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서비스산업 유형에 따른 일하기 좋은 직장 (Great Work Place)의 경영성과 연구
김영순,김현수,Kim, Youngsoon,Kim, Hyunsoo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15 서비스연구 Vol.5 No.2
The government announced a number of policy on service industries and pushing. over the past 10 years. Important role in the service industry is a very large degree job creation, as well as employment impacts have had a stable employment skills. In June 2015 the Bureau of Statistics released the youth unemployment rate (15~29 years) showed a 10.2%. The service industry is recognized as one of the alternatives that can overcome the deteriorating economic situation this way.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industry by type what performance management is applied when this service was variable with a GWP of Korean? Can GWP variables are variables which are more important to recognize the service industry? GWP variables having a certain impact on the activities of the member teamwork, job involvement has what effect on? And the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relationship who only proven case studies whilst also want to empirical verification.
고객접점직원의 서비스교육훈련이 직무만족도 및 조직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영순,Kim, Youngsoon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17 서비스연구 Vol.7 No.1
Recently meet the growing needs of customers and has increased, the need for training of customer contact staff in order to improve and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These service training is because it improves the service capabilities of contact for customer-facing employees to respond to customers as well as to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This study is placed in the field after the service training aimed at Customer contact staff joined in 2013~2016 in the first half of these new recruits training education working in the Seoul Metro customers respond to customers in customer contact and practical services it will proceed to the empirical study of how this affects the satisfaction and loyalty to the organization for the job than to find a better improvement in the educational program.
김영순(Kim Youngsoon),오영훈(OH Young Hun),김미라(Kim Mira)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인식도,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현행 학교의 전반적 상황, 창의적 체험활동 활성화 방안을 파악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창의적 체험활동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 몇 가지 제언을 내놓으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체험활동이 현장에 착근하기 위해서는 체험 활동 영역에 맞는 매뉴얼 개발 특히, 지역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 뿐만 아니라 창의적 체험활동이 성공적으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근본 취지에 맞는 교육과정 편성, 교과와 연계한 창의적 체험활동 매뉴얼 제공, 인식 개선을 위한 창의적 체험활동 연수 강화, 우수 사례 학교 발굴 및 지원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창의체험지원센터 및 지원시스템 마련이다. 지역사회의 유관기관과 협조 및 지원시스템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창의적 체험활동이 성공을 거두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학생들이 지역사회에서 손쉽게 창의적 체험활동에 참여 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단체와의 MOU 체결 및 사회단체의 프로그램 개발이 선행되어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way to revitalize the Creative Activity being highlighted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interviewed school experts on how they recognize the Creative Activity. In addition, this study also understands the overall situation of contemporary schools for the Creative Activity, and the way to revitalize it. This study offers several suggestions to effectively perform the Creative Activity. First, an appropriate manual, particularly an appropriate program for the community, should be immediately developed and spread in order to settle into the schools. In addition, organizing an appropriate curriculum for essential purpose of the Creative Activity, providing the Creative Activity manual related to school subjects, reinforcing the Creative Activity retraining for improvement of recognition, and picking out and supporting schools with excellent case history are necessary to operate the Creative Activity successively. Second, school boards should prepare the Creative Activity aid center and supporting system. If various governmental agencies in the community and the supporting system is not yet prepared, it is hard the Creative Activity to succeed. Therefore, preceding the contracting of MOU with social groups in the community and an NGO group program,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Creativity Activity in their community.
