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넨도’ 가구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김기범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4 No.3

        Nendo, which was established in Tokyo in 2002, is a design company established by Oki Sato, which is gaining reputation as a new design group representing Japan through numerous design tasks encompassing diverse design sectors, such as architecture, interior, furniture, graphic, and produc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ormative features of Nendo furniture by reviewing 133 pieces of Nendo furniture designed for the last ten years and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endo furniture by reviewing the time of launch, product launch type, and furniture type. As a result, the design features of Nendo furniture are as follows: First, the shapes of basic materials including boards, lumber, and bars are maintained intact and Nendo furniture has simple and moderate design without complicated or decorative elements. Second, Nendo furniture has simply embodied a design characterized by simple transformation, minimization of furniture elements, and rearrangement. Third, Nendo presents new and simple furniture differentiated from other pieces of furniture using optical illusions. Such expressions of optical illusions which are hardly found in preexisting furniture are a major feature of Nendo furniture. Fourth, a majority of chairs of Nendo cause optical illusions with the minimized size. In addition, their top boards made of transparent glass and mirror cause optical illusions with the properties of materials. In short, design of Nendo furniture is characterized by formative expressions, expressions of optical illusions, and differentiated use of materials. Fifth, Nendo keeps launching new furniture items in various exhibitions. As a result, Nendo makes furniture with its own unique characteristics based on its diverse studies and experiments which are applied to furniture design in a realistic way. In summary, design of Nendo furniture is characterized by simply embodied design based on small differences in daily life, minimalism with simple and moderate shapes, and its own witty uniqueness based on formative expressions, expressions of optical illusions, and use of materials differentiated from other furniture brands. 2002년 동경에 설립된 ‘넨도(Nendo)’는 사토 오오키(Oki Sato)가 설립한 디자인회사로 건축, 인테리어, 가구, 그래픽, 프로덕트 등 여러 디자인 영역을 아우르는 수많은 디자인 작업을 통해 일본을 대표하는 새로운 디자인 그룹으로 그 이름을 알리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넨도’를 세계에 알리는데 중요한 매체 역할을 한 그들 가구의 디자인 특성 파악을 통해 넨도의 디자인 특성과 디자인 철학을 살펴 보았다. 연구는 10년간 발표된 넨도의 133개의 가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넨도의 가구 디자인은 세계 각국에서의 그룹전시와 솔로전시를 통해 지속적으로 발표되어 ‘넨도’를 세계에 알리는 중요한 매체가 되었으며, 현재는 국제적인 명성의 가구브랜드의 의뢰를 받는 세계적인 디자인회사로 성장하였다. 둘째, 넨도 가구의 특성 중 하나는 알기 쉬운 단순 절제된 형태로 이는 단순한 방법의 형태 변형, 가구 요소의 최소화에 의해 만들어 진다. 셋째, 넨도 가구 중 착시효과와 재료의 물성을 이용한 가구는 기존의 가구와는 차별화된 유니크함으로 그들을 세계적으로 알리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넷째, 최근 그들의 가구는 대부분 국제적인 가구브랜드들의 의뢰로 만들어져 ‘넨도’의 국제적인 명성은 더욱 높아져 가고 있다. 그러나 회사설립 당시의 이념과 디자인 철학, 디자인에 대한 그들의 자세는 변함이 없으며, 자신들의 디자인적 위트와 유니크함을 바탕으로 각각의 브랜드의 아이덴티티가 살아있는 가구를 디자인하고 있다. 이상의 넨도 가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넨도’가 10년이라는 시간을 통해 회사설립의 이념과 조직체계, 디자인 철학을 꿋꿋이 유지하고, 다양한 분야에 걸친 왕성한 디자인 활동으로 자신들만의 아이덴티티를 확립해 옴으로서 ‘넨도’가 국제적으로 일본을 대표하는 새로운 디자인그룹으로 평가되고 있음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내부 고발자에 대한 지각

