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적출술애 대한 고찰

        권승일(SI Kwon),최영달(YD Choi),유성하(SH Ryu),이재철(JC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6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0 No.8

        Various statistical studies have apperaed in the literature dealing with the relative merits of the three methods of hysterectomy (total abdominal, subtotal abdominal and vaginal). In recent years the trend has been toward complete rather than partial removal of uterus. This report covered 516 cases of hysterectomy which were done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last five years, and analyses were made as follows: 1) Abdominal total hysterectomy consistently reperesented 81%, abdominal subtotal hysterectomy was 12%, ad vaginal hysterectomy was 7% of all hysterectomy. 2) Prolapse of all degree serced as the primary indication in the vast majority of vaginal hysterecto- mies. This operation was seen as an accompanying precedure in 30 vaginal platic repairs. 3) Prime indication of hysterectomy was uterine fibroid and consisted of 34% of all operation. 4) Uterine malignancies (Cervical ca, Endometrial ca and choiriocarcinoma) were 29% (150 cases) of all cases. 5) Operative Complication were naoted in 4.6% of all procedures. These complications were composed with shock, hemorrhage, and ureter injury. 6) Vaginal procedure showed higher incidenc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ompare to abdominal precedure. Wound infection and urinary tract infection were leading complications. 7) Spinal anesthesia was done in 74.4% and general anesthesia was 24.8% of all procedures. 8) In comparing the morbidity of the three types of hysterectomies, subtotal and vaginal hysterecomy showed higher morbidity. 9) Duration of hospitalization showed no difference among the three type of hysterectomy and average duration was 12.5 days. 10) 4 cases of death occured among 516 case of hysterectomy.

      • KCI등재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서 이용된 제조의 기원(起源)에 대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권승,김일환,박혜선,김효수,임치혜,초재승,Kwon, Seung-Man,Kim, Il-Hwan,Park, Hye-Sun,Kim, Hyo-Soo,Yim, Chi-Hye,Cho, Jae-Seung 사상체질의학회 2006 사상체질의학회지 Vol.18 No.1

        1. Objectives and Methods The original insect of $Q\'{\i}C\'{a}o$ is described as the larvae of Holotrichia diomphalia Bates (Scarabaeidae) in oriental medicine literatures. Traditionally $Q\'{\i}C\'{a}o$ inhabit on rotting wood, compost, and organic debris of soil or thatched roofs. They have the very important distinguishing mark that wriggle along on their back through rotting wood, compost etc. and they never do inflict the living crops. but, Holotrichia diomphalia Bates as the $Q\'{\i}C\'{a}o$ is not right because of many questions, such as Holotrichia are the harmful insects eat into farm products, and those don't match well with korean farmers' moods if their cultivated lands are turned over for collecting $Q\'{\i}C\'{a}o$ larvae, and especially they don't go on using their back. 2. Results and Conclusions Accordingly, in the conclusion of this subject it is reported that the original insect of $Q\'{\i}C\'{a}o$ is the larvae of Korean Cetoniidae(Coleoptera; Scarabaeoidea) insects including Genus Protaetia Burmeister(Protaetia orientalis submarmorea Burmeister, P.brevitarsis seulensis Kolbe, etc.) and the larvae of Korean Cetoniinae insects. Also, those were the original larvae of $Q\'{\i}C\'{a}o$ that were applied to not only 'DongEuiBoGam' but also 'Dongyi Suse Bowon prescriptions'. Those feed on rotting wood, compost, and organic debris of soil or thatched roofs.

      • KCI등재

        중학교 교과별 활동중심수업에서의 학습자 및 교사 특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권승아(Kwon, Seung-A),강지혜(Kang, Jih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9

        본 연구는 중학교 교과(국어, 수학, 영어)별 활동중심수업에서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특성과 교사의 내·외적 특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2017년 중학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및 설문지를 바탕으로 변인을 구성하고, 다층구조방정식을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생의 교과별 학업성취도에 대한 설명을 위해 학생수준(1수준) 변인으로 교과별 활동중심수업 정도, 수업참여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과태도, 교사 지지를 고려하였고, 교사수준(2수준)에서는 교과별 교사의 교수효능감, 능동적 자기계발, 교사풍토, 활동중심수업 운영을 통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교과 특성을 반영한 활동중심수업 적용 정도에 따라 학습자의 인지적 및 정의적 특성이 학업성취도에 직·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내적 요인은 활동중심수업의 운영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나, 교사 외적 요인의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동중심수업 운영은 학생의 교과별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활동중심수업과 연관지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및 학생의 정의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학습에 대한 시사점 도출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activity-based instruction on learners’ affective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teachers’ internal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on activity-based instruction by constituting variables based on middle school students’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results and surveys from 2017, analyzed using multi-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order to elaborat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by curriculum, the student level variables (level 1) included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academic self-efficacy, attitude towards the subject, and teacher’s support; while the teacher level variables (level 2), such as teachers’ self-efficacy, active personal development, school environment, and activity-based instruction, were used to explore th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by curriculu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had direct and indirect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application of activity-based class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econd, the internal factors of teachers positively influenced the operation of activity-based classes, but the influence of non-teacher factors was not significant.