내러티브 활용 인문융합치료 교수모형 적용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김영순(Youngsoon Kim),오영섭(Youngsub Oh)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0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내러티브를 활용한 인문융합치료 교수모형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예비임상치료사의 자질을 제고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Rita Charon의 서사의학을 이론적 배경으로 활용하여 인문융합치료학 교수모형을 도출하고 15주차를 5단계로 구분한 구체적인 교수안을 구성하여, I대학교 대학원의 인문융합치료학 전공 수업에 적용하였다. 본 수업에서 활용한 내러티브의 원자료는 이혼과 자립을 경험한 결혼이주여성을 인터뷰한 전사록이다. 연구방법은 질적 사례연구를 채택했고, 연구참여자들은 수업을 수강한 석·박사과정 대학원생이며, 이들의 성찰일지 및 수업과제물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입단계에서 연구참여자들은 이야기의 힘과 내러티브의 본질을 이해하였다. 둘째, 전개 1단계에서 연구참여자들은 결혼이주여성 내담자의 심리에 대한 유사성과 특이성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수 있었다. 셋째, 전개 2단계에서 연구참여자들은 조별활동으로 연구와 토론을 하면서 소논문이라는 결과물을 성취하고 치료사 간의 연대감을 경험하였다. 넷째, 정리단계에서 연구참여자들은내담자에 대한 이해가 심화되고 배경지식이 확장하였다. 다섯째, 성찰단계에서 연구참여자들은 개인의 서사능력의 성장을 확인하고 학문공동체 및 예비 상담사 자조모임과 같은 공동체를 형성하였다. 본 연구는 내담자의 내러티브를 활용하여 의료인, 임상치료사 및 상담사, 연구자를 양성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사례와 모형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teaching model of humanities therapy using narrative in order to foster pre-clinical therapists. This study used Rita Charon"s narrative medicine as theoretical background to derive a teaching model of humanities therapy, and formulated a five-step plan in the fifteenth week. The class used interview narratives of married migrant women who have experienced divorce and become independent. The research method was a qualitative case study, which analyzed reflection journals and assignments of graduate students who took classe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first phase of introduction, participants understood the power and nature of narratives. Second, in the first stage of development, participants deepen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similarities and specificities of married migrant women’s emotions. Third, in the second stage of development, the participants engaged in the research and discussion as a group working towards their journal dissertations and experienced solidarity among one another. Fourth, the participants deepen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client and expanded their background knowledge. In the final stage of reflection, the participants confirmed individual growth of narrative ability and formed an academic and treatment communit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seen as a useful case and teaching model for nurturing medical professionals, clinical therapists, counselors, and researchers
세계시민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연계 방식에 관한 탐색적 논의
김영순 ( Youngsoon Kim ),정소민 ( Somin Chung ),윤현희 ( Hyunhee Yoo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6 중등교육연구 Vol.64 No.3
This article aims to open the discussion of what educational approaches are supposed to achieve to foster citizens with global citizenship that might needed in order to support a sustainable society, a convergence that connec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is paper analyzes a part of the research in the area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authors conduct in-depth interviews with 9 experts engaged in fields of environmental, sociocultural, economic, and civic educational. We explores their perspectives on the convergence, an approach which focuses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educational paradigms as well as possible forms and ways for their connection. The data is managed, coded, and analysed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software NVivo 10. Several main themes on the similarities betwee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re summarized as parallelism in their educational orientation and educational contents and areas; whereas that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re discussed in three aspects such as their educational emphasises, focuses, and core premises. The possible forms in connecting two educational paradigms are condensed into four approaches; for example, an approach for connecting the two relatively stressed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 approach for relatively focusing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 approach for teaching them separately in noticing their co-relatedness, and an approach for integrating them. Several ways for connecting the two educational paradigms are also mentioned.
