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이후 일본의 배외주의와 재일조선인

        이승희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6 일본학 Vol.43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flow of the chauvinism occurring in Japan after the modern times to contemplate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fore and after the war. In general, the academic circle of Japan has the well established assertion that “Japan has the right wing but it does not have the extreme right wing”, and there is wide spread perception that the social movement in chauvinism as the leading front has emerged in the recent days. In December 2006, Zaitokukai (在特會: meeting of citizens who do not recognize special privileges to Koreans in Japan) was organized to undertake the chauvinism movement to stir the social scandal with aggressive hatred against Korea, demonstration of denouncement of those Koreans in Japan as well as assembly for such causes. Obviously, when considering in history, the right wings and chauvinism of Japan do not necessarily exist in consistency but certain part of overlapping areas in their assertions, characters and theoretical basis that the relativity cannot be completely denied. In addition, the exclusive policies of Japanese government and the hatred and discrimination recognition of private society against Koreans in Japan have been steadily existed from the time of Japanese colonial ruling period that calls for attention. Under this article, the focus is on Koreans in Japan as the target of the chauvinism in Japan in particular that the contemplation on the influence on the discrimination against Koreans in Japan during the colonial period with the view of despise of Japanese against Koreans during the modern period, and therefore, such traditional view of despise against Koreans has been handed down to the recently emerged chauvinism. 본고의 목적은 근대시기 일본인들이 갖고 있던 재일조선인 멸시관과 적대감이어떻게 전후시기로 계승되어 최근 대두한 배외주의로까지 연결되었는지 그 연속성에 대해 검토하는 것이다. 근대 이전 일본인의 조선 및 조선인에 대한 인식을 형성시킨 것은 ‘진구황후의삼한정벌’ 전설과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침략이었다. 근세에 이루어진 조선침략의 경험은 기존의 ‘삼한 정벌’ 전설을 보완하며 그 ‘복속’의 대상이었던 조선및 조선인에 대한 멸시관과 일본인의 우월감을 형성하였다. 근대 이후 일본인과조선인이 본격적으로 접촉하기 시작한 때에도 기존의 조선인멸시관은 계승되었고, 문명과 야만의 틀에 의해 더욱 강화되었다. 일본인의 조선 및 조선인에 대한 멸시관은 한국병합 직후부터 본격적으로 일본으로 건너가기 시작한 재일조선인들에 대한 차별인식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되었다. 재일조선인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본국의 일본인들이 각지에서 재일조선인을 직접 접할 기회가 많아졌지만 여전히 기존의 멸시관에 더해 3.1운동 이후‘위험’하다는 적대적 인식도 갖게 되었다. 특히 노동현장 등에서 감시와 단속을통해 재일조선인과 자주 접하던 경찰 및 사법 관계자들은 더욱 부정적인 인식을갖고 재일조선인을 경계하고 차별하였으며, 가급적 일본으로의 유입을 막고 치안유지에 ‘위험’한 재일조선인들을 조선으로 돌려보내고 싶어 했다. 제국주의 일본이 패전하고 민주주의 국가로 전환된 후에도 재일조선인에 대한인식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침략과 식민지배의 역사에 대한 일본사회의 반성이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재일조선인에 대한 멸시관은 여전히 존재하였고, 패전 직후의 혼란기를 이용하여 암시장을 비롯한 부정한 수단으로 일본의 부를갈취하고 생활보호를 수급하는 부담스러운 존재로까지 인식하기 시작했다. 또한1940년대 말 냉전의 진행으로 인해 특히 좌파 계열의 재일조선인을 위험시・적시하고 일본 내에서 배제하기를 원하는 배외주의 의식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움직임은 일본정부로 하여금 재일조선인의 권리를 제한하는 각종 제도적 차별 실시와 일본 국내에서 좌파 계열의 재일조선인을 사실상 추방하는 재일조선인 북송근대 이후 일본의 배외주의와 재일조선인∙이승희 93 사업으로 연결되었다. 민간사회에서도 재일조선인은 신체적인 폭력을 행사 당했으며, 일상적으로 취업, 진학, 결혼, 주거 상의 차별을 받으며 정신적인 고통을 강요받아야만 했다. 1970년대에 이르러도 일본인들은 여전히 기존의 멸시관과 적대감에 근거하여 재일조선인을 바라보고 차별을 가하고 있었으며, 결국 재일조선인들은 출신을 숨기기 위해 일본식 통명을 사용해야만 했다. 일본 정부와 민간사회는 재일조선인에게차별이 싫으면 귀화를 하라는 입장을 취하며 전전 시기와 다름없는 동화 압력을가해왔다. 멸시관과 적대감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타자의 존재를 인정하지 못하고배격하려고 하는 일본사회의 배타적인 자세는 재특회와 같이 재일조선인을 타깃으로 한 극단적인 배외주의를 대두시키는 토양이 되었다. 인터넷상의 익명게시판 공간 등은 그동안 일본인들이 면면히 갖고 있었던 재일조선인에 대한 멸시관과 적대감을 배외주의로서 밖으로 토해내고 증폭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고, 재특회는 이를 기반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재특회는 재일조선인은 나태, 불결, 교활, 위험하다는 등의 전전 시기의 재일조선인 멸시관과적대감, 그리고 패전 직후부터 형성된 재일조선인에 대한 피해망상을 이어 받아이를 현재도 공공연하게 확대・재생산하고 있는 중이다.

