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619년 深河戰役의 미결 지리 고증

        김일환,이승수,신춘호,임문성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4

        This paper summarized the detailed historical research results on the geographic data of a certain section in the battlefield of Sarhu broke out in March 1619. The relevant section is from ‘Pingdingshan Mountain’ from which 13,000 Joseon soldiers started marching in Niumaoling pass to about 40 km out of Hetualacheng fortress where about 4,000 to 5,000 Joseon soldiers who survived in the battle stayed as prisoners. In this geographic space did the tragic event occur for 8 days from Feb. 28 to Mar. 6, which was not too much to take a lesson for a long time and was very piercing when it was reviewed even today, 400 years from that time. However, the event was nearly forgotten by incompetent power and even moral meaning as well as tremendous pains were lost. This paper aims to remind the tarnishing history and furthermore provide the opportunity to ruminate the history by accurately criticizing and correcting the place of such tragedy.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field investigation as well as field survey, several new information was acquired. In spite of field trips twice, the old Niumaoling pass couldn’t be perfectly reconfigured. However, this paper made definite progress for thorough reconfiguration through the further study. The theory of Wangcongan(王 從安) was applied to several spots including Niumaoling Pass. It was identified that ‘Shimha’ would be the village name not the river through the records in documents. It was newly identified that 8,000 to 9,000 Joseon soldiers died and remaining 4,000 to 5,000 Joseon soldiers escaped to Pushan Mountain and the field near Pushan Mountain. Such result is the most important achievement of this paper. Moreover, the detailed ground for argument and opinions on prisoners’ path of movement which was not discussed in detail up to now were presented for the first time. Pain and grief generated by this battle are still talking to us up to now, even 400 years since then. Furthermore, the incompetence and hypocrisy of the power who forgot and ignored this battle are still tormenting people as they were. This paper was prepared to listen to what pain and grief wanted to say and to face up to incompetency and hypocrisy. 이승수 · 김일환 · 신춘호 · 임문성, 2019, 1619년 심하전역의 미결 지리 고증, 183 : 171~201 이 논문은 1619년 3월에 있었던 심하전역(深河戰役)의 현장 중 일부 구간에 대한 정밀 지리 고증의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이 구간은 조선군이 우모령(牛毛嶺) 행군을 시작한 ‘平頂山’부터 조선군 포로가 끌려가 머문 ‘奴城(赫圖阿拉城) 밖 10리 지점’까지이다. 2월 28일에서 3월 6일에 이르는 8일 동안 이 지리공간에서는, 오늘날 돌아보아도 가슴 아픈, 그리고 두고두고 교훈으로 삼아도 지나치지 않을 비극적인 사건이 일어났다. 이 비극의 장소를 정확하게 비정함으로써, 희미해진 역사를 환기하고 반추하는 계기를 마련하자는 것이 본고의 취지이다. 문헌 검토와 현지 조사에 현장 탐문을 더하여 몇 가지 새로운 사실을 알아냈다. 深河가 강이 아닌 마을의 이름일 가능성을 확인했다. 8,9천 명의 조선군이 전사하고, 나머지 4,5천 군사들이 피신했던 장소는 釜山과 그 아래 벌판으로 비정했다. 조선군이 포로가 되어 끌려간 길을 처음으로 구체적인 논거와 함께 의견을 제시했다. 이 전투로 발생한 고통과 비애는 400년이 지난 오늘까지 여전히 우리에게 말을 걸어오고, 이 전투를 외면·망각했던 권력의 무능과 위선은 여전하다. 고통과 비애의 말을 들어주고, 무능과 위선을 직시하는 것, 이것이 본고를 작성한 이유이다.

