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워필드 창조론 재고

        박찬호 ( Park¸ Chanho ) 한국개혁신학회 2021 한국개혁신학 Vol.71 No.-

        벤자민 워필드는 구 프린스턴 신학자 중 한 명이다. 그는 잘 알려진 유신론적 진화론자이다. 다윈주의에 정면으로 반대하는 찰스 핫지의 입장에 비해 워필드는 다윈의 진화론에 대해 보다 호의적이다. 그의 여러 저술은 진화를 긍정적으로 인정한다. 마크 놀과 리빙스턴은 워필드가 성경과 진화론의 권위 모두를 인정하는 대표자들 중 한 명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최근 프레드 자스펠은 리빙스톤과 놀의 견해에 이의를 제기한다. 자스펠은 워필드가 진화라는 개념을 인정하고 있지만 진화론 자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진화론에 대한 워필드의 견해에 대한 이러한 대립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진화 개념을 명확히 해야 한다. 직접 창조, 간접 창조, 그리고 진화에 대한 워필드의 언급은 진화론에 대한 그의 견해를 밝혀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유신론적 진화론에 대한 현대적인 비판에 워필드가 동조할 것 같은 표현들은 유신론적 진화론자로 워필드를 분류하지 못하게 하는 단서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Benjamin B. Warfield is one of the Old Princeton theologians. He is a well-known theistic evolutionist. In comparison to the position of Charles Hodge who directly opposes to Darwinism, Warfield changes his attitude to Darwinian evolutionism. His several writings acknowledges evolution positively. Knoll and Livingstone contends that Warfield is one of the representatives who opts for both the authority of the Bible and evolutionism. Recently, however, Fred Zaspel raises an objection to the view of Livingstone and Knoll. Zaspel admits Warfield entertains the idea of evolution but does not accept the evolutionism itself. In order to solve this confrontation on Warfield’s view concerning evolutionism, we should make the complicated concept of evolution clear. Warfield’s references on direct creation, indirect creation and evolution might shed light on his view on evolutionism. Also, the expressions Warfield is likely to sympathize with modern criticism of theistic evolutionism could be a clue to preventing Warfield from being classified as a theistic evolutionist.

      • SCOPUSKCI등재

        Y 제올라이트내에서 $^{129}Xe$ 핵자기 공명의 화학적 이동을 근거로 한 알칼리 토금속 양이온의 Xe 흡착 현상 연구

        박찬호,유룡,Chanho Park,Ryong Ryoo 대한화학회 1992 대한화학회지 Vol.36 No.3

        알칼리 토금속 양이온을 함유하고 있는 Y 제올라이트와 Xe 간의 상호 작용을 이해하기 위하여 Xe의 흡착과 $^{129}Xe$ 핵자기 공명(NMR) 분광법을 이용하였다. 고순도의 NaY 제올라이트 시료를 합성하여 여기에 $Ca^{2+}$와 $Ba^{2+}$를 각각 이온 교환시켜서 CaY와 BaY 제올라이트 시료들을 얻었다. 부피 흡착 실험방법에 따라서 260∼320 K 사이에서 이 시료들의 Xe 흡착 등온선을 측정하였으며 296 K에서 $^{129}Xe$ NMR의 화학적 이동을 측정하였다. 이 시료들에 흡착된 Xe 기체가 제올라이트 표면과 알칼리 토금속 이온들로 구성된 흡착자리들 사이를 매우 빠르게 움직인다고 가정하였을 때 Xe의 화학적 이동을 정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이 결과 알칼리 토금속 이온들이 $Na^+$ 이온이나 제올라이트 골격 표면보다도 Xe을 훨씬 더 강하게 흡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흡착 세기의 차이를 이용하여 Xe 흡착 등온선을 분석하면 Y 제올라이트 수퍼케이지 속에 존재하는 알칼리 토금속 이온의 갯수를 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Interaction of xenon with alkaline-earth cations in Y zeolite supercage was studied by xenon adsorption and $^{129}Xe$ NMR experiments. The CaY and the BaY samples were prepared by exchanging $Ca^{2+}$ and $Ba^{2+}$ into a high-purity NaY zeolite. Xenon adsorption isotherms of these samples were obtained by using a conventional volummetric gas adsorption apparatus in the range of 260 to 320 K and the chemical shift in the $^{129}Xe$ NMR spectrum of the adsorbed xenon was measured at 296 K. The chemical shift against pressure was quantitatively explained assuming that the xenon gas exchanged very rapidly between various adsorption sites consisting of zeolite-framework surface and alkaline-earth ion. From this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alkaline-earth ion adsorbed xenon more strongly than $Na^+$ ion and zeolite-framework surface. Baring on the difference of the adsorption strength, the number of the alkaline-earth cations present in the zeolite supercage could be estimated by analyzing the adsorption isotherm.

