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Common allergens of atopic dermatitis in dogs: comparative findings based on intradermal tests

        김하정,강민희,박희명 대한수의학회 2011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Vol.12 No.3

        Intradermal tests were performed on 58 dogs diagnosed with atopic dermatitis from 2004~2008 at the Veterinary Medical Teaching Hospital of Konkuk University, Korea. To compare the allergen distribution observed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to the results from other studies conducted in Korea and elsewhere, the allergens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ir kin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distribution among the dogs. The most common breeds among the 58 dogs were Maltese (n = 11) and Shih-tzu (n = 11). The average age was 4.8 years. The most frequently produced a positive reaction on the intradermal tests was mold (67.3%) followed by house dust (54.5%) and house dust mites (49.1%). The present study found a low distribution of dogs allergic to various outdoor allergens compared to studies performed in other countries; this may reflect differences in living conditions for dogs living in Korea.

      • KCI등재

        Clinical efficacy and mechanism of probiotics in allergic diseases

        김하정,김형영,이소연,서주희,이은미,홍수종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1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6 No.9

        A complex interplay between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partiall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allergic diseases by affecting development during prenatal and early life. To explain the dramatic increase in the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the hygiene hypothesis proposed that early exposure to infection prevented allergic diseases. The hygiene hypothesis has changed to the microbial hypothesis, in which exposure to microbes is closely linked to the development of the early immune system and allergic diseases. The intestinal flora may contribute to allergic disease through its substantial effect on mucosal immunity. Based on findings that exposure to microbial flora early in life can change the Th1/Th2 balance, thus favoring a Th1 cell response, probiotics may be beneficial in preventing allergic diseases. However, evidence from clinical and basic research to prove the efficacy of probiotics in preventing allergy is lacking. To date, studies have yielded inconsistent findings on the usefulness of probiotics in allergic diseases. It is difficult to demonstrate an exact effect of probiotics on asthma, allergic rhinitis, and food allergy because of study limitations, such as different first supplementation period, duration, different strains, short follow-up period, and host factors. However, many studies have demonstrated a significant clinical improvement in atopic dermatitis with the use of probiotics.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human immunity, intestinal barrier function, intestinal microbiota, and systemic immunity is required to comprehend the effects of probiotics on allergic diseases.

      • KCI등재

        민주적 학교풍토, 학습조직문화와 교사효능감, 교사역량의 구조적 관계분석 – 코로나 19 전후 비교를 중심으로

        김하정,이자형,원효헌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3

        본 연구는 선행연구 분석과 부산교육종단연구 4차년도, 5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학교 교사의 역량을 교수역량, 학생지도역량, 공동체역량, ICT활용역량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역량과 민주적 학교풍토, 학습조직문화, 교사효능감과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코로나19 전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학교풍토는 2019년과 2020년 모두 공동체역량에 직접적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학습조직문화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조직문화는 교사효능감과 교수역량, 공동체역량에 영향을 주었으며, 교사효능감은 교사역량의 모든 변인에 강력한 영향을 발휘하였다. 민주적 학교풍토는 2019년에 4개 역량 중 공동체역량에만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2020년에는 공동체역량 외에 교수역량과 학생지도역량을 강화하는 데에도 유의미한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둘째, 팬텀변수를 활용한 매개효과 검증 결과 2019년과 2020년 모두 학교풍토가 학습조직문화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교수역량에 미치는 경로만이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코로나19 이전과 이후의 다집단 분석 결과 민주적 학교풍토가 학습조직문화에 미치는 경로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코로나19 이후인 2020년의 학습조직문화가 학교풍토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들의 역량강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재활병동으로 전과된 뇌종양 환자들의 특징과 기능 회복: 뇌경색과 비교

        김하정,전민호,이숙정,김대열 대한재활의학회 2010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34 No.3

        Objective: To compare and discuss functional outcome and neurologic deficits of patients with either brain tumor or ischemic stroke after inpatient rehabilitation. Method: Sixty-two, brain tumor patients (32 benign and 30 malignant) admitted for inpatient rehabilitation during a five-year period and 70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were enrolled.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their functional status at admission and discharge, the functional gain as measured by the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thel index (K-MBI) instrument, and their common neurologic deficits. Results: The K-MBI score at discharge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both groups (70.2 vs. 61.5). However, the K-MBI score at admission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brain tumor group (45.3 vs. 35.5),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K-MBI score at discharge or in the gain or efficiency of the K-MBI score. In the tumor group, the K-MBI score at discharge and the gain of the K-MBI scor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benign brain tumor patients. The most common neurologic deficit was motor weakness, followed by impaired cognition and cranial nerve palsy. The frequency of these deficits was more common in the ischemic stroke patients, al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brain tumor groups. Brain tumor patients not receiving radiation therapy and having higher K-MBI scores at admission showed greater functional improvement (p<0.01). Conclusion: Brain tumor patients can achieve comparable functional outcomes to ischemic stroke patients, and our study supports the benefits of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irregardless of a patient’s tumor type. (J Korean Acad Rehab Med 2010; 34: 290-296) Objective: To compare and discuss functional outcome and neurologic deficits of patients with either brain tumor or ischemic stroke after inpatient rehabilitation. Method: Sixty-two, brain tumor patients (32 benign and 30 malignant) admitted for inpatient rehabilitation during a five-year period and 70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were enrolled.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their functional status at admission and discharge, the functional gain as measured by the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thel index (K-MBI) instrument, and their common neurologic deficits. Results: The K-MBI score at discharge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both groups (70.2 vs. 61.5). However, the K-MBI score at admission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brain tumor group (45.3 vs. 35.5),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K-MBI score at discharge or in the gain or efficiency of the K-MBI score. In the tumor group, the K-MBI score at discharge and the gain of the K-MBI scor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benign brain tumor patients. The most common neurologic deficit was motor weakness, followed by impaired cognition and cranial nerve palsy. The frequency of these deficits was more common in the ischemic stroke patients, al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brain tumor groups. Brain tumor patients not receiving radiation therapy and having higher K-MBI scores at admission showed greater functional improvement (p<0.01). Conclusion: Brain tumor patients can achieve comparable functional outcomes to ischemic stroke patients, and our study supports the benefits of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irregardless of a patient’s tumor type. (J Korean Acad Rehab Med 2010; 34: 290-296)

