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연부조직 육종의 수술후 방사선치료

        박원종,장주해,강용구,송석환,문명상,김정만,우영균,이승구,김형민,김연실,장지영,윤세철,Bahk, Won-Jong,Chang, Ju-Hai,Kang, Yong-Koo,Song, Seok-Whan,Moon, Myung-Sang,Kim, Jung-Man,Woo, Young-Kyun,Lee, Seung-Koo,Kim, Hyoung-Min,Kim, Yun-Sil,C 대한근골격종양학회 1995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 No.1

        To evaluate the role of radiation and chemotherapy after limb-saving operation in the management of soft tissue sarcoma, the authors analysed retrospectively 33 patients treated in department of Orthoaepdic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in terms of survival rate, local recurrence rate and prognostic factors. There were 16 males and 17 females. The age distribution ranged from 16 to 81 years with mean age of 48. The follow-up period ranged from 2 to 10 years with average of 5.5 years. The histologic diagnoses were 9 liposarcoma(27.2%), 8 malignant fibrohistiocytoma(24.2%), 7 unclassifiable(21.2%), 3 rhabdomyosarcoma(9.1%), 2 malignant schwannoma, 2 synovral sarcoma, and 2 fibrosarcoma(6.1%) in orders. While marginal and intralesional margins were gained in 24 patients(72.7%), wide and radical margins were obtained only in 9 patients(27.3%). On postoperative 3 weeks, local irradiation of 5000-7000 cGy was delivered to all patients by shrinking field technique for 5-8 weeks. Of 33 patients, 16(45.5%) patients were received adjuvant chemotherapy in combination of adriamycin, cyclophosphamide & vicristine, or VP16 & ifosfamide based on histologic type and obtained surgical margin. The survival rates by direct method at 2 years and 5 years were 58% and 37% respectively. Local recurrences occured in 15 patients(45.5%) at average 16 months after operation. Survival rates at 2 years and 5 years were 37% and 22% in case of intralesional and manginal excision, 75% and 47% in case of wide and radical excision respectively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They were 25% and 17% in the presence of local recurrence, 67% and 42% in the absence of local recurrence respectively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Even 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survival rate and tumor size(p>0.05), the authors considered tumor size as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as well as surgical margin and the presence of local recurrence.

      • KCI등재

        상완골 경부 전위골절의 핀고정 치험례 : 경피 핀고정 3례, 제한된 절개의 관혈적 정복 및 핀고정 4례 보고 3 Cases of percutaneous pinning, 4 cases of open reduction through a limited incision and pin fixation

        박원종,손종민,공준택,장주해 대한골절학회 1992 대한골절학회지 Vol.5 No.1

        Most fractures of the proximal humerus respond satisfactorily to conservative treatment, however operative treatment is indcated in certain types of displaced surgical neck fracture. Three displaced fractures of humerus surgical neck (Neer Group lIl) were treated with closed reduction and percutaneous pinning, and 4 cases were treated with open reduction and pinning from October 1987 to October 1990 at the Our Lady of Mercy Bospital, Catholir. University Medical Colle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ix out of 7 patients were male, and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30 years (from 8 to 58 years). Causes of fracture were falling down (4 cases) and motor vehicle accident (3 cases). 2. After closed (3 patients) or open reduction through a limited incision (4 patients), multiple K-wires or Steinmann pins (average 3 in number) were msertecl to enable early mobilization by providing stability at tracture site. 3. Open reduction was performed for the cases in which closed reduction was failed because of interposition of the periosteal sleeve or the long head of Biceps brachii muscle. 4. Range of motion exercise was started from 3 to 4 weeks after the operation. The shoulder motion was regained full in all patients except one who had a slight limitation of abduction. There was one case of K-wire loosening with pin tract infection. 5. Excellent result was obtained in 5 cases and satisfactory in 2 cases by Neer's numerical