      • “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께서 내 안에 사시는 것입니다”(갈라 2,20) -“그리스도적 실존” 개념을 중심으로 한 로마노 과르디니(Romano Guardini)의 신앙 이해

        박찬호(Park, Chanho)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3 이성과 신앙 Vol.54 No.-

        Das Anliegen dieses Aufsatzes ist, das Verständnis des christlichen Daseins von Romano Guardini(1885-1968) zu analysieren und zu rekonstruieren. Anhand dieser Ananlyse will der Verfasser das Personkonzept Guardinis darstellen und herausfinden, was Guardini mit seinem dialogischen Denken sagen will. Dabei wird sich zeigen, was dies für die Gläubigen von Heute bedeutet. Bei diesem Aufsatz geht es hauptsächlich um Guardinis anthropologisches Hauptwerk 「Welt und Person」. Um das zu erreichen, geht der Verfasser zunächst in seine Weltanschauung und seine Gegensatztheorie ein, auf deren Basis er das Verhältnis des Menschen zur Welt analysiert. Nach seiner These stehen die menschliche Person und die Welt im Gegensatz-Verhältnis, dessen Grundprinzip die “Einheit in der Unterschiedenheit” ist. Für den Begriff der Existenzwelt ist das Verständnis dieses Verhältnisses sehr wichtig. In bezug auf die menschliche Person hat Guardini insgesamt drei Dimensionen der Person vor Augen, nämlich ontologische, dialogische und selbstzweckliche Dimension. Der Aufsatz fokussiert sich auf die dialogische Dimension, die einen besonderen Bezug zu dem theologischen Begriff der Person hat. Katholische Theologie kennt nämlich den Begriff “Gottes Anruf”, aufgrund dessen der Mensch in einer speziellen Beziehung zu Gott steht und damit eine hervorrande Stellung in der Welt einnimmt. Mit seiner hervorragenden Stellung ist ihm zugleich die Aufgabe übergeben, welche Folgendes zum Inhalt hat: die von Christus, dem menschgewordenen Gott, offenbarte, eigentliche Ich-Du-Beziehung wiederherzustellen und so die Schöpfung zur Vollendung zu verhelfen. Apostel Paulus war das ideale Beispiel für das neue christliche