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발전사와 미래

        임수진(SooJin Lim),고영미(YoungMi Go),서현(Hyun Seo)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1 No.2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는 2001년 창립 이후 20년 동안 영유아가 일상 속에서 접하는 책, 그림과 같은 전통미디어에서부터 컴퓨터, 휴대폰 등과 같은 뉴미디어를 교육에서 어떻게 바라보고 활용할 것인지에 관한 학문적 연구와 현장 실천을 위한 노력을 해왔다. 이와 같은 노력으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는 영유아교육에서 미디어 교육을 선도하는 학회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 이후 시대로 진입하며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는 최근 상황에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의 책무성은 더욱 중요하게 여겨질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난 20년 동안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가 추진해 온 사업의 성과와 한계를 점검하고, 이를 토대로 나아가야 할 미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노력이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가 30주년, 혹은 50주년을 맞이할 때 회원에게 존경과 신뢰를 받고, 더 나아가 유아교육의 발전에 공헌하는 학회로 나아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For the past 20 years since its foundation in 2001,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has been working on academic research and field practice on how to view and utilize media; from traditional ones such as books and pictures to new ones such as computers and cell phones. With such efforts,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has established itself as a leading society in media education in infant and child education.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the transition to a digital society is accelerating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global pandemic phenomenon of COVID-19 is demanding more accountability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than ever befor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projects that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has been promoting for the past 20 years, and based on this, it suggests the future direction for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Thi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for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to not only be respected and trusted by its members on the 30th and 50th anniversaries, but also to further develop into the Korean association tha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년 발전사와 미래

        고영미,임수진,서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0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0 No.11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는 2001년 창립된 이후 20년 동안 영유아들이 일상 속에서 접하는 책, 그림과 같은 전통미디어에서부터 컴퓨터, 휴대폰 등과 같은 뉴미디어를 교육에서 어떻게 바라보고 활용할 것인지에 관한 학문적 연구와 현장 실천을 위한 노력을 해왔다. 이 같은 노력으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는 영유아교육에서 미디어교육을 선도하는 학회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지금 우리 사회는 미디어 환경의 한 변화 속에서 우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에 학회가 추진해온 사업내용과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의 20년 역사의 발자취를 되돌아보고, 현재의 추진사업을 점검하며, 미래의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가 30주년, 50주년을 맞이해서도 회원들에게도 존경받고 신뢰받으며 유아교육의 발전에 공헌하는 학회로 더 발전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의 과거, 현재, 미래: 미디어와 교육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연승(Lee Yeon-Se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의 역사를 사회 및 교육의 변화와 미디어를 중심으로 문헌 고찰함으로써 향후 어린이미디어와 교육의 발전을 위한 역할과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는 지난 20년간 다양한 미디어에 대한 탐구를 토대로 그 시대의 트렌드 미디어(Trend Media)를 선정하여 학문적, 실천적 논의의 장을 적절하게 잘 마련해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학회의 발전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와 미디어, 미디어와 교육의 관계에 대한 미래 연구(Future Studies) 및 네트워크 형성(Networking)의 장(場)이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유아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미디어의 적정 구현을 위한 유아교육기관 내 시스템(체제) 구축연구 및 기존의 아날로그 환경에 기반한 놀이 연구 프레임에서 모바일 환경에 기반한 놀이 연구 프레임으로 연구의 영역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에 관한 연구를 학회 차원에서 주도하여 한국 유아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이에 적합한 디지털 미디어 매체에 대한 인증기준을 확립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ole and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media and education in the future by examining the history of the Korean Children’s Media Association with a focus on social and educational changes and media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and Education has properly provided a place for academic and practical discussion while reflecting Trend Media of the era based on the exploration of various media over the past 20 years. In this regard, th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is Association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should be a place for future studies and networking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media as well as media and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proper implementation of various media experienced by young children and to expand the field of research from the existing analog environment-based play research frame to the mobile environment-based play research frame. Lastly, it is necessary to lead the research on digital media literacy at an academic level to identify the digital media literacy competency of korean children and to establish an appropriate certification standard for digital media.

      • 놀이 중심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김낙흥,이은정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2 No.6

        본 연구는 생애초기인 유아기부터 미래 사회의 디지털 시민으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증진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개정누리과정에서 추구하는 놀이 중심의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국내외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관련 프로그램과 연구물 및 누리과정과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그 바탕으로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개발한 프로그램을 현장에 적용해봄으로써 유아 대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활동들의 적절성을 검토하고, 현장에서 유아로부터 발현되는 미디어 관련 놀이 상황을 관찰·분석하여 놀이 중심의 미디어 리터러시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유아기 미디어 이용이 초등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유능감의 매개효과