      • KCI등재

        임진왜란 후 청난공신(淸難功臣) 선정에 관한 연구

        김일환 한국사학사학회 2022 韓國史學史學報 Vol.- No.46

        임진왜란은 조선왕조의 사회적 기반을 붕괴시켜 나갔다. 오랜 전란의 고통에 빠진 백성들의 삶은 철저히 파괴되었다. 왜적에게 살해되거나 굶주림과 질병으로 쓰러졌다. 설상가상으로 백성들은 전쟁 수행에 필요한 물자 조달을 위해 가혹한 수탈과 부패 관리들에 의한 착취에 시달렸다. 이러한 상황에서 탈출구를 찾을 곳은 민중반란 외에 해결책이 없었다. 내포(內浦)에서 일어난 이몽학(李夢鶴)의 난은 이러한 시대 상황과 흉흉한 민심을 타고 발생한 민중 반란 사건이다. 이몽학의 난은 규모도 크고 봉기에 성공하여 내포지역 5개 고을이 점령되어 조선왕조의 존립을 위협할 정도의 민란이었다. 따라서 임진왜란이 종식되자 조선왕조정부는 임란 극복에 공헌한 수훈자들에 대해 공신 책훈을 실시하면서 이몽학의 난 진압에 수훈한 인물들도 공신 책봉의 대상으로 하였다. 이것이 청난공신(淸難功臣)이다. 하지만 청난공신의 책봉은 호성(扈聖), 선무(宣武)공신과 마찬가지로 많은 논란으로 인해 쉽게 끝나지 못했다. 공신 책봉을 보는 정치적 입장이 상이함에 따라 국왕 선조와 대신, 또 대간(臺諫) 간에 조성된 첨예한 대립으로 공신 책봉은 난산(難産)에 난산을 거듭할 수 밖에 없었다. 그 이유는 공신 책봉을 가급적 축소하려는 대간들과 정훈(正勳)에 거론된 인물을 포함해 가급적 널리 포상하려는 선조의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하였기 때문이다. 전란 후에 추락한 민심을 수습하고 왕권에 대한 지지세를 확장하는데 공신 책봉을 활용하려는 선조의 의도가 신하들과 충돌한 것이다. 이러한 논란을 극복하고 공신 책훈이 완결된 것은 선조가 책봉의 명을 내린 지 4년이 되어서야 가능하였다.