김영순(Kim Youngsoon) 한국세법학회 2017 조세법연구 Vol.23 No.2
국제적 조세분쟁이 발생했을 때 상호합의절차는 기한의 제한이 없고, 권한 있는 당국은 합의를 위해 노력하기만 하면 되고, 반드시 해결안을 도출해야 할 의무가 없기 때문에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OECD등에서는 효율적인 분쟁해결 방안을 지속적으로 연구해 오고 있고, 이 해결책 중 하나가 중재제도이다. 특히 미국은 수많은 조세조약에서 임의적 중재 조항을 두고 있다. 그러나 그 실효성을 확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개별 조세조약을 개정하면서 강제중재 조항을 신설하고, 특히 최근에는 모델조세조약을 개정하여 강제중재 조항을 두게 되었다.이러한 점은 미국이 개별 조세조약의 체결 및 개정에 있어서 강제중재 조항을 두겠다는 쪽으로 정책적 입장이 변경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미국의 강제중재 조항의 특징은 첫째로, 비기관중재(ad-hoc arbitration)라는 것이다. 이는 해당 사안에 대해서 중재절차가 개시되었을 때 일시적으로 열리는 중재판정부이다. 둘째는, 중재판정 방식에 있어서 소위 야구중재(baseball arbitration)를 채택하고 있다. 중재인은 당사자들이 제시한 두 개의 제안 가운데 한 개만 선택하는 결정을 할 수 있을 뿐이고, 새로운 제안을 할 수 없다. 이로써 중재인들의 권한은 상당히 제약된다. 셋째는, 중재절차에서 납세의무자의 절차적 권리가 상호합의절차와 마찬가지로 제한되는 점이다. 납세의무자의 문서제출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 조세조약도 있고, 중재판정부에서 직접 변론을 할 수도 없다. 넷째는, 중재인의 자격을 제한하는 내용이 있고, 중재인으로 선정될 수 있는 자격이 있는 사람들의 리스트를 작성하고 이를 일정 기간마다 갱신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섯째는, 납세의무자 및 중재인들에게 엄격한 비밀유지의무를 부과하고 있다는 것이다. 납세의무자나 그 대리인들이 비밀유지의무 각서를 제출하지 않으면, 중재절차가 아예 개시되지 않고, 중재인들이나 그 보조인들도 비밀유지를 서약해야 한다. 중재판정 내용도 비밀로 유지되므로 선례로서의 가치가 인정되지 않는다. 여섯째, 중재개시 단계에서 권한 있는 당국에게 재량권이 부여되어 있다. 권한 있는 당국은 상호합의에 적합하지 않다고 하여 상호합의절차 개시 자체를 거절하거나, 사전에 중재에 적합하지 않은 사안을 합의함으로써 강제적 중재 조항을 피해 나갈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강제중재 조항은 상호합의절차와 분리된 별개의 제도가 아니라, 상호합의절차에 의한 해결을 도모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에 불과하다. 따라서 중재판정의 내용도 상호합의의 내용으로 간주되고, 원칙적으로 상호합의절차에 적용되는 많은 내용이 중재에도 적용된다. 이미 OECD, UN, EU등의 국제기구들이 강제중재 조항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고, 미국 또한 모델조세조약을 개정하여 정책적 변화를 보이고 있다. 앞으로 한미조세조약의 개정에 있어서 우리 정부는 위와 같은 미국의 정책 변화에 대비하여 우리의 실정에 맞는 강제중재제도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When an international tax dispute arises, the competent authorities are under a duty to use only best efforts to solve it through the mutual agreement procedure. However they are not required to achieve a final result. In addition, many tax payers regard it as lacking impartiality. In that reason, the arbitration procedure is initiate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was opposed to mandatory arbitration until 2006. There are four U.S. Income tax treaties― with Belgium, Germany, France and Canada― in force that has mandatory arbitration provisions. Recently three U.S. Income tax treaty protocols are waiting for the ratification of the Senate. Moreover the Treasury Department released a revised 2016 U.S. Model Income Tax Convention, which was included the mandatory arbitration provisions. The mandatory arbitration clause will be an essential part of U.S. tax treaties going forward. There are some characteristics of the U.S. mandatory arbitration clause. First, arbitration procedure is conducted by the ad-hoc arbitration board. Second, the authority of arbitrators is severely restricted. Their decision only involves the choice between the two options offered by the contracting states. It is so called baseball arbitration. It increases the speediness, and to placate the criticism relating to loss of sovereignty. Third, taxpayers don"t have any greater right to participate than they have in MAP. Fourth, the list of people qualified to be selected as an arbitrator is created, and this is updated at regular intervals. Fifth, it imposes strict confidentiality on taxpayers and the arbitrators. As a result, the arbitral award is kept secret, so that it has valueless as a precedent. Sixth, the competent authorities have great discretion at the commencement of arbitration. Finally, the arbitration clause is a mean of reaching a resolution within a MAP. It is not seen as extraordinary or punitive. As a result arbitral award is regarded as the mutual agreement, and its procedure rely on the MAP. OECD, UN, EU, and U.S. have changed the policy to the mandatory arbitration in income tax treaties. It come the time that we have to study the mandatory arbitration and seriously consider it.
