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영화 투자 · 배급사의 사회연결망 중심성과 흥행성과에 대한 연구

        노혜령(Hye R. Roh),황용석(Yongsuk Hwang) 한국언론학회 2018 한국언론학보 Vol.62 No.5

        Relationality in the business ecology is central to understanding how cultural industry operates. However, it has not yet received systematic investigation at the firm level. Building on social network theory and technique, we study the dynamic role of network position in shaping firms’ capabilities to generate performance in two different market environments of cultural industry. We test our hypotheses within the Korean film industry over the period 2007-2017. The findings point to the existence of diminishing returns to network centrality. More specifically, we find that in the pre-matured Korean film market from 2007 to 2011, high centrality served as a strong positive determinants in generating box office performance by providing the focal actor with more access to potentially lucrative project opportunities and boosted mobilizing capabilities. In contrast, in the matured market form 2012 to 2017 when the audience growth reached plateau, diminishing returns on centrality occurred with the focal actor over-embedded in redundant network of repeated information and lacked diversity. This is one of the first studies to take network perspective on Korean film business ecology, analysing with panel data of film studios. The academic and practical contribution as well as implication of the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생물전환으로 생리활성물질인 trifolin의 생합성

        노혜령 ( Hye-ryeong Noh ),강주영 ( Ju-yeong Kang ),김봉규 ( Bong-gyu Kim )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21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4 No.3

        Trifolin (kaempferol 3-O-galactoside)는 플라보놀 그룹에 속하는 물질로 아토피, 항균, 폐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rifolin은 다양한 식물에서 추출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추출 과정이 복잡하고, 수율이 낮으며, 추출을 위한 바이오매스를 얻는데 계절적 어려움이 있다. 생물전환은 저렴한 화합물에서 고부가가치 화학물질을 생산할 수 있는 대체 수단으로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naringenin으로부터 trifolin을 생합성하기 위해 3개의 유전자(PeFLS 및 OsUGE-PhUGT)를 각각의 대장균에 도입한 BL-FLS균주와 BL-UGTE균주를 이용하여 공조배양시스템을 개발하였다. Naringenin으로부터 trifolin을 생합성하기 위해 세포의 밀도, 생물전환 온도, 재조합 단백질 유도의 적정 IPTG농도 및 시간, 기질 공급 농도 등의 최적화를 실시하였다. 최적화된 공동 배양 발효 시스템을 통해 67.3 mg/L의 trifolin을 성공적으로 생합성 하였다. Kaempferol 3-O-galactoside (Trifolin), a member of the flavonol group,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cancer effects against promyelocytic leukemia, histocytic lymphoma, skin melanoma and lung cancer. Trifolin has been extracted and used from several plants, but the extraction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final yield is low. Biotransformation is an alternative tool to produce high value-added chemicals from inexpensive compounds. To synthesis trifolin from naringenin, three genes (PeFLS and OsUGE-PhUGT) were introduced into Escherichia coli, respectively. In order to synthesis trifolin from naringenin, a coculture fermentation system was established by optimizing the cell concentration, biotransformation temperature and medium, isopropyl-β-D-thiogalactoside (IPTG) concentration, substrate supply concentration, and recombinant protein induction time. The established optimal conditions for trifolin production were a 3:1 ratio of BL-UGTE to BL-FLS, induction of recombinant protein at 25 ℃ for 4 h after addition of 2.0 mM IPTG, biotransformation at 30 ℃, and supply of 300 μM naringenin. Through the optimized co-culture fermentation system, trifolin was biosynthesized up to 67.3 mg/L.

      • KCI등재

        유아의 지적 호기심에 대한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지적 호기심, 유아-어머니 탐구적 상호작용의 영향

        혜령(Hyeryung An),보람(Boram No),최나야(Naya Choi) 인지발달중재학회 2019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0 No.4