      • KCI등재

        응용행동분석에서의 유지와 일반화의 관계 모델

        이승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8 No.2

        In the first issue of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Baer, Wolf, and Risley (1968) presented generality as one of the 7 dimensions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According to them, a behavior change may be said to have generality if it proves durable over time (that is, maintenance), if it appears in a wide variety of possible environments (that is, stimulus generalization), or if it spreads to a wide variety of related behaviors (that is, response generalization). Since the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has been a main concern in the field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 model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in applied behavior analysis. To do this, first, generalization was classified into two types (stimulus generalization and response generalization), which were used interchangeably with ‘stimulus generalization of an acquired behavior’ and ‘response generalization of an acquired behavior’, respectively in this study. Next, maintenance was classified into three kinds (‘maintenance of an acquired behavior’, ‘maintenance of stimulus-generalized behaviors’, ‘maintenance of response-generalized behaviors’) based on the review performed in this study. Lastly, the two types of generalization and the three kinds of maintenance were set up as five aspects of generality (‘stimulus generalization of an acquired behavior’, ‘response generalization of an acquired behavior’, ‘maintenance of an acquired behavior’, ‘maintenance of stimulus-generalized behaviors’, ‘maintenance of response-generalized behaviors’) and a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was proposed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의 창간호에서 Baer, Wolf와 Risley(1968)는 응용행동분석의 7개 차원 중 하나로 일반성(generality)을 제시하면서 행동변화가 시간이 지나도 지속되거나(즉, 유지), 다양한 환경에서 나타나거나(즉, 자극일반화), 또는 다양한 관련행동으로 확산된다면(즉, 반응일반화) 그 행동변화는 일반성을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하였다. 이후 유지와 일반화는 응용행동분석 분야에서 주요 관심사가 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응용행동분석에서의 유지와 일반화의 관계에 대한 모델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이승희(2021)의 연구를 근거로 일반화를 자극일반화와 반응일반화라는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자극일반화와 ‘습득된 행동의 자극일반화’를 그리고 반응일반화와 ‘습득된 행동의 반응일반화’를 각각 상호교환적으로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의 고찰을 근거로 유지를 ‘습득된 행동의 유지’, ‘자극일반화된 행동의 유지’, ‘반응일반화된 행동의 유지’라는 세 가지 종류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일반화의 두 가지 유형과 유지의 세 가지 종류를 일반성의 5개 측면(습득된 행동의 자극일반화, 습득된 행동의 반응일반화, 습득된 행동의 유지, 자극일반화된 행동의 유지, 반응일반화된 행동의 유지)으로 설정하고 유지와 일반화의 관계 모델을 본 연구의 결론으로 제안하였다.