‘생성’으로서의 자조모임에 참여한 결혼이주여성의 경험에 관한 연구
김영순(Kim Youngsoon),최수안(Choi Sooa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2 아시아여성연구 Vol.61 No.1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자조모임을 ‘생성’으로서의 자조모임으로 개념화하고, 연구참여자의 생활세계를 둘러싼 개인적・사회적 상호작용의 과정을 미시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스미스와 플라워스와 라르킨(Smith, Flowers, & Larkin, 2009)이 제안한 해석 현상학적 분석(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IPA)을 주요 연구 방법론으로 채택하였다. 자료수집은 인천시 소재 A 가족센터 자조모임에 활발하고 참여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 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을 관통하는 경험의 패턴으로 ‘결핍의 기억들’, ‘생성의 선을 그리다’, ‘넘나드는 공간으로’ 세 가지가 도출되었으며, 자조모임 참여의 의미로 ‘차이의 생성을 통한 타자-되기’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의 과거 기억은 자조모임을 통해 상호연결을 이루면서 차이를 생성하는 선으로 변이하였다. 스스로를 위해 참여했던 자조모임이 또 다른 결핍의 기억을 가진 누군가에 대한 윤리적 실천으로 이어지며 차이 생성의 과정은 반복되었고, 다문화 생활세계에 필요한 지식과 태도를 형성해 나갔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자조모임이 사회・경제적 참여 측면으로 논의가 확장되어야 한다. 둘째, 자조모임이 다양성을 담아낼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나아가야 한다. 셋째, 다문화 관련 지원기관은 자조모임 관련 정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제안할 수 있는 위치로 나아가야 한다. This study defines self-help groups of marriage-migrant women as constituting self-help groups as Becoming. Using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IPA),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marriage-migrant women who participated in a self-help group. For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marriage-migrant women who actively participate in self-help groups at the Family Center in Inche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PA method suggested by Smith et al. (2009). Three themes, “memories of lack,” “drawing line of becoming,” and “to the crossing space,” were identified as the patterns of experiences. The meaning of participation in self-help groups manifested as “becoming other through the generativity of differences.” The study participants’ past memories were transformed into lines that made a difference while forming interconnections through self-help groups. The self-help group in which they participated established ethical practices for people who have memories of lack, and the process of making a difference was repeated, creating knowledge and attitudes necessary in a multicultural world.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scussion on self-help groups for marriage-migrant women in terms of social and economic participation should be expanded. Second, self-help groups should strive to become an open space that embraces diversity. Third,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should take actively discover and suggest policies related to self-help groups.
다문화가정자녀 멘토링 사업 참여 대학생 멘토의 수퍼비젼에 관한 연구
김영순(Kim, Youngsoon),김금희(Kim, GumHe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3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들이 멘토링 활동에 있어서 멘토 경험을 토대로 멘토의 멘토링 효과증진을 위한 수퍼비젼에 관한 연구를 질적 연구방법인 초점집단 인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밝혀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학생 멘토들이 멘토링에 있어서 효과증진에 요구되는 수퍼비젼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차원의 수퍼비젼에서 멘토링 활동시에 ‘운영자의 정보제공’이 가장 필요로 하는데 이는 비슷한 문제에 직면 했을 때 함께 공유하고 토론을 통한 형식의 수퍼비젼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차원에서의 수퍼비젼에서는 정서적 교감의 부재와 표현력 부족과 서투른 의사소통 방식으로 멘토, 멘티간 오해를 받아 의욕을 상실 했을때 정서적인 지지와 격려, 공감를 받을 수 있는 정서적 차원의 수퍼비젼이 필요하며 이는 멘토링 활동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는 행적적인 차원에서의 수퍼비젼에서는 ‘장소 확보의 어려움’, ‘서류의 간소화’, ‘멘토 멘티 매칭’에 있어 일반적인 정보와 함께 관심사와 성향, 그리고 거리에 따른 우선적인 매칭과 담당 교사들의 적극적인 태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기대효과로는 향후 멘토링 활동에 있어서 멘토링 활동의 효과성과 더불어 멘토의 역량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fine effective supervision skills for mentorship based on FGI(Focus Group Interviews) conducted with college student mentors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our research, we concluded the supervision skills required for effective mentorship for college student mentors to be the following: First, in terms of societal supervision, information sharing from the administrators is crucial for effective mentorship - it was found that discussion and sharing-driven supervision was much desired when the two faced similar problems. Second, in terms of psychological supervision, mental support, encouragement, and emotional understanding is needed in situations where conflicts arise due to miscommunication and lack of emotional sharing. This will also bring positive impacts to future mentoring activities. Lastly, in terms of administrative supervision, proactive attitude from the teaching staff as well as thoughtful mentor-mentee matching procedure are imperative where personal interests, personalities, and residence are considered. We expec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o not only elevate the effectiveness of mentorship but also improve the future outlook of mentoring as whole.
