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보육시설에서의 아동 건강관리 문제점과 개선요구

        김신정,이정은,양순옥,강경아,장은영,오경숙,서원경,이승희,김성희 한국아동간호학회 2011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7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시설에서의 아동 건강관리의문제점과 개선요구를 파악함으로써 보육시설의 아동 건강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대도시, 중소도시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서울과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경상북도에 소재한 20개의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130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검진/성장발달」,「건강생활 실천」,「전염성 질병관리」,「안전사고 및 재해관리」,「응급상황 대처 및 연계」,「아동학대」,「영양/비만」,「교사의 질」,「부모교육」,「보육시설지도/감독」의 10개 영역을 아동 건강관리에 있어서 주요한 열쇠로 보고 이를 10 Kid Keys로 범주화하여 각 범주에서 보육교사가인식하는 보육시설에서의 아동 건강관리의 문제점과 개선요구를심층면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시설에서의 전반적인 아동 건강관리의 문제점과 개선요구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으므로지역별 차이에 대해서는 분석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아동 건강관리에서의 문제점과 개선요구를 통해 보육시설에서의 아동 건강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안전한 환경의 제공, 보육교사에 대한 정보와 교육 제공, 의료기관이나 보건소와 같은 협조기관과의 연계와 인력의 제공 및국가적 관심과 예산의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를통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보육시설 아동의 건강이 체계적으로 관리되어 장·단기적으로는 국민건강에 기여하는 영향이 클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학령기 아동의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김신정 한국아동간호학회 2010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6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령기아동을 대상으로 그들의 발달연령에 적절한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프로그램을 근거로 저학년과 고학년별로 안전교육을 실시하여이러한 교육이 대상자의 사고예방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에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학령기 아동의 발달특성을 고려하여 체계적인 안전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고 생각되며 이는 추후 보다 발전적인 안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수정, 보완작업에 도움이 될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렇게 개발된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지도자와 동시에 계속적으로 이에 관심을 가지고 풍부한 자료가 필수적으로 뒤따라야 한다고 생각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안전교육은 학령기 아동의 사고예방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 정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평가되었으므로학령기 아동의 사고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결과가 초등학교에서의 안전교육을 의무적으로 일정 시간을 확보하여 실시할 수 있는 계기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아동의 사고예방을 위한 타 연구의 자료로 기여할수 있으며 실제로 대상자 교육에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실무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보건교사가 적용할 수 있는 유용성이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추후 8차 교육과정에서는 안전교과 과목을 신설하거나학년별로 발달특성에 알맞은 안전교육 시간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좀 더 많은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그 효과를 검증하고 이에 따라 수정, 보완 작업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 대구시내 일부 여대생의 성지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김신정 中央醫學社 1995 中央醫學 Vol.6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the basic data for guideline on sex education by knowing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 The results were obtained from 438 respondents among college women students in Taegu City from June 1 to June 12, 1994 by questionnaire and we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the respondents was 21.5 years. 2. 75.6% of the respondents were positively about a view of marriage. 3. Most of the respondents got their sex information sources through books and magazines, Mass-media(46.3 %), through a cultural lecture(chair)(19.4%), through friends(18.3 %). 4. In a matter of concern about sex, 59.2 % of the respondents was satisfy at present degree, 34.2 % was wanted to learn concretely]. 5. In the content of the best concern at present, 32.7 % of the respondents was feminine culture, 32.0 % was sex education and 20.5 % was female physiology. 6. In the knowledge of sex, 1) Generally most of the respondents admitted knowledge about conception 98.5 %, menarche 99.6 %, menstruation 98.5 %, Veneral diseases 89.5 %. 2) 98.5 %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o the question of sex determination factor by male sex chromosome. 3) 84.9 %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o the question of the possible period of conception by 14th -16 day of the menstrual cycle. 4) 28.3 % of the respondents admitted knowledge about the expected data of confinement accounts (EDC : last menstruation month-3 and menstruation first of beg-inning day+7). 5) 81.7 % of the respondents answered by high pregnancy frequency give bad effect on mother's health. 7. In the attitude of sex, 1) 65.5 % of the respondents answered sexual behavior is natural. 2) 62.3 % of the respondents answered premarital purity should be keep. 3) 92.0 % of the respondents thought positively about opposite sex companionship. 4) 20.1 % of the respondents thought negatively about artificial abortion. My suggestion based on above study is as follows : 1. It is necessary for the study to extend to nation wide group. 2. It is necessary to make comparative study between college women students and college men students and between general education(non-nursing) and professional nursing. 3. The establishment of consultants and institution which control sex problem should be asked so that anyone can contact them easing on one's sex problem. 4. It is necessary for the study about educational data and educ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recognize accurately women's health problem through professional women education.