      • KCI등재

        漢代 初期 賈誼의 守成的 改制論과 그 時宜的 特性

        김일환 동양철학연구회 2010 東洋哲學硏究 Vol.64 No.-

        The 21st Century is a rapidly changing Globalization Age. If we wish that any thoughts or ideology will lead the 21st century, we should think deeply about reconstructing and promoting its original concepts. This thes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ideology of Confucianism) the theory of reforming the system(改制論) of Jia-yi(賈誼) in the early Han era(漢代 初期) focusing on the actual understandings of the present situation and the Confucian-political thoughts and ideology of Confucianism(儒敎理念). Jia-yi's character which is in the ideological base departs from the scope of Chou-Li(周禮). In the local viewpoint, Chin(秦), the country which unified the vast region was not exceptional. But Chin ignored the popular feelings and reined by the rule of might. As a result Chin dynasty was ended very soon. Han(漢) reunified the whole country and also sought for the change and renovation. Jia-yi struggled to make a new frame for his country. At this point he was the typical ideologist who met the needs of the times. Ideology of Confucianism in the early times of Han focuses on the doctrine of courtesy & education(禮敎主義) and the theory of reforming the system. Jia-yi didn't suggest a new and original ideology. In fact he lighted up the ideology of Confucianism of the day. And the root of ideology of Confucianism was Chou-Li, Cultural Great-Oneness. The political and educational Ideology of Confucianism is realized by the balanceable and suppletory relationships between the king and subjects(君臣). Jia-yi's theory of reforming the system can be focused in terms of providing the institutional guidelines and directions in product-keeping society. In other words, Jia-yi's theory of reforming the system is considered that it played a significant role and offered some clues as well in the foundation of the Confucian-political thoughts and ideology of Confucianism in the early Han era. 21C는 급변하는 세계화시대이다. 어떤 사상이나 이념이 세계화시대에 선도 역할을 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그것의 기본 정신을 어떤 형태(제도와 구조)로 재구성하고 또 어떻게 추진해야 할 것인가를 깊이 고민해야 할 것이다. 賈誼는 한초 혼돈기에 儒敎政治理念과 改制論을 제시한 개혁지향적 사상가였다. 賈誼는 春秋를 修學하고 春秋左氏傳을 訓詁한 바 있는 유학자였으나, 漢初의 다른 사상가들과 마찬가지로 역시 儒家와 法家를 겸용하는 절충주의적 경향을 띠었다. 이러한 경향은 荀子의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에서 충분히 유추가 가능하며, 그의 사상적 기저에 내재하는 예법 중심적 성격은 周禮의 범위를 벗어나고 있지 않다. 그의 政論의 요체는 禮樂을 통치의 도구로 삼고 仁義를 施政의 근본으로 삼는 것으로서 모두 유가의 가르침을 宗旨로 하고 있다. 賈誼는 君臣 관계에 있어 四維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孔子와 마찬가지로 管仲을 容認하고 있다. 관중은 孟子에 의해서는 覇道 君主를 도운 인물로 비판되고 있지만, 가의에 의해서는 왕을 도와 사직을 보전한 공이 인정되고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가의가 法制보다는 禮敎를 더 강조한 유학자였다는 근거는 여러 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의가 지향한 理想社會는 바로 儒敎的 禮敎社會였다고 할 수 있다. 모든 禮樂制度와 文物制度의 統一은 天子에게 있어서 궁극적으로는 天下를 하나로 통일하기 위한 基本條件이며 최우선 과제이다. 王朝가 새로 서면, 思想을 統一하고 正統性과 絶對性을 확보하기 위해서 모든 制度를 一新하는 改制政策을 시행하게 된다. 秦漢代의 統一理念과 改制政策도 이러한 측면에서 理解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賈誼는 독창적인 사상으로 새로운 이데올로기를 창시한 것은 아니며, 당대까지 온축되어 온 儒敎의 정치이념을 再照明한 思想家로 정리될 수 있다. 그리고 그 理念의 뿌리는 바로 周禮였다. 주례의 근본정신과 이념은, 사회정치적으로는 封建制를 추구하고, 혈연적 측면에서는 宗法制를, 관료제도에서는 ‘尊賢使能’정신을 근간으로 한 것이 특징이다. 賈誼는 한초의 사회상황이 혼란기를 벗어나 안정적 기운이 형성되는 것과 맥을 같이 하여 文帝에게 時宜的인 儒敎的 改制政策을 진언하기에 이른다. 荀子의 학통을 전수받은 賈誼의 현실적 정치의식의식은 급진적인 개혁만을 목표로 한 것은 아니었다. 그리고 가의는, 군주가 정확한 현실인식을 지녀야 할 것을 역설하고 있다. 이것은 鑑古戒今의 歷史意識을 바탕으로 한 知時識勢的이고 구체적인 실현양상을 의미한다. 先秦儒學에 있어서 孔子와 孟子 그리고 荀子로 이어지는 儒敎政治理念의 변화양상은 時代的 狀況에 적합하게 그 이론이 공고화되고 구체화된 것이지만, 그 본질은 周禮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니다. 특히, 荀子의 정치사상 가운데 특히 ‘改制論’은 賈誼의 改制論에 상당 부분 계승되고 있다고 추찰할 수 있다. 賈誼가 순자계열의 학통을 계승한 것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 그렇다면 ‘周禮-孔子-孟子-荀子-賈誼-董仲舒’로 이어지는 儒敎理念의 轉變過程을 고찰해 볼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하겠다. 우리는 수성기적 사회의 제도적 개선과 방향을 제시한 賈誼의 時宜的 改制論을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즉 중국 역사상에서 새로운 통일제국의 지평을 연 한초의 유교이념 정초과정에서 의미 있는 역할을 한 가의의...

      • KCI등재

        일제강점기 신문 텍스트의 계량적 연구 -1920년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김일환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3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60 No.-

        This study introduced problems related to the method of building macro data in Korean as a way to expand the externalities of big data humanities, and conducted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text of the Dong-A Ilbo in 1920. In this process, it was shown that in order to analyze the Japanese colonial era text, pre-processing of the notation such as Chinese characters and spacing should be included, and then the process of morphological analysis and post-editing should be perform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xical use of the Dong-A Ilbo text, which was founded in 1920, were examined, and for this purpose, the texts of Samcheonri and Byeolgeongon published at a similar time were considered as comparable texts.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show a case of macro data construction targeting Korean text, and a quantitative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is was possible. 이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인문학의 외연을 확장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한국어의 거시적인 데이터 구축을 위한 방법과 관련된 문제들을 소개하고 1920년 동아일보 텍스트를 대상으로 실험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일제강점기 텍스트의 분석을 위해서는 한자 및 띄어쓰기 등의 표기에 대한 전처리가 포함되어야 하며, 그 이후 형태 분석 및 수정의 과정을 거쳐야 함을 보였다. 또한 이 결과를 바탕으로 1920년에 창간된 동아일보 텍스트의 어휘 사용상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위해 유사한 시기에 출간된 『삼천리』, 『별건곤』 텍스트를 비교 대상 텍스트로 함께 고려하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어 텍스트를 대상으로 한 거시 데이터 구축의 사례를 보일 수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계량적 비교 연구가 가능함을 보였다.

