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李峻炯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988 교육연구 Vol.22 No.-
본고는 공식교육이 정치 엘리트 충원에 어떠한 기능을 가지는가를 규명하고 그것의 정치적 충원 양상을 고찰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배경으로 교육의 정치적 의의와 교육의 정치적 기능을 규명하여 교육이 정치체계에 대해 갖은 기능 중에서 정치지도자의 선발, 충원, 훈련 기능을 연구의 분야로 정하고 있다. 또한 이론적 배경으로 엘리트의 개념과 기능, 순환을 일별하여 정치엘리트의 개념 규정과 그것의 교육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있다.
이준형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아주법학 Vol.8 No.4
일정한 종류 또는 규모 이상을 건축하려면 건축비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이른바 ‘건축물 미술작품’의 설치에 쓰거나 문화예술진흥기금에 출연하여야 한다(문화예술진흥법 제9조, 동법 시행령 제12조, 제13조, 제13조의2, 제14조, 제15조, 제15조의2 참조). 이 제도는 1972년부터 권장사항으로 실시되었던 내용을 1995년 의무사항으로 법정화한 것으로서 건축주의 입장에서 보면 중요한 재산권 행사의 제한에 해당한다. 2014년 10월 31일 현재 전국에 설치된 건축물 미술작품은 총 14,435점, 금액으로 환산하면 1조 원에 넘는다. 그런데 이들 미술작품에 대한 수명(life span), 사후관리규정이 제대로 갖추어지지않아 그 중 많은 작품들이 도시의 흉물로 전락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법개정의 방향을 어떻게 정립할 것인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사후관리의 개념과 범위, 관리관계의 당사자(건축물 양도를 포함하여) 및 존속기간, 관리권의 행사요건, 관리의무의 내용을 차례로 검토한 후(Ⅱ), 입법자가 선택할 수 있는 부담금과 민관협력계약 두 가지 방식 중 원칙적으로 민관협력계약 방식을 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에서 이를 보충하기 위한 기금 및 표준계약서의도입가능성을 살펴보고(Ⅲ), 현재 국회에 제출된 개정안의 내용을 비판한 후(Ⅳ) 마지막으로 현행 문화예술진흥법과 그 시행령의 해당조항들에 대한 개정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Ⅴ). According to the Korean current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any person who intends to construct any building falling under the category or same as or larger than the size prescribed by the concerning Presidential Enforcement Decree shall spend an amount equivalent to a specified ratio of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building on art decorations(so-call ‘arts-in-architecture’); or he shall contribute, in lieu of spending, 70% of the amount to the Culture and Arts Promotion Fund(art. 9 of the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arts. 12, 13, 132, 14, 15, 15-2 of the Enforcement Decree). The arts-in-architecture, for the time being having stayed a recommendation since 1972 until there came out a law mandating it in 1995, is now functioning as a serious limitation to private property. As of October 31, 2014 there are nationalwide totally 14,435 artworks with the amount of one billion dollars. Although a corporeal artwork, especially set up in the open air, is bound to need more post management with the passage of time, there is actually no statutory clause regulating its life span or necessary management measures. As the result, a considerable number of artworks have degenerated as the city's horrid things. This article aims to cope with such a problem through law reform. After the topic is circumscribed in Part Ⅰ, some essential issues about ex post management is scrutinized in Part Ⅱ: concept, scope, parties(including the case of transfer), life span, conditions and effects. Part Ⅲ is mainly dedicate to the review of feasibilities of charge and public-private-partnership(PPP) as reform model, on which the latter is preferred on principle, possibly supplemented by nationally/ locally managed fund and a standard contract form between an owner and a contractor. The bill actually introduced in the Congress is criticized in Part Ⅳ; an alternative amendment idea is proposed in Part Ⅴ.