Dasein und auch dafür, wie ein Mensch in der engsten Verbindung mit geistgewordenem Christus leben kann. Die Weise, wie das neue christliche Dasein mit Christus anfängt, veranschaulicht das sog. Damaskus-Erlebnis Pauli, und wie dieses neue Dasein aussieht zeigt die Bibelstelle, die er in seinen Briefen immer wieder schreibt: “Nicht mehr ich lebe, sondern Christus lebt in mir.”(Gal 2,20) 본고의 일차적 목표는 독일의 저명한 신학자 로마노 과르디니Romano Guardini(1885-1968)의 그리스도적 실존의 개념을 분석하고 재구성하는 것이다. 이를 기초로 하여 필자는 그가 현대의 신앙인들에게 제시하고자 했던 바람직한 그리스도적 삶의 방향성을 도출하고, 그것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를 묘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그리스도적 실존의 분석을 위해서 우선 과르디니가 가지고 있던 세계관의 저변에 깔려 있는 “대립사상(Gegensatztheorie)”과 이를 통해 현상학적으로 파악한 세계의 존재, 그리고 그러한 세계와 실존적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인간 인격의 개념을 개괄한다. 우선 대립사상은 모든 존재자, 특히 생명체의 존재 원리에 대한 과르디니의 통찰로부터 말미암은 것인데, 이를 한 마디로 표현하면 “차이 속의 통일”이라 할 수 있다. 마치 육체와 영혼이라는 두 상반되는 요소가 결합되어 인간이라는 존재를 이루듯이 말이다. 실존세계(Existenzwelt)의 개념은 세계와 인간을 이러한 대립관계에서 보았을 때의 세계를 말한다. 인간의 인격과 관련하여 과르디니는 이를 철학적으로 크게 존재론적, 대화론적, 목적론적으로 파악했는데, 본고가 초점을 맞춘 것은 대화론적 분석이다. 이는 인간의 인격이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서 비로소 현실화한다는 것인데, 이러한 분석은 그의 신학적인 인간 이해를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 인간은 하느님의 부름(Anruf)이라는 특별한 방식으로 창조되었기에, 하느님과 특별한 관계에 있으며, 그 역시도 부름을 통해 세계와 인격적 관계를 맺을 수 있다. 이러한 인간의 이중적 관계성은 인간으로 하여금 세계에서 각별한 위치를 차지하게 하고, 그와 동시에 그에게는 특별한 과제도 주어졌으니, 그것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주어진 관계성의 원형을 재현함으로써 창조를 완성으로 이끄는 데 일조하는 것이다. 바오로 사도는 이 과제가 어떻게 구체화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는데, 소위 다마스쿠스 체험을 기점으로 그는 그리스도와 내실존적 관계(Inexistenz-Verhältnis)를 이룸으로써 현대를 사는 모든 그리스도인들의 모범이 되었다. 그리스도적 실존의 원형인 이 내실존적 관계는 그의 증언 ―“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께서 내 안에 사시는 것입니다.”(갈라 2,20)― 을 통해 잘 드러난다. 현대의 신앙인들에게 다소 추상적으로 들릴 수도 있는 이 말씀은 사실 그리스도인이 추구해야 할 가장 근본적인 삶의 원칙을 제시해주는 것이며, 과르디니 신학사상의 핵심을 꿰뚫는 명제이기도 하다.