        본 연구는 유아의 호기심 중 새로운 것에 대한 흥미 추구와 불확실한 것에 대해 정확히 알고자 하는 갈망과 관련한 지적 호기심의 개념 및 발달에 관심을 두었다. 이에 따라 유아의 지적 호기심을 흥미추구형과 정보갈망형 두 유형으로 구분하고, 이에 대한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특성으로서 지적 호기심, 유아-어머니의 탐구적 상호작용이 유아의 지적 호기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 어린이집에서 4세와 5세 유아의 어머니 16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t검정,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어머니는 유아의 지적 호기심 중 흥미추구 지적 호기심을 정보갈망 지적 호기심에 비해 약간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였으며, 두 가지 지적 호기심 수준은 각각 연령과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유아의 흥미추구 지적 호기심에는 유아의 적응성 기질, 어머니의 흥미추구 지적 호기심, 유아-어머니의 탐구적 상호작용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유아의 정보갈망 지적 호기심에는 유아-어머니의 탐구적 상호작용만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유아의 지적 호기심 발달에 관한 논의가 지적 호기심의 세부 유형에 따라 축적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며, 가정 및 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지적 호기심 발달을 효과적으로 장려하기 위해 유아 개인 특성, 인적 환경 및 경험과의 관련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함의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wo distinct aspects and individual difference factors of children’s Epistemic Curiosity (EC), the desire to obtain knowledge capable of either having pleasant experiences with regard to interest in novelty (I-type) or of solving uncomfortable conditions of informational deprivation (D-type). The data from 160 mothers of children aged between four and five yea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were analyzed using t-tes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reported the children’s I-type EC was slightly higher than their D-type EC, and the level of I- and D- type EC of children did not differ much for age or gender. Second, I-type EC of children was affected positively by their adaptability temperament, mother’s I-type EC, and child-mother exploratory interaction, whereas only the child-mother exploratory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D-type EC.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s of children’s EC should hereafter consider the detailed types of EC, and include experiential factors such as exploratory interaction as well as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mothers.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교육의 뉴노멀로서 온라인교육 시행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

        일경(Ilkyung Noh),혜령(Hyeryung Jung),우영희(Younghee 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목적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 운영의 뉴노멀로서 온라인교육이 대학 내 안착될 가능성에 대한 진단과 온라인교육 활성화에 대한 접근 전략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온라인교육 시행의 지속가능성 확보의 요소를 파악할 수 있는 분석틀을 구성하여 대학관계자 14명과 관련 분야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서면으로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다수의 대학관계자와 전문가들은 온라인교육이 향후 대학교육의 혁신을 촉진할 주요 기제로 작동하여 대학교육의 뉴노멀이 될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온라인교육의 진단과 요구에 관한 결과로 첫째, 교육 콘텐츠 및 관련 시설, 장비의 확충 등은 온라인교육 활성화에 결정적 요소가 아니며, 오히려 대학의 디지털 전환에 기여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의 시스템 고도화 등이 더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둘째, 온라인교육 활성화를 위해 학내 제도 마련 및 교강사 역량 제고 등이 가장 긴급하고 영향력 높은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현재로서는 가장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학생들의 온라인교육에 대한 수용감과 참여역량은 높았지만, 교강사 및 대학의 수행 역량은 낮아서 학생들의 기대 및 만족 정도에 부합하는 온라인교육을 하기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뉴노멀로서 대학 내 온라인교육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서는, 정부 정책 및 제도 시행을 통해 대학 내 온라인교육 시행 안착의 마중물을 마련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학이 자율적으로 온라인교육 활성화의 정책을 수립하고 이행해야 할 것이다. 또한 온라인교육의 인프라 조성, 관계자 역량 향상 등에 필요한 투자 재원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 온라인교육 시행의 효과를 지속하여 검증하고, 그 효과성을 대학 내에 공유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diagnosis of the possibility of online education being settled in universities as a new normal in the post-corona era university operation and awareness of access strategies for promoting online education. Methods To this end, an perception survey was conducted on 14 university officials and 10 experts in related field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ased 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any university officials and experts recognized that online education could function as a new norm for university education by acting as a major mechanism to promote future innov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diagnosis and demand of online education, first,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facilities and equipment is not decisive in revitalizing online education, but rather, data-based system advancement that can contribute to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universities is more meaningful. Second, despite establishing an in-university’s policies and enhancing teachers capabilities are the most urgent and influential factors to revitalize online education, they are found to be the most insufficient at the moment. Finally, students acceptance and participation in online education are high, while teachers and universities performance are low, making it difficult to provide online education that meets students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Conclusions In order to secure the sustainability of online education as a new normal, the government should prepare a priming for the implementation of online education in universities through government policies and systems, and universities should voluntarily establish and implement policies. And, in order to secure stable investment resources required to create infrastructure for online education and improve the capabilities of officials, the effectiveness of online education should be continuously verified and shared within universities.