      •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오르간 소곡집에 나타난 코랄형식에 대한 분석

        이승희 광신대학교 2011 光神論壇 Vol.20 No.-

        서양 음악의 아버지, 화성의 아버지라 불리 우는 대음악가 요한 세바스찬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는 바로크시대를 대표하는 작곡가로서 독실한 신앙심으로 하나님의 영광을 찬양 하였다. 그가 작콕한 칸타타나 오라토리오의 마지막부문에 항상 S.D.G.라는 이니셜 문자를 적어두고 있는데 이는 ‘오직 하나님의 영광만을 위하여 (Soli Deo Gloria) ’ 라는 뜻을 지닌 라틴어 첫 머리자이다. 그리고 오르간 음악의 악보에도 I. N.J.를 적어두고 있는데 이것 또한‘예수 이름으로(In Nornine Jesus: 1n The Name of Jesus) ’의 뜻을 가진 첫 머리 글자인 것이다.

      • 공공기관의 낙하산 인사 방지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이승희 경제개혁연대 2014 경제개혁이슈 Vol.2014 No.-

        ○ 공공기관의 낙하산 인사 관행은 공공기관의 임원추천위원회와 공공기관운영위원회의 후보 검증 및 외부 감독 기능이 무력화된 데 일차적인 원인이 있음. 2007년 공공기관운영위원회가 설치된 이후 2014년 9월까지 임원선임 안건과 관련하여 인사소위의 안을 원안대로 의결하지 않은 경우는 80회 회의 중 2개 회의에서만 확인됨. ○ 경제개혁연대는 공공기관 임원선임 시 최종적으로 주주총회를 거치도록 되어 있는 경우, 해당 공공기관의 지분을 보유한 정부 및 다른 공공기관(주주기관)들이 어떻게 의결권을 행사하고 있는지 실태를 확인하기 위해 정보공개청구를 하였음. ○ 정보공개청구 결과, 조사대상 16개 주주기관 중 피출자기관 주주총회 의결권행사 지침을 보유한 기관은 단 1곳이며, 그마저도 부실함. 또한, 공공기관들이 보유하고 있는 임원자격심사기준은 후보의 전문성을 검증하는 데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됨. ○ 16개 주주기관의 피출자기관 주주총회 의결권 행사 내역을 확인한 결과, 임원선임안건에서 주주기관들은 동일하게 특정 후보에게 의결권을 행사하고 있으며, 이는 낙하산 논란이 제기된 후보들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였음. 이는 사전에 내정된 후보가 다른 들러리 후보들과 함께 추천되고 주주총회의 형식적인 심의 · 의결을 거쳐 임원(후보)으로 선임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임. ○ 공공기관의 낙하산 인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임추위와 공운위의 임원후보 선임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공공기관들의 임원자격기준을 전문성을 중심으로 개선하며, ▷피출자기관 주주총회 의결권행사 지침을 구체적으로 마련하여 이를 준수하도록 하고 ▷ 주주총회 의사록과 주주기관들의 의결권행사 내역을 공시하며 ▷공운위의 대표성을 강화하기 위해 공운위 민간위원은 국회에 추천권을 부여하는 등의 제도 개선이 필요함. ○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사항이자 기획재정부가 업무보고를 통해 공언한 바 있는 “임원자격기준 소위 설치 및 객관적인 임원자격기준 마련”은 현재까지 아무런 진행상황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는 바, 정부는 시급히 낙하산 인사 방지를 위한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구체적인 일정을 제시해야 할 것임.

