고, 연계성 국제 비교 기준에 근거하여 정보과 교육과정 전반과 ‘자료와 정보’, ‘정보문화’ 영역을 중심으로 종적 연계성(계속성, 계열성)과 횡적 연계성(통합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 교육과정은 종적⋅횡적 연계성 확보를 위한 특징적 장치를 마련하여 복합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연계성 확보 방안으로 정보 교과 교육과정 내 영역 간 연결고리의 구조적 제시, 정보 교과의 전체적 목적성과 영역 간 관계 강조, 특정 개념 및 내용을 중심으로 유관한 타 영역 연계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우리나라 정보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강화를 위해 정보 교육과정의 구조적 측면, 정보 교과 자체의 목적성과 영역 간 관계성 측면, 정보 교과 내 개념 단위 측면 등 다각도의 접근을 고려해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equence and integrity of informatics curriculum in Korea, US and UK to derive the suggestion for informatics curriculum of Korea. Curriculums, guides and related materials of each countries were used for this study. Based on the criteria for international comparison, continuity and sequence for vertical connectivity and integration for lateral connectivity were analyzed on the informatics curriculum and contents area of ‘data and information’ and ‘information culture’. As a result, three ways for vertical and lateral connectivity were found: structural link of curriculum among content areas, emphasis of objectivity of subject itself and relationship among the content areas, and collaborated works based on specific concept or topic and its related areas. They ware distinctive features for vertical and lateral connectivity in each curriculum and used in combin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pproaches in terms of structure of curriculum, objectivity of informatics and relationship among content areas, and specific concepts or topics of informatics for better sequence and integrity of informatics curriculum in Korea.

      • 딥러닝 세그먼테이션과 폴리곤화를 활용한 도면 벡터화

        김주영(Juyoung Kim),김지영(Jiyoung Kim),유기윤(Kiyun Yu) 대한공간정보학회 2021 한국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1

        건축도면 이미지를 활용한 3차원 실내공간정보 구축에서 문제가 되는 사항 중에 하나는 도면에 나타난 기하적 형상을 보존하는 것이다. 딥러닝의 발전에 따라 도면이미지를 딥러닝으로 분류한 수 벡터화 과정을 통해 실내공간정보를 구축하려는 시도가 많이 있지만 딥러닝의 확률론적인 특징으로 인해 형상의 왜곡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캔된 도면을 폴리곤화 하여 형상을 보존한 수 딥러닝 세그먼트를 폴리곤 분류기로 사용하여 원본 형상을 보존한 도면 벡터 결과물을 획득하였다.

      • KCI등재

        중등학교 교육실습 운영 현황 분석

        조대훈(Daehoon Jho),김자영(Jayoung Kim)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교육연구 Vol.57 No.-

        본 연구의 목적은 보다 내실 있고 실현가능한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앞서 교육실습의 주요 주체 중 하나인 현장 실습학교의 관점에서 교육실습 운영의 현황과 문제점을 검토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교육실습의 본질을 회복하고 내실화를 꾀할 수 있는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현장 실습학교 교육실습담당부장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특히 교육실습 프로그램 전체를 기획ㆍ관리하는 현장 전문가인 교육실습담당부장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전화 면담을 실시함으로써, 교육실습 운영의 현황과 더불어 단위 학교 수준에서 교육실습이 어떻게 이해되고 있고, 어떻게 개선될 수 있는지에 관해 분석해 보고자 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등교육실습의 특징을 방임적 교육실습으로 명명하였으며,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실습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국가 수준의 교원자격취득요건과 교육실습제도의 개선, 그리고 현직교사 인센티브제도 등에 대한 변화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Based on a survey method, this study attempts to illuminate how teaching practicum is being conducted in undergraduate, secondary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to suggest both effective and sustainable ways of teaching practicum which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desirable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teaching expertis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the responses of 60 Department Heads of Research (who are in charge of planning and administering teaching practicum) selected from major cities and provinces by using the stratified sampling method. By analyzing those teachers’responses on questionnaires, it was the researchers’s main goal to highlight the facts and problems of teaching practicum.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in contrast with the long-standing ideal belief about the practice of teaching practicum, the local version of teaching practicum in reality turned out to be a laissez-faire one, where the quality of teaching practicum largely hinged upon that of an individual cooperating teacher or that of an individual school.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suggest that, in order to restore the nature of teaching practicum and to promote collegial relationships between the universities and the secondary schools,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need to refine both the national mandates for teaching practicum and the teacher licensure system, and to develop the incentive system for cooperating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