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북아시아 고대 궁원과 왕도의 위치 관계에 대한 연구

        전용호 한국전통조경학회 2022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40 No.4

        The ancient North-East Asian royal garden is divided into three types, located in the north inside the palace, in the north outside the palace, and in the south inside or outside the palace, depending on the loc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royal capital and the royal palace. The first is a typical royal garden that follows the ancient Chinese court system of the Chao-hu-chim(前朝後寢). The second is a royal garden located independently of the royal palace, which extends to Geumwon(禁苑). The third is located in the south of royal palace and is the royal garden specialized in Yurak(遊樂) or Hyangyeon(饗宴). The types of ancient North-East Asian royal garde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 palace(正宮) and secondary palace(別宮), detached palace(離宮), and Geumwon(禁苑), and each has unique characteristics. The first has been established as the garden of the main palace, including the royal garden at Wanggung-ri site in Iksan(益山 王宮里 遺蹟), Han Chang`an capital(漢 長安城), BeiWei Luoyang capital(北魏 洛陽城), Jiankang capital in Southern Dynasties(南朝 建康城), and Daminggong(大明宮) in Tang Dynasty. Here, the royal garden is divided into Naewon(內苑) inside the royal palace and Geumwon(禁苑), outside the royal palace.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is the royal garden that the royal palace and Geumwon(禁苑) are united. The third is the royal garden that forms part of the royal palace or is independent of the royal palace, and has been specialized as a secondary palace(別宮) and detached palace(離宮). China created the model of ancient North-East Asian royal gardens, and based on this, Baekje, Silla, and Japan of Korea influenced each other and developed a unique palace by showing their originality. The royal garden at Wanggung-ri site in Iksan(益山 王宮里 遺蹟) was influenced by royal gardens of Wei-Jin and Northern & Southern Dynasties(魏晉南北朝). And royal gardens of the Sabi Capital(泗沘都城) were influenced by royal gardens of Jin(秦), Han(漢), Sui(隋), and Tang(唐), and royal gardens of Silla(新羅) were influenced by the royal gardens of Baekje(百濟) and Silla. However, each of these royal gardens also has its own unique characteristics. From this aspect, it can be seen that the ancient North-East Asian court had different lineages depending on the region. Anhakgung Palace in Pyongyang(平壤 安鶴宮) is more likely to be viewed as the Three Kingdoms period than the Goryeo Dynasty. However, it is difficult to raise it to the 5th and 6th centuries due to the overlapping relationship and relics of the lower part of Anhakgung Palace(安鶴宮), and it is generally presumed to be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The royal garden at Anhakgung Palace is a secondary palace(別宮) or detached palace(離宮) that corresponds to the palace of Jang-an capital(長安城) in Pyongyang and is believed to have influenced Dongwon garden(東院庭園) of Heijokyu(平城宮) and Donggung(東宮) and Wolji(月池) in Gyeongju. From this point of view, Dongwon garden(東院庭園) of Heijokyu(平城宮) seems to be related to the palaces of Goguryeo, Baekje, and Silla. This study has many limitations as it focuses on its characteristics and transitions due to the location of the palace in the large framework of ancient North-East Asian royal capital. If these limitations are resolved little by little, it is expected that the understanding of ancient North-East Asian royal gardens will be much wider. 동북아시아 고대 궁원은 왕도와 왕궁에서의 위치 관계에 따라 왕궁 내부의 북쪽, 왕궁 외부의 북쪽, 왕궁 내부나 외부의 남쪽에 위치하는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전조후침(前朝後寢)의 중국 고대 궁실제도를 따른 전형적인 궁원이다. 두 번째는 왕궁과 독립적으로 위치하거나, 금원(禁苑)으로 확장되는 궁원이다. 세 번째는 왕궁의 남쪽에 위치하면서 유락(遊樂)이나 향연(饗宴)으로 특화한 궁원이다. 동북아시아 고대 궁원의 유형은 정궁(正宮)과 별궁(別宮) 혹은 이궁(離宮), 금원(禁苑)과의 관계에 따라 구분되고 각각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 번째는 익산 왕궁리 유적의 궁원을 비롯하여 한 장안성, 북위 낙양성과 남조 건강성, 당 대명궁 등에 이르기까지 정궁의 궁원으로 자리잡아왔다. 여기에서는 왕궁 안으로는 궁원이 내원(內苑)으로, 왕궁 밖으로 금원이 외원(外苑)으로 분리되어 있다. 반면에 두 번째는 궁원(宮苑)과 금원(禁苑)이 일체화되어 있다. 세 번째는 왕궁의 일부분을 구성하거나 왕도에서 정궁과 독립된 공간으로 별궁이나 이궁의 궁원으로 특화되어 왔다. 중국은 동북아시아 고대 궁원의 전형(典型)을 만들었으며, 이를 기초로 하여 한국의 백제와 신라, 일본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나름대로 독창성을 발휘하여 독특한 궁원을 발전시켜 나갔다. 백제왕도 익산의 궁원은 위진남북조시대의 궁원을, 사비도성의 궁원은 진․한대와 수․당대의 궁원을, 신라왕경의 궁원은 사비도성과 당의 궁원을, 일본 아스카~나라시대의 궁원은 백제와 신라의 궁원을 영향을 각각 받았다. 그렇지만 이들 궁원은 각각 나름대로 자신만의 독특한 궁원의 특징도 지니고 있다. 이런 점으로 보아, 동북아시아 고대 궁원은 지역에 따라 계통이 달랐음을 알 수 있다. 평양 안학궁은 궁원으로 보아서는 삼국시대부터 조영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안학궁 하부의 유구 중복 관계나 유물로 보아 그 초축 시기는 5~6세기로 올려보기 어렵고 대체로 7세기 중엽으로 추정된다. 평양 안학궁의 궁원은 평양 장안성의 정궁에 대응하는 별궁 혹은 이궁의 궁원으로서 한국 통일신라시대 동궁과 월지나 일본 나라시대 평성궁 동원정원(東院庭園)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점으로 보아, 평성궁 동원정원(東院庭園)은 고구려, 백제, 신라의 궁원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동북아시아의 고대 왕도라는 큰 틀에서 궁원의 위치 관계로 그 특징과 변천을 중점적으로 다룬 연구로 적지 않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런 한계들을 조금씩 해결하여 나간다면, 동북아시아 고대 궁원에 대한 이해의 폭이 훨씬 넓어지리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도입 초기 이슈에 대한 질적연구