      • KCI등재

        伊藤博文와 韓國駐箚憲兵隊

        이승희 일본사학회 2010 일본역사연구 Vol.32 No.-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Ito Hirobumi’s awareness about the Japanese military police in Korea through the issues about Resident-General’s military authority, Resident-General’s subordination of Japanese military police in Korea, and supplementary military police system. Ito Hirobumi demanded the power of the Japanese military police in Korea under the condition of accepting the position of Resident-General so ended to face strong opposition of the military strongly arguing ‘independence of right to exercise supreme command’. However, there was no powerful figure to replace Ito and he succeeded in borrowing authority of the best commander, Meiji emperor and obtained concessions. In fact, Ito himself had active will to take the first Resident-General but the military authority was necessarily required to prevent the Japanese’ military’s vested rights ruling Korea through Russo-Japanese War. However, such Japanese military authorities in Korea as Hasegawa Yoshimichi didn’t accept that a civil servant Resident-General acquired their military power, and they opposed continuously even after the proclamation of Residency-General. The opposition of the Japanese military police in Korea was strong as they were planning to rule Korea by focusing on the military force from Russo-Japanese War. Such a situation led to weaker Resident-General power about the Japanese military police in Korea. Due to the military authority issue of Residency-General, Ito was against the Japanese military police in Korea but intensified Korea’s police to cope with the opposition instead of relying on the Japanese military police. Firstly, he tried to expand Korean civilian police so expanded advisory police and integrated Korean civilian police as one by focusing on Japanese police. Along with the expanded power of Korean police, Ito tried to secure the authority about the Japanese military police in Korea. He aimed to establish the right of the Japanese military police that is a military and police organization, instead of the Japanese military troops in Korea that expected his authority was opposed by them. General police affairs except for the military police were all subordinated to Resident-General by imperial order of Japanese Army of 1907, and arrangement, dispatch and even service regulation were controlled by Resident-General. Ito secured the authority of the Japanese military police in Korea and at the same time expanded the organization actually. This shows that Ito made an opportunity to intensify Korean police organization from the expansion of the civilian police to the expansion of the military police. Ito’s disappointment about Korean police that failed to prevent a righteous army’s struggle played a big role in such a movement. Amidst conflicts between the police and the military troop’ authority, Ito’s awareness was centered on the military police and then expanded the number of the military police actively according to the supplementary military police system, instead of repairing the Korean police.

      • KCI등재

        在日朝鮮人社會에 대한 日帝의 監視體制-憲兵隊의 役割과 그 限界를 中心으로-

        이승희 한일민족문제학회 2011 한일민족문제연구 Vol.21 No.-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roles of military police in Imperial Japan’s system of monitoring the Society of Koreans in Japan, and to find the facts. During the period before World War II, Japan was defined as a ‘society with dual police system’ with a police force called Special Higher Police directed by the Home Ministry, and with military police directed by Japanese Army. It reflects that military police had such an important role as that of Special Higher Police as a police force of Japan. Koreans in Japan also similarly recognized the impact of military police as they were living abhorred by strict monitoring and cracking down of Special Higher Police and military police after moving from Chosun to Japan. But as we compare actual activities of Special Higher Police with those of military police, it makes us hesitate to conclude that they carried out similar roles. Police Bureau of the Home Ministry thoroughly made legal device to monitor Koreans in Japan by establishing and revising rules and regulations around the time of Annexation of Korea. And also Political Bureau set aside enough budget and workforce to Special Higher Police to collect information so that it could use the information in monitoring and cracking down on Koreans in Japan. Unlike this, even though they had a broad police right applicable to civilians, not normal to a military agency, military police had shortage of workforce, budget, information, and authority in monitoring and cracking down on Koreans in Japan. In the mainland Japan, military police monitored Koreans based on isolated and diverged responses because they could not establish a systematic monitoring system like Special Higher Police in the Home Ministry. And military police had little influence on Koreans in Japan in a civilian society not directly related to military. As a result, the gap between military police’s role in occupied countries, where they mainly led tasks of keeping public order, and in the mainland Japan, where their activities were largely limited, raises the need to have a broad understanding to review military police’s roles in the system of maintaining public order in overall Imperial Japan. 本論文の目的は、在日朝鮮人社会に対する日本の監視体制のなか、憲兵隊が担っていた役割を検討し、その実態を明らかにすることである。戦前期における日本は、特高で象徴される内務省警察と陸軍の憲兵という「二重警察社会」であると規定されてきた。それは日本の社会において警察機構としての憲兵が担っていた役割が特高に劣らないほど大きかったという認識を反映している。朝鮮から日本へ渡って日本官憲の厳しい監視下におかれていた在日朝鮮人の認識もそれと似たようなものであったと言える。しかし、内務省特高と憲兵が実行していた「治安維持」活動を実際に比較してみると、この両者を同じ基準で評価することの問題性が浮彫りになる。内務省警保局は、韓国併合を前後した時期から在日朝鮮人を監視·取締を行える各種の例規を制定、または改正しながら法的措置を整備してきた。また特高には充分な予算と人員を投じて在日朝鮮人に関する情報を蒐集し、それに基づいて監視と取締を行った。一方、憲兵は軍の警察機関でありながら民間にまで行使できる幅広い警察権を保持していたが、人員·予算·情報·職権の限界により在日朝鮮人に対しては限定的な監視·取締活動を行わざるを得なかった。その結果、単発的、枝葉末節的な対応が主になったのである。特に憲兵は、軍と直接的な関連がない一般社会の中の在日朝鮮人に対しては殆んど影響力を行使することができなかった。憲兵が主導的に治安維持を担った植民地と憲兵の制限的な活動のみ許された本国の状況の違いから、帝国日本全体における治安維持体系上、憲兵が占める役割に対し、マクロな視点から接近する必要性を提起してくれると言えよう。