입원한 정신질환 환자의 금연치료: 체계적 리뷰 및 메타분석
이준형,이언숙 대한스트레스학회 2019 스트레스硏究 Vol.27 No.4
Background: Hospitalization is a unique opportunity for smoking cessation, but there is little evidence for hospitalized people with mental disorder.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for smoking cessation that are initiated during hospital stay for the patients with mental disorder. Methods: We undertook a meta-analysis to estimate summary effects on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during hospitalization with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for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Electronic data was searched in May 2019 fo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using term including (hospital and patient*) or hospitali* or inpatient* or admission* or admitted and Intervention of smoking cessation and (psychia* OR mental*). Two authors extracted data independently for each paper, with disagreement resolved by 3rd researcher. Fixed effects model was used for pooling estimate for smoking cessation after 6months because of homogeneity for the extracted studies. Results: Three studies with 687 for intervention group and 584 for control group were extracted. Intensive intervention that began during the hospitalization and continued after discharge increased smoking cessation rate after 6months (risk ratio (RR) 1.41, 95% confidence interval (CI) 1.06∼1.87). Conclusions: Intensive intervention that began during a hospital stay and post discharge therapy promote smoking cessation among the patients with mental disorders 입원은 절호의 금연 기회로, 흡연관련 질환자에서 입원기간동안 시작한 금연 치료의 효과는 입증되었지만 정신질환 환자에서 효과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에서 입원 시 금연 중재의 효과크기를 알아보기 위해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조군과 강도 높은 금연 치료를 비교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를대상으로 하였고, 6개월 후 시점 금연율을 결과변수로 한 연구를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입원한 정신질환자에서 대조군에 비해 강도높은 금연 치료의 금연 성공 가능성이 1.41배 높았다. 이 결과로 정신질환으로입원한 환자에서 강도 높은 금연 중재의 도입이 적극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입원한 정신질환자의 금연중재가 장기간 금연 성공에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성적 가해자의 정신과적 진단 및 임상특성- 성중독∙성적과다, 우울∙불안증상을 중심으로 -
이준형,김현식,이재우,박우성,임명호 대한법의학회 2013 대한법의학회지 Vol.37 No.1
The current study evaluated DSM-IV psychiatric diagnoses and investigate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xual offenders by using the Hypersexual Behavior Inventory(HBI), Sexual Addiction Screening Test (SAST),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Beck Anxiety Inventory (BAI). Fifty male sexual offenders and 36 male healthy controls completed the psychiatric diagnosis and 30 of the 50 male sexual offenders completed the psychological tests listed above. Thirty-two of the 50 sexual offenders were patients with paraphilias, these sexual offenders had been admitted by the Ministry of Justice to the Institute for Forensic Psychiatry in Gongjui-si due to sexual violence. Participants displayed high lifetime rates of psychiatric disorders: 32 (64%)had paraphilias, 16 (32%) had depressive disorders, 10 (20%) had anxiety disorders,9 (18%) had impulse control disorders, 6 (12%) had schizophrenia, 2 (4%) had bipolar disorders, and 16 (32%) had personality disorders or some other Axis Ⅱ disorder. Scores for the sexual offend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both on the HBI and the SAST than the comparison group. Scores for the sexual offenders were also higher for the BDI and the BAI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dicate that sexual offenders may have sexual addictions and be hypersexual. In addition to depressive and anxious psychopathologies,they also seem to have sexual psychopathologi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sychopathology of sexual offenders may be different than that of a control group.
성인 남성에서 일반담배와 전자담배 이중사용과 우울 증상의 연관성 분석: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이준형,이언숙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20 No.4