      • 일부 대구시내 거주부인의 산전관리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조사연구

        김신정 中央醫學社 1989 中央醫學 Vol.54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knowledge and attitude in antenatal care. Data, collection were well trained nursing students interviewed 265 married women who were living in Daegu City, from May 1. 1989 to August 31, 1989.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use of percentage, X2-test.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1. The age group of 20-40 years old was 80.4 % and 77.0 % of respondents attained their education above the level of high school. 2.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average pregnancy number was 2.8 and average delivery number was 1.9. 40.4 % of respondents experienced artificial abortion and 14.7 % of respondents experienced spontaneous abortion. 3. In frequency of antenatal care, 52.9 % had had periodical antenatal care in their first delivery; only 32.5 % had in second delivery. 4. 91.3 % of respondents visited hospital for antenatal care, the rest of respondents visited health center and midwifery center. 5. In feeling about becoming conscious of the pregnancy, 54.3 % of respondents was satisfied in the their first delivery and only 18.5 % of respondents was satisfied in second delivery. (P < 0.01). 6. The score of the test about the activity during pregnancy period was 91.7 %. 7. The score of the test about the meals during pregnancy period was 55.8 %. 8. The score of the test about constipation control during pregnancy period was 62.3%. 9. The score of the test about sexual life during pregnancy period was 69.8 %. 10. The score of the test about smoking during pregnancy period was 36.2 %. 11. The score of the test about drug usage during pregnancy period was 93.2 %. 12. The score of the test about travelling and exercise during pregnancy period was 75.8%. 13. The score of the test about dangerous symptoms; vaginal bleeding 82.6 %, hypertention 70.2 %, edema 67.9 %, abdominal pain 51.7 %, severe headache 33.2 %. 14. The score of the test about dangerous .diseases; toxemia 88.3 %, ectopic pregnancy 85.3 %, syphilis 81.1 %, gonorrhea 63.4 %, D.M. 54.3 %. 15. In treatment of disease during pregnancy period, 93.9 % of respondents had treated by taking counsel with doctor.

      • KCI등재

        7·4 남북공동성명의 지속성 저해 요인: 한반도 안보 불안과 남북의 안보 이익 추구

        김신정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硏究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분단 이후 남북이 한 자리에 모여 대화를 통해 합의된 최초의 합의문이자, 이후 전개된 다양한 남북대화의 원칙과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7·4 남북공동성명’을 살펴보는 데 있다. 특히 7·4 남북공동성명의 지속성을 저해하는 요인, 즉 합의의 실천적 이행을 가로막았던 원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1960년대 말 미국을 중심으로 한 전 세계적 데탕트(detente) 물결은 한반도의 냉전구도에도 영향을 미쳐 남북관계 개선의 전기를 마련했고, 이를 계기로 남과 북은 7·4 남북공동성명을 합의하게 된다. 하지만 남북관계의 변화를 이끌어냈던 미국의 데탕트 정책은 역설적이게도 공동성명 합의 이후, 지속적인 남북대화를 가로막는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다. 즉 미·중의 관계 개선에서 전개되었던 남북대화 ‘속도조절 요구’, ‘한국군 현대화 계획’, ‘2개의 한국’ 정책 등 미국의 대 한반도 정책 변화와 한·미 간 대북위협 인식 차이에서 발생한 갈등 양상은 남북 쌍방의 안보 이익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남북대화의 유연성을 침해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결국 이러한 미국의 대 한반도 정책으로 인한 남북의 안보 불안은 박정희와 김일성으로 하여금 국내 정치적 권력 강화를 위해 각각 유신체제 선포와 사회주의 헌법을 제정하도록 만들었고, 더 이상 남북 간 합의 내용을 발전시키지 못했다. 뿐만 아니라 계속되는 안보 위협 속에서 불합리한 요구들을 선결조건으로 제시하는 북한의 협상전략은 합의 이후 본성명의 지속성을 저해하는 주요한 원인이 되었다.