      • KCI등재

        모바일 앱 활용 치아형태학 수업에서의 학습 만족도 제고 요인

        이승희,정효경,Lee, Seung-Hee,Jung, Hyo-Kyung 한국산업융합학회 2022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Vol.25 No.5

        This study was conducted on 54 freshmen of the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in D University to examine the effect of dental morphological practice mobile application utilization on the students' perception of class and satisfaction with learning. Major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satisfaction and utility towards functions of mobile application strengthened positive perception of dental morphology class, leading to improvement of satisfaction with learning, which suggested that functional convenience and utility in the use of applications were the effective factors for increasing the satisfaction with learning. Those results need to be given important consideration in designing the class using the mobile applications.

      • KCI등재

        근대기 수원지역 불화의 제작양상과 지역성

        이승희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23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6 No.-

        After its opening, Gyeonggi-do suffered intense foreign invasions and emerged as a key region for modernisation. After being forced to open up by foreign powers and undergoing various periods of internal resistance, Gyeonggi-do emerged as a key region of modernisation. The forcible opening of the country to foreign powers, the various forms of resistance within the country, and the process of forced acceptance by foreign powers shook the foundations of traditional Korean society and culture, including the Buddhist community. Throughout the process of modernisation, the traditional production of Buddhist paintings changed in many ways, including the materials used, the iconography, and the methods of production. The change from traditional Buddhist paintings to modern Buddhist paintings is most evident in the paintings of the Gyeonggi-do region, which was in the path of foreign invasions. The Suwon region has been at the centre of Korean history since the 19th century, when Suwon Hwaseong Fortress was built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and Yongjusa Temple, the rising temple of King Sado, became the centre of modern Buddhist culture. In addition to Yongjusa Temple, Gwanggyo Mountain Bongnyeongsa Temple, Gwanggyo Mountain Cheongryeonam Temple, and Suwon Temple have survived to this day, preserving the history of the modern era. The production of Buddhist paintings in modern Suwon can be divided into two periods. From the opening of the port to the 1910s, all Buddhist paintings were either directly sponsored by or associated with the royal family, and most of them were painted by masters at Heungguksa Temple in Namyangju, which was a leading source of Old Korean paintings. Therefore, Buddhist paintings in Suwon share the form and style of those in Seoul and Gyeonggi. In terms of materials, such as batakcheon, there was a marked change. Instead of using cotton, wool, and burlap, which were the traditional materials for Buddhist paintings, British calico was used. This change in ground cloth is attributed to the strong Buddhist patronage of the Joseon royal family. At the centre of the production of Buddhist paintings in the Suwon area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were Yongjusa, the Suwon Pogyo Temple built by Yongjusa, and Kang Dae-ryun, who was the governor of Yongjusa. Kang Dae-ryun presided over most of the Buddha