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역량의 관계에서 창의적 인성의 매개효과

        백은영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person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and their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To this end, questionnaires on playfulness,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and creative personality were distributed to and collected from 282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Chungcheongnam-do. The SPSS 23.0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frequency, percentage, Cronbach's α, and Pearson coefficient were computed. Also, the tendency and normality of distribution were reviewed through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kurtosis.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using model 4 in the PROCESS macro SPSS version 4.1.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through bootstrapping, after fixing 5,000 samples at 95% significance probabilit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creative personali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impac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on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Through the result, it was discussed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was a teacher’s personal variable affecting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and that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can be enhanced by fostering creative personality for the teachers with low levels of playfulness.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역량의 관계에서 창의적 인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282명을 대상으로 놀이성,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역량, 창의적 인성에 대한 질문지를 배부 및 회수하였다. 분석은 SPSS 23.0을 활용하여 빈도, 백분율, Cronbach’s α, Pearson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를 통해 분포의 경향성과 정규성을 검토하였다. 매개효과는 The PROCESS macro SPSS version 4.1에서 4번 모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고, 유의확률 95% 수준에서 표본 수 5,000개를 고정시킨 후 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놀이성이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창의적 인성이 부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의 놀이성이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개인 변인임을 확인하였고, 놀이성이 낮은 교사에게는 창의적 인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줌으로써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역량을 높일 수 있음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Porphyromonas gingivalis의 세균내독소가 RAW264.7세포에서의 nitric oxide의 생성과 indu- cible nitric oxide synthase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및 기전

        백은영,최은영,최점일,이주연,김성조 대한치주과학회 2005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5 No.4

        본 연구는 치주질환 주요 병인균주 중의 하나인 Porphyromonas gingivalis의 세균내독소가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에서의 nitric oxide의 생성과 iNOS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Butanol추출법과 phenol-water법에 의해 P. gingivalis 381로부터 세균내독소를 추출하였으며, NO의 생성은 배양 상층액 내의 nitrite 농도를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또한, iNOS의 western blot 분석과 reverse transcription (RT)-PCR 산물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P. gingivalis의 세균내독소는 부가적인 자극이 없는 상태에서도 iNOS의 발현과 NO 생성을 유발하였으며, NF- κB, microtubule polymerization, protein tyrosine kinase, 그리고 protein kinase C 등이 P. gingivalis 세균내독소에 의한 NO 생성에 간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P. gingivalis 세균내독소에 의한 NO 생성에는 L-arginine이 요구되었다. P. gingivalis 세균내독소에 의한 NO 생성은 염증성 치주질환의 발병과 진행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해외직접투자와 기술수출에 관한 연구: 한・베트남을 중심으로

        백은영 한국통상정보학회 2022 통상정보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한국의 해외직접투자 규모 1위이자 기술무역수지 흑자 1위 국가인 베트남을 대상으로 한․베트남간 세부산업별 기술무역경쟁력을 분석한다. 또한 베트남에 대한 해외직접투자(FDI)시 투자유형별, 투자목적에 따라 기술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분석도구로는 세부산업별 기술경쟁력 분석에서는 무역특화지수(TSI)를 활용하였고 유형별․목적별 해외직접투자와 기술수출간 인과관계에 대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무역특화지수(TSI) 분석 결과, 세부산업별로 살펴본 한국의 베트남에 대한 기술경쟁력은 전산업에 걸쳐 기술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나 의류, 장신구, 모피제품 산업의 기술경쟁력은 매년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 반도체 산업 등 첨단산업에 기반이 되는 소재산업(비금속광물제품, 1차금속)에서 한국의 베트남에 대한 기술경쟁력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회귀분석 결과, 한국의 베트남에 대한 해외직접투자(FDI)가 합작투자 형태일 때, 한국의 기술수출이 증가하였으며 한국기업이 베트남 시장 진출시 원가절감을 목적으로 투자할때 기술수출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의 對베트남에 대한 세부산업별로 강한 기술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특정 산업(의류산업 일부, 소재산업 등)에서는 기술경쟁력이 약화되고 있음을 도출하였다. 또한 한국의 베트남에 대한 해외직접투자의 목적과 유형에 따라 국내 기술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영아교사의 스마트알림장 사진 게시로 인한 어려움

        백은영 미래유아교육학회 202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9 No.2

        This study aimed to explore improvement directions by examining difficulties caused by infant teachers posting photos of infants in a smart communication app. The study method used was semi­structural interviews, and the participants were surveyed using a snowball sampling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seven infant class teachers in a daycare center. To collect the data, a two­stage interview was done with the participants. The pre­interviews presented questions on one’s general background, smart communication app use situations, and photo­related difficulties. In the primary interviews,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semi­structural question list on the difficulties caused by posting photos of infants in a smart communication app.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fant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through another work due to posting infant photos in a smart communication app, increased photographing to show off, class disturbance, and comparison of posted photos. Based on study results, the following improvement directions are presented: offering time on making notice contents in the smart communication app, need for education for parents on disturbance of infants’ safety and classes by posting photos of their child in the smart communication app, and devising operation standards by daycare centers on posting photos of infants in smart communication app.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스마트알림장 사진 게시에 대한 어려움을 살펴 개선 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은 반구조적 면담이었고, 눈덩이 표집의 방법으로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 7명이었고, 각 2회의 면담에 참여하였다. 사전 면담에서는 일반적 배경, 스마트알림장 사용 현황과 사진 관련 어려움에 대한 유무를 질문하였다. 본 면담에서는 스마트알림장 사진 게시로 인한 어려움에 대해 반 구조적 질문 목록에 따라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영아교사는 스마트알림장 사진 게시로 인해 또 다른 업무, 보여주기식 사진 찍기의 증가, 수업에 방해됨, 게시된 사진의 비교됨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알림장 작성에 대한 별도의 업무 시간 제공, 스마트알림장 사진 게시로 인해 영아가 수업과 안전에 방해받을 수 있음에 대한 부모교육의 필요, 스마트알림장 사진 게시에 대한 어린이집별 운영 기준 마련 등의 개선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이혼을 선택한 여성 한부모의 행복경험