      • 지체 장애인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개발

        박원종,정유림,최지혜,공화연 한국감성과학회 2020 춘계학술대회 Vol.2020 No.-

        2019년 장애인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인구 중 장애 인구의 비율은 약 5% 정도이며 그중 48% 정도가 지체장애인이다. 이들 중 일상생활 수행 시 타인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은 34%, 교통수단 이용 시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은 37% 정도이다. 이러한 지체장애인들의 일상생활 중 불편함의 해소를 돕기 위해서 ‘지체장애인을 위한 비서’의 역할을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고안하였다. 도움을 받고자 하는 이용자와 도움을 주고자 하는 이용자들은 지역을 중심으로 인증되고 등록되도록 하였다. 최근 지역중심 서비스가 이용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는 생활의 거리감에 주는 친근함과 디지털 플랫폼에서 보장할 수 있는 이용자에 대한 투명성으로 이용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업 하나로 최대한 많은 도움을 주고자 하였으며, 간편한 내를 이용함으로써 조작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함을 없애는 것을 목표로 했다. 주요 기능 첫 번째로는 직접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헬퍼’ 기능이다. 이 기능은 도와주는 사람, 도움받는 사람으로 나뉘어 서로가 매칭되고, 도움을 받는 기능이다. 두 번째로는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장애인 시설 MAP 기능이다. 주변의 장애인 시설들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실제 사용자들의 평가도 볼 수 있다. 이 평가시스템으로 장애인 시설의 개선 효과를 바랄 수 있다. 세 번째로는 문화 알리미이다. 시설들이 등록한 문화 콘텐츠들을 주변 사용자들에게 알림을 보내서, 문학 콘텐츠의 활성화 효과를 보고자 한다. 초기 타것이 지체장애인으로 다양한 상태의 지체장애인은 자신의 상태(움직임 수준, 훨체어 사용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주어, 도와줄 상대방이 미리 확인하고 매칭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장애인의 애플리케이션은 구동과 동시에 (자동인증, 지문인증 등으로 메인 메뉴로의 빠른 진입), 메뉴선택은 커버플로우의 플리킹 혹은 제스춰로 이동하여, 이용시 선택 오류로 곤란을 겪지 않도록 하였다. 대부분의 사용자가 늘 소지하고 다니는 스마트폰을 통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를 지체장애인에게만 국한하는 것이 아닌 노인 등과 같이 신체에 불편함을 가진 사람들로 확대할 수 있다.

      • 낭종성 섬유성 이형성증

        박원종,이승구,강용구,이안희,정미,정양국,최광천,Bahk, Won-Jong,Rhee, Seung-Koo,Kang, Yong-Koo,Lee, An-Hi,Park, Jeong-Mi,Chung, Yang-Guk,Choi, Kwang-Cheo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7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3 No.1

        목적: 장골에서는 드물게 보고되어 있는 낭종성 섬유성 이형성증(cystic fibrous dysplasia)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병리학적 소견과 더불어 단순 소파술과 골이식술의 결과를 기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3년 3월까지 가톨릭 의과대학 3개 부속병원에서 섬유성 이형성증으로 치료받은 98명의 환자 중 커다란 낭종성 변화를 동반한 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례에서 단순 골소파술, 동종골 이식술 및 내고정술을 시행하였다. 6명은 남자였고, 5명은 여자였으며, 환자의 나이는 20세에서 46세로, 평균 36.7세였다. 결과: 6명은 수개월 이상 통증을 호소했으며, 4명은 사소한 외상 후에 발생한 통증을 호소하였다. 1명에서는 병적 골절이 발생했다. 10명의 환자는 단골성(monostotic) 이었고, 1명의 환자는 다골성(polyostotic) 이었다. 병변의 발생부위는 7예에서 대퇴골, 3예에서 상완골 그리고 1예에서는 요골이었다. 단순방사선 사진 상 간유리 음영과 더불어 보여지는 현저한 용해성 병변을 보였고, 자기공명영상에서는 섬유성 이형성증을 시사하는 신호강도와 낭종을 의미하는 신호강도가 동시에 보였다. 조직학적으로는 전형적인 섬유성 이형성증 소견과 더불어 비 특이적인 낭종성 변성 변화를 보였다. 최종 추시 관찰시 국소재발 없이 모두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결론: 장골의 낭종성 섬유성 이형성증은 지금까지 보고된 것처럼 드물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자기공명영상으로 양성 낭종성 변화와 악성 변화를 쉽게 구분할 수 있으나, 비 특이적 낭종성 변성변화와 동맥류성 골낭종을 구분하기 위해 조직검사가 필요하다. 낭종성 섬유성 이형성증은 수술적 치료의 대상이며, 단순 골소파술 및 동종골 이식술은 효과적인 치료로 사료된다. Purpose: We describe clinical, radiographic, MRI and pathologic findings as well as final outcome after simple curettage and bone graft of cystic fibrous dysplasia (FD) in the long bone, which has been rarely documented in the literature. Materials and Methods: Clinical records, radiographs, MRI and histologic slides of 11 patients with cystic FD in the long bone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Results: Six patients complained pain for several months, 4 patients presented pain after trivial injury event, and 1 patient suffered pathologic fracture. The mode of involvement was monostotic in 10 patients and polyostotic in l patient. The femur was affected in 7 patients, the humerus in 3, and the radius in 1. Radiography showed prominent, expansive lysis associated with ground-glass density of FD. MRI revealed 2 different signals of FD and cyst. Microscopic examination revealed classic findings of FD and non-specific cystic degeneration. The final outcome was satisfactory in every patient. Local recurrence was not observed. Conclusion: Cystic FD in the long bone seems not as rare as the scarcity of reported cases would indicate. MRI features provide a basis for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benign cystic change and malignant transformation. Cystic FD would be an indication for surgery and simple curettage with allo-chip-bone graft is effective.