Background: Depression is well known to be associated with nicotine dependence. Recent studies reported higher depressive score is associated with use of e-cigarettes, however, little study showed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both cigarette dual 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ve mood and conventional and electronic cigarette dual use among male adults. Methods: Data of 7,459 male adults from sixth and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 2016, and 2018) were analyzed.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current smoking status, and electronic cigarette use status were evaluated among them.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ve mood and electronic cigarette use were assessed after adjusting age, education, income, alcohol, and perceived stress level using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isk of depressive mood for dual users were also assessed. STATA 11.0 (Stata Corp., College Station, TX, USA) were used. Results: The both group of e-cigarette current user or ex-user reported higher depressive scores (PHQ-9) than never-user group (never-user group 1.94±0.05, ex-user group 2.57±0.13, current user group 2.69±0.22, P<0.001). In the multivariate logistic analysis, 1 point increase of depressive mood score was associated with risk of e-cigarette current use (odds ratio [OR], 1.062; 95% confidence interval [CI], 1.021-1.105) among total male adult group or conventional & electronic tobacco dual use (OR, 1.054; 95% CI, 1.012-1.098) among current smokers. Conclusions: Depressive scor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e-cigarette use or both conventional or e-cigarette us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and treat smoker’s depressive mood for tobacco control. 연구배경: 우울증은 흡연과 연관성을 보이는 중요한 정신건강 상태로 니코틴 의존도와 연관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몇몇 연구에서 니코틴이 포함된 전자담배 사용자에서 우울감이 높다고 보고하였으나, 일반담배와 전자담배의 이중사용자(dual user)와 연관성에 대해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성인 남성에서 우울감과 전자담배 사용 및 이중사용과의 연관성에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우울증 선별도구인 PHQ-9를조사한 제6기 2년차(2014년)과 제7기 1년차, 3년차(2016, 2018년) 자료를 이용하여 총 7,459명 성인 남성에서 우울점수와 전자담배와의 연관성을 보았다. 전체 성인 남성을 전자담배 사용 상태에 따라 전자담배 비사용군, 현재 사용군, 과거 사용군 세 군으로 나누어서 우울점수 및 사회경제적요인, 음주, 운동 등 건강행태에 대해 기술통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현재 흡연자를 전자담배 사용에 따라 전자담배를사용한 적 없는 현재 흡연자, 과거에 사용한 현재 흡연자 및이중사용자 세 군으로 나누어서 우울점수를 비교하였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연령, 교육 정도 등 혼란변수를 보정하여 우울점수가 전자담배 사용 상태와 연관성을 보이는지 평가하였다. 전자담배를 사용한 적 없는 현재 흡연자와 비교하여 우울점수에 따라 이중사용의 연관성이 높아지는지 살펴보았다. 통계분석은 STATA 11.0 (Stata Corp.) 을 이용하였다. 결과: 전자담배 사용에 따른 우울점수를 비교하면 전자담배 비사용군 1.94±0.05, 전자담배 과거 사용군 2.57±0.13, 전자담배 현재 사용군 2.69±0.22 (P<0.001)로, 전자담배 사용경험이 있는 경우 우울점수가 높았다. 전체 대상자에 대한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우울점수가 1점 높아질수록전자담배 현재 사용 가능성이 높았다(OR, 1.062; 95% CI, 1.021-1.105). 현재 흡연자와 이중사용자의 우울점수를 단순비교하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현재 흡연자에 대한 다변량분석 결과에서 우울점수가 1점 높아질수록 이중사용의 가능성이 높았다(OR, 1.054; 95% CI, 1.012-1.098). 결론: 우울점수나 높을수록 전자담배를 사용할 가능성이높을 뿐 아니라 현재 흡연자에 비해서 일반담배와 전자담배이중사용과도 연관성이 높았다. 우울 증상이 이중사용과도연관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준형,민흥기 한국공안행정학회 2022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31 No.3
COVID-19 팬데믹 상황 이후 온라인 가상공간이 차지하는 비중이 비약적으로 확대되면서 메타버스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메타버스 시장은 향후 더욱 더 크게 성장할 것이며 다양한 산업 분야와 융합하여 우리 일상과 불가분의 관계로 나아갈 가능성이 높다. 가상세계라는 특성에서 기인한 각종 보안 위협에 대한 대응이 요구되는 이유이다. 선행연구 검토 결과 메타버스와 관련해 대표적인 보안 위협으로 개인정보 침해 문제와 디지털 성범죄를 선정한 뒤, 이 두 가지 보안 위협에 대한 법적 보호방안을 검토해 보았다. 이를 위해「개인정보보호법」과 「형법」,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아동ㆍ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등을 검토하였고,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및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약칭: 정보통신망법)’의 일부 개정 법률안을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메타버스와 관련된 보안 위협만을 대처하기 위한 독자적 법률의 제정을 서두르기보다 메타버스의 건전하고 안전한 이용을 보장하는 차원에서 현행법의 테두리 안에서 메타버스의 이용과 관련된 각종 보안위협에 관한 법제를 수정·보완하거나 특정 위협에 적용되는 원포인트 법규의 제정이 합리적이라 판단된다. 급성장하고 있는 메타버스 산업에 대한 과도한 제재는 관련 산업 자체를 위축시킬 여지가 다분하다. 그러나 관련 보안 위협에 대해 차일피일 미루어서는 그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여지도 있다. 따라서 관련 업계와 사용자가 모두 납득할 만한 수준의 입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 입법기관은 관련 업계, 사용자 그리고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근시안적 법률 제정이 불러올 피해를 줄여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