      • KCI등재

        다중흐름모형을 통한 특례시 도입과정 분석

        김하정,한상연 한국도시행정학회 2023 도시 행정 학보 Vol.36 No.1

        The Local Autonomy Act revised in 2022 attracts special attention by granting exceptional privileges to four cities of one million population size. These cities are called “teak-re-si” literally meaning “city with exemption”. The process of designating and defining this new type of local autonomous entity has been challenged to be irrational lacking appropriate deliberation process. This paper examines the legal and political procedures of enacting relevant clauses of the act through the Multi Streams Framework (MSF) to analyze whether the procedures are rational and valid. Before being finalized, the agenda of designating teak-re-si went through three stages: quickening stage till early 2019, enlightening stage till 2020, and final stage till 2022. These stages were analyzed using MSF in terms of problem stream, policy stream, politics stream, policy windows and policy entrepreneurs. This study shows that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new type of city, teak-re-si significantly lacks professionalism and rationality. 대도시에 대한 특례시의 지정안은 우여곡절 끝에 2020년 12월 9일 지방자치법 전부 개정안으로써 국회를 통과하였다. 하지만 과정과 내용의 측면에서 모두 완전하지 못한 특례시의 도입은 특례시 개정안의 추진이 적절한 숙의 과정을 거쳤는지에 대해 의문을 가져온다. 이에 따라 다중흐름모형을 통해 대도시 특례를 규정하게 된 법적, 정치적 절차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정책 절차가 합리성과 타당성을 지녔는지 알아 보고자 한다. 특례시 관련 내용이 최종적인 결론에 이르기 전까지 특례시 안건은 2019년 초, 2020년, 최종 제출된 시기에 따른 변화를 겪었다. 세 번의 변화는 각각 태동기, 변환기, 확립기로 분류 가능하며 각 시기의 문제의 흐름, 대안의 흐름, 정치의 흐름, 정책 혁신가와 정책의 창을 통해 도입 과정의 분석이 가능하다. 태동기의 경우 행정 수요 과밀집 대도시의 행정, 재정 재량권 요구가 증가하면서 문제의 흐름이 나타났으며 결국 인구수 100만의 특례시 지정 기준이 국회에 제출되었다. 이후 변환기에서는 인구수 100만 이하 50만 이상 도시들이 특례시 지정을 촉구했으며 특례시 지정 기준이 인구수 50만으로 완화되어 국회에 제출되었다. 마지막 확립기에서는 특례시 지정에 제외된 지자체 의원들의 적극적인 반대 활동이 있었으며 결국 특례시 지정 기준이 인구수 100만으로 결정되어 국회에 의결되었다. 대도시들의 증가하는 행정수요에 따라 지방자치법 개정의 필요성은 현재 대한민국 지방자치제도에서 피할 수 없는 문제다. 이에 불구하고 특례시의 지정 과정은 비전문적이며 인구수라는 기준의 단일성을 지닌다는 것이 분석 결과가 의미하는 바이다.

      • 융합연출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 작품 ‘틈'을 중심으로 -

        김하정,유하경,이진민,강현정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8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2018년 3월~6월까지 진행된 숙명여대 환경디자인학과 ‘융합연출디자인 워크샵’ 교과목에서 도출된 ‘틈’ 프로젝트의 기획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마임 브랜드를 공간으로 형상화하는 과정에서 융합 캡스톤 디자인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브랜드를 분석하고 분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마임’ 브랜드 스페이스를 전반적으로 디자인한다. 마임 브랜드의 공간은 Commercial Space와 Promotion Space를 고려하고 브랜드의 역사, 미션 프로모션 공간, 전시공간, 체험공간, 화장품 브랜드 'RAHEL', 'Vieta', 'O'classic'의 판매, 디스플레이 공간, 또한 상담공간을 도출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마임’ 브랜드에 대한 총체적 이해와 브랜드 스페이스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브랜드 스페이스를 개발하고 스타일링 하는 프로세스를 브랜드 분석, 스페이스 디자인 프로세스, 최종 결과물 도출로 구성하여 그 과정들을 밝힌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