      • KCI등재

        고학력 성인학습자가 기대하는 대학교육의 학습성과 탐색

        혜령(Hyeryung Jung),일경(Ilkyung Noh),김명진(Myungjin Kim),우영희(Younghee Woo) 한국평생교육학회 2024 평생교육학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고등교육 보편화로 학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성인학습자들이 증가하는 현상에 주목하여 이들이 다시 대학교육에 참여하면서 기대하는 대학에서의 학습성과가 무엇인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16개 학습성과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 대학의 수행도에 대한 인식을 4년제 원격대학에 재학 중인 대졸 성인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841명의 응답 결과를 IPA 분석,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차적 사고력, 정보기술활용 능력, 글쓰기 능력, 시민의식 함양에 대해서는 기대가 높은 반면 현재 대학의 수행을 높지 않게 평가함으로써 대학의 집중적인 개선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위나 자격증 취득, 높은 학점 취득, 교양지식 습득에 대해서는 고학력 학습자들의 기대에 비해 대학이 과잉 집중하고 있는 항목으로 나타나 대학의 교육전략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growing trend of adult learners with bachelor's degrees or higher returning to university education, prompted by the widespread accessibility to higher education. Additionally, it sought to explore the learning outcomes they expect from their re-engagement with university education. To achieve this goal, 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16 learning outcomes and the current performance of universities were investigated among adult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at a 4-year distance education university. The responses of 841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Borich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analysis revealed that while there were high expectations for higher-order thinking skills, information technology proficiency, writing skills, and fostering civic awareness, there was a need for intensive improvement efforts by universities as they were not rated highly in current performance. Conversely, degree or certification attainment, achieving high grades, and acquiring general knowledge were identified as areas where universities are overly focused compared to the expectations of highly educated learners, indicating a need for improvement in university education strategies. Based on these finding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are presented.

      • 성인대학생의 핵심역량 수준 진단 및 대학 교육에서의 시사점 탐색

        일경,황지원,혜령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14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학술대회지 Vol.- No.1

        핵심역량은 평생학습시대의 토대가 되는 능력으로서 공통적이고 기본적인 삶의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핵심역량이 강조됨에 따라 그간 간과되어 왔던 성인대학생의 핵심역량 수준을 진단하고, 관련변인을 탐색하여 그 의미와 대학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시스템(K-CESA)’을 활용하여 성인대학 생들로 구성된 방송대 프라임칼리지 학생들의 핵심역량을 진단하였다. 진단에 응한 총 63명의 학생들을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역량은 전통적인 대학생보다 낮은 반면, 종합적 사고력은 이들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사소통능력과 관련있는 변인은 연령을 제외하고 없는 반 면, 종합적 사고력과 관련있는 변인은 성, 학년, 직업분야, 연령 등으로 다양했다. 성인 대학생 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 연령과 생애 경험 요소가 핵심역량 형성에 주요한 영향 요인으로 드러난 결과는 청년층의 단일 연령 중심으로 시행된 기존의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핵심역 량 연구의 외연이 확장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가 성인대학생을 포함한 대학생의 핵심역량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청년 여성 취업자의 직무불일치 지속 여부와 임금변화 및 직장이동과의 관계

        임언,일경,혜령 한국직업교육학회 2010 職業 敎育 硏究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age and job mismatch of women who graduated in high schools or two-year colleg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job mismatch and workplace change was also investigated.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KEEP) 2007 and 2008. Regarding wa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te of increase in wage was highest for the group who had transferred from over-education mismatch to match and lowest for the group who had maintained under-education mismatch. Regarding resolving job mismatch, the results showed that job mismatch was resolved by changing their workplace for the three groups with over-skill mismatch, under-education mismatch and over-education mismatch. However, the group with under-skill mismatch resolved job mismatch with other ways. 본 논문에서는 고졸 및 전문대졸 청년 여성 취업자의 직무불일치 지속 및 전환이 임금변화 및 직장 이동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를 검토하였다.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의 2007년(4차년도)과 2008년(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직무불일치가 지속되고 전환되는 양상이 어떠하며, 직무불일치전환 유형에 따라서 임금 변화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교육_직무불일치와 능력_직무불일치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직무에서 요구하는 교육 수준보다 자신의 교육 수준이 높은 ‘교육 과잉’ 상태에서 ‘일치’ 상태로 전환한 경우 소득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반면, ‘교육 부족’ 상태가 지속된 경우 소득 증가 폭이 가장 적었다. 또한 불일치 전환과 일자리 이동의 관련성을 검토한 결과, ‘능력 부족’ 불일치의 경우, 직장 이동이 아닌 방식으로 직무불일치를 해소하는 반면, ‘능력 과잉’, ‘교육 부족’ 또는 ‘교육 과잉’인 경우 직장 이동이 직무불일치 해소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성인 대학생의 핵심역량 수준 진단 및 대학교육에서의 시사점 탐색: 재직자를 중심으로