      • 방사능방재 기상자료수집시스템의 운영

        박원종 한국원자력산업회의 1995 원자력산업 Vol.15 No.5

        방사능방재 기상자료수집시스템(REMDAS)은 방사선비상시 방사능방재대책기관이 방사성물질의 대기중 확산정도를 실시간으로 평가하여, 주민을 보호하기 위한 방지대책을 수립하는데 필요로 하는 기상정보를 제공해 주는 유익한 대응수단이다. 이 시스템이 운영됨에 따라 원자력시설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사능방재대책이 전산화되는 일대 전기를 맞이하였다.

      • 상완골 간부 악성 병적골절의 비관혈적 고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

        박원종,이승구,강용구,Bahk, Won-Jong,Rhee, Seung-Koo,Kang, Yong-K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9 No.1

        Purpose: To analysis of the result of the treatment of metastatic diaphyseal fracture of the humerus with closed interlocking intrameduallry nailing. Materials and Methods: Among surgically treated 29 patients with pathologic or impending fracture of diaphysis of the humeurs, 13 patients (16 cases) treated with closed intramedullary interlocking nail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 final result of pain relief and functional recovery was evaluated by modified rating system of Perez et al. Results: Primary cancer was diagnosed after fracture was developed in 2 patients and pathologic or impending fracture was occurred average period of 28.9 months after primary cancer was diagnosed. The main primary malignancies were multiple myeloma, lung cancer and breast cancer. Mean survival after humeral metastasis was 11.7 months. The final result was superior to fair in 13 of 16 cases, and poor in 3 cases with progression of tumor spread or distant dissemination to the ipsilateral fingers. Except the latter 3 patients and other 3 patients, who died before 3 months postoperatively, bony union was achieved in 10 cases. There were no complications related to surgery. Conclusion: Closed interlocking intrameduallry nailing is accomplished with brief operative time, small amount of bleeding and provides immediate stability with resultant early return of function to the arm. Additionally it allows early postoperative irradiation. However, some of our cases shows that intramedullary nailing can accelerate tumor spread and metastases elsewhere, so that serious consideration must be given in planning this treatment. In conclusion, the functional status before fracture, life expectancy, type of tumor and extent of involvement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to decide operative treatment of metastatic disease. 목적: 전이암 혹은 악성 혈액질환에 의한 상완골의 병적골절의 비관혈적 고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삽입술에 대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이암 혹은 다발성 골수종에 의한 상완골 병적골절 혹은 임박골절로 치료받은 29명중 비관혈적 정복 및 고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로 치료 받은 13명 16례를 대상으로 병적기록과 방사선 사진을 분석하였다. 통증 완화와 기능 회복의 평가는 Perez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우수, 양호, 보통, 불량으로 하였다. 결과: 원발암은 다발성 골수종 4명, 폐암 3명, 유방암 2명, 그 외에 선암(adenocarcinoma), 신장암, 위암 및 대장암이 각각 1명이었다. 2명에서는 상완골의 병적골절 후 원발암이 진단되었고, 11명에서는 원발암 진단 후 최소 1개월, 최장 10년, 평균 28.9개월에 상완골 병적골절이 발견되었다. 상완골로의 전이가 발견된 후 최단10주(신장암), 최장 4년 7개월(다발성 골수종), 평균 11.7개월간 생존하였다. 상완골 전이 16례중 13례에서 보통이상의 통증 완화와 기능회복을 보였으나, 수술 후 골 파괴가 진행되었거나 동측 수부로 전이한 3례에서는 불량한 결과를 보였다. 이들 3례와 수술 후 3개월 이전에 사망한 3례를 제외한 10례에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으며, 수술 후 감염, 신경마비 등 수술과 관계되는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전이암 혹은 악성 혈액질환에 의한 상완골 병적골절은 골절전의 기능상태, 원발암의 종류, 예상되는 생존기간, 환자의 전신상태, 전이암의 국소 및 전신 침범정도에 따라 수술방법을 달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