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완전 대정맥-폐동맥 연결수술로 전환 후의 폰탄순환장애 개선

        박한기,이기종,송석원,이삭,영환,조범구 대한흉부외과학회 2003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6 No.8

        배경: 완전 대정맥-폐동맥 연결(total cavopulmonary connection, TCPC)은 폰탄 순환의 혈류를 개선시킴으로써 심방폐동맥 형태의 폰탄 연결보다 우수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심방폐동맥연결 후 혈역학 장애를 보이는 환자들에서 TCPC로의 전환 수술은 혈역학적, 기능적 호전을 가져올 것으로 생각된다. 폰탄 순환장애가 있는 환자에서 이전의 폰탄 수술을 TCPC로의 전환술의 결과를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79년 10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8명이 폰탄순환 장애로 과거의 폰탄 수술을 완전대정맥-폐동맥 연결로 전환하였다. 환자들의 심장 기형은 삼첨판 폐쇄증(n=4)과, 기타 기능성 단심실(n=4)이었다. TCPC로 전환 수술 시 평균 나이는 14.0±7.0년이었으며 (4.6~26.2세), 폰탄 술식 후 대동맥-폐동맥 연결로 전환한 사이의 간격의 중앙값은 7.5년(2.4~14.3년)이었다. 모든 환자들이 다양한 정도의 우심부전의 증상과 징후를 나타내었다. 6명의 환자가 NYHA 기능적 분류의 III 또는 IV에 해당되었다. 발작성 심방세동 (n=1), 청색증(n=2), 심방내 혈전(n=2)과 단백소모성 장질환(n=3)이 동반되어 나타났다. 이전의 폰탄수술은 심장외도관(n=7)과 심방내외측통로(n=1)로 전환되었다. 결과: 수술 사망은 없었다. 주요 합병증으로는 심부흉골감염(n=1), 2주 이상의 지속적인 흉막삼출(n=1), 일시적 접합부빈맥(n=1)이 있었다. 수술 후 중심정맥압은 수술 전에 비해 감소하였다(17.9±3.5 vs 14.9±1.0, p=0.049). 모든 환자를 추적 관찰하였으며, 최장 추적관찰 기간은 50.1개월(평균 30.3±12.8개월)이었다. 만기 사망은 없었다. 모든 환자들이 NYHA 기능분류 I 또는 II에 해당되었다. 발작성 상심실성빈맥이 심방내외측통로수술로 전환 받은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수술 전 단백소실성 장질환을 가지고 있던 환자 3명 중 2명에서 단백소실성 장질환이 재발하였다. 결론: 폰탄 술식 후 폰탄순환의 장애에 의한 혈행장애는 과거의 폰탄 술식을 완전 대정맥-폐동맥 연결로 전환해서 혈역학적 기능과 증상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었으며 수술 사망과 합병증의 위험은 높지 않다.

      • 명사구의 문법소성

        박한기 여수대학교 1996 論文集 Vol.10 No.-

        This paper is an attempt to answer how features of the noun phrase are structurerd and how nouns are classified into subclasses. GENDER is the first feature of the noun and NUMBER is the second. DEFINITENESS and PERSON are of the noun phrase. CASE is the external feature which is to be given when an NP functions as a constituent of a sentence. Thus we have "*[[[tiger]s]ess]"/"[[[tiger]ess]es]" and "sons-in-law/"son-in-law's." Subcategories of nouns have different specifications of the features. A Proper Noun is a complete noun phrase, which has all of its features predetermined. Common Noun is an incomplete name whose NUMBER and DEFINITENESS remain to be determined. Material and Abstract Nouns are of one category whose DEFINITENESS is undetermined. Many Nouns of a subcategory are subject to feature shifts. "Ford" in "Sandy has a new Ford" is Common Noun which needs markers for NUMBER and DEFINITENESS. "Mother" in "Mother wants to see you" is a Proper Noun which needs no further specification of features. "Breakfast" is originally a Material Noun while "breakfast" in "We have a heavy breakfast" is a Common Noun.

