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엔탈피 풍동에서의 모델 스크램제트 흡입구 유동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박윤식,남준혁,한서음,이복직,이양지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23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Vol.28 No.2

        In order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a hypersonic air-breathing propulsion system under high-altitude conditions, blow-down type high-enthalpy wind tunnel tests are commonly conducted.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accurately reproducing the high-altitude freestream conditions is challenging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the nozzle boundary layer, nozzle back pressure, and the configuration and placement of the test engine. Therefore, in this study, numerical simulations were performed for the scramjet inlet flow under the blow-down type high-enthalpy wind tunnel environment and the freestream condition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It was observed that the nozzle boundary layer had negligible influence on the inlet flow, even when the test engine was positioned close to the nozzle wall. Furthermore, while the core flow in the nozzle exhibited similarities to conditions at an altitude of 23 km and Mach 5, the formation of over-expansion shock waves at the nozzle exit due to high nozzle back pressure was observed, interfering with the inlet internal flow. Lastly, a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over-expansion shock waves on the performance parameters of the inlet, including the mass flow rate and total pressure recovery.

      • KCI등재

        감자 제브라칩병과 매개충 토마토 감자 나무이 (Bactericera cockerelli Sulc.)에 대한 2018년 예찰조사 보고

        이예영,최옥희,강병삼,김승회,김진우,최재혁,이지원,남준혁,박현진,최용준,김다운,박용순,최영준,이재성,김보라,이동재,박숙영,김경희,김영민,이예림,전용호,김현섭,권혁태,김중연,김승환,김희진,신용호,전용철,정상윤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5 No.2

        최근 기후변화 및 국제교역량, 여행객, 외국 이주민 등의 증가로 국내 농작물에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는 고위험 식물 병의 국내 유입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검역기관 종사자들의 업무량도 늘어나고 있다. 특히 ‘Candidatus Liberibacter solanacearum’가 원인병원균인 감자 제브라칩병의 경우, 발생하게 되면 감자를 초토화시켜 막대한 피해를 야기한다. ‘Ca. L. solanacearum’의 감자와 토마토 등의 가지과(Solanaceae) 작물과 당근을 포함하는 산형과(Umbelliferae) 작물이 기주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직까지 국내에 유입되지 않은 감자 제브라칩병과 매개충인 토마토 감자 나무이(tomato potato psyllid; TPP; Bactericera cockerelli Sulc.)에 대한 예찰 조사를 수행하였다. 예찰 조사를 위해 전국을 7개 권역(경기-강원, 충청, 전북, 전남, 경북, 경남 및 제주)으로 나누고, 각 권역에 속하는 3개 지역 중심으로 수행하였는데, 경기-강원 권역은 인천, 화성, 춘천 및 홍천, 충청 권역은 공주, 세종 및 청주, 전북 권역은 익산, 완주 및 정읍, 전남 권역은 보성, 고흥 및 순천, 경북 권역은 상주, 김천 및 안동, 경남 권역은 거창, 함양 및 진주, 제주 권역은 구좌 및 성산 지역이 해당되며, 지역당 3개 지점을 두고 조사하였다. 매개충 TPP 조사를 위해 끈끈이 트랩을 이용한 조사를 병행하였다. 예찰 조사는 2018년 9월부터 10월까지 2주 간격으로 실시하였다. 2018년 예찰 조사결과, 감자 제브라칩병과 매개충인 TPP는 국내에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식물병을 조기에 탐지하기 위해 구축된 전국적인 모니터링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할 수 있었고, 국외 외래유입병들의 예찰 조사를 위한 지역 거점을 확보하는데 기여하였다고 평가된다. In recent years, the influx of high-risk plant diseases that can cause great damage to domestic crops, is steadily in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and the increase in international trade, travelers, and foreign migrants. Accordingly, the workload of quarantine agency workers is increasing. In particular, Zebra chip caused by ‘Candidatus Liberibacter solanacearum’ causes devastation and enormous damage, which cannot be recovered. Solanaceae crops, including potato and tomato, and Umbelliferae crops, including carrot, can be the host of 'Ca. L. solanacearum'.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occurrence of Zebra chip and its pest vector, tomato potato psyllid (TPP; Bactericera cockerelli Sulc.), which are known to not exist in Korea. For the survey, we divided the whole country into 7districts (Gyeonggi-Gangwon, Chungcheong, Jeonbuk, Jeonnam, Gyeongbuk, Gyeongnam, and Jeju) including 3regions per district. The survey regions of Gyeonggi-Gangwon included Incheon, Hwaseong, Chuncheon, and Hongcheon; Chungcheong included Gongju, Sejong, and Cheongju; Jeonbuk included Iksan, Wanju, and Jeongeup; Jeonnam included Boseong, Goheung, and Suncheon; Gyeongbuk included Sangju, Gimcheon, and Andong; Gyeongnam included Geochang, Hamyang and Jinju; and Jeju included Gujwa and Seongsan. Three sites per region were included in the survey. Using sticky traps, we carried out the investigation of pest vector TPP of 'Ca. L. solanacearum'. The survey was conducted every two weeks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8. According to a 2018 survey, Zebra chip disease and its pest vector TPP were not found in South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nationwide monitoring network established for early prediction of plant disease outbreaks, and it is considered to have contributed to establishment of the basis for predicting outbreaks of exotic plant diseases.