      • KCI등재

        XGBoost-LSTM 앙상블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량 예측

        권승일(Seung-Il Kweon),강상길(Sang-Gil Kang)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21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31 No.6

        최근, 화석 연료의 고갈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대체 에너지인 신재생 에너지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태양광 발전량 예측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단일 모델만을 사용하여 태양광 발전량을 예측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XGBoost와 LSTM Encoder-Decoder의 앙상블 모델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량을 예측할 수 있는 기계학습 모델을 개발한다. 성능검증을 위해서 실제 과거의 태양광 발전량 데이터와 기상 데이터를 활용해서 미래의 태양광 발전량을 예측하는 실험을 통해 제안한 앙상블 모델과 단일 LSTM Encoder-Decoder을 이용한 예측값의 성능 분석 및 비교를 보여준다. Recently, due to the depletion of fossil fuels, the propor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which is an alternative energy, is increasing worldwide. It has been focusing on research about predicting solar power generation to maximize production efficiency. Existing studies predict solar power generation using only a single model which causes performance limit. To solve the problem,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nsemble models by mixing XGBoost and LSTM Encoder-Decoder. Also, we show the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the predicted values obtained using the proposed technique and the predicted values obtained using a single LSTM Encoder-Decoder using actual past weather and solar power data.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모의 양육태도 유형에 따른 학업성취 및 학업정서의 차이

        권승,양미진,이태영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6 청소년상담연구 Vol.24 No.2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patterns of maternal rearing attitude depending on combination of maternal democratic rearing attitude and undemocratic rearing attitude.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emotion according to patterns of maternal rearing attitude.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were 851 middle school students who completed questionnaire survey of maternal rearing attitude,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emotion. These data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version 21.0 and K-means cluster analysis and MANOVA were appli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luster analysis identified four distinct patterns of self-regulated learning named by their characters(ambivalent group: cluster1, undemocratic group: cluster2, average group: cluster3, democratic group: cluster4).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in four groups(they showed higher score in order of cluster4, 3, and 1, 2). Third, in the case of academic emotion, cluster4 showed higher positive emotions(e,g, pleasure, pride) than other groups. cluster1 and 2 showed higher negative emotions(e,g, anxiety, anger, shame, despair).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some sugges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모의 양육태도가 민주적 태도 및 비민주적 태도의 조합에 따 라 어떤 유형으로 분류되는지 알아보고, 유형별로 학업성취 및 학업정서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서울·경기, 대구·경북, 부 산·경남 지역의 중학생 851명을 대상으로 모의 양육태도, 학업성취정도, 학업정서를 측정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한 상관분석, K-Means군집분석, 다변 량 분산분석과 Scheffé방식의 사후검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민주적 태도와 비민주적 태도의 조합에 따른 모의 양육태도 유형 은 민주적 태도와 비민주적 태도가 모두 높은 양가적 유형(군집1), 민주적 태도는 낮으나 비민주적 태도는 높은 비민주적 유형(군집2), 민주적 태도와 비민주적 태도가 모두 평균 범위를 보이는 보통 유형(군집3), 민주적 태도는 높고 비민주적 태도는 낮은 민주적 유형 (군집4)의 4가지 군집으로 분류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 한 양육태도 유형별로 학업성취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집단간 차이가 유의미하였으며 군 집4는 군집1과 2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이 지각한 양육 태도 유형별로 학업정서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즐거움과 자부심의 긍정적 학업정서에서 는 군집4가 군집1,2,3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불안, 화, 수치심, 절망감 의 부정적 학업정서에서는 군집1과 2가 군집3, 4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입학사정관 제도 운영 실태와 입학사정관의 인식