      • KCI등재

        아동의 안전사고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행동

        김신정,이정민,민지영 한국아동간호학회 2017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2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rents’ perception and behaviors in the case of a child safety accident.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54 parents of children under 12 years old.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2 to November 25, 2016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 Results: The mean score for parental perception and behaviors showed a high score of 3.12±0.30. In addition, the top three categories were drug management (3.45±0.54), prevention of burns (3.34±0.52), and vehicle safety (3.34±0.44). The overall difference in categories of perception and behaviors about child safety accident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was developmental age (F=5.616, p=.004). Most of the categories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other categories. Conclusion: Findings in this study show parental perception and behaviors were relatively high. It is recommended that safety education for parents should be done for a healthy life for their children.

      • KCI등재

        백석 시에 나타난 ‘차이’에 대하여

        김신정 한국시학회 2012 한국시학연구 Vol.- No.34

        이 글에서는 백석의 기행시, 만주 시편을 중심으로 그의 시에 나타나는 ‘차이’의 인식과 생성 과정을 그의 지속적인 이주 여행 유랑의 특성과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백석의 유랑시편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차이’는 그의 시쓰기 과정에서 몇 가지 계기를 마련한다. 초기 고향시편과 달리, 중기 유랑시편에는 그가 여행과 유랑의 여로에서 마주친 낯선 타향의 공간과 풍물, 특히 타향의 음식과 언어의 세계가 시화된다. 타향에서 발견한 다양한 ‘차이’의 표지들은 고향이라는 동일성의 세계에서 벗어나 ‘나와 다른 것’으로서의 낯선 타자들을 인식하는 계기가 된다. 그의 시에는 대립과 부정으로서의 차이뿐만 아니라 이행으로서의 차이의 양상이 나타난다. 과거와 현재의 대립적인 차이뿐만 아니라 옛 것이 남아있는 현재의 흔적, 또는 오늘의 ‘우리’에게 남아 있는 과거의 ‘우리’에 대한 인식은 식민지 근대의 ‘부재’와 ‘결핍’의 상황을 응시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고 있다. 백석의 시쓰기는 동일성의 세계에 균열을 일으키는 ‘차이’를 인식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 차이를 생성하는 주체화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동물, 음식물, 이방인들과 같은 소수자의 위치로 물러선 자아는 바로 그 소수자의 위치에서 적극적으로 감응하고 연대할 뿐 아니라, 지배적 기준에서 벗어난 ‘다르게 존재하기’를 추구함으로써, 지속적인 변이와 창조의 공간을 생성한다. 이렇게 백석의 시쓰기는 ‘어제’의 공동체와 ‘오늘’의 공동체의 차이를 성찰하고, 타인과 ‘나’의 차이를 이해하며, 어제의 ‘나’와 오늘의 ‘나’의 차이를 스스로 생성함으로써 ‘가난한 시인’이라는 격절(隔絶)과 자존의 공간을 창조하고 있다. Focusing on Baek Seok’s works on Manchuria among his travel poems, this paper examines the perception of "difference" depicted in his poems and its process of development in relation with the consistent nomadic traits of the poet. "Difference" that appears in various shapes in Baek Seok’s travel poems provides the poet with several opportunities in the process of his poem writing. Unlike his earlier works on home, his travel poems poeticize the customs and scenery - especially, the food and language - he encounters during his journey. Various signs of "difference" he finds in places far away from home give him an opportunity to free himself from the world of sameness of his home and perceive others as "different beings than himself." Not only difference as opposition and denial, but also the aspect of difference as transition appears in his poems. The trace of the past in the present or the perception of "we" in the past still remaining with us in the present provides an important opportunity to look at the conditions of "absence" and "deficiency" of the modern colonial era. Baek Seok’s poem writing can be called as a process of establishing subjecthood which does not only recognize the "difference" that causes a crack in the world of sameness but also creates difference on one’s own. Thus, Baek Seok’s poem writing creates a space of separation and self-existence of a "poor poet" by reflecting up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mmunity of "yesterday" and "today,"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between other and "I," and generating the difference between "I" of the past and "I" of the present.