        전용호,이석환 한국노인복지학회 2022 노인복지연구 Vol.7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ssues of the early introduction of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older adults in South Korea.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with 18 participants composed of four groups such as local government officials, social workers, central and local organization workers and life assistants. According to the findings,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older adults are faced with a number of structural difficulties throughout the processes of service provision, First, owing to the inadequate preparation for the service, the difficulty of obtaining service users and the inadequate roles of the local governments were found. Second, service providers have experienced some difficulties of needs assessment and obtaining critical users. Besides, to cope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older adults with depression, the issues of inclusion of critical users and the expansion of special services for them emerged. Thirdly, the issues of the provision of services such as the inequality of service qualities and the inadequate provision of self-care occurred. Moreover, the monitoring role of prohibition of outside work of long-term care service was found. Finally, it is frequently reported that improvements of evaluation and monitoring roles are needed. To cope with the challenging issues, some policy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Supporting center for the single elderly, local authorities, and service providers.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도입 초기 주요 이슈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자체 공무원, 전담사회복지사, 중앙 및 광역 담당자, 생활지원사 등 네 그룹의 총 18명과 포커스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맞춤돌봄서비스는 사업 운영의 전반적인 과정에서 여러 구조적인 난맥상에 직면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사업준비가 미흡한 상태에서 실시되면서 수행기관은 대상자 발굴에 어려움을 겪고, 지자체의 미흡한 역할이제기되었다. 둘째, 대상자 선정 측면에서 수행기관은 대상자에 대한 욕구사정과 중점대상자발굴에 어려움을 겪고, 우울한 노인이 증가하면서 중점대상자로의 포함과 특화서비스의 확대제공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셋째, 서비스 제공 측면에서 수행기관 간 서비스 품질의 차이가발생하고 셀프케어가 현장의 일부 수행기관에서는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요양기관의 겸업을 금지하는 사항에 대한 모니터링도 미흡한 것으로 분석됐다. 마지막으로 평가와 모니터링의 개선을 통한 제도의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보건복지부,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지자체, 수행기관의 개선방안을 제언했다

      • KCI등재

        외란 추정기를 이용한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속도제어

        전용호,Jeon, Yong-Ho 한국전자통신학회 2022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7 No.5

        The effect of load is an important factor in precise speed control of a motor. n this study, we design a state observer that can estimate and define one state of disturbance including errors and nonlinear terms of mathematical models, which is not easy with a mathematical model. Then, the observation gain is set so that the estimation error of the state observation converges to 0, and the estimated state is used in the back stepping controller to design a controller capable of precise speed tracking. As a result of applying to 1 [hw] class 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excellent stste variable observation and tracking performance can be confirmed.

      • 정신지체성인을 위한 성교육 가이드 -중도와 경도 정신지체인을 중심으로-

        전용호 한국발달장애학회 2002 발달장애연구 Vol.6 No.1

        This stady was to edited the Ease Curriculum Guide for the mentally Retanded Adult by Zelman & Tyser to provide teachers and parents with an effective instrument for teaching sex education to mentally retarded adults. This curriculum has been empirically evaluated. This curriculum is consisting of instructional objectives which are grouped into four units : biological, sexual behavior, health and relationships. Each instructional unit consists of series of instructional objective and an objective test base on the instructional content of the unit.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인의 성교육에 대한 태도와 기본적인 성교육 방법을 소개하여 정신지체인의 성교육 발전에 기여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도와 경도 정신지체성인에게 적합한 성교육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성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Zelman과 Tyser가 개발한 Ease Sequential Curriculm Guide를 정신지체인의 부모나 지도자가 지도하기 쉽게 본 연구자가 편집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생물학, 성적 행동 건강과 인간관계로서 네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 실시 전에는 사전 검사를 하고 실시 후에 사후 검사를 하여 각 단원의 학습의 효과를 확인하게 되어 있다.