      • KCI등재

        2019년 한국 고위험 식물병 9종에 대한 예찰조사 보고

        이예영,최옥희,강병삼,김승회,김진우,최재혁,이지원,남준혁,박현진,최용준,김다운,박용순,최영준,이재성,김보라,이동재,박숙영,김경희,김영민,정상윤,이예림,전용호,김현섭,권혁태,김중연,신용호,전용철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0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4 No.4

        In recent years, the influx of high-risk plant diseases, which can cause great damage to domestic crop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increased international trade, increased travelers, and foreign migrants. As the number of pathogens to be quarantined increases, the workload of quarantine agencies and researcher’s increases. In this study,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domestic unrecorded diseases and causative pathogens of grapes, sweet persimmons, and citrus fruits, which are major export targets by region. For this study, the whole country was divided into seven districts, including Gyeonggi-Gangwon, Chungcheong, Jeonbuk, Jeonnam, Gyeongbuk, Gyeongnam, and Jeju, and a survey network was established between universities in each district to conduct the forecast network. The four grape diseases surveyed included Pierce’s disease (Xylella fastidiosa), brown rot (Monilinia fructigena), anthracnose (Greeneria uvicola), and esca (Phaeomoniella chlamydospora).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ree regions per district and three sites per region. The three sweet persimmon diseases included brown spot (Fusicladium levieri), black leaf spot (Adisciso kaki), and black spot (Phoma kakivora). The two citrus diseases included citrus scab (Elsinoë australis) and Septoria spot (Septoria citri). Preliminary surveys on all 9 species were conducted every two weeks from April to October 2019. As a result of the survey, no 9 pathogens of grapes, sweet persimmons, and citrus fruits, which are major export targets, were found in South Korea. Through this study, a nationwide monitoring system was established to detect plant diseases early, and it is estimated that it secured a regional base for the outlook investigation of foreign invasive diseases. 최근 기후변화 및 국제교역량, 여행객, 외국 이주민 증가 등으로 국내 농작물에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는 고위험 식물병의 유입이 꾸준히 증가하고있다. 검역 대상인 병원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검역기관 및 연구원의 업무량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주요 수출대상 과수인포도, 단감, 감귤의 국내 미기록 병과 원인병원체에 대한 예찰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을 경기-강원, 충청, 전북, 전남, 경북, 경남 그리고제주 등 7개 권역으로 나누고 각 권역 소재 대학에서 예찰조사를 수행하여 예찰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포도 대상 병은 모두 4종으로, Pierce’s disease (Xylella fastidiosa), brown rot (Monilinia fructigena), anthracnose (Greeneria uvicola), 그리고 esca (Phaeomoniella chlamydospora)을조사하였고 경기-강원, 충청도, 전라북도, 그리고 경상북도 권역을 중심으로 각 권역당 3개 지역 그리고 지역당 3개 지점을 두고 조사하였다. 단감은 모두 3종으로, brown spot (Fusicladium levieri), black leaf spot (Adisciso kaki), 그리고 black spot (Phoma kakivora)을 조사하였고국내 단감 주생산지인 경상남도와 전라남도 권역을 중심으로 각 권역당 3개 지역 그리고 지역당 3개 지점을 두고 조사하였다. 감귤 대상 병은모두 2종으로, citrus scab (Elsinoë australis), Septoria spot (Septoria citri)을 조사하였고 감귤 주생산지인 제주권역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모두 9종에 대한 예찰조사는 2019년 4월부터 10월까지 2주간격으로 실시하였다. 예찰조사결과 주요 수출대상 과수인 포도, 단감, 감귤의 국내미기록병 9종에 대한 원인병원체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 연구를 통해 식물병을 조기에 탐지할 수 있는 전국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국외외래유입병들의 예찰조사를 위한 지역 거점을 확보하였다고 평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