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은혜,이정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1999 교과교육학연구 Vol.3 No.2
보완 · 대체의사소통 체계(Augmentative and Altemative Communication system)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대상자들에게 적절하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상징과 보조도구 및 전략과 테크닉에 대한 이의가 요구되고, 사용 대상자의 능력에 대한 다각적인 평가가 요구되므로 그 진단 및 실제의 구체적인 사항들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보완 · 대체의사소통의 가장 근본적인 활동인 이러한 진단과정에 대하여 진단모델의 변천에 대한 고찰을 통해 최근에 받아들여지고 있는 참여모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1) 사용 대상자의 각종 활동에의 참여 유형과 의사소통 욕구에 대한 진단, 2) 의사소통 기회를 제한하는 요인에 대한 진단, 3) 구체적인 중재에 요구되는 요인들에 대한 진단으로 분류하여 각각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들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아직 이 분야에 대한연구와 실제가 미비한 우리나라의 실정에 비추어 이러한 진단체계를 적용하는데 있어 고려해야 할 점들을 제안하였다. Individuals with severe disabilities often experience difficulties in acquisition of proper communication skills due to their physical or intellectual deficits. Current study findings suggested positive results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intervention for those with severe disabilities. According to ASHA(1991), the AAC system can be defined as an integrated group of components, including the symbols, aids, strategies, and techniques used by individuals with severe expressive communication disorders to enhance communication. There are unique issues and procedures i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ssessmen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and explain the AAC assessment process and current issues. First, we summarized the purpose and general principles of AAC assessment. These reveal the basic philosophy of AAC assessment. Second, we studied development of AAC assessment models. Third, we discussed specific component of recent AAC assessment model(Participation Model), which included 1) identification of participation pattern and communication need, 2) assessment of opportunity barriers, and 3) assessment of access barriers. Finally,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are also discussed.
청말민초 중국 탐정소설 담론 연구 – 계몽주의적 ‘승인’과 ‘배제’를 중심으로
박은혜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22 외국학연구 Vol.- No.61
This study uses various discourses produced by the Chinese intellectual community during the acceptance of Western detective stories from the late Qing Dynasty to the early Republic of China era, to analyze their perspectives on detective stories, the contemporary, ideological contexts, and the relationship of detective stories as a genre. With the popularity of translation of detective stories which began in the late 19th century, Chinese intellectuals began to recognize detective stories as a genre of fiction. Before and after the 5.4 Movement, detective stories were one of the most notable genres of fiction in the Chinese intellectual society, until they were classified and criticized by many literary artists. At this time, modern Chinese intellectuals recognized that Western detective stories could be an important medium for enhancing the spiritual awakening of the people, or the value of ‘enlightenment,’ which was the talk of the time. Based on why Chinese intellectuals were excluded and suppressed before and after the 5.4 Movement, the study examined how the discourse on detective stories was formed and contained in China, and how it was suppressed.
디지털 전환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 모빌리티 혁명 전환 의도와 차이 연구 중심으로
박은혜,이석준 한국EA학회 2025 정보기술아키텍처연구 Vol.22 No.1
디지털 전환은 혁신을 촉진하지만,필요성에 비해 성공률이 30% 미만으로 낮다. 본 연구의 목 적은 개인 수준의 디지털 전환의도에 영향에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여 모빌리티 혁명의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과의 차이분석을 통해,디지털 전환 의도와 모빌리티 혁명 전환의도 차이를 인식하 고 분석하여 이를 통해 디지털 전환 의도의 활성성을 발견하고 제시하였다. 선행연구의 비교분석 및 전문가 의견 수렴 (전문가심층면담)을 통해 개인의 혁신 성향,기술의 성숙도,오피니언 리더십,사회 적 영향,정책을 독립변수,인지된 유용성을 매개변수,종속변수로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정하였 다. 연구대상 300명 대상으로 각각 디지털 전환,모빌리티 혁명 전환 의도로 차이분석으로 수행했다. 디지털 전환 의도 및 인지된 유용성에는 성별에 의한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이는 선 행연구 비교 분석시 다른 차별된 결과이다. 디지털 전환의도와 모빌리티 혁명 전환 의도에는 소득이 높을수록, 남성은 여성보다 사회적 영향을 더 높게 인식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디지털 전환의도에는 남성이 개인의 혁신 성향을 여성보다 높게 인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Digital Transformation fuels innovation, but has less than 30% success rate compared to neces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intention at the individual level,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gital transformation intention and the mobility revolution transformation intention, and discover the activation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intention through this analysi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expert opinion gathering(In-Depth Interview), individual innovativeness, technology maturity, opinion leadership, social influence, and policy were identified as independent variables, perceived usefulness as the mediating variable, and the intention to adopt as the dependent variabl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300 participants subject of stud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intention to adopt both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mobility revolution. The results showed that, in contrast to prior research,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intention to adopt digital transformation or in perceived usefulness. Regarding both digital transformation and mobility revolution adoption intentions, higher income levels and men recognized social influence more than women. Men also perceived individual innovativeness as higher than women in terms of digital transformation intentions.