        권승,성태제 한국교육학회 2009 敎育學硏究 Vol.47 No.1

        교육과학기술부의 지원에 의하여 대학입학사정관제도가 2008년에 40개 대학에서 운영되었다. 40개의 시범대학과 155명의 입학사정관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입학사정관의 개인특성, 인식과 만족도 그리고 개선점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입학사정관의 특성으로서 학력은 일반적으로 석사학위 이상이며 경력은 초ㆍ중등교사, 연구원, 그리고 대학입학 관련 직원이 다수였고, 주로 채용공고를 통하여 임용되었으며 비정규직이 대부분이었다. 학생선발은 대학 본부나 부서에서 설정한 기준을 사용하였으며 아직까지 입학사정관은 입학전형기준을 설정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선발 시 다수의 입학사정관이 협의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입학사정관의 판단이 미치는 영향은 30%이하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입학사정관의 조직은 입학관련 부서의 하나로 운영하고 있었다. 입학사정관에 대한 인식으로서 학생들의 자료를 검토할 경우 가장 우선시 하여야 할 자료는 학생부와 비교과 영역, 면접 내용, 그리고 자기소개서라고 하였으며, 입학사정관이 지녀야할 중요한 업무 능력은 전형자료에 대한 종합적인 판단과 평가능력, 전형자료 분석과 이해능력, 그리고 창의적인 연구능력 순서로 열거하였다. 입학사정관의 인식으로 과열과외 완화와 사교육비 감소에 대한 기대는 낮았으며 학생선발의 다양화와 특성화에 대하여 높은 인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입학사정관에 대한 역할의 중요성과 업무에 대하여 매우 높은 만족을 나타내고 있었으나 법적ㆍ제도적 보장에 대하여 매우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특히 입학관련부서와의 관계 정립과 입학사정관제도에 대한 사회적 공감 부족 등에 대한 불만을 제기하였다. In 2008,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began to financially support 40 colleges to apply holistic review of application materials in their student selection. This study surveyed 155 newly-hired admissions officers in those 40 college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level of admissions officer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1) Most of the admissions officers are master degree holders and their former occupations were teachers, researchers, and college admissions-related staff members; 2) they took a part in application review process but their level of influence in student selection is under 30%; and 3)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admission decision are academic records, interview, and personal statement. The most important qualification of admissions officer is ability to conduct holistic evaluation, and analysis skills needed in reading application materials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follow. Most of the admissions officers expect that selecting students based on a holistic evaluation would diversify the ways to select students, but do not expect in reduction of educational expenses spent in private sector. Most of the admissions officers were satisfied with their role and duty but dissatisfied with legal and institutional security of their position.

      • KCI등재

        보육서비스에 대한 복지태도 형성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社會科學硏究 Vol.28 No.4

        <P>&nbsp;&nbsp;본 연구는 신사회적 위험의 출현에 따른 대응기제로서 고진로 사회권 모델의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 작업의 일환으로 보육서비스 영역을 중심으로 우리 사회의 복지태도를 고찰하고, 그러한 복지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전국의 19세 이상 성인 남녀 1, 02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종속변수인 복지태도는 보육서비스 제공에 대한 정부의 책임 정도와 보육서비스 수혜에 따른 세금 추가부담 의향 등 두 변수로 선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로는 우선, 우리사회 구성원들은 적절한 보육서비스 제공에 대한 정부의 책임을 상당히 높게 인식하면서도, 그에 따른 세금 추가부담은 꺼려하는 이중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적절한 보육서비스 제공에 대한 정부책임의 정도는 사회복지 프로그램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를 가지며, 가정 내 성별분업인식이 강할수록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부의 보육서비스 지출확대를 위한 세금추가부담 의향은 남성이며, 6세 이하 자녀가 있으며, 가구소득이 높으며, 성별분업 인식이 약할수록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지속가능한 정부의 보육서비스의 제공을 위해서는 고소득층도 혜택을 보는 보편적 복지를 지향해야 하며, 양성평등인식의 정립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 및 정책적 지원이 병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P>