      • KCI등재

        흥선대원군의 피랍(被拉) 체험 기록 연구

        김일환 한국언어문화학회 2019 한국언어문화 Vol.0 No.69

        Yi Ha-eung, Heungseon Daewongun, came back to power by the military revolt in 1882. However, he was kidnapped by the military forces of Qing dynasty in Joseon and taken in a warship to Tianjin in Qing Dynasty. Dong-Xing-San-Lu(東行三錄) recorded by Ma Jianzhong, the diplomat of Qing Dynasty, described the planning to kidnap Daewongun, the actual process of kidnapping, intention of Qing dynasty trying to restore the position as the suzerain and its external image and the aspect of Daewongun standing against the unprecedented event. Qing dynasty repatriated Daewongun who was retained in Baodingfu, Tianjin for 3 years 2 months to Joseon in 1885 in order to keep Russia from expanding its power. The proses and Chinese poems written by Daewongun from right after kidnap until after he returned to Korea were made as the book ‘Miscellaneous Records of Seokpa (石坡雜記)’. The book clearly described the mentality and attitude of Daewongun who stood against the interrogation by Li Hongzhang who pulled the strings for kidnapping Daewongun, impressions of Daewongun on the life in Baodingfu and impression after repatriation to Joseon. This paper analyzed the book to identify how Daewongun internalized two theses in the public relation in late Joseon period which represented by ‘indebtedness to state’ and ‘great righteousness’. 흥선대원군 이하응은 임오군란(1882)으로 재집권했지만, 곧 청나라 군대에 납치되어 청나라로 끌려간다. 청의 외교관 馬建忠이 남긴 사행록 ≪東行三錄≫에는대원군을 납치하려는 계획이 수립되고 실제로 이루어지는 과정, 종주국으로서의위치를 되찾으려는 청나라의 속내와 대외적인 명분, 초유의 사태에 맞서는 대원군의 모습이 잘 그려져 있다. 청나라 天津의 保定府에서 3년 2개월 동안 억류 생활을 하던 이하응은 1885년 러시아 세력을 견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조선으로 송환되었다. ≪石坡雜記≫에 실린 詩文에는 대원군의 피랍을 막후에서 지휘했던 李 鴻章의 査問에 맞서는 대원군의 모습과 保定府에서의 소회, 귀국 이후의 감회가잘 드러나있다. 이를 통해 ‘再造之恩’과 ‘春秋義理’로 대표되는 조선 후기 對中관계의 두 가지 테제를 대원군이 어떻게 자기화하는가를 살펴보았다.

      • SCOPUSKCI등재

        중루유문 (重壘幽門) 3예 보고

        김일환,안성훈,박승국,문신길,김약호,김준택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1983 Clinical Endoscopy Vol.3 No.1

        So-called, the double channel pylorus has been, relatively rarely, reported through out the world. All reported cases were almostly those of gastroduodenal fistula as a complication of peptic ulcer disease. The congenital forms of double pylorus were reported even more rarely. We found three cases of double channel pylorus in 25,000 cases endoscopy done at our unit. All those three cases were thought to be acqired form endoscopically, radiographically and histologically. One of those was undergone to operative resection because of uncontrollable bleeding and the others were on medical theraphy with satisfaction.

      • KCI등재

        텍스트 유형과 어휘의 사용 빈도

        김일환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3 언어와 정보 사회 Vol.19 No.-

        Kim, Ilhwan(2013), “Text Type and Frequency of Language Use”, Language & Information Society 19. This paper aims to explore some linguistic features to distinguish four major text types, newspaper, magazine, informative text and imaginary text based on SJ-RIKS corpus. In fact, most of native speakers are able to distinguish these texts relying on their experience and knowledge about text information. However without this information we often have some difficulty classifying which category these texts belong to. Our discussion starts from the supposition that most texts can be classified based on their linguistic features, especially morphological and syntactic features.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8 lexical categories and 7 grammatical categories. After that we investigated how these linguistic features are represented in text types. In doing so, we are able to find that there are meaningful and coherent relations between text type and language use. These generalized results are helpful to distinguish four major text types quantitatively and effectivel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