공립유치원 교사 임용 후보자 선정 경쟁시험 출제 문항 분석을 통한 유아 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검토
박은혜,김희진,엄정애,이승연,김순환,정혜욱,김지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7 교과교육학연구 Vol.21 No.4
임용시험과 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의 연계성 및 연계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는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13학년도부터 2016학년도까지 4년에 걸쳐 이루어진 임용시험 문항의 유형 및 형태, 출제 자료 등의 기초적인 분석을 토대로 동일 기간에 서울에 소재한 4년제 유아 교사 양성기관 1곳(이화여대 유아교육과)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임용시험과 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립유치원 교사 임용 후보자 선정 경쟁시험 출제 문항의 유형 및 내용은 어떠한가? 둘째, 공립유치원 교사 임용 후보자 선정 경쟁시험과 유치원 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의 연계성은 어떠한가? 임용시험의 교직 논술 영역과 전공 교육과정 영역의 문항을 문항 유형, 문항 형태, 문항 출제 근거 등으로 분석한 결과 두 영역 모두 원리나 기준을 기술하는 형태의 문항이 가장 많이 출제되었으며 종합적인 사고를 요하는 문항보다 암기한 내용을 기술하는 형태로 출제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화여대 유아교육과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유치원 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개설된 교과목은 교사자격 이수기준에 적합한 과목이 개설되고 있었으며 임용시험에서는 다양한 과목의 내용이 출제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에 포함되지 않는 내용의 문항도 출제되고 있어 이와 같은 부분은 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구성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There have been continuous discussions on connectivity and the necessity of connectivity between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and preservice education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evaluate this connectivity by analyzing the preservice education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during the same period and comparing it with the type/form of questions and question data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during the four years of 2013 to 2016.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question type and contents of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Second, how connected are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and preservice education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question type, format, and evaluation criteria of the general education essay questions and the overall questions in major curriculum area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for both areas, the most frequent type of questions were about describing educational principles or standards. Rather than assessing comprehensive thinking, the questions focused on testing memorized knowledg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preservice education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Ewha Womans University met the completion standard required for teachers and the questions appearing in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included questions of diverse subjects. However, certain questions were not included in preservice education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hich should be reflected to the composition of preservice education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OECD 국가별 공립 유치원 교원제도 분석 : 임용, 입문 및 현직교육, 근무여건 제도를 중심으로
박은혜,장민영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OECD 35개 국가의 공립유치원 교사를 중심으로 교직 입문 후 교원제도를 문헌연구로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 교원제도에 주는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OECD 국가별 교사임용제도를 살펴본 결과 교직임용과 관련하여 교사양성과정 졸업 외에 별도의 요건을 필요로 하지 않는 국가가 많았으며, 교직임용 시 정규직에 임용되는 별도의 요건을 요구하지 않는 국가가 그렇지 않은 국가에 비해 많았다. 둘째, OECD 국가별 입문 및 현직교육제도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국가에서 입문교육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약 9개월 이상의 장기간의 교육기간을 적용하고 있었다. 셋째, OECD 국가별 근무여건 제도를 살펴본 결과, 교사의 임금은 자국의 실정에 따라 OECD 국가별 평균 임금 이하 및 이상인 국가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근무시간 및 수업시간의 경우, OECD 대부분의 국가가 1일 약 8시간의 근무시간과 5시간 이상의 수업시간을 평균적으로 요구하고 있었다. 교원제도를 종합하여 살펴본 결과, 우리나라는 교직임용요건으로 국가고시 형태의 경쟁시험을 요구함으로써 교원의 질 확보를 꾀하는 바람직한 경향을 띄고 있으며, 입문교육과 현직교육 역시 필수로 규정하고 있어 교사의 전문성 확보에 힘쓰고 있다. 그러나 입문교육 기간의 강화 및 실질적인 현직교육 대상 범위 확대 등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근무여건 제도 관련하여 교사의 임금수준 및 근무시간은 OECD 평균과 유사한, 적절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수업시간은 OECD 평균 수업시간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추후 개선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kindergarten teacher system related to appointment, induction program, in-service teacher training and working condition mainly on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in 35 countries by using OECD(2012) indicator on teacher.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appoinment system a number of countries did not request additional requirements to start teaching or to become fully qualified. Second, many countries have formal induction program with at least 9 month period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course as mendatory course for teachers. Third, regarding policy related to working conditions, the salary range in OECD countries appears in wide range. Also most countries requested 8 hours of working time and 5 hours of teaching time per day for teachers. The promising perspective of kindergarten teacher training system in Korea was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일과 삶의 균형의 매개효과