        백은영,이명우 한국재활심리학회 2018 재활심리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자발적으로 이혼을 선택한 여성 한부모의 행복경험을 연구함으로써 한부모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한부모와 한부모 가족을 돕는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이혼을 선택한 여성 한부모의 행복경험 과정은 어떠한가이다. 자발적으로 이혼을 선택한 여성 한부모가 시간의 경과 후 경험하게 되는 행복으로의 변화과정을 연구하고자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 접근을 활용하여 총 8명의 대상을 선정하였다. 심층면접을 통해 얻은 자료를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에서 163개의 개념과 42개의 하위범주, 1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에서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 결과 이혼을 선택한 여성 한부모의 행복경험 과정은 ‘한부모 됨을 수용’, ‘긍정적 자기상의 재구성’, ‘한부모로의 삶을 재결단’, ‘기능적 삶을 실천하기’, ‘삶속에서 행복 경험하기’로 파악되었다. 선택코딩에서 핵심범주는 ‘한부모의 삶을 선택하고 수용하며 살아내는 과정에서 주체적 행복경험하기’로 나타났으며,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범주들 간에 있을 수 있는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이혼을 선택한 여성 한부모의 행복경험 유형은 ‘의미추구형’, ‘관계지향형’, ‘자기개발형’으로 나타났다.

      • 위인전 중심 독서치료 활동이 학습 부진아의 자아 존중감 및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

        백은영,이성한 고신대학교 아동연구소 2011 아동연구 Vol.20 No.-

        본 연구에서는 위인전 중심의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자아존중감 과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위인전은 아동 들에게 본보기 인물을 보여준다. 아동과 청소년의 건전한 발달에 동일시 대상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다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감정,생각,행위 들 과 같은 성향의 특징이나 지위, 소속, 집단의 특정을 모방함으로써 자선의 성향과 상황의 특징으로 간주하거나 인정하는 과정이 동일시라고 할 수 있다. 위인전은 학생들에게 이러한 동일시 대상인물을 보여 주는 중요한 의미가 담겨져 있다. 따라서 자아존중감 뿐만 아니라 자기 표현력,성취동기,학습 습관,학습동기,사회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위인전을 선정하여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목적에 따라 초등학교 3학년 학급의 학습부진아 4 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위인전 중심의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효 과는 어떠한가라는 연구 문제와 관련된 연구를 진행한 결과 위인전 중심의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 이는 서나라 (2006) 의 선행연구에서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연구에서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 이 통제집단보다 높은 자아존중감을 나타내었다는 보고와 일치한다. 또한 구현숙 (2005) 의 연구에서,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는 결과와도 일치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대상아동 모두 자아존중감 점수가 향상되었지만 자아존중감 하위영역에서 크게 향상을 나타낸 영역은 아동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이것은 아동 개개인의 발달과 특성에 따라 자아존중감의 하위영역에서 손상된 영역과 정도가 다르고 또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의 하위영역 중에서 어떠한 영역에 영향을 크게 주는지는 아동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어느 영역에서 크게 손상되었는지 먼저 파악하여 하위영역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한다면 자아존중감의 큰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리라 본다. 둘째,위인전 중심의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라는 연구 문제와 관련된 연구를 진행한 결과,김인경 (2005) 의 연구에서 사전,사후 독해력 향상 정도를 성취도(%)로 알아본 결과 독서치료가 읽기부진아 독해력을 향상시켜 준다는 결과를 지지해 준다. 대상아동 4 명 중 A,B, C 아동 3명이 독해력 검사의 성취도(%)가 사전 검사에 비추어 사후 검사가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와 선행연구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수 있다. 첫째,위인전 중심의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자아 존중감 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아존중감 의 하위영역별로 향상정도는 다르게 나타났으나 대상아동 모두 자아존중감 점수가 향상되었고 위인전중심의 독서치료가 학습부진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둘째,위인전 중심의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독해력을 향상시키는데 독해력의 변화에서는 아동마다 향상 정도가 다르고 변화 정도가 현저하게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독해력 향상을 위해서는 좀더 오랜 기간을 두고 개별적인 읽기 지도 프로그램을 구안해서 적용해 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러나 대상아동의 특성과 학습 능력에 따라 독해력 향상 정도는 다르나 각 아동의 독해력이 향상되었으며 아동의 행동을 관찰한 결과 모두 학습에 적극적인 자세로 임하고 무엇보다 스스로 책 읽기에 흥미를 가지고 집중하는 태도가 형성되었다. 따라서 위인전 중심의 독서치료가 학습부진아의 독해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제언은 다음과 같다. 자아존중감의 하위영역별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위인전의 선정 기준 이 체계화되어 자아존중감의 하위영역별 독서치료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에 있는 한 초등학교 3 학년 학습부진아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모든 초등학교 학습부진아동들에게 일반화하기 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학습부진아를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정상적 아동들을 대상으로 예방적이고 발달적 차원에서 위인전 중심의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좀 더 정확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