      • KCI등재

        전공-직무 일치 여부에 따른 핵심역량, 교육과정, 대학생활에 대한 차이분석 : MIMIC 모형 적용

        권승아(Kwon, Seung-A),김정현(Kim, Jeong-hyeon),강지혜(KANG JIH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대학 졸업생 특성 및 전공과 직무의 일치 여부가 핵심역량, 대학교육 전반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K대학을 졸업한 지 5년 이하인 졸업생 1,314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영향요인은 핵심역량, 대학 교육과정 만족도(전공교육과정 만족도, 교양교육과정 만족도), 대학생활 만족도(교육여건, 대학시설, 학생지원)이며, 졸업생 특성은 성별과 학문계열은 통제변수로 설정하여 MIMIC(Multiple-indicators Multiple-causes)모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전공과 직무의 일치 여부는 핵심역량 수준과 전공교육과정 만족도, 대학생활 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대학전공과 직무가 일치하는 졸업생의 경우 전공과 직무가 불일치한 졸업생에 비해 졸업 당시의 핵심역량, 전공교육 만족도, 대학생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제변수인 성별과 학문계열은 교양교육과정 만족도와 대학생활 만족도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공과 직무의 불일치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학교육 차원에서 실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university education on major-job mismatch after graduating from the university. For this study, 1,341 graduates who graduated from K university for 5 years or less were used for the analysis. Specifically, the determinants of university education were set to core competency, major education, liberal arts education, and university life (education conditions, university facilities, student support), and the research model was designed and analyzed by MIMIC (Multiple-indicators multiple-causes) model by setting the gender and academic background of graduates as control variabl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rol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academic background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ly on the satisfa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university life. Second, it was verified that major-job mismatch of graduates was influenced depending on the level of core competency, major education satisfaction,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The higher level of core competency, major education satisfaction,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the more major and job of graduates is likely to be congruent.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the strategies that can be realized at university education were present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major-job mismatch.

      • KCI등재

        인지진단모형에 의한 차별기능문항 추출 방법의 제1종 오류 및 검정력 비교

        권승,성태제,송미영 한국교육평가학회 2017 교육평가연구 Vol.30 No.4

        The DIF verification can be used to heighten the utility of analyzing the CDM-based inspection and the validity in interpreting the result. This study, through a simulation, analyzed the type I error and the power of the ‘CDM-Wald test’ and the ‘LCDM-DIF method’, recently suggested as extracting methods for DIFs that are based on CDMs, by testing whether the methods can also sort the DIFs that are based on the C-RUM model,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e MH method and the Raju method. The simulation considered the numbers of items and samples, the DIF percentage, the attribute conformity of the items and the effect size of DIFs as the conditions. As a result, the CDM-Wald test showed relatively higher availability than the LCDM-DIF method in sorting the DIFs, but the type I error and the power worked sensitively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attribute conformity. The LCDM-DIF method has shown the highest number of the type I error as the number of the CDM’s estimated parameter got bigger.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DIF detection method shall be used as complementary considering the item’s attribute conformity, the CDM’s goodness-of-fit, and the number of estimated parameter.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검사 자료 분석의 유용성과 결과 해석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하여 문항의 차별기능 검증을 활용할 수 있다. 최근 인지진단모형에 의한 차별기능문항 추출 방법으로 ‘CDM-Wald 검정’과 ‘LCDM-DIF 방법’이 제안되었고 DINA 모형에서 차별기능의 추출이 양호하다고 평가된 바 있다. 본 연구는 두 방법이 C-RUM에서도 차별기능문항을 양호하게 분류하는지 모의실험을 통해 제1종 오류 및 검정력을 분석하고, MH 방법 및 Raju 방법과 비교하였다. 모의실험의 조건으로 문항 수, 표본 크기, 차별기능문항 비율, 문항의 인지요소 적합성, 차별기능 효과크기 등을 고려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CDM-Wald 검정이 LCDM-DIF 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호하게 차별기능문항을 분류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CDM-Wald 검정의 경우 문항의 인지요소 적합성 조건에 따라서 제1종 오류와 검정력이 민감하게 작동하였다. LCDM-DIF 방법은 인지진단모형의 추정 모수가 많아짐으로 인해 제1종 오류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문항의 인지요소 적합성, 인지진단모형의 적합도, 추정 모수의 수 등을 고려하여 차별기능문항 추출 방법을 상호보완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복지재정 분권의 쟁점 분석과 정책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권승 한국시민윤리학회 2010 한국시민윤리학회보 Vol.23 No.1

        본 연구는 현재 복지분권 논쟁의 중심에 서 있는 재정분권의 문제를 지방이양사업의 합리적 분류문제, 분권 교부세 정비문제를 포함한 지방재정 지원문제, 그리고 예산편성에 있어서의 주민참여문제 등 세 가지 차원의 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 정책적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첫째, 지방이양사업의 재분류 방안으로 형평성의 원칙과 실행성의 원칙에 근거하여 지역사회복지관 운영과 같은 지역적 특성을 반영할 필요가 있는 사업은 반드시 지방으로 이양하되, 생활시설운영, 시설설립 등의 사업은 지역 간 균형발전 도모와 전국적 최저선의 보장이라는 차원에서 국고보조사업으로 환원하는 방안을 제언한다. 둘째, 사회복지사업 운영을 위한 지방재정 지원방안으로 사회복지사업의 재정 안정성을 도모하면서 지자체의 재정 자율성을 보장해 줄 수 있는 사회복지포괄보조금 제도의 도입을 제언한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 재정분권을 위한 실질적인 주민참여를 위해 시민참여예산제도를 도입해야 함을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