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ncreased Size of DBCO-Functionalized Poly (Acrylic Acid-b-Styrene) Micelle with Strain-Promoted Azide-Alkyne Click Chemistry

        김예린,안솔,김동욱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1

        The self-assembled block copolymer structures with spatial control on the nanometer scale have many potential uses in nanotechnology including drug delivery. In order to expand the utility of current polymeric micellar systems, we have developed amphiphilic poly (acrylic acid-b-styrene) block copolymers containing DBCO and increased the size of block copolymers for use in variety. The block copolymers were increased by Strain-promoted azide-alkyne cycloaddition of DBCO functional block copolymers with azide-polyethylene glycol(PEG) sources. The (PAA-PS) block was analyzed by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and small angle x-ray scattering (SAXS). The poly(acrylic acid) part of the spherical particles should allow for future conjugation of biomolecules.

      • KCI등재

        화장품 응용을 위한 에센셜 오일과 단일 성분 항료에 대한 항균력 비교 연구

        김예린,김혜원,김보라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2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20 No.4

        목적: 천연 식물성 에센셜 오일은 여러 가지 약리적 효능 물질과 향료로써 많이 쓰인다. 본 연구에서는 에센셜 오일 16종과 단일 성분 향료 14종의 총 30종에 대해 항균 효과를 비교하여 화장품 보존제, 항균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방법: 총 8종의 미생물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Bacillus subtilis, Candida albicans, Aspergillus niger, Malassezia furfur에 대해 paper disk diffusion assay를 실시하여 항균 활성을 비교하였다. 결과: 아토피 피부염 관련 균주인 S. aureus와 C. albicans에서 에센셜 오일 중 성분에 linalool이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cinnamon bark oil과neroli oil에서 항균 활성이 크게 나타났고, 단일물질에는 citral, D-limonene, hydroxycitronellal에서 우수한 항균 효과가 있었다. C. albicans, A. niger, M. furfur 진균 3종에서 cinnamon bark oil이 공통적으로 항균 효과가 좋게 나타났다. M. furfur는 에센셜오일 eugenol이 주성분인 clove oil과, 단일성분 aurantiol의 항균 효과가 좋게 나타났다. 유통 화장품에서 규제 대상인 3종 균주 S. aureus, E. coli, P. aeruginosa도 에센셜 오일 중 cinnamon bark oil과 단일물질 중 phenylethyl alcohol이 공통적으로 항균 효과가우수하게 나타났다. S. aureus에서는 bergamot oil과 lavender oil이 항균 효과가 크게 나타났지만 피부상재균인 S. epidermidis에는 항균효과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C. albicans에서 항균 효과가 좋게 나타난 rosemary oil, rose absolute, phenylethyl alcohol은 피부상재균 S. epidermidis에는 항균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에센셜 오일을 제형에 조합 활용하여 대체보존제와 아토피 피부염 원인균과 비듬균에 대한 항균 효과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 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을 기한대다.

      • KCI등재

        Copy Paper as a Platform for Low-cost Sensitive Glucose Sensing

        김예린,신중호,김영목,오정환 한국센서학회 2023 센서학회지 Vol.32 No.1

        This study reports the potential of using commercial copy papers as substrates for simple sensitive glucose detection. Typical paper-based devices use filter papers as porous substrates that can contain reagents; however, this is the first study to report the use of copy papers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enzymatic colorimetric detection. Glucose detection using glucose oxidase, horseradish peroxidase and potassium iodide was performed on a copy paper, cellulose-based filter paper, and polyethylene film.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py paper exhibited a stronger coloration than the other substrates. Reagents required for detection were dried on the copy paper, and a 3D-printed holder was designed to provide an environment for consistent imaging, making it a convenient cost-effective option for point-of-care testing using a mobile phone camera. The simple paper-based glucose sensor exhibited a linear range of 0.1–20 mM, limit of quantification of 0.477 mM, and limit of detection of 0.143 mM.