        김기범,김시업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evauation for justice and group value between students and adults sample. The experiment conducted by 3x2 factorial design which was consisted of two kinds of subjects (i.e., students and adults sample) and three kinds of scenarios (control, whistle-blowing, and obedient condition) developed by Yamaguchi (1994). A person who was told to tell a lie to his customers and hide the defects of his company's products was depicted in a scenario. In the control condition, no information regarding the person's behavior was given to the subjects. In the second condition stated that the person blew the whistle on his company. In the obedient condition, the scenario stated that the person obeyed the order. The analysis of variance showed that there was a main effect for each conditions on the evaluation of morality, personality, and social dimension such as justice and cooperation. That is, the whistle blower was perceived as a moral, matured, reliable, and just person. On the other hand, the obedient person was evaluated as a group-oriented one. In addition, the whistle blower was prefered to work as frieds, superior and colleague rather than obedient person. 본 연구는 한 조직 구성원의 자신이 속한 조직의 비리를 외부에 고발하는 행위, 즉 내부자 고발(Whistle Blowing)에 대한 대학생 및 성인들의 지각을 분석하였다. 조직의 비리를 사회에 고발하는 상황, 고발하지 않는 상황과 아무런 행동을 취하지 않는 상황(통제상황)등 세 가지 상황시나리오를 통해 고발행위가 소신있고, 정의로우며 신뢰로운지, 혹은 조직의 화합과 결속을 위해서는 또 어떠한지 등에 대한 평가를 측정하였다. 또한 그러한 내부 고발 행위자를 피험자들의 친구나 직장 상사, 직장동료 및 부하 직원으로 함께 일할 경우의 대학생들과 직장인들의 선호도를 알아보았다. 실험결과, 내부자 고발 행위는 정의롭고 신뢰로운 행위로 평가되었으나 집단의 성원으로서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지각되었다. 관계선호도 측면에서는 내부 고발자를 친구로서 바람직하게 평가하였고 직장상사 및 동료로 함께 일하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하직원으로서의 선호도는 다른 두 상황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내부자 고발행위가 사회적으로 정의롭고 도덕적인 행동임에도 불구하고 조직의 차원에서는 조직의 화합을 저해하는 행동으로 평가되는 양면성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조직의 구성원으로서 부적응자라는 오명을 쓰거나 보복이나 차별을 받을 가능성이 있어 내부 고발자를 보호하는 제도가 필요함을 논의에서 지적하였다.

      • KCI등재후보

        수직진동조건에서 얇은 알갱이층에 나타나는 문양등역학

        김기범,서용수,박혁규 한국물리학회 2002 새물리 Vol.45 No.1

        The process of pattern formation in granular layers was experimentally studied. Ten layers of granular materials were prepared inside a vacuum container under an $A\sin 2\pi ft$ vertically vibration. The control parameters were the dimensionless acceleration $\Gamma=A(2\pi f)^2/g$ and the vibration frequency $f$. When the system was quenched from a flat pattern state to a striped pattern state by increasing $\Gamma$, it took more than $10^{4}$ periods before a full steady striped pattern appeared. This non-equilibrium and non-steady process showed dynamic scaling behavior. The growth exponent of the characteristic length scale of the ordered domain was $0.25$, which agrees with that of the Swift-Hohenberg system. Furthermore, we show that the ordering process in the pattern is dominated by defect annihilation with the topological constraint of the conserving Burger's vector. 중력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부진동조건에서 알갱이체는 공간적으로 거시적인 문양을 형성한다. 문양이 나타나지 않은 상태에서 줄문양이 나타나는 상태로 최대가속도를 갑자기 변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해서 문양의 줄방향 질서영역성장에 대해 연구하였다. 제어변수를 변화시킨 직후의 동역학적 비평형상태에서 알갱이체의 문양이 typeⅠ불안정성을 기술하는 Swift-Hohenberg 모형과 같은 보편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줄방향 질서영역의 성장원리를 이해하기 위해 결함들의 동역학을 관찰하였다. 문양형성 초기에 계에 만들어진 결함들은 상호작용을 통해 소멸하거나 새로운 결함으로 전이하면서 계의 줄방향 질서영역을 확장해 나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 체육관련 인과관계 연구를 위한 분석적 접근방법 : 공분산구조분석의 활용 Utilization of the Covariance Structure Equation Model

        김기범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5 No.4

        Covariance structure equation model is a method of analysis the caution relationship of the reliability of the model by examining the results of all previous reliability study of interest. In this paper, the covariance structure equation model was introduced and described for caution relationship studies. Covariance structure equation model is recommended as an approach to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study and a reliability in physical education and exercise science.

      • KCI등재

        VIABLE COMBINED CYCLE DESIGN FOR AUTOMOTIVE APPLICATIONS

        김기범,K.-W. CHOI2,이기형 한국자동차공학회 2012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Vol.13 No.3

        A relatively new approach for improving fuel economy and automotive engine performance involves the use of automotive combined cycle generation technologies. The combined cycle generation, a process widely used in existing power plants, has become a viable option for automotive applications due to advances in materials science, nanotechnology, and MEMS (Mico-Electro Mechanical Systems) devices. The waste heat generated from automotive engine exhaust and coolant is a feasible heat source for a combined cycle generation system, which is basically a Rankine cycle in the context of this study. However, there are still numerous technical issues that need to be solved before the technology can be implemented in automobiles. A simulation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amount of waste energy that could be recovered through the use of a combined cycle system. A simulation model of the Rankine cycle was developed using Cycle-Tempo software. The simulation model was ultimately used to evaluate the rate of waste heat recovery and the consequential increase in the overall thermal efficiency of the engine with the combined cycle generation system under typical engine operating conditions. The most effective automotive combined cycle system recovered 68% of the waste heat from the exhaust and coolant, resulting in a 6% improvement in engine efficiency. The results are expected to be beneficial for evaluating the feasibility of combined cycle generation systems in automotive ap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