      • KCI등재

        약물첨가제로 사용된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에 의한 아나필락시스쇼크 1예

        박한기,정윤호,보은,김수정,이종명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023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11 No.2

        If drug excipients hypersensitivity is not accurately recognized, the patient is at risk of experiencing repeated hypersensitivity to various drugs.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etic acid, EDTA), often found as an excipient in injectable drugs and topical agents. Herein, we report a patient who developed anaphylactic shock to an injection containing EDTA and subsequently experienced both immediate and delayed hypersensitivity reactions to EDTA. A 51-year-old female was referred due to perioperative anaphylaxis. It took the patient 2 hours to return to the ward after receiving general anesthesia. Immediately after returning to the ward, the patient received injections of Mucosten (Medica), Traumeel (Saehan), and Botropase (Han Lim), and within 1 minute she experienced an anaphylactic shock. The patient had drug allergy histories to computed tomography contrast agents and injectable drugs as well as repeated contact dermatitis histories to topical agents. A month later, the patient came to the outpatient clinic. As a result, intradermal test for perioperative drugs, Mucosten, and Dexamethasone (Daewon Pharm) were positive. In addition, the 48-hour delay test for Mucosten and Dexamethasone was also positive. Under the suspicion of additive hypersensitivity, skin prick test was performed for disodium acetate, an additive containing Mucosten and Dexamethasone, which showed a positive result. However, skin prick test for N-Acetyl-L-cysteine, a main compound of Mucosten, was negative. This case is a hypersensitivity reaction to EDTA, which was confirmed by drug skin tests. In addition, this case is meaningful in that immediate and delayed hypersensitivity reactions to a single excipient appeared independently in the same patient.

      • KCI등재
      • KCI등재

        ‘싶-’의 통사구조와 의미

        박한기 한국언어학회 2009 언어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the complement structure and the meaning of the adjectival root ‘ship-,’ which has been known to have a certain set of different meanings and a certain set of different complements each with different syntactic structures. '-go,' the most frequently used of the complements of 'ship-,' is a different VP[-FIN][-FACT] from the isomorphic '-go,' and can be an alternative action. Another complement is a relative clause accompanying NP[-FACT], which can be an alternative guess. Still another complement is a monological sentence with no complementizer, which can be an alternative judgement. The adjectival root ‘ship-’ represents the inclination of the mind to make a choice to do something among the alternatives or to choose a subjective judgement among the alternatives.

      • KCI등재

        Does Carboplatin Rapid Desensitization Change Its Adverse Drug Reactions Other than Hypersensitivity and Efficacy in Patients With Ovarian Cancer?

        박한기,이수정,Sujeong Kim,Jong-MyungLee,Dae Gy Hong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20 Allergy, Asthma & Immunology Research Vol.12 No.6

        Purpose: Rapid drug desensitization is known to be a good strategy in patients with drug hypersensitivity to chemotherapy. However, changes in maximal drug concentration and exposure time in blood through desensitization may alter other adverse reactions and efficacy of the drug. We investigated rapid desensitization for carboplatin in terms of severe adverse drug reactions (ADRs) and efficacy compared with the standard infusion. Method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was conducted on patients with recurrent ovarian cancer who received carboplatin chemotherapy from 2017 to 2019. We compared serious adverse events (SAEs), ADRs according to organ classes, time to progression (TTP), and overall survival (OS). Results: Of 108 desensitization procedures performed in 21 patients, 104 were successfully accomplished (96.3%). There were compared with 271 procedures in 41 patients who received the standard infusion method. There were 8 (7.7%) SAEs in the rapid desensitization group and 34 (12.5%) in the control group. One drug-related death occurred in the rapid desensitization group. In the rapid desensitized group, except for neutropenia,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SAEs and over grade 3 of ADRs according to organ classe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the efficacy analysis, TTP and OS were similar in the 2 groups. Conclusions: Rapid desensitization of carboplatin can lower the risk of immediate hypersensitivity reactions without changing the inherent effect and severe ADRs.