박은혜,강현아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20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기관의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이 경로에서 일과 삶의 균형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그 효과에서 개인적 특성인 성별과 조직의 특성인 공공/민간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716명이다.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 모델분석과 다집단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일과 삶의 균형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다집단분석 결과, 성별 집단 간, 공공/민간 집단 간 조직문화의 영향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조직이 가족친화적인 문화를 조성함으로써 사회복지사의 일과 삶의 균형을 높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조직문화의 영향은 성별이나 공공/민간과 상관없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박은혜,전홍주 한국유아교육학회 2007 유아교육연구 Vol.27 No.1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s current reorganization of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education, this paper discusses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gether with the qualifications and education of teachers who, after all, are the most important human resources in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 discussed in terms of educational objectives, curriculum, and teaching- learning methods. The authors argue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receive professional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play-oriented and activity-centered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order to be able to provide the best quali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is assertion implies that enhancing teacher's professionalism is the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eventually, to strengthen national competitiveness. It also implies that a discussion of teacher education should be integral to the process of reforming the educational system. 본 연구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유아교육과 관련된 학제개편 논의의 맥락에서 유아 교육의 질적인 측면과, 교육의 가장 중요한 인적 자원을 구성하는 교사의 자격과 양성에 대해 논함으로써 유아교육 학제개편에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유아기는 투자비용 대비 교육의 효과가 가장 큰 시점이며, 이는 유아기에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장기적인 안목으로 보았을 때 국가적 차원에서의 인력 개발의 핵심임을 의미한다. 유아교육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로 교사의 질과 교사 대 유아의 비율,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의 사용에 대해 논하였으며 결국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교사가 유아교육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요소임을 지적하였다. 또한 유아교사의 전문성을 논하기 위해 유치원교육의 독특성을 교육목표,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방법의 측면에서 살펴보았고, 이에 따라 요구되는 유아 교사의 역할과 직무에 대하 논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들에게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 유아교사는 놀이중심, 활동중심인 유아교육의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사람이어야 함을 지적하고 있다. 이는 교사의 학력 기준과 자격증의 강화를 통해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는 것이 유아 교육의 질적 향상과, 궁극적으로는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이라는 것을 시사하며 전문성을 가진 교원의 양성에 대한 논의가 학제개편 논의와 더불어 진행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전문상담교사의 직무 역량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수퍼비전 기대 차이
박은혜,김서현,이은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4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latent profile of school counselors according to job competencies(counseling, administration, and education) and examinee the differences in supervision expectation and supervisor role expactation among the classified groups. Methods To achieve this, data were collected from 425 school counselors, and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A total of three latent profiles were identified, and each was named ‘high group,’ ‘middle group,’ and ‘low group’ based on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Moreover, the difference in supervision expectations and supervisor's counselor role expectation was not significant. However, in the case of supervisor's advisor and evaluator role, the expectation level of the ‘high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middle group’ and ‘low group’.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strategies for providing appropriate supervision to school counselors based on their developmental levels we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무스잉(穆時英)의 스파이 소설「G No.Ⅷ」연구 一 장르적 수용과 변주를 중심으로
박은혜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23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68
This study analyzed what unique literary world Mu Shi-ying's creative tendency combined with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spy novels, using Mu Shi-ying's spy novel G No.Ⅷ, which was famous as a representative writer of the New Sensory in Shanghai in the 1930s. What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of spy novels were accepted by Mu Shi-ying and what variations it caused in the literary world of Mu Shi-ying were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First, Mu Shi-ying accepted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spy novels of mutual deception and dual identity and cast the shape of “Invisible Man in the Crowd”, hiding himself in a special urban space called Shanghai. The second is a review of the genre variations that Mu Shi-ying attempted. Unlike contemporary spy novels, which inspired patriotism and nationalist ideology through the act of setting clear main enemies and breaking them down, it embodied a narrative in which the interests and counterpoints of the characters were intricately intertwined. In addition, the main characters in the Mu Shi-ying novel reveal the "difficulties" faced by those who were forced to stay in gray areas to survive amid power competition between imperialist countries and ideological conflicts among political forces within China. 본 연구는 1930년대 상하이에서 신감각파를 대표하는 작가로 이름을 떨친 무스잉(穆時英)의 스파이 소설 「G No.Ⅷ」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무스잉의 창작 경향이 스파이 소설의 장르적 특징과 결합하여 어떤 독특한 문학 세계를 완성하는지 분석했다. 무스잉이 스파이 소설이라는 장르의 어떤 특성을 수용했으며, 그것이 무스잉의 문학 세계 안에서 어떠한 변주를 일으켰는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고찰했다. 첫 번째로 무스잉은 상호기만과 이중 정체성이라는 스파이 소설의 장르적 특성을 수용하여 무스잉의 문학 세계에서 중요한 형상인 '군중 속의 어릿광대'를 재현했다. 두 번째는 무스잉이 시도한 장르적 변주에 대한 고찰이다. 명확한 주적을 설정하고 그것을 타파하는 행위를 통하여 애국심과 국가주의적 이데올로기를 고취시켰던 동시대의 스파이 소설과는 달리, 등장인물들의 이해관계와 대척점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서사를 구현했다. 또한 무스잉 소설 속 주인공들은 제국주의 국가 간의 세력 경쟁과 중국 내부 정치 세력의 이념 갈등 속에서 명확한 적을 찾지 못한 채 모호한 피아(彼我)의 구분으로 곤경에 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