paintings, and the painters of the Geumgangsan school, which was associated with Chukyeon and Chukyeon, painted the Buddha paintings of Yongjusa and Suwon Pogyo-do. <Yongjusa Shinjungdo> is a very original discord that deviates from the tradition of late Joseon prudence and is worthy of representing the modern era. In 1933, Yongjusa Gyebul confirmed the continuity of Yongjusa’s image and tradition as a Buddhist temple founded by King Jeongjo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개항 후 경기도는 외세의 침입을 격심하게 겪으며 근대화의 핵심 지역으로 떠올랐다. 외세에 의한 강제적인 개방, 조선 내부의 다양한 저항과 외세에 밀린 수용의 과정을 겪으며 조선의 전통적인 사회와 문화의 근간은 크게 흔들렸다. 이는 불교계도 마찬가지였다. 근대화 과정을 거치면서 전통적인 불화의 제작 양상은 불화의 재료를 비롯하여 도상, 제작방식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변화하게 된다. 전통불화에서 근대불화로의 변화는 외세침략의 길목에 있던 경기도 지역 불화들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중 수원 지역은 정조대에 수원화성이 축조되는 등 19세기부터 한국 역사의 중심 지역으로 부각되었으며, 사도세자의 능침사찰인 용주사는 근대기 불교문화의 중심지가 되었다. 수원지역에는 용주사 외에 광교산 봉녕사, 광교산 청련암, 수원사에 현재까지 사세를 잘 유지하며 근대기 불화를 잘 보존하고 있다. 근대 수원지역의 불화 제작양상은 두 시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었다. 개항기부터 1910년대까지의 불화들은 모두 왕실로부터 직접 후원을 받거나 관련성 속에 제작되었고, 구한말의 대표적인 화소였던 남양주 흥국사의 화승들이 대부분의 불화를 그렸다. 따라서 수원지역의 불화들은 서울, 경기지역 불화의 형식과 양식을 공유하고 있다. 바탕천 등 재료적인 측면에서는 두드러진 변화가 보였다. 전통적인 불화의 바탕재료인 견, 모시, 삼베를 사용하지 않고 영국산 옥양목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바탕천의 변화는 조선왕실의 강력한 불교후원에 힘입은 것이다. 일제강점기 수원지역 불화의 제작의 중심에는 용주사와 용주사가 세운 수원포교소, 그리고 용주사의 주지였던 강대련이 있다. 강대련이 대부분 화주를 맡아 불화불사를 주관하였으며, 축연과 축연과 관련이 있는 금강산화파의 화승들이 용주사와 수원포교당의 불화를 그렸다. <용주사 신중도>는 조선후기 신중도의 전통에서 벗어난 매우 독창적인 불화로 근대기를 대표할 만 한하다. 1933년 <용주사 괘불>을 통해서는 정조가 세운 능침사찰로서의 용주사위상과 전통성이 일제강점기에서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폐FRP의 층간분리를 위한 전처리방법에 관한 연구

        이승희,이정기,김영주,Lee, Seung-Hee,Lee, Jung-Ki,Kim, Yong-Ju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12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Vol.15 No.1

        As one of the methods for recycling the FRP from the waste ships, separation of roving layer from the mat has some merits in a sense of the eco-friendly and economical recycling process. Similar characteristics, however, between the roving and the mat even with different ratio of the resin and the glass and the thickness of the roving, much thinner than the mat, make the mechanically automatic differentiation difficult. In this study spectrochemical differentiation between the two layers has been made using boiling concentrated sulfuric acid, methanol and isopropanol solution saturated with KOH, or hydrogen fluoride (HF) solution. Furthermore efficiently coloring water-soluble dye following the HF treatment makes the roving layer more distinguishable photophysically. The layer differentiation and the automatic layer distraction move up the date of simple and automatic separation process for the waste FRP. 중소형 폐 선박으로부터 생성되는 FRP를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층상으로 배열된 로빙층과 매트층을 분리하는 것은 친 환경적이면서도 경제적 재활용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효율적으로 로빙층과 매트층을 분리하는 기술과 로빙층은 매트층에 비해 얇은 두께로 존재한다는 이유로 인해 로빙층을 매트층과 분리할 때 기계가 자동적으로 층간의 차이를 인식하는 방법은 아직 개발이 이루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리의 구성비가 다른 두 층의 화학적 성질의 차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층간 인식이 가능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FRP에 대해 수지를 녹이는 진한 황산, 또는 유리를 녹이는 염기성 용액(KOH의 메탄올과 아이소프로판올 용액), 유리의 $SiO_2$와 반응하는 플루오르산(HF) 용액 등을 활용하여 두 층간의 차별화가 일어났다. 더 효율적으로는 HF 용액으로 처리한 후 수용성 물감으로 착색시킴으로써 광학적인 분별이 가능하였다. 층간 분별과 자동화된 층분리로 폐 FRP의 분리 공정이 단순화, 자동화를 달성하게 되었다.