      • KCI등재후보

        Differential biological responses of green tea polyphenolin normal cells vs. cancer cells

        박한기,Dong-Wook Han,영환,종철 한국물리학회 2005 Current Applied Physics Vol.5 No.5

        Green tea has shown remarkable anti-inammatory and cancer chemopreventive eects in many animal tumor bioassays, cellculture systems and epidemiological studies. Many of these biological eects of green tea are mediated by epigallocatechin 3-gallate,the major polyphenol present therein. In this study, the dierential biological responses of green tea polyphenols (GTP) were exam-ined in normal rat osteoblasts (NRO) vs. human osteosarcoma (MG-63 and Saos-2) cells. The GTP treatment with micromolar con-centrations (0.1, 1, 10 and 100l M for 24 h) resulted in dose-dependent inhibitions of cell growth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morphological alterations, G0/G1-phase arrest of the cell cycle and induction of apoptosis in both osteosarcoma cells, but not in theNRO.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TP treatment may be contributed to the dierential regulation of cell cycle in normal cells and. cancer cells, which can be exploited to craft strategies for the physiological preservation of cells or tissues by GTP.

      • KCI등재

        자가심낭막절편을 이용한 심외외측통로 Fontan 수술의 결과

        박한기,윤영남,양홍석,유병원,최재영,영환 대한흉부외과학회 200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9 No.4

        목적: 자가심낭막을 절편으로 이용한 심외외측통로 Fontan 수술은 심외통로가 성장할 수 있다는 이론적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 수술기법의 중기성적과 심외통로의 형태학적 변화를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11월부터 2004년 12월 사이에 자가심낭막절편을 이용한 심외외측통로 Fontan 수술을 시행 받은 42명 환자의 임상자료를 검토하였다. 환자의 나이는 2.8 1.5세였으며, 체중은 12.3 3.2 kg이었다. 체외외측통로는 자가심낭막을 이용하여 기저부를 유지한 상태로 제작하였다. 추적관찰 심조영술을 검토하여 하대정맥에 대한 심외통로의 직경과 단면적을 비교해 보았다. 결과: 수술사망은 4명(9.8%)이었으며, 4예 모두 저심박출증으로 사망하였다. 5명의 환자에서 2주 이상 흉막삼출이 지속되었으며, 1명의 환자가 완전방실차단으로 영구심박동기를 삽입을 요하였다. 37명에서 추적관찰이 가능하였으며 추적관찰기간은 3.8 2.2년이었다. 2명의 환자가 추적관찰기간 중 사망하였는데, 사망의 원인은 각각 상부장관출혈과 원인을 알 수 없는 급사였다. 2명의 환자에서 각각 대동맥판막하 협착과, 심외통로와 하대정맥의 연결부위 협착으로 재수술을 받았다. 추적 기간 중 새로 발생한 부정맥은 1명에게서 발견되었고, 혈전 및 색전증에 의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자가심낭막을 이용한 심외외측통로 도관 Fontan 수술법은 술식이 비교적 간단하고 안전한 방법이다. 수술 후 중기 성적은 양호하며, 심외통로는 성장할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혈관이식술 후 내막과다증식에 대한 Epigallocatechin-3-Gallate의 효과

        박한기,영환,송석원,이미희,종철,주현철,장병철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4

        배경: 혈관내막과다증식은 혈관평활근세포가 내막에서 과다증식하여 나타나며,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는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EGCG는 혈관내막과다증식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상 및 방법: 다른 농도의 EGCG를 포함한 배양배지에서 인간제대정맥내피세포(HUVEC)와 쥐대동맥평활근세포(RASMC)를 배양하고, 세포증식과 이동속도를 측정하였다. 20마리의 개의 양측 경동맥에 자가경정맥을 이식하였으며, 실험군(n=10)에 대해서는 정맥도관을 이식 전 30분간 EGCG 용액에 보관하였으며, 이식 후 300 mM의 EGCG를 혈관주위에 도포하였다. 6주 후에 경정맥이식편의 내막과 중간막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결과: 내피세포와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은 EGCG에 의해 억제되었다. 혈관평활근세포의 이동성은 EGCG에 의해 억제되었으나, 내피세포의 이동성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동물실험 결과 대조군에 비해 EGCG군에서 내막의 두께가 얇았으며(p<0.05), 중간막의 두께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고, 내막/중간막의 두께비는 EGCG군에서 낮게 관찰되었다(p<0.05). 결론: EGCG는 혈관수술 후 혈관내막과다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 및 이동을 억제하여 효과를 나타낸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EGCG는 혈관내막과다증식을 예방하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