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국가정체성 변화 유형 및 영향요인 분석: 다문화교육의 정책적 시사점 도출을 중심으로

        윤현희 ( Yoon Hyunhee ),김나영 ( Kim Nayo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6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기의 다문화 청소년들의 국가정체성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여 다문화교육 정책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의 초4패널 1차년도(2011)부터 6차년도(2016)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할함수 성장혼합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다문화 청소년들의 국가정체성은 ‘고 수준-증가집단(11.5%)’,‘중 수준-감소집단(14.5%), ’저 수준-증가집단(6.8%)’, ‘평균(무변화)집단(67.2%)’의 네 가지 잠재계층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잠재계층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개인적 요인에서는 자아존중감, 성취동기와 같은 인지·심리적응적 요인이, 가정 환경요인으로는 부모양육태도가, 학교 환경요인에서는 친구의 지지, 교사의 지지, 교사와의 관계가, 사회 환경요인으로는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청소년들의 국가정체성과 관련된 다문화교육 정책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trajectories and determinants of latent classes in national identit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periods. To this end, the piecewise growth mixture modeling was applied using the Multicultural Youth Panel Survey (MAPS) data from the 1st year(2011) to the 6th year(2016) of the 4th panel of elementary school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NYPI).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ational identit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as identified into four latent classes: ‘high level-increasing group (11.5%)’, ‘middle level-decreasing group (14.5%)’, ‘low level-increasing group (6.8%)’, and ‘average (unchanging) group (67.2%)’. Second, the cognitive and psychological factors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home environmental factors (parenting attitudes), school environmental factors (friend support, teacher support,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the level of awareness of local commun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classification of trajectory patterns of national identity. Based on these findings, educational policy implications related to the national identit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discussed.

      • KCI등재

        FGD 활용 교육 선진국의 미래 교육 동향 탐색

        김영순(Kim, Youngsoon),윤현희(Yoon, Hyunhee),이영희(Lee, Young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8 열린교육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교육 선진국의 미래교육 동향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미래 교육의 방향과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수행을 위해 전문가 집단 토의(FGD: Focus Group Discussion) 방법을 채택하였다. FGD를 위해 교육 선진국과 통합교육의 전문가 6명을 섭외하여 토의를 진행하였다. FGD 분석 결과 교육 선진국의 교육 동향을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제도 세 가지 범주로 유형화 할 수 있었다. 교육내용 측면에서는 시민교육과 진로교육을 강조하며 방법적으로는 통합적 교수방법과 지역사회 연계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제도 측면에서는 학습자 중심 교육과 개별화 교육을 통한 교육 불평등 감 소 노력이 행해지고 있었다. 해외 교육 동향 분석을 통해 미래교육 방향이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기르는 교육, 현재의 문제점 고찰을 통한 정책 개선, 교육 불평등 감소를 통한 사회통합 지향, 교육정책과 운영을 총괄하는 중심타워 설립의 네 가지를 중심으로 추진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미래 교육은 지속가능발전의 맥락에서 목표가 설정되고 운영되어야 하며, 교육 선진국의 다양한 사례들은 우리나라의 지속가능한 미래 교육비전 수립에 기초자료로 의미가 있다. 이에 해외의 사례와 정책들을 참고로 우리나라의 상황과 실정에 맞는 교육 정책을 수립하여,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 비전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ducational trends in educationally developed countries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vision of future education in Korea. FGD (Focus Group Discussion) research method was adopted to conduct the research. For the FGD, six experts were invited to the discussion. FGD analysis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education contents, education methods, and education system. In terms of contents of education, civic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were emphasized, and integrated teaching method and community–based education were actively carried out. On the institutional side, it emphasized learner-centered education that emphasized individualized education and reduces education inequalit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of a central administration supervises the policy orientation through the reduction of educational inequality and the education policy and operation. Various examples of educationally developed countries ar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vision of sustainable future education. Future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reference to overseas cases and polici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educational policies that are appropriate to situations in Korea and present the future vision of Korean education