      • P-30 국내 3차 의료기관 종사자의 잠복 결핵 감염율 조사

        김신정,하은진,박은숙,최준용,김송이,김영삼,강영애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7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4 No.0

        목적: 3차 의료기관에서 결핵 노출 고위험 부서 근무자를 제외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잠복결핵 감염 상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5.1∼2017.4월까지 잠복결핵 검진 기왕력자, 결핵 치료력이 있는 자를 제외한 2,534명을 대상으로 2017.5-8월동안 Tuberculin skin test (TST)와 interferon-γ release assay (IGRA)를 동시에 진행하였다. 동일 기간동안 Chest X-ray를 촬영하였다. 성적: 검진률은 89% (2,256/2,534) 이었다. TST≥10mm의 양성자는 34.9%, IGRA 양성자는 29.3%이었다. TST+/IGRA+는 19.0% 이며 검사의 일치도는 저조하였다(kappa = 0.390). 각각의 TST와 IGRA 양성에 연령, 근무 기간, 남성 및 Chest X-ray상 healed TB인 상태가 영향을 끼쳤다 (P<0.001). 다변량 분석 시 연령, 남성, Chest X-ray상 healed TB는 TST/ IGRA 양성에 모두 영향을 끼쳤다 (P<0.001). 직업군 중 간호직은 다변량 분석에서 TST 양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나타났다 (OR 1.48; 95%CI 1.06-2.06). 결론: 3차 의료기관 종사자의 잠복결핵 감염율은 TST 10mm 기준 34.9%, IGRA 기준 29.3% 였고 검사 일치도가 낮았다. 검진 대상자가 병원 전체 직원이 아니라는 점과 20대 대상자 수가 전체의 13%에 불과한 제한점이 있다.

      • KCI등재

        TST (Tuberculin Skin Test)와 IGRA (Interferon-γ Release Assay)검사를 이용한 의료기관 종사자의 잠복결핵감염 유병률과 위험요인

        김신정,하은진,박은숙,최준용,강영애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2020 의료관련감염관리 Vol.25 No.1

        Background: We evaluated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s (LTBIs) among healthcare workers (HCWs) working in non-TB departments in a tertiary referral hospital. Metho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at Severance Hospital, a tertiary hospital in South Korea with 2442 beds. The study subjects were 2228 HCWs who did not have any previous screening records of tuberculin skin tests (TSTs) and interferon-gamma release assays (IGRAs) or histories of tuberculosis. The LTBI screening was performed using both TST and IGRA from May to August 2017. Among the participants, we excluded four whose IGRA results were indeterminate, three with only TST, and 35 who had only IGRA. The prevalence of LTBI and related risk factors for LTBI were analyzed.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41.3 years. Females comprised 66.2% of the sample. The positive proportions of TST (≥10 mm) and IGRA were 35.2% (770/2186) and 29.0% (637/2186), respectively. Among the 2186 participants, 18.8% showed positive results for both TST and IGRA, and the agreement of the two tests was low (kappa=0.390). The frequencies of TST and IGRA positivity increased with ag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age and spontaneously healed TB lesions on chest X-ray were associated with positive TST and IGRA results. Conclusion: Based on TST and IGRA in a tertiary referral hospital, the prevalence of LTBI among HCWs not involved in the care of patients with TB was considerable. Although age and spontaneously healed TB lesions on chest X-ray were the related factors for the positivity of TST and IGRA, we need to check the risk of TB exposure in hospitals and comm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