      • KCI등재

        도심형 공중모빌리티(Urban Air Mobility: UAM) 메타버스 건축공간 디자인 개발 연구

        김예린,박재흥,하슬지,황효민,오광석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1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growth potential for 'mobility' related field is highly evaluated, domestic and foreign interests in future mobility are growing. Among them, the full fledged market growth is expected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countries, local governments, and companies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urban air mobility (UAM). Recently, Hyundai Motor Group has been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virtual space to introduce its vision for a diverse and innovative mobility life and provide contents for virtual customer experience. Metaverse, a 'future convergence space', is in the spotlight as a space to promote new technologies and new products or present future visions as it can expand user experience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lead new possibilities based on data-driven user experien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concept of architectural space design in metaverse and design direction for visualization of UAM ground infrastructure that can be used within the metaverse platform virtual space by utilizing the potential of architectural space in metaverse. (Method) The target of architectural space design in UAM Metaverse is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which has been selected as a UAM demonstration project area. The process for achieving the research objectives is as follows. First, theoretical reviews on Metaverse and UAM are conducted, and case studies of metaverse platforms, UAM, and drone ports are conducted. Second, design tables of spatial plan are prepared by referring to the results of case analysis of UAM/drone ports and the previous studies on the terrestrial infrastructure typification. Third, the final result is completed after conducting the work of architectural space design in metaverse for visualization of UAM ground infrastructure according to design tables of spatial plan and the contents set. (Results) UAM ground infrastructure such as UAM and drone control facilities, UAM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complex facilities, logistics facilities, and charging facilities were visualized, and the architectural space design in UAM metaverse was carried out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 (Conclusions) The derived results can be used to present new visions related to UAM commercialization, industrial ecosystem creation, and UAM business model in the future. Architectural space design in metaverse is free to design, away from various restrictions, but the challenge remains that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deviate from the framework of existing architectural techniques to consider the movement and use effect of avatars visiting the metaverse space. However, it is hoped that a virtual space that can share new ideas and expand its vision will continue to be created within the metaverse platform by taking advantage of the fact that it is possible to produce content by users, which is a positive element of metaverse space, and that space can be expanded. (연구배경 및 목적) '이동성(Mobility)' 관련 분야에 대한 성장잠재력이 높게 평가받으면서 미래형 모빌리티에 대한 국내외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중 도심형 항공 모빌리티(UAM: Urban Air Mobility)의 상용화를 위한 국가, 지자체, 기업들의 협업체계구축을 기반으로 본격적인 시장 성장세가 기대된다. 최근 현대자동차는 다양하고 혁신적인 모빌리티 라이프에 대한 비전 소개와가상고객 경험 콘텐츠 제공을 위해 메타버스 플랫폼 가상공간을 활용하고 있다. ‘미래형 융합 공간’인 메타버스는 사용자의경험을 확장하고, 사용자의 경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가능성을 주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공간으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건축공간의 잠재력을 활용하여, 메타버스 플랫폼 가상공간 내에서 활용할 수 있는 UAM 지상기반시설의 시각화를 위한, 메타버스 건축공간디자인 개념과 설계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UAM 메타버스 건축공간디자인의 설계 대상은 UAM 실증사업 구역으로 선정된 한국해양대학교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위해 첫째, 메타버스와 UAM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고, 메타버스 플랫폼과 UAM 및 드론 포트(port)에 관한 사례연구를진행한다. 둘째, UAM 및 드론 포트(port) 사례분석 결과와 지상 기반 시설 유형화에 관한 선행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공간기획설계표를 작성한다. 셋째, 공간기획 설계표와 설정된 내용에 따라 UAM 지상 기반시설 시각화를 위한 메타버스 건축공간디자인작업을 진행한 후 최종결과물을 완성한다. (결과) UAM 및 드론 관제시설, UAM 수직 이·착륙장 복합시설, 물류시설, 충전시설등의 UAM 지상기반시설을 시각화하였으며, 메타버스 건축공간 디자인 특성을 반영하여 UAM 메타버스 건축공간디자인 작업을 진행하였다. (결론) 도출된 결과물은 향후 UAM 상용화 및 산업생태계 조성, UAM 비즈니스 모델과 관련한 새로운 비전을제시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메타버스 건축공간디자인은 여러 제약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디자인이 가능하지만, 메타버스 공간을 방문하는 아바타의 이동 동선과 사용 효과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기존 건축 기법들의 틀에서 완전히 벗어나기는 어렵다는 점이 과제로 남는다. 하지만 메타버스 사용자에 의한 콘텐츠 생산이 가능하다는 점, 메타버스 공간의 확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며연결, 창조, 확장, 체험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주도할 수 있다는 점 등을 활용하여, 메타버스 플랫폼 내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비전을 확장할 수 있는 가상공간이 지속적으로 창조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알츠하이머병에서의 디지털 생물표지자

        김예린,신병수,김고운 대한신경과학회 2023 대한신경과학회지 Vol.41 No.4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developing new biomarkers using digital devices. The primary purpose of digital biomarkers is to obtain features based on multi-dimensional data such as multiple data sources from various digital devices and time-series data reflecting temporal changes. Therefore, digital biomarkers can be used to measure the behavioral patterns of individuals in their daily lives in contrast to traditional biomarkers that reflect specific time points in clinical or laboratory settings. However, there are still several limitations including validation and interpretation. This article reviews the potential of digital biomarkers, explores previous studies on digital phenotypes related to Alzheimer’s disease, and discusses the future challenges of implementing digital biomarkers in the medical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