      • KCI등재

        잠재전이분석을 활용한 청소년의 다문화시민성 변화 양상 및 영향요인 분석

        김나영(Kim Nayoung),윤현희(Yoon Hy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본 연구는 다문화시민성 함양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기 위하여 청소년기 다문화시민성 잠재프로파일의 변화양상을 분석하고, 다문화시민성 잠재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구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KCYPS) 초 4 패널의 6차년도(2015)와 7차년도(2016)년도 설문에 모두 응답한 1936명의 데이터를 근거로 잠재전이분석법을 사용하였고, 다문화시민성 측정 지표로 ‘자아정체감, 진로정체감, 다문화수용성, 지역사회인식, 공동체의식’이 포함된 ‘다문화 시민성 기반 역량’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의 다문화시민성 잠재프로파일은중학교와 고등학교 시기에 거의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또한, 다문화시민성의 기반이 되는 역량들은 학교급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안정성과 다른 집단으 의 변화 가능성이 모두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자아존중감, 부모양육태도, 교우관계 및 교사관계가 다문화시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시민성 함양을 위해서는 교육구성원 모두의 노력과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transition patterns of adolescents’ profiles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and explored the influential factors on each multicultural citizenship profile. The Latent Transition Analysis(LTA) was conducted using the 6th(2015) and 7th(2016) data from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KCYPS)(N=1,936) for the analysis. The competencies based on multicultural citizenship including self-identity, career identity, multicutural acceptability, community consciousness and sense of community were used as indicators of measuring adolescents’ multicultural citizenship.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profiles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showed approximately similar patterns at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econd, the competencies based on multicultural citizenship showed both stability and changeability during the transition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Third, self-respect, parenting styles, peer relationship,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adolescents multicultural citizenship profiles.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the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 KCI등재

        탈북학생 교육 정책연구학교의 운영 실태 분석

        정소민 ( Chung Somin ),윤현희 ( Yoon Hyunh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6

        이 연구는 탈북학생 교육 정책연구학교의 운영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탈북학생과 일반학생의 통합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반편견교육과 비판적 페다고지 측면에서의 다문화교육적 관점에서 총 10곳의 `탈북학생 교육 정책연구학교` 결과보고서에 드러난 운영 목표와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을 비교 분석하고, NVivo10을 이용하여 보고서 내단어 빈도 분석 및 연관 단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 학교별로 제시한 연구학교의 운영 목표는 탈북학생의 적응, 진로, 학습이라는 세 가지 운영 주제로 구분되었다. 둘째, 연구학교에서 실시하는 프로그램은 세 가지 운영주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탈북학생 위주의 교육지원이 주를 이루었다. 셋째, 단어 빈도 분석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이해`, `통합적`이라는 단어가 유의미하게 대두되었으며, 이들 단어가 사용된 맥락을 살펴본결과 탈북학생 교육 정책연구학교의 교육과정 재구성은 주로 `부가적 접근법`의 수준에 해당하였으며, 교사나 일반학생이 탈북학생을 `이해`하는 것을 강조하였고, 탈북학생을 위한 `통합적` 지원을 의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교육에서 강조하는 형평성의 관점에서 탈북학생을 위한 별도의 교육지원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학교에서 탈북학생의 적응을 돕기 위한 과제로 개인적 결핍을 채우기 위한 교육 지원만을 제공했다는 사실은 한국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것이 그들의 개인적 요인에 기인한다는 관점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통일 이후의 삶을 준비하기 위한 교육으로서 탈북학생과 일반학생과의 통합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rograms in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Policy-Research Schools” in order to suggest alternative educational perspectives on integrated unification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reports of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Policy-Research Schools, based on anti-prejudice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critical pedagogy. We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for the aim and design of curriculum and its implementation and query analysis using NVivo10 for words frequency and their relatedness. The result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ims of the school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such as adaptation, guidance consultation, and supplementary instruc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Second, their programs are closely related to the three categories and mainly focus on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Third, three meaningful words -`curriculum`, `understanding`, and `integrated`- are extracted from query analysis. In specifically, reconstructing `curriculum` that generally corresponds to additional approach level; `understanding`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by teachers or non-defector students; and `integrated` supports for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Doubtless,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extra educational supports for them are essential in terms of equity. However, the fact that most of the schools offer the educational support to help their adaption by reinforcing individual deficits reveals a implied perspective that their maladjustment comes from individual deficits without considering any social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ions have been made regarding integrated education for empowering citizens who prepare lives after the unification of Korea.

      • KCI등재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연계 방식에 관한 탐색적 논의

        김영순 ( Youngsoon Kim ),정소민 ( Somin Chung ),윤현희 ( Hyunhee Yoo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6 중등교육연구 Vol.64 No.3

        이 연구는 세계시민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연계 방식과 이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탐색함으로써 지속가능발전 사회 구현에 기여할 수 있는 세계시민성을 지닌 시민을 양성하기 위한 통합적인 논의의 장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수행을 위해 세계시민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련 국내외선행 자료 및 각종 문헌을 분석하였고, 환경, 사회·문화, 경제, 시민교육 등의 영역별로 구성된 9명의 관련 분야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세계시민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 두 가지 교육 간의 연계 방식 및 연계 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고, 질적 자료 분석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Nvivo 10을 사용하여 코딩 및 해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가들은 세계시민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 간의 공통점으로 궁극적인 교육적 지향점과 교육내용 및 영역의 유사성을 언급한 반면, 차이점으로는 강조점, 초점, 근본적인 핵심 전제가 다르다고 지적하였다. 전문가들이 주장한 두 가지 교육 패러다임 간의 연계 방식은 크게 네 가지로 요약할수 있다. 세계시민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안,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안, 각자의 상호보완성을 인정하되 독립적으로 교육하는 안, 융합적인 통합을 실시하는 안이다. 또한 각각의 연계 방식과 관련하여 세계시민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연계하기 위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This article aims to open the discussion of what educational approaches are supposed to achieve to foster citizens with global citizenship that might needed in order to support a sustainable society, a convergence that connec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is paper analyzes a part of the research in the area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authors conduct in-depth interviews with 9 experts engaged in fields of environmental, sociocultural, economic, and civic educational. We explores their perspectives on the convergence, an approach which focuses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educational paradigms as well as possible forms and ways for their connection. The data is managed, coded, and analysed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software NVivo 10. Several main themes on the similarities betwee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re summarized as parallelism in their educational orientation and educational contents and areas; whereas that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re discussed in three aspects such as their educational emphasises, focuses, and core premises. The possible forms in connecting two educational paradigms are condensed into four approaches; for example, an approach for connecting the two relatively stressed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 approach for relatively focusing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 approach for teaching them separately in noticing their co-relatedness, and an approach for integrating them. Several ways for connecting the two educational paradigms are also mentioned.