        이상희(Lee Sanghee),오새니(Oh Saenee)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9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유아기 미디어 이용과 초등학교 적응과의 관계에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아동패널 7차와 8차년 연구에 참여한 972명 아동을 대상으로 상관관계 분석과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미디어 이용 놀이시간은 초등학교 적응 및 사회적 유능감과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초등학교 적응과 사회적 유능감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유아의 미디어 이용 놀이시간과 초등학교 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능감의 부분매개가 확인된 반면, 미디어 이용 교육시간과 초등학교 적응, 사회적 유능감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로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놀이목적으로 미디어 이용 시 유아의 사회발달 측면에 부정적 영향이 강화되기 때문에 유아기 미디어 이용 지도 시 미디어 사용 목적과 적절한 이용에 대한 지도가 강조되어야 함을 시사했다. 또한 미디어 이용 놀이시간과 초등학교 적응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능감의 부분매개효과는 과도한 미디어 사용으로 인한 초기 초등학교 적응의 어려움을 사회적 유능감 향상을 통해 해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at the mediated effects of the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in relation to infantile media use and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972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7th and 8th years of the Children s Panel.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The media play usage time showed the social competence and inadequacy of elementary school, while the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and Social competence mediated effects showed the static correl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edia use education time and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and social competence. Second, while partial matching of Social competence mediated effects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media play use time and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the medium effect of Social competence mediated effects did not appea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use time as a whole and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 KCI등재

        어린이의 유튜브 및 게임이용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중재요인 분석: 미취학아동 및 취학아동(초등저학년) 비교

        이창호(Changho Lee),장석준(Seckjun Ja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부모의 중재가 미취학아동 및 취학아동의 유튜브이용 및 게임이용시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이 2020년 수행한 〈어린이 미디어 이용 조사〉의 2차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부모의 적극적 중재보다 제한적 중재가 자녀의 미디어 이용시간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었다. 특히 부모의 중재에 잘 순응하는 것이 자녀의 미디어 이용을 줄이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미취학아동의 경우 자녀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제한조치가 유튜브나 게임 이용시간을 감소시킨 반면 취학아동의 경우 전반적 제한 뿐 아니라 부모순응이 미디어이용과 부적인 관련성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미취학아동일수록 미디어 이용을 제한하거나 통제하는 제한적 중재가 자녀의 미디어 이용시간을 줄이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해주고 있다. 취학아동의 경우 부모의 중재방식을 자녀가 얼마나 잘 따르느냐가 미디어 이용시간을 줄이는데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녀와의 신뢰나 친밀감을 높이는 것이 자녀의 미디어 이용을 줄이기 위해 필요하다. 대체로 부모의 적극적 중재는 미디어이용과 관련성이 없었다. This study analyzed how much parental mediation affected Youtube and gaming use of children among preschool and school children. It analyzed the secondary data of 〈The Survey on Children’s Media Use〉 conducted by Korea Press Foundation in 2020. As a result, parental restrictive mediation had an effect on reducing media using time of children rather than parental active mediation. Especially the extent to which children conformed to parents’ mediation procedures led to the decrease of children’s media using time. Restrictive mediation worked in reducing Youtube and game use of the preschool children while conformity to parents as well as restrictive mediation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media use of school children. This result indicates that restrictive mediation can be effective in decreasing media using time in the case of preschool children. As the extent to which school children conform to parental mediation is effective in reducing media using time, enhancing the credibility and intimacy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s important to decrease children’s media use. Overall, parental active mediation was not related to children’s media use.

      •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을 중심으로

        최유리,유영의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9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9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학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간 차이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 내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198명으로부터 수집된 질문지 자료를 SPSS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학교육 영역별 차이 분석 결과 전래동화 지식, 유아 지식, 목적, 선정기준, 교수 방법, 평가 총 6개 영역에서 모두 중요도가 실행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학교육 항목별 차이 분석 결과 우선 지원되어야 할 항목은 교수 방법중 다양한 매체로 제작하여 전달하는 방법, 유아의 흥미와 관심을 증진할 수 있는 방법 2개 항목이었으며, 장기적 개선이 요구되는 항목은 동화 지식 중 시중의 다양한 한국 전래동화 작품, 양질의 한국 전래동화 그림책 선정기준, 한국 전래동화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나 정보원 3개 항목, 선정기준 중 문학성이 높은 것, 예술성이 높은 것, 교사의 가치 기준을 반영한 것 3개 항목, 교수 방법 중 환경구성 방법 1개항목, 평가 중 유아에 대한 평가, 유아 관찰법, 유아포트폴리오, 활동에 대한 평가, 작품 내용 및 활동 선정 관련 평가, 교수 매체 관련 평가, 교수방법의 적절성 관련 평가, 유아 발달 수준에 대한 적합성 관련 평가 8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아교육 현장에서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학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고 해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교양필수과목으로서 유아를 위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경우(Lee Kyung-Woo),민행난(Min Heng-Nan),김영심(Kim Yung-Sim),김선영(Kim Sun-Yung),이선경(Lee Sun-Ky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6 어린이미디어연구 Vol.5 No.-