      • KCI등재

        치주염 원인균에 대한 천연 식물 추출물의 항균효과

        이승희,김민정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ntimicroboal effect against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and Prevotella intermedia which were the bacteria causing the Periodontopathic by using 34 types of natural plant extracts. Therefore, this study measures growth inhibition activity and 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MIC) of a sample extract with the use of organic solvent extracts in order to analyze the antibacterial effect of natural plant extracts on periodontopathic bacteria. Each of the 34 types of natural plant extracts were extracted by using the ethanol, and subsequently, the size of growth inhibition zone(clear zone, ㎜) of respective extracts were measured through the disk diffusion metho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growth inhibitory activity was found for A. actinomycetemcomitans, which is the bacteria causing the Periodontitis, in 13 types of natural plant extracts such as Raphanus sativus, Akebia quinata, Paeonia lactiflora, Belamcanda chinensis, Inula britannics, Houttuynia cordata, Forsythia saxatilis, Gentiana macrophylla, Melia azedarach, Scutellaria baicalensis, Coptis chinensis, Phellodendron amurense, Kalopanax Pictus, etc. In the case of P. intermedia, the growth inhibitory activity was found in 13 types of natural plant extracts such as Raphanus sativus, Angelica acutiloba, Akebia quinata, Belamcanda chinensis, Inula britannics, Houttuynia cordata, Cinnamomum cassia, Aster tataricus, Melia azedarach, Scutellaria baicalensis, Coptis chinensis, Phellodendron amurense, Kalopanax Pictus etc. For A. actinomycetemcomitans, anti-bacterial effect was exhibited in Belamcanda chinensis, Cinnamomum cassia , Kalopanax Pictus, Phellodendron amurense, Coptis chinensis. The Coptis chinensis showed the most excellent growth inhibitory activity in all organic solvent fragment, while P. intermedia showed the growth inhibitory activity in Belamcanda chinensis, Cinnamomum cassia, Meliaazedarach, Phellodendron amurense, and Coptis chinensis. 이 연구는 34종의 천연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치주염 원인균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와 Prevotella intermedia에 대한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치주염 원인균에 대한 천연 식물 추출물의 항균효과를 연구하고자 유기용매 추출물을 이용하여 생육저지활성을 측정하고, 시료 추출물의 최소생육저해농도(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MIC)를 측정한다. 1차적으로 34종의 각 천연 식물 추출물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디스크 확산법(disk diffusion method)을 이용하여 각 추출물의 생육저지환(clear zone, ㎜)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나복자, 목통, 백작약, 사간, 선복화, 어성초, 연교, 진교, 천련자, 황금, (천)황련, 황백, 해동피 등 13종에서 천연 식물 추출물이 치주염의 원인균인 A. actinomycetemcomitans에 대해서 생육저지 활성을 나타내었다. P. intermedia의 경우, 나복자, (일)당귀, 목통, 사간, 선복화, 어성초, 육계, 자완, 천련자, 황금, (천)황련, 황백, 해동피 등 13종에서 생육저지 활성을 나타내었다. A. actinomycetemcomitans에 대해서는 사간, 육계, 해동피, 황백, (천)황련에서 항균효과가 나타났다. (천)황련은 A. actinomycetemcomitans의 모든 유기용매 분획에서 가장 우수한 생육저지 활성을 나타내었다. P. intermedia는 사간, 육계, 천련자, 황백, 황련에서 생육저지 활성이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