최빈국 특혜관세 활용을 위한 원산지 증명서의 완화 필요성
김영순(Kim, Youngsoon)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19 No.1
최빈개발도상국에서 수입한 물품에 대한 관세 특혜 제도는 최빈국에서 수입하였다는 이유만으로 일방적으로 관세 혜택을 주는 제도이다. 이는 최빈국의 절대빈곤을 해결하기 위한 전세계적 지원의 한 내용이다. 그러나 최빈국 특혜관세 제도는 생각보다 활용도가 높지 않다. 그 이유 중의 하나는 원산지 규정의 복잡성과 관련 절차에 따른 비용부담을 들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원산지 규정 중에서 원산지 증명서 제도의 경직성을 문제로 제기하였다. 관세 특혜를 받기 위해서는 해당물품의 원산지가 최빈국이라는 증명서를 수입신고시에 제출하여야 한다. 원산지 증명서는 조세회피를 방지하기 위해 서식을 법정하고 있고, 권한있는 기관의 증명을 엄격하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조세회피 우려가 없는 경우까지 엄격한 형식을 강조하게 되면 최빈국 특혜관세를 활용하지 못하게 되어 그 취지를 살리지 못하게 된다. 본 논문은 현재 최빈국에 대한 특혜관세 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원산지 증명서 의 적용요건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몇 가지 논거로 살펴보았다. 첫째는 과세실무의 통일성 및 능률성을 제고하기 위해서이다. 현재 일반특혜관세(GSP)의 원산지 증명서 양식(Form A)과 최빈국 특혜 원산지 증명서는 같은 내용이지만 법정서식만 달라서 혼란을 주고 있다. 둘째는 해외 선진국이나 국제적 기준과 비교했을 때, 대부분의 선진국들은 GSP 제도 하에서 최빈국에 특혜 관세를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원산지 규정이 통일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최빈국의 정치적 불안정, 행정의 불투명성과 비효휼성 등 정치․사회적 특수성을 감안했을 때 원산지 증명서 의 방식이나 제출기한, 증명도 등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 The 1996 Singapore Ministerial Declaration started to refocus the attention of the trading community on the idea of unilateral preferences by launching the idea of special trade preferences for LDCs, including provisions for taking positive measures, for example duty free access on an autonomous basis, aimed at improving the opportunities offered by the trading system for those countries. However, LDC preferences are not fully utilized. Some reasons among them are the complication of the Certification of Origin(C/O) and the burden of expenses related to the issue of C/O. This study provides some grounds for the necessity of the relaxing the C/O system. First, it"s necessary to improve the unification and efficiency of tax administrative procedure. For instance, although the GSP Form A and the LDC Form have the same contents, they exist separately. Second, most of developed countries give the favor under the GSP system. There is no reason to separate from the LDCs. Third, we have to consider the political unrest and administrative uncertainty of LDCs, so that it"s necessary to relax the form of C/O, the deadline for that form, and degree of po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