        황지원,일경,혜령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16 핵심역량교육연구 Vol.1 No.1

        핵심역량은 평생학습시대의 토대가 되는 능력으로서 공통적이고 기본적인 삶의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핵심역량이 강조됨에 따라 그간 간과되어 왔던 성인 대학생의 핵심역량 수준을 진단하고, 관련변인 을 탐색하여 그 의미와 대학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시스템(K-CESA)’을 활용하여 성인 대학생들로 구성된 방송대 프라임칼리지 학생들의 핵심역량을 진단하였다. 진단 에 응한 총 63명의 학생들을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역량은 전통적인 대학생보다 낮은 반면, 종합적 사고력은 이들보 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역량의 세부 하위영역별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 또한 다양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의사소통 능력과 관련 있는 변인은 연령, 학년 등이었고, 종합적 사고력과 관련 있는 변인은 성, 연령, 직업분야 등으로 나타났다. 성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 연령과 직종 등 생애 경험 요소가 핵심역량 형성에 주요한 영향 요인으로 드러난 결과는 청년층의 단일 연령 중심으로 시행된 기존의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핵심역량 연구의 외연이 확장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가 성인 대학생을 포함한 대학생의 핵심역 량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Low-temperature CO oxidation of Pt/Al0.1Ce0.9Ox catalysts: Effects of supports prepared with different precipitants

        박정현,노혜령,장태선,신채호 한국화학공학회 2018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Vol.35 No.3

        We prepared 0.1Al-0.9Ce supports using various precipitants such as NH4OH, KOH, NaOH, K2CO3, and Na2CO3 to prepare Pt-based CO oxidation catalysts. Of the studied catalysts, the Pt/0.1Al-0.9Ce_NH4OH catalyst showed the optimum activity for CO oxidation. Catalysts prepared with carbonate-form precipitants revealed relatively lower activity than carbonate-free precipitants. A temperature at 50% CO conversion of all samples was observed in the low-temperature region in the presence of water vapor because of the promotional effect of the water-gas shift reaction. Several characterization results revealed that catalytic activity was related to oxygen capacity and Pt dispersion was attributable to precipitant nature.

      • KCI등재

        영아기에 실내 반려동물의 노출이 소아의 동물 항원 감작과 천식에 미치는 영향

        정성수,수란,이소연,윤지선,조현주,김영호,서동인,양송이,권지원,장광천,선용한,우성일,윤유숙,박강서,이은,조화진,국명희,혜령,정혜리,김자형,김형영,정진아,우향옥,홍수종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019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7 No.2

        Purpose: It is controversial whether indoor pet exposure is either a risk or protective factor developing sensitization to pet allergens or asthma. Therefore, we investigated whether indoor pet ownership entails a risk for the development of asthma and sensitization in childhood. Methods: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is a general-population-based birth cohort study that recruited 2,078 mother-baby dyads in Korea between April and July of 2008. Among 1,577 children who were followed up in 2015, 559 underwent skin prick tests, spirometry and bronchial provocation tests using Provocholine. Having a cat or a dog and the prevalence of asthma were evaluated by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physicians’ medical records. Results: During infancy, the rate of dog ownership was 4.5% (71 of 1,574) and that of cat ownership was 0.5% (8 of 1,574). Of the subjects, 7.9% (n=109) currently had at least 1 dog and 2.5% (n=34) had at least 1 cat. Pet ownership during infancy was associated with sensitization to cats or dogs (adjusted odds ratio [aOR], 4.24; 95% confidence interval [CI], 1.29–13.98), wheezing within 12 months (aOR, 5.56; 95% CI, 1.65–18.75) and current asthma (wheezing episode in the last 12 months+diagnosed asthma by physicians) (aOR, 6.36; 95% CI, 1.54–26.28). In contrast, pet ownership during the last 12 months was not associated with sensitization to cats or dogs or current asthma. Conclusion: Indoor pet exposure during infancy can be critical for developing sensitization to cats or dogs and asthma in childhood. Avoidance of pet exposure in early life may reduce sensitization to cats or dogs and development of asth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