      • KCI등재

        다층문항반응이론 기반의 TIMSS 수학 평가 결과 분석

        박찬호(Park Chanho) 한국열린교육학회 2017 열린교육연구 Vol.25 No.2

        이 연구는 TIMSS 2015 4학년과 8학년 수학 평가에 다층문항반응이론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그 결 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 각 인지요소가 국가별 문항 난이도에 기여하는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분석 결과는 집단수준의 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파일로 해석되었다. 우리나라 4학년의 경우 ‘검색’에 가장 큰 강점을 보였으며 ‘분석’에 가장 큰 약점을 보였다. 8학년은 ‘표현’이 가장 강점을 보이는 요소였으며, ‘실행’이 가장 큰 약점을 보이는 요소였다. 이 분석 결과로 각 요소에 대한 국가 간 비교도 가능한데, 우리나라 4학년 이 가장 큰 약점을 보인 ‘분석’에 강점을 보인 국가는 싱가포르였다. 그리고 8학년의 약점 요소인 ‘실 행’에 대해서는 홍콩과 스웨덴이 강점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4학년과 8학년 결과를 비교해보면 강점이나 약점이 유지된 경우와 강점과 약점이 바뀐 경우 등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검색’의 경우 가장 큰 차이를 보여 강점 요소에서 약점 요소로 바뀌었으며 ‘계산’은 약점에서 강점으로 큰 변화를 보인 요소였다. 이 연구의 성과는 우선 다층문항반응이론 기반의 집단수준 진단평가 방법론을 적용함으로써 우리나라 학생들의 능력을 통제한 상태에서 강점과 약점 요소들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 연구 결과에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학교의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실태 분석이 더해지면 수학교육 발전을 위해 더욱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국제 및 국내의 다른 집단수준 평가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IMSS 2015 fourth and eighth grade mathematics assessment results by applying a multilevel item response theory model,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It was analyzed how much each cognitive attribute contributed to the difficulty level of each country. Also, the analysis results were interpreted as a group-level diagnosis profile. Fourth grade students in Korea had the greatest strength in ‘Retrieve’ and the biggest weakness in ‘Analyze.’ ‘Represent’ was the strongest factor in explaining item difficulty levels for Korean eighth graders, while ‘Implement’ was the weakest factor. The analysis results can be compared across countries for each attribute, and Singapore was the country having the greatest strength in ‘Analyze,’ which was the weakest attribute for the fourth grade students in Korea. Hong Kong and Sweden had strengths in ‘Implement’ while it was a weakness for the eighth grade students in Korea. Finally, the attributes could be classified by types of changes from the fourth to the eighth grade for each country. ‘Retrieve’ showed the biggest difference from a strong point in the fourth grade to a weak point in the eighth grade in Korea, and ‘Compute’ was an attribute showing a big change from weakness to strength. This study successfully applied a group-level diagnostic assessment methodology based on multilevel item response theory, and could thus accurately identify strong and weak attributes of Korean students by controlling for overall ability levels. When combined with other research studies with regard to the curriculum, textbooks, and teaching and learn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also expected to be applied to other international and domestic group-level assessments.

      • KCI등재

        A Comparison of Diagnostic Profiles of Students in Korea and the USA on TIMSS Mathematics Assessment

        박찬호(Park, Chanho) 한국비교교육학회 2020 比較敎育硏究 Vol.30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011년에 시행된 국제 수학ㆍ과학 추이 연구의 수학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한국과 미국의 8학년 학생들에게서 얻은 진단 프로파일을 비교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DINA 모형을 적용하여 한국과 미국 학생들의 진단 프로파일을 구하였다. 선행연구에서 개발하고 타당화한 내용 중심 Q-행렬을 점검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문항 통계를 점검한 후 각 나라 학생들의 문항속성 숙달률을 비교하였다. 두 나라 학생들 간에 가장 큰 차이는 기하 영역에서 발견되었는데, 기하는 고차원적 사고를 요하는 영역이며 이러한 차이는 선행연구에서 발견된 것과 유사하였다. 그러나 기하 영역에 속하는 속성 중 하나에 대해서는 미국 학생들의 숙달 확률이 한국 학생들보다 높았다. [결론] 연구 결과는 한국의 수학교육에서 필요한 처치 전략과 함께 논의하였다. 비록 한국 학생들이 기하에서 전반적으로 더 높은 숙달률을 보였지만 미국 학생들의 숙달률이 더 높은 하나의 속성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국가 간 비교에 있어 DINA모형을 적용하는 것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도 논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agnostic profiles of eighth grade student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SA) on the eighth grade student s mathematics assessment of the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2011. Methods: The profiles were obtained by applying the deterministic-inputs, noisy “and” gate (DINA) model for the students in both countries. A content-driven Q-matrix, developed and validated in previous research studies, was checked and used in this study. Results: After checking item statistics, the mastery probabilities of both countries were compared. The largest gap was found on Geometry, which requires a higher-order thinking skills. This finding is in line with that of the previous literature. However, the US students had a higher master probability on one of the attributes in Geometry than Korean students. Conclusion: Th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remedial strategies for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Although Korean students had higher mastery probability in Geometry, the one attribute, on which Korean eighth grade students showed lower mastery probability, needs further analyse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applying the DINA model for a comparison of countries were also discussed.

      • 4차 산업혁명과 인간의 자유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

        박찬호(Park, Chanho)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8 이성과 신앙 Vol.65 No.-

        우리는 지금 물리학과 디지털, 그리고 생물학의 성과가 상호 연결되어 급속한 삶의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는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살고 있다. 첨단 과학기술에 힘입은 자동화와 정보화, 그리고 생물학적 강화는 장차 인간에게 엄청난 편의와 효율성을 가져다줄 것이다. 그러나 인간에게 선택의 필요성마저 느끼지 못하게 하는 이러한 과학기술의 발달은 인간의 자유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정당한 비판이 가능하다. 인간의 일을 로봇이 대신하고, 인간이 생각하고 느끼는 정신적 작용까지 데이터화하여 분석하고 예측하며, 유전자 편집을 통해 인간의 생물학적 능력을 강화하는 것은 무한해지고자 하는 인간 욕망의 발로로 볼 수 있고, 이 욕망은 자칫 인간이 만든 기술이 오히려 인간을 좌우하는 상황으로 이끌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 상황에서 그리스도교가 추구하는 ‘존재의 자유’에 대한 성찰은 많은 점을 시사한다. 인간을 진정으로 자유롭게 하는 것은 선택의 폭이 넓어지거나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삶의 여건의 변화가 아니라, 인간이 스스로의 한계를 직시하고 최고선에 스스로 예속됨으로써 본연의 자기 존재에 도달하는 것이다. 그것이 성경이 전하는 최초의 인간이 누렸을 자유이다. 하느님에게 강하게 예속될수록 더 큰 자유로 나아가게 된다는 그리스도교적 역설은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과학기술과 자유의 관계에 대해 깊이 숙고하게끔 한다. We now live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ere the achievements of physics, digital, and biology are interconnected and predicted to bring about rapid changes in our lives. The automation, informatization and biological strengthening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will bring tremendous convenience and efficiency to humans in the future. However, it is possible to make a fair criticism that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hat can not even feel the necessity of choice for human beings can shrink human freedom. Human enhancement through gene editing can be seen as an expression of human desire to become infinite, and this desire can lead to a terrible situation. In this situation, the reflection on the ‘transcendental freedom’ by Christianity suggests many points. It is not the change of the living conditions which make human truly free. Facing the limits of oneself and being subordinated to summum bonum can human being reach the original existence. The Christian paradox that the more strongly subordination to God leads to greater freedom, allows us to ponder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technology and freedom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이축압출기를 이용한 입자코팅공정 동적모사

        박찬호(Chanho Park),조형태(Hyungtae Cho),정원복(Wonbok Jeong),박정수(Jeoungsu Park),이근득(Keundeuk Lee),문일(Il moon) 한국추진공학회 2015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1

        본 연구에서는 이축압출기의 kneading block의 배열을 변동 시킨 서로 다른 6가지 스크루를 가정하고 이를 전산유체역학 동적모사를 통하여 입자의 혼합도를 계산하고 각 스크루의 역할을 분석 하였다. 이때 혼합도를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dispersive mixing을 분석하기 위하여 전산유체역학의 immersed boundary 기법을 사용하여 Manas-Zloczower mixing index를 계산하였다. 또한 ditributive mixing을 분석하기 위하여 dynamic mesh 기법을 사용하여 각 스크루 배열에서 빨간색과 파란색으로 다르게 표시된 입자를 주입구 부분 양쪽으로 나누어 주입하고, 입자의 거동을 모사하고 분석하였다. 결과로 kneading block 중 515R, 515L, 515N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이때 515N은 두 종류의 혼합에 대하여 모두 가장 높은 효율을 보였으며, 515L은 distributive mixing에 대하여서는 515R보다 효율이 높으나 dispersive mixing에 대하여서는 515R보다 효율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this study, 6 kinds of screw arrangements are assumed and simulated dynamically by Computational Fluid Dynamics(CFD) for calculating mixing efficiency of particles and physical characteristic of each kneading block. Mixing efficiency is analysed in terms of distributive mixing and dispersive mixing. For dispersive mixing, Manas-Zloczower mixing index was introduced and for distributive mixing, particles motion which injected to opposite side and colored differently was observed. As a result, 515N block shows the maximum efficiency for both mixing schemes and 515L block shows better mixing effect than 515R block in terms of distributive mixing but shows worse mixing effect in terms of dispersive mix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