        본 연구는 다문화 이해를 강조하는 21세기의 특징으로 인해 한국어교육이 한국문화에 초점을 맞추고 일년 내내 교육과정에서 이루어 져야 함을 강조하여 교양필수과목으로 한국어교육프로그램을 고안한 것이다. 특히 원격대학에서 WIB 기반 프로그램을 교육과정 개발의 틀에 맞추어 거시적으로 설계하였다. 연구문제는 크게 네 가지를 설정하여 이에 대한 답으로 한국어 프로그램의 연구의 필요성과 개요 및 연구의 전체적 틀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프로그램의 구성, 전략, 특징 및 활용으로 전개하였다. 그 결과, 대학에서 교양필수과목으로서 한국어교육프로그램 강좌의 교육과정은 물론 유아교육기관에서 사용 할 수 있는 균형잡힌 한국어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자료 개발로 이어지는 활용까지 소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후속 연구로서 원격대학프로그램의 후속연구 및 효과연구, 그리고 유아교육 현장 연구로서 한국어 프로그램 효과 연구가 요구됨을 지적하고 있다. This study provides a curricular model for an elective course entitled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curricular model incorporates a multi-cultural component to coincide with globalization of the 21st century. As suggested by Derman-Sparks and the ABC task force, the multi-cultural component is integrated throughout the school year following themes establish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The multi-cultural component provides exposure to Korean culture and uses a balanced approach. The study introduces model that utilizes web-based instruction as one of many instructional tools. It also describes program needs, content, strategies, other special features, and follow-up studies on implementation outcome. This study is unique in that it was implemented as a cyber elective course. The study is a collaborative work among Korea Cyber University, Nanal Co., and KUniverse. Data from program implementation has been used to develop ShaSha Korean Language Program.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in the area of cyber curriculum efficacy and outcomes using the research generated ShaSha Korean Language Curriculum.

      • KCI등재

        유아교사의 디지털 미디어 활용 잠재유형 및 예측요인

        노보람,김정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2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ubgroups of digital media usa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dentified the influence of factors related to the teacher, such as age and media literacy competencies as well as the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on different subgroups. Participants were 330 teachers from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Kyungnam province. A latent class analysis, χ2-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ere conducted.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classes of digital media usage were classified into four subgroups: Creating digital contents, Utilizing digital contents, Searching digital contents, and Limited use of digital contents. Second, the following predictors jointly predicted latent classes of digital media usag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ge and media literacy competencies and the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digital media usag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육 및 업무에서의 디지털 미디어 활용을 유형화하고, 이에 대한 교사 연령, 재직 기관,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의 영향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만 3, 4, 5세반 및 유아 혼합연령반을 맡고 있는 담임교사 330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잠재계층분석, 교차분석, 일원변량분석, 그리고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잠재계층분석 결과, 유아교사의 디지털 미디어 활용 잠재집단은 4개 집단(제작중심형, 활용중심형, 검색중심형, 최소활용형)으로 분류되었다. 교차분석 결과 유아교사의 연령과 근무 기관 유형에 따라 잠재집단 소속 비율에 차이가 있었다. 일원변량분석 결과, 디지털 미디어 활용 잠재집단에 따라 미디어 리터러시 하위요인에 차이가 있었다.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교사의 연령이 20대에 비해 30대인 것, 교사의 재직기관이 공립유치원에 비해 사립유치원, 국공립어린이집, 직장어린이집인 것, 그리고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중 미디어자료생산역량, 정보검색및공유역량, 미디어윤리준수역량이 잠재집단 소속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디지털 미디어 활용이 질적으로 다른 집단으로 구분되며, 집단 구분에 대한 교사(연령 및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및 기관 유형의 영향력을 밝힘으로써 유아교육현장에서 디지털 미디어가 활용되는 데 함의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모 양육행동, 유아 전자미디어 놀이시간, 외현화 문제행동 간 구조분석

        배구택,노진형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9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8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both affectionate and regulatory), children's electronic media playtime and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 all of which influence early childhood school readiness. This study selected data of 851 seven-year-old pre-schoolers from the 7th edition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n used the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o conduct furthe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uthor foun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mother’s regulatory parenting behavior has proven to have a direct impact on toddlers’ electronic media playtime. Second, mothers’ regulatory parenting behavior and electronic media playtime have proven to have a direct impact on toddlers’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s. Third,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s have proven to have a direct impact on school readiness. Fourth, in the process of mother’s regulatory behavior impacting toddlers’ school readiness, electronic media play time and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 has proven to act as mediating factors. All these conclusions reflect that mother’s regulatory parenting behavior, such as enforcing rules and setting limits, influences toddlers’ electronic media playtime and externalized problem, thereby directly and indirectly impacting their school readiness. 본 연구는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온정적, 통제적)과 유아의 전자미디어 놀이시간,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아동패널자료의 7차 년도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취학 전 유아 85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은 유아의 전자미디어 놀이시간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전자미디어 놀이시간은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그리고 외현화 문제행동은 학교준비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자미디어 놀이시간과 외현화 문제행동이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규칙준수나 한계설정과 같은 통제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전자미디어 놀이시간과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쳐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