      • KCI등재후보

        북한이탈주민 자녀를 지도하는 초등교사의 경험 재구성에 대한 연구: 편견을 중심으로

        김영순 ( Youngsoon Kim ),김창아 ( Changah Kim ),윤현희 ( Hyunhee Yoon ),최희 ( Hee Choi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교사교육연구 Vol.54 No.3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자녀를 지도하는 초등교사의 경험을 편견의 개념에 기대어 기술하고 해석하는 데 연구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에 기초하여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교육 경험이 있는 초등교사 4인에 대한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면담을 위한 주요 질문은 주관적 경험에 나타날 수 있는 편견에 대한 맥락적 이해에 초점을 맞추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자녀에 대한 경험을 중심으로 시간적 축을 구성하여 반구조화 된 질문을 제시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해 얻어낸 자료들 중 주관적 경험이 편견과 연결되는 186개의 의미단위를 추출하였다. 이중 중복되거나 유의성이 떨어지는 62개를 제외하고 124개의 의미단위를 통해 구성요소를 개념화였다. 이후 개념에 대해 해석을 하고 연구 참여자별로 1~3개의 ‘경험주제’를 통하여 이들의 경험을 재구성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대체로 북한이탈주민의 자녀에 대해 막연하게 갖고 있던 생각이 경험을 통해 변화되고, 긍정적으로 발현하는 경험을 하였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의 자녀가 처한 상황과 경험을 알게 됨으로써, 그들을 위한 배려와 책임의 필요성을 말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한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교육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 과정과 교사연수 과정에 북한이탈주민과 그들의 자녀에 대한 실제 모습에 대한 이해와 경험의 과정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과정은 교육 방법에서 시뮬레이션, 상황극, 소수자로서 생활하기와 같은 경험학습을 포함하도록 한다. 둘째, 북한이탈주민 자녀와 부모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적 지원이 요구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basis for prejud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towards the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Through a case study, researchers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taught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A total of 186 semantic units containing subjective experiences connected with prejudice were identifi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From among these semantic units, 62 units were excluded as they were duplicated, which left 124 sematic units of prejudice identified in this study. These sematic units of prejudice were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mes for each of the participants. In each interview teachers recalled their experiences revealing different themes: Teacher A stated ‘as like their sister’; teacher B said ‘expectation and novelty ’ and ‘adaptation to pain’; C spoke out ‘others tongue’, ‘overcome through experience’ and ‘new recognition of manifestation’; and D presented ‘my past vestiges’, ‘one´s responsibility as an experienced hand’. Most interviewees had optimistically changed their idea on the refugee students through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As the teachers recognized the different conditions the children experience, they argued it is necessary to respect and support these students. According to this result, researchers stated followed suggestions for education of the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 First, pre-teacher and teacher training may deal with the reality of the North Korean refugee residents and their children. Also, the training should be revised to include experiential learning methods (like a simulation, theatre of situations and living as a minority), because it plays an important role. Second, educational support should consider the needs of the North Korean refugee parents and children.

      • KCI등재

        장애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이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최웅용,윤현희,이정애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9 장애와 고용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barriers to career aspirations. It was examined for a group of 127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Daegu, Korea. Participants(M=67, w=60) completed measures of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barriers and career aspirations. There were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aspirations. There were negativ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aspirations. The multiple regression revealed that academic self-efficacy(β=.280, p<.001) and career barriers(β=.350, p<.001) were jointly predictive of career aspirations. The difference among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barriers, career aspiration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sex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no signification statisticall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career intervention and career counseling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장애 대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이 진로 포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진로 포부에 어떠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진로장벽은 진로 포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학업적 자기효능감, 긴로장벽, 진로 포부가 성별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등이다. 연구 대상은 대구 지역의 D대학에 재학 중인 장애 대학생 12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 도구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장벽, 진로 포부 검사를 사용하였다.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진로 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장벽도 진로 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차이에 있어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장벽, 진로 포부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기조절 효능감에 있어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