      • KCI등재

        노인 돌봄의 연속성 측면에서 바라본 의료・보건・복지 서비스의 이용과 연계

        전용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保健社會硏究 Vol.38 No.4

        Since the implementation of community care as a key policy agenda, tailoring services to older people’s needs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in Kore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whether the provision of services of the medical, public health, and social care has been adequate and, the services have been coordinated properly according to the needs of older people in terms of continuum of care. The study adopted literature review method and conducted a number of interviews. It is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limitations to meet the needs of older people owing to the inadequate tailoring services to their needs and the lack of coordination of adequate services for them. Specifically, a proper medical delivery system has not been established at the local level to prevent and manage chronic diseases. Home visiting services are provided mainly to the poor by public health centers. and home nursing services have been insufficient and there has been a chronic shortage of nursing staff in the public health sector. The low-skilled services such as house chores have been provided mainly and the amounts of benefits are inadequate to meet the needs of older people at the social welfare sector. Moreover, the coordination of services between and among the medical, public health, and social care sectors has been limited owing to the profit-seeking behavior of service providers, the fragmented service delivery systems, and the lack of the coordinating role of governments. 커뮤니티케어가 중요한 정책으로 시행되면서 노인의 욕구 변화에 따라 맞춤형으로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돌봄의 연속성 측면에서 의료・보건・복지 영역의 서비스가 노인의 욕구 변화에 따라 적절하게 제공되고, 필요한 서비스의 연계가 이뤄지는 지를 탐색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소규모 면담을 실시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의료・보건・복지의 각 영역에서 노인의 욕구 변화에 따른 적절한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고, 영역 간에 서비스의 적절한 연계가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의료 영역은 만성질환의 예방과 관리를 하는 지역단위 시스템이 제대로 구축되지 않았다. 보건 영역은 보건소가 저소득층 중심의 방문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치고 있고, 재가에서 이용 가능한 간호서비스가 취약하고 만성적인 간호인력 부족 문제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 영역은 저숙련의 가사수발 중심의 서비스 위주로 제공되고, 서비스 급여량이 적어서 노인의 욕구 충족에 한계가 있다. 이와 함께, 공급주체의 영리추구 경향, 분절화된 전달체계, 연계를 위한 정부의 미흡한 역할 등으로 인해 의료・보건・복지의 각 영역 내 및 영역 간에 서비스의 연계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도입 의미와 과제

        전용호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4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introduced a new Customized Care Service for Older Adults by eliminating the six existing care services for them since 2020. It is a significant change of care service system for older adults and the service would play a key role in providing preventive services for them. The aim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and tasks of the introduction of the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Older Adults in South Korea by using the framework of Gilbert and Terrell. The study found that the new service was designed under the government’s policy contexts of the establishments of public-based social service providers and the emphasis of community care, and it has brought about a number of significant institutional changes of care system in terms of allocation, benefits, delivery, and finance. The institutional coverage of the service was increased to lower 70% of older adults and a large number of kinds of health and social care services would be provided for them. The sphere of living was set in each local area and the new service providers are entirely in charge of providing the services in each sphere. The financing system was changed to support service providers by providing government subsidies. Although a number of positive results would be expected to occur for the elderly, it is likely that some challenging tasks would happen in the fields as follows: the inadequate coverage, the vagueness of the application of self-care principle and the decrease in the amounts of direct care services, the inappropriate area of service provision, and the supplier-oriented provision of services rather than user-oriented. 정부는 2020년부터 기존의 6개 노인 돌봄서비스를 일괄 폐지하고, 노인맞춤돌봄서비스를 새롭게 도입했다. 노인돌봄 제도의큰 변화로 장기요양 등급외자 노인을 위한 예방서비스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도입 의미와 과제를 길버트와 테렐의 정책 분석틀을 활용해서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노인맞춤돌봄서비스는 사회서비스원의 도입과 커뮤니티 케어를 강조하는 거시 정책 환경에서 탄생한 제도로 노인 돌봄의 할당, 급여, 전달, 재정 측면에서 여러 변화를초래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제도적으로 등급외자를 위한 돌봄서비스의 보장성이 하위 70%로 확대되고, 보건의료와 복지의 다양한급여가 제공될 수 있게 됐다. 또, 전달체계가 지역의 생활권역을 설정해서 수행기관이 전담해서 책임지고, 재정이 공급자 지원 방식으로바뀌었다. 이를 통해 여러 긍정적인 변화가 기대되지만, 보장성의 여전한 취약성, 셀프케어의 모호함과 직접 대인 서비스의 축소, 서비스권역 설정의 적절성, 공급자 위주 서비스 제공 등의 과제가